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72

        462.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초고압 특수 공간지를 활용한 다기능 포터블 카약을 제작하였다. 초고압 특수 공간지를 활용한 설계로 기존의 인플레터블 카약의 성능을 개선하여 하드쉘 카약의 성능에 근접하도록 제작하였다. 하드쉘 카약의 성능과 인플레터블 카약의 기능성 및 휴대성의 장점을 모두 가진 카약을 제작하였으며, 시제품 성능평가를 통해 기존 하드쉘 카약과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저항성능 검증결과는 목표속도 6knot에 대해 Hobie KONA kayak에 비해 Developed kayak이 12.33% 저항성능이 우수하였다. 경사시험결과는 동일배수량일 경우 Hobie KONA kayak 보다 Developed kayak의 무게중심이 선저를 기준으로 22.7% 낮게 분포하고 있으며, 이는 Hobie KONA kayak 보다 Developed kayak의 무게중심이 낮음으로 복원팔(GZ)에 대한 차이가 일정부분 감소된다. 선체 복원력에서는 Hobie KONA kayak이 약간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었으나, 선회력과 저항계수면에서 Developed kayak이 더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464.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강원광산과 동해광산 주변 토양입자의 이화학적 광물학적 특성을 이용해 이들 광산주변내 토양 중금속 오염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입도에 따른 중금속의 농도를 분석한 결과 강원광산의 경우 가장 큰 입경군인 10~18 mesh 구간에서 비소가 250.5 ppm, 가장 작은 325 mesh 이하 구간에서 445.7 ppm으로 나타났다. 동해광산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10~18 mesh 구간에서 비소 70.4 ppm, 납 1,055 ppm, 아연 789.9 ppm으로 나타났으며 325 mesh 이하 구간에서 비소 117.7 ppm, 납 2,295 ppm, 아연 1,346 ppm으로 입도가 작아질수록 농집되는 경향을 보였다. 중금속과 토양 내 광물의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해 물리적 선별(자력, 부유선별) 후, 이들 시료에 대한 X-선 회절분석과 주사전자현미경 분석결과 강원광산 시료의 주 구성광물은 석영, 운모, 조장석, 녹니석, 자철석, 각섬석으로 확인되었으며 동해광산 시료에서는 석영, 운모, 고령석, 녹니석, 각섬석, 금홍석이 주 광물들로 나타났다. 강원광산의 자철석은 비소 농도와의 상관성이 매우 좋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동해광산 시료에서는 티탄철석이 확인되었으며 미량의 비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들은 토양 내 광물의 이화학적 정보와 광물학적 특성 규명이 토양 오염원 형태와 이를 바탕으로 한 토양환경 오염처리에 매우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465.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ed to plan a distinctive apple theme park, thereby specializing the nationwide brand of Cheongsong apple. Detailed objectives included: to establish the best possible environments in Korea to taste and appreciate apple and enjoy the Cheongsong Apple Festival; to identify and foster natural, cultural and social resources in the clean environment of Cheongsong; to clusterize research and production infrastructures for strengthening local competitiveness; and to develop a hub for the vitalization of the region where visitors and locals can mutually prosper. The study was multi-phased. The first stage included basic surveys such as local status and environment analysis and similar case studies, and the second stage was to review the appropriateness of theme selection, develop basic principles and strategies for development goals and review and incorporate project details. And the third stage aimed to develop a comprehensive plan from spatial plans and program plans and suggest plans to vitalize the operation of the park. The dimension of the subject site was 180,150m2, which was divided into four areas, in consideration of the land use and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resources, for developing a land use scheme. The four areas were named: the apple-theme cultual area; the agricultural culture experience area; the plaza for exchange and harmony; and the plaza for natural observat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can serve as a case to develop farm theme parks, and as a case of appropriate development of programs to identify amenity resources with a focus on the existing resources and in consideration of local characteristics.
        466.
        2013.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pper Chloride (CuCl2)는 수계생물에 매우 강한 독소로 작용한다. 이에 한국 토착 양서류인 무당개구리(Bombina orientalis)의 배아를 이용하여 CuCl2의 독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배아 발생 독성 실험, Trypan blue 염색, 동물극 분리체의 예정 중배엽 유도, MTT 분석, real-time PCR을 수행하였다. 결과로, 생존율에 근거한 반수치사농도는 6.50 μM, 기형율에 근거한 반수기형농도는 2.13 μM로 확인되었다. 주요 기형패턴으로는 head malformation, bent tail이 관찰되었고, 3 μM 이상의 농도에서 두부와 미부의 유의적인 성장 저해가 관찰되었다. 10 μM 이상의 농도에서 배아 전체의 세포사멸이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동물극 분리체의 길이신장과 길이/폭 비율이 1 μM 이상의 처리군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MTT 분석 결과, 10 μM 이상의 농도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중배엽 관련 유전자 중 goosecoid, noggin, chordin, follistatin가 1 μM 이상의 처리군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epidermal keratin가 10 μM 이상의 농도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Apoptosis 관련 유전자 중 BAK와 BAX는 각각 10 μM 이상의 농도에서 유의적인 감소와 증가를 보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CuCl2가 무당개구리 배아의 중배엽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저해함으로서, 발생 과정의 장애를 유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467.
        201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Loran 시스템의 구축을 위해서는 기존 LORAN-C 설비의 보완과 데이터채널, dLoran 기준국, ASF 데이터베이스 등의 추가가 필요하다. 특히 항만접근 시 eLoran을 이용한 정밀 위치측정을 위해서는 항만 해역에 대한 ASF 맵이 반드시 이용자에게 제공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eLoran 시스템의 주요 오차 요인인 항만에서의 ASF를 효율적으로 생성 및 보완하기 위하여, ASF 예측모델과 실측치를 이용한 ASF 맵 생성기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포항 LORAN-C 주국(9930M)에서 송신신호와 LORAN-C 수신기의 수신신호를 각각 세슘원자시계를 기준으로 측정하는 전파지연 측정법을 적용하여 ASF 실측치를 얻었고, ASF 예측맵은 불규칙한 지형을 적용한 몬테스 모델로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영일만 해상 12 개 측정점에서의 ASF 실측값과 ASF 모델링을 통해 획득한 예측값의 옵셋을 보정하여 영일만의 ASF 맵을 생성하였다.
        468.
        2013.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rough industrial developing, electronic waste is occurred by short lifespan of electronic products. This study discusses an approach of the eco-efficiency for waste PCB (Printed Circuit Board) recycling process through environment and economic analysis. The recycling of waste PCB 1 kg has 1.89E + 00kg CO2 eq. of global warming potential and 2.84E −02 kg antimony eq. of abiotic resource depletion. In terms of economy, this process costs 6,601.91 KRW per 1kg waste PCB recycling. Use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result, when compare with same amounts of virgin metal, environmental-efficiency of GWP (Global Warming Potential) is at 4.16E + 00 and ARD(Abiotic Resource Depletion) is at 2.91E + 00. And compare with secondary metal, environmental-efficiency of GWP is at 2.11E + 00 and ARD is at 8.49E − 01. In addition economic-efficiency is at 1.19E + 00. The results of optimization of this process will be increased. This study will show the process economical and environmental decision making
        469.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중음향 채널은 일반적으로 다중경로 전달과 분산 등으로 인해 통신하기에 어려운 매질 가운데 하나로 인식된다. MIMO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기술은 대역이 제한된 수중음향 채널에서 데이터 전송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이 경우 전송 다이버시티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Alamouti 구조이다. 이 논문에서는 실험을 통하여 전송 다이버시티 기술의 성능을 고찰하였다. 실험에는 2개의 송신기와 2개의 수신기가 사용되었으며, 실내의 음향수조에서 수행되었다. 실험 결과 5~8%의 오차율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같은 전송율을 기준으로 SISO(Single-input single-output) 채널에서의 오차율 14.8% 보다 향상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470.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relation with ‘affairs’ that become protecting objects of the affairs disturbance crime, there are pro and cons discussions about whether public affairs are included in the affairs in the crime centering on relations with ‘public affairs’ at the resisting arrest crime by chances of the harmonization judge in Supreme Court at 2009, but it is in situation of hardly finding out related discussions on ‘protecting values’ of the affairs actually. So, contrary features of judgment about existence of preventing values on the same affairs in practices become to be contacted frequently from lower and higher courts. Based on such awareness of issues, this study tries to look into attitudes of existing theories and judicial precedents on affairs’ protecting values in the affairs disturbance crime first, and then analyze them. And the study accentuates urgency of standard setting-up on affairs’ protecting values with bases of existing discussions, and investigates relations between public affairs and protecting values in the resisting arrest crime and legal nature of affairs disturbance crime for making a presupposition of discussions. After that, this study will review matters that have not to be corresponded to criminality which is prohibited by laws and objected to criminal penalties as affair requirements of becoming protecting objects from the affairs disturbance crime, have not antisocial nature to the extent of not being accepted at all from social norms, and shall take protecting values by the criminal law in relation with object judgments. Above discussions aim at minimizing illegitimacy that affects influences to judgments by contributing to systematic establishment of jurisprudence on affairs which become protecting values in the affairs disturbance crime.
        471.
        201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ibers of microbial polyesters, poly(3-hydroxy butyrate) (PHB) and poly(3-hydroxy butyrate-co-3-hydroxy valerate) (HB-co-HV) were prepared by electrospinning method. The obtained fibers were evaluat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oil absorption. The formation of fibers was strongly dependent on a concentration of solution. At a low concentration, the fibers contained beads which is from aggregation of polymer due to short evaporation time. The fine fibers with 2-5 mm diameter were obtained at 20 wt% concentration. The contact angle measurement showed that the fiber had higher water contact angle than the film due to the lotus-like effect. Oil absorbency showed that the fiber had higher than the film. Specially, the HB-co-HV fiber which was spinned from 20 wt% absorbed 65% oil which is much higher than that of a normal polypropylene-based oil paper.
        472.
        201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fish passage efficiency, based on fish-trap monitoring methodology, in the fishway of Seungchon Weir, which was constructed on the lower region of Yeongsan River in 2011. Seasonal patterns and diel variations of fish movements, fish fauna, and compositions in the fishway were analyzed in relation to the current velocity and location of the trap-setting in the fishway. For the analysis, we conducted seven times surveys in 2012 on the fishway and also conducted intensive monitoring of the fishway as 3 hrs interval for the diel variations of fish fauna and compositions in the fishway. According to the fish-trap monitoring methodology, the total number of fish species was 13 species, which was a 43.3% of the total. Most dominant fish used the fishway was 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and the relative abundance of the species used the fishway was 33.5% of the total. The season and time zone (in diel variation) observed most frequently in the fishway were July and 18:00-21:00 PM, respectively. The fish movements and use-rates of fishway varied depending on the locations of trap-setting; Fish biomass and the number of species were statistically (p < 0.05) greater in the most right or left-sided traps than in the mid-traps. Also, fish movements and use-rates of fishway were influenced by current velocity on the fishway; fish in the fishway preferred the low current velocity (mean 0.71 m/sec) than the high current velocity (mean 1.13 m/sec). Further long-term studies should be monitored for the efficiency evaluations of the fishway.
        473.
        2013.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healthy foods or natural preservatives with garlic (Allium sativum L.), ginger (Zingiber officinale R.) and onion (Allium cepa L.). The polyphenol contents of garlic, ginger and onion juice were analyzed, and they were tested for antioxidative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Their antioxidative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their electron donating activity (EDA), SOD-like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blity (NSA). Their antibacterial activities were tested against four kinds of pathogenic bacteria (L. monocytogenes, S. aureus, E. coli O157:H7, and Sal. typhimurium). The yields of the garlic, ginger and onion juice were 28.2, 24.3 and 38.3 percent, and their total polyphenol contents were 1,254, 1,523 and 412 mg/100 mL, respectively. The EDAs of the garlic and ginger juice ranged from 95 to 98 percent and over 90 percent in the 40 percent diluted solution. Their SOD-like activities were 64 and 67 percent, repectively. Onion juice had lower activities in EDAs and SOD-like activity than those of garlic and ginger juice. The NSAs of the garlic, ginger and onion juice were 56.5, 52.4 and 50.2 percent, respectively. The garlic juices showe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four kinds of pathogenic bacteria (L. monocytogenes, S. aureus, E. coli O157:H7 and Sal. typhimurium) and the highest such activity against Sal. typhimurium. From all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it can be concluded that garlic, ginger, onion can be used as a natural preservatives and can help develope healthy foods because of their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abundunt polyphenols.
        474.
        2012.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danmuji samples stored at 5 and 25℃ were examined for three weeks to observe the changes in the color, property of matter, and microorganisms of danmuji, and its sensory properties, during its storage. The difference in the brightness and redness of danmuji and danmuji filtrate as their storage period became longer was not big but was significant, and their yellowness decreased following storage at both 5 and 25℃. The hardness of the danmuji sample stored at 5℃ showed the greatest value at day 7 while that of the danmuji sample stored at 25℃ showed the greatest value at day 14. It was found in the examination of the total cell number of the stored danmuji that the total cell number was 105CFU/g, with almost no change, but in the case of the danmuji filtrate, the cell number increased from the latter part of the storage. The number of yeast fungi increased until storage day 7 for both the danmuji sample stored at 5℃ and that stored at 25℃. The cell number of danmuji did not change since then while the cell number of the danmuji filtrate constantly increased. As for the sensory properties of each stored danmuji, the overall taste preference was highest at storage days 14 and 21 (5℃), and the overall scent preference was high for the danmuji that had been stored for 7 days (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texture and color of and the overall preference for the danmuji stored at 25℃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storage period got longer. All in all, the preference for the danmuji stored at 5℃ was higher than that for the danmuji stored at 25℃,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us, it is thought that 5℃ is more appropriate than 25℃ as the storage temperature of danmuji products.
        475.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determine the type and dimension of modular deck, the parameter study was executed. Decks of three types were proposed and static test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structural performance. From the test results, the full steel plate composite deck had about three times strength as the others.
        476.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determine the type and dimension of modular deck, the parameter study was executed. Decks of three types were proposed and static test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structural performance. From the test results, the full steel plate composite deck had about three times strength as the others.
        478.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피부는 끊임없이 외부환경에 노출되며 가장 주요한 스트레스 요인 중 하나는 자외선방사이다. 자외선 방사로 인하여 피부에 염증, 착색, 광노화 및 피부암을 포함하는 생물학적 영향을 끼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천연소재(김, 다시마, 모려, 모자반, 미역, 석결명, 우뭇가사리, 청각, 톳, 파래)로부터 피부보호 항산화제를 조사하기 위해 자외선으로부터 기인된 세포보호 효과를 증명하였으며 세포독성, 산화에 의한 세포사멸, 항노화 효과에 대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모자반, 한천, 석결명, 청각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군이 자외선으로 유도된 세포독성 및 세포사멸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른 실험에서 자외선에서 인한 세포사멸은 세포내 축적이나 ROS로부터 매개되지만 해양추출물을 처리함으로써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이러한 해양추출물의 보호효과 증가는 Type Ⅰ collagen 과 Type Ⅰ procollagen에 의해 매개하는 것과 연관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들의 결과는 해양추출물이 노화예방 및 항산화제로서의 우수한 특성으로 피부손상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응하는 새로운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가지는 것으로 평가된다.
        479.
        2012.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무당개구리(B. orientalis)의 수정란은 수정 후 약 24h에 원구입술을 형성하며, 이 원구의 고리를 통해 이동하는 세포가 중배엽을 형성하고, 중배엽의 수렴확장에는 noggin, chordin, follistatin이 큰 영향을 미친다. Mercuric chloride는 높은 독성, 생물 농축적 특성을 갖는 가장 위험한 중금속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양서류 초기배아의 중배엽 형성과정에서 수은 이온에 의해 유발되는 중배엽 발생저해 효과를 DMZ explants를 이용하여 체외분석 및 유전자 발현 분석하였다. 무당개구리 배아는 hCG를 주사하여 획득하였으며, 획득한 배아는 22℃에서 발생시켰다. 동물극 유도 시에는 후기 포배의 배아 동물극 정중앙을 1~2 mm 크기로 절개하여 이용하였고, DMZ 분리는 원구입술의 크기가 배아 둘레 기준으로 약 1/8 정도 확장된 배아가 되었을 때 절개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24-well tissue culture plate에 1X MR로 조제한 1.5% agarose 고체배지 500μl에 1X MR, penicillin(1μl/ml), streptomycin(10μl/ml), BSA(0.25μl/ml)로 조제한 액체 배양액 500μl를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동물극의 중배엽 유도를 위한 실험군에는 추가적으로 Activin-A를 2.0 ng/ml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Mercuric Chloride는 3차 증류수에 녹인 후 0(vehicle control group), 0.1, 1, 10 μM의 농도로 배양액에 처리하여 20℃에서 배양하며, 12시간 경과 후 DMZ explant의 수렴확장 정도를 이미지 분석프로그램을 통해 수치화 하였다. 배양된 explants는 RT-PCR을 이용하여 cDNA로 합성하고, noggin, chordin, follistatin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동물극의 중배엽 유도 실험에서는 확장 정도를 의미하는 길이신장은 10μM(2.715 mg/L) 처리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수렴 정도를 의미하는 동물극 신장 부위의 두께는 10μM(2.715 mg/L) 처리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반면, 종합적인 수렴확장 정도의 비교를 위한 길이/폭 비율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DMZ explant의 확장 정도를 의미하는 길이신장은 10μM(2.715 mg/L) 처리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반면, 수렴 정도를 의미하는 DMZ explant 두께는 수은이온처리에 따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종합적인 수렴확장 정도의 비교를 위한 길이/폭 비율은 10μM(2.715 mg/L)의 수은이온 처리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유전자 발현량 측정 결과, 동물극의 중배엽 유도 실험에서는 noggin의 경우 1, 10μM에서, chordin의 경우 0.1, 1, 10μM에서, follistatin의 경우 1, 10μM에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DMZ explant 배양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렴확장저해가 확인되지 않았다. 무당개구리 배아를 이용한 Mercuric Chloride의 중배엽 형성저해 분석 결과, 10μM(2.715 mg/L) 이상의 농도는 DMZ의 길이 성장, 길이/폭 비율을 저해시키며, 동물극의 중배엽 형성 유도에서는 길이 성장, 폭 성장을 저해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동물극의 중배엽 유도군에서 수렴 확장 정도에서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은 것은 길이와 폭의 성장이 모두 저해되었기 때문에 비율의 변화값이 고정되었음에 따른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유전자 발현양상을 분석한 결과 길이 측정결과에서 보였던 결과와 마찬가지로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므로 수은이 중배엽 형성을 저해하는 효과를 가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 DMZ explant 군에서의 변화양상이 없는 것으로 보아, 차후 중배엽 형성 저해 실험을 관찰할 때에는 동물극 유도 실험군을 이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480.
        2012.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정소 내 생식세포 분화가 이루어지는 세정관과 혈관 사이에 존재하는 blood-testis barrier (BTB)는 다양한 밀착결합(tight junction)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다. Claudin-11은 이러한 밀착결합을 구성하는 단백질 중 하나로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끼(domestic rabbit; Oryctolagus cuniculus domesticus), 꿩(pheasant; Phasianus colchicus), 자라(soft shelled turtle; Pelodiscus sinensis)의 정소에서 claudin-11의 발현을 관찰하고, 성적 성숙 또는 번식기에 따른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각 동물의 claudin-11 partial cDNA 염기서열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RT-PCR을 수행하였다. 또한 정소 조직 내에서 claudin-11 발현 부위를 확인하기 위해 면역염색을 시행하였으며, western bolt을 통해 단백질발현을 확인하였다. 토끼와 꿩의 정소에서 claudin-11은 성적으로 성숙한 이후에, 자라의 경우 생식세포의 분화가 활발히 일어나는 비번식기에 mRNA 발현량의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이는 단백질의 발현량과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성적 성숙이 일어나지 않은 토끼와 꿩 및 번식기 자라의 정소내에서 claudin-11 발현은 주로 Sertoli cells 및 그 사이에서 확인되었다. 그러나 생식세포 분화가 활발한 시기의 세정관 내에서 claudin-11은 Sertoli cells 및 그 사이 뿐만 아니라 Sertoli cell이 spermatogonia와 접하는 바닥면에 물결형태로 분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포유류뿐만 아니라 조류에서도 claudin-11이 생식세포 분화를 진행하는 세정관 내에서 BTB를 구성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계절에 따라 생식세포 군집의 변화를 보이는 자라의 정소에서 생식세포 분화가 활발한 시기에 claudin-11이 BTB 구성에 참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꿩의 정소 및 정소(organ culture)에서 분리해 낸 Sertoli cells(primary culture)를 이용한 실험에서 testosterone 처리에 따라 claudin-11 mRNA가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자라의 호르몬을 분석한 결과, 세정관내 생식세포 분화가 활발한 시기에 testosterone 농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claudin-11이 남성호르몬의 조절을 받으며, 생식세포의 분화가 활발한 시기의 높은 농도의 남성호르몬은 세정관내부 환경을 독립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claudin-11이 포함된 BTB를 발달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재까지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조류와 파충류 정소에서의 claudin-11 발현을 확인하였으며, 정소 내 고유환경 조성에 참여하는 것은 claudin-11이 진화선상에서 갖는 공통된 기능임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