To explore cattail pollen powder as a functional food ingredient, we analyzed the general components of pollen powder, tested changes in the physical properties of dough containing the powder, and investigated the process ability of powder-containing dough in bread making by adding 3%, 6%, or 9% by weight of pollen powder to wheat flour. Cattail pollen powder consisted of (all w/w) 12.7-13.2% water, 15.7-17.8% crude protein, 1.3% crude fat, 7.5-7.7% free sugar, 14.7-18.6% crude fiber, 3.4-4.9% pollen, and 49.7-55.9% soluble nitrogen-free extract (NFE). Analysis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dough mixed with pollen powder showed that as more pollen powder was added, the absorption rate increased, but dough stability decreased. With increasing levels of cattail pollen powder, the falling number decreased, and amylase activity increased. Fermentability was highest in dough made with 3% by weight of pollen powder, and the bread product made from such dough had the greatest volume. As more cattail pollen powder was added, the moisture activity in dough tended to decrease to a greater extent than seen in control dough, and this tendency increased with time. We found that longer storage periods were associated with greater hardness and springiness, which indicated degradation in product quality.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bread products containing cattail pollen powder should be consumed within 3 days of preparation. In a taste survey, bread baked with 3% (w/w) cattail pollen powder scored highest in all questionnaire items.
To determine changes in nitrogen contents and optimal rates as N fertilizer, we investigated nitrogen characteristics in the slurry in the respond to the application of 0, 0.5, and 1 g of ferrous sulfate or alum /25g of dairy slurry. Additions of ferrous sulfate or alum increase total nitrogen, inorganic nitrogen, available nitrogen, and predicted available nitrogen contents in dairy slurry, resulting in reduction in pH. The best results were found in the treatment with 0.5 g of ferrous sulfate or alum /25 g of dairy slurry. In conclusion, the use of ferrous sulfate or alum as on-farm amendment to dairy slurry should be represented an alternative to improve N in dairy slurry.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easonal occurrence of major pests and the effects of releases of natural enemies for biological control of the major pests in eggplant greenhouse. A total of 8 pest species in 7 families were identified. Among these pests, Myzus persicae, Aphis gossypii, Frankliniella occidentalis, Tetranychus urticae and Trialeurodes vaporariorum were the dominant species in eggplant greenhouse. Two aphid species occurred mainly from May to June, but their populations decreased rapidly from July. The population density of F. occidentalis was high from June to July and T urticae and T vaporariorum were abundant from July to September during the growing season of eggplant. In the trials of biological control of pests, aphids could be suppressed within the range of 87~97% by two times releases of Chrysopa pallens eggs. F. occidentalis and T. urticae could be suppressed within the range of 76~90 and 87~91 % by three times releases of Orius sauteri adults, respectively. The releases of C. pallens eggs and O. sauteri adults were as effective as three times applications of insecticides for the control of aphids, F. occidentalis and T. urticae from May to September.
Isatis tinctoria var. yezoensis (Ohwi) Ohwi (Cruciferae) is one of major natural dyeing crops in the world and also have used as a medicinal plant in Korea. We evaluated seed purity in F1-hybrid accessions using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FLP) markers. One hundred sixty seeds from the male and female harvests were subsequently screened for seed purity with ten primers. The 13 accession-specific bands and many variable AFLP bands scored for accessions. Especially, E-AAC/M-CAA and E-AAG/M-CAT were presented clear hybrid bands for F1 hybrids. F1 hybrids maintained higher average level of genetic diversity compared with their correspondent parents. Self-inbred seeds from the female and male harvests were revealed 8.0% and 5.0%, respectively. The AFLP may lead to a better insight in to the hybrid seed purity test in I. tinctoria var. yezoensis.
Noel' 품종은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2007년도에 육성한 포인세티아 신품종이다. 이 품종은 분지력이 왕성하고 밝은 적색인 'Gutbier V-10 Amy Red'를 모본으로, 착색엽의 결각이 강하고 포엽이 밝은 적색인 'Ichiban'을 부본으로 2004년에 교배를 실시하여 양성된 실생계통 중 선발되었다. 2005~2006년 2차에 거쳐 특성검정을 하여 '원교 D5-36'을 육성하였고 2007년에 3차 특성검정과 품평회를 실시하여 최종선발 하였으며
기수산 2배체 일본재첩(Corbicula japonica)의 정자형성과정 및 정자의 미세 구조적 특징을 전자현미경 관찰에 의해 조사하였다. 세포학적 조사 결과, 기수산 2배체인 일본재첩의 정자 길이는 약 55이다. 정자 두부(길이 약 12)는 길게 신장되어 있으며 약간 구부러져 있다. 정핵 길이는 7.90 , 첨체 길이는 약 2.70 이다. 정자의 핵과 첨체의 형태는 각각 긴 화살 모양과 길다란 원추 모양을 나타낸다. 본 종(체외수정, 자웅이체, 난생종
Genomic DNA samples isolated from four geographical freshwater crab (Eriocheir sinensis) populations collected in the inland of the Korean Peninsula (Gunsan, Paju, and Nampo) and a Chinese site, were used for PCR amplification. Seven decamer primers generated 19 specific loci (19/243 loci, 7.81%) in the Gunsan population, 32 (32/215 loci, 14.88%) in the Paju population, 19 (19/231 loci, 8.23%) in the Nampo population and 62 (62/340 loci, 18.24%) in a Chinese population. The average 8.9 specific loci exhibited inter-individual-specific characteristics, thus revealing DNA polymorphisms in the Chinese population. The number of unique shared loci to each population and number of shared loci by the four populations were generated by molecular analysis using seven primers in four populations. 35 unique shared loci to each population, with an average of 5.0 per primer, were observed in the Gunsan population, and 50 loci, with an average of 7.1 per primer, were observed in the Chinese population. The hierarchical dendrogram indicates three main branches: cluster 1 (GUNSAN 01GUNSAN 05, PAJU 06PAJU 10 and NAMPO 11NAMPO 15) and cluster 2 (CHINESE 16, 17, 18, 19 and 20). Conclusively individual no. 20 of the PAJU 10 freshwater crab was most distantly related to CHINESE no. 20 (genetic distance = 0.667).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potential of RAPD analysis to identify diagnostic markers for the identification of four freshwater crab populations.
본 연구는 교사의 승진경쟁 완화 및 교수활동 리더십 강화를 위해 2008년 3월부터 시범운영 되고 있는 수석교사제 실태를 분석하여, 제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수석교사의 자격, 역할과 위상, 근무여건과 처우, 활동 저해 요인 등의 항목을 중심으로 실태를 분석하기 위해 전국 16개 시․도에서 선발된 172명의 수석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분석 결과, 수석교사의 평균 연령과 교육경력은 각각 50.1세, 26.3년으로 교감보다는 낮으나 비교적 고연령, 고경력 층인 것으로 나타났고, 수석교사가 수행하는 역할 가운데 교내 장학, 교내 연수, 수업 기술개발 등이 두드러졌으며, 자신의 지위를 부장급 정도로 인식하고 있었다. 근무여건 및 처우에 있어서는 60%이상이 별도 공간이 없었고, 주당수업시수는 초등 20시간, 중등 15시간으로 많은 편이었다. 수석교사의 수업감축으로 인한 추가 수업부담은 동료교사들에게 전가되었고, 업무추진을 위한 추가 수당은 거의 지급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근무여건과 처우가 열악한 것으로 드러났다. 초등의 경우 과다한 수업 부담, 중등의 경우 관리직과의 갈등이 수석교사의 활동을 가장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수석교사제의 성공적 도입과 정착을 위해 시사점을 줄 수 있는 자격 요건, 역할과 위상에 적합한 제도 정비, 처우 개선 등을 중심으로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하였다.
공릉2보는 농업용수의 공급을 위하여 1970년대에 설치되었다. 그러나 인근 지역의 토지 이용의 변화로 용도를 다하여 사용되지 않고 방치되어 있었다. 공릉2보는 높이 1.5 m의 소형 보 이며, 공릉천의 하상재료는 가는 모래에서 가는 자갈로 구성되어있다. 지자체와 지역 주민들과의 협의를 통하여 공릉2보는 2006년 4월 14일 완전히 철거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공릉2보 철거에 따른 하천형태학적인 변화를 조사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보 철거 전 후의
산간 지형이 많은 국내 여건상 물류수송 및 교통 등을 위한 터널 구조물의 활용성은 매우 높다. 최근 현장에서는 공기단축 및 원가절감을 위하여 터널 굴착과 라이닝 콘크리트의 타설을 병행하는 공법이 진행되면서 굴착에 의한 진동 등의 영향으로 콘크리트 구조물 초기 재령에서 균열 및 내구성능 저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터널 라이닝용 콘크리트 배합에 있어서 보강재를 강섬유와 더불어 최근 국내에서 개발된 폴리아미드 섬유를 병행 사용한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을 실험적으로 검토하였다. 또한 유․무기 섬유보강 터널 라이닝 콘크리트 부재의 하중-변위와 하중-변형률 관계를 모형 실험으로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보통 콘크리트에 강섬유와 폴리아미드 섬유 보강재를 하이브리드화하여 사용한 콘크리트 부재에서 구조 성능이 증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