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기업의 사회공헌의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는 직원의 지역아동센터 멘토링 활동에 대한 연구이다. 지역아동센터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멘토링 활동이 그 수혜자인 멘티뿐만 아니라, 멘토에게도 어떤 유용성을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기업 자원봉사활동 기반의 멘토링 프로그램 참여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효과성을 규명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해서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으로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직원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 기법을 활용하여 목적표집으로 수집된 자료를 다중회귀방법을 사용하여 계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멘토링 활동이 직무 만족과 조직몰입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멘토링 활동의 조직몰입에 대한 영향에 직무만족이 매개 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우선, 기업의 경영자는 조직 구성원의 직무의 만족을 위해서 멘토링 활동과 같은 사회공헌활동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 사회공 헌활동은 개인의 조직에서의 만족과 함께 기업의 경영 성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공헌을 통한 기업의 인사 및 성과관리에 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Salivary gland adenocarcinoma(AdCa NOS) is one of the major causes of mortality among malignant salivary gland tumors. New therapeutic measure are needed to improve the outcome for patients with AdCa NOS because current therapy does not significantly improve survival rates. Transglutaminase 2(TGase 2) was implicated in forming cross-linked protein polymer, apoptosis and matrix interaction. And also TGase 2 expression is up-regulated in proliferation, migration, invasion, and metastasis of cancer cells. shRNA which has emerged as an effective method to target specific genes for silencing has provided new opportunities for cancer therapy. But there has been rarely reported using shRNA-TGase 2 transfection in AdCa NOS.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specific inhibition of TGase 2 mRNA and protein expression by siRNA transfection of TGase 2 through RT-PCR and immunoslot blotting, and to study proliferation, migration and invasion assay of SGT cell line from AdCa NOS. Cell cycle analysis showed that the downregulation of shRNA-TGase 2 caused the accumulation of cells in the sub-G0/G1 phase. In migration assay, suppressing shRNA-TGase 2 inhibited the capacity of the cells to migrate compared to parental cells. In invasion assay, cells transfected with shRNA-TGase 2 decreased in invasion when compared to SGT and vector transfected cells. shRNA-TGase 2 expressing plasmids efficiently downregulated TGase 2 mRNA and TGase 2 protein expression. It suggested that the shRNA-TGase 2 targeting system against TGase 2 could have a therapeutic potentiality for malignant salivary gland tumors, especially in inhibiting and/or preventing cancer cell proliferation, migration and invasion.
본 연구는 경상남도 남해군 강진만 식물상 분포를 정량적으로 밝히고, 향후 강진만 생태계를 친환경적으로 관리·보전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강진만의 식물상 조사에서 관속식물은 115과 359속 545종 3아종 54변종 10품종의 총 612분류군이 출현하였다. 국화과가 가장 많은 74분류군(12.09%)이 출현하였고, 다음으로 벼과 59분류군(9.64%), 콩과 33분류군(5.39%), 장미과 32분류군(5.23%), 사초과 20분류군 (3.27%) 등의 순이었다. 희귀식물은 고란초, 쥐방울덩굴, 개지치 등의 13분류군이 출현하였고, 구계학적특정식물은 26과 34속 34종 1변종의 35분류 군이 출현하였으며, 한국특산식물은 8분류군이 출현하였다. 귀화식물은 20과 55속 68종 1변종 69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귀화율은 11.3%, 도시화지수는 21.5%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난 100여 년 동안 국토의 생태축으로서 백두대간 지리산권역의 산림 경관 변화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1918년 제작된 1:50,000 지형도를 이용해 토지피복도를 제작하여 비교의 기준으로 삼았고, 환경부가 제공하는 2007년 토지피복도를 이와 비교하였다. 두 시기의 토지피복도에 대하여 GIS 기반 공간분석과 FRAGSTATS 기반 경관분석을 수행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백두대간 지리산권역 내 산림의 약 147.05㎢가 현재 다른 토지이용으로 전환되어 산림 면적이 감소하였다. 그중 농업지로의 변화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둘째, 경관구조 측면에서 백두대간 지리산권역 내 산림의 파편화 가 진행되었다. 다만 파편화 정도는 내적으로 차이를 보였다. 백두대간보호지역으로 지정된 곳은 산림 면적과 경관지수의 변화가 미미하였지만, 그 주변 지역은 파편화가 많이 진행되었다. 셋째, 권역을 구성하는 읍·면 단위의 경관지수 변화 값을 표준화한 결과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과 아영면, 장수군 장계면에서 높은 수준의 산림의 파편화가 진행되었다. 이들 지역은 백두대간보호지 역이 불연속적으로 혹은 협소하게 지정된 곳으로, 생태축으로서 백두대간의 온전성 회복을 위해서는 축의 연속성을 확보하고 보호구역을 공간적 범위를 현재보다 넓게 지정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다.
We analyzed the records on the reign style and the calendrical data presented in the Samguksagi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and the epigraph of the Three Kingdoms (Silla, Goguryeo, and Baekje) period in Korea (B.C. 57 – A.D. 935) to verify the chronological tables of the period that are currently in use. For the epigraph of the Three Kingdoms of Korea, we utilized the database provided by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By analyzing the records on the reign style, first, we found that the Yeonpyo (Chronological Table) of the Samguksagi is tabularized using the reign style of the Caowei for the period of Three Kingdoms of China (Caowei, Shuhan, and Sunwu) (A.D. 220 – 280). Second, we found that the reign style of the Silla was promulgated during the reign period of a king, which was usually promulgated when a king acceded in China. Third, we found that the reign styles presented in historical materials showed agreement with those of the Yeonpyo except for two cases in the Goguryeo. Concerning the records on the calendrical data, first, we confirmed that accession years of kings Michu, Beobheung, Seondeok, Minae, Gyeongmun, and Seongdeok. On the other hand, we found probable errors in the record of accession years for the kings Munja, Wideok, Aejang, and Heonan. Next, we found that the records of the length of a lunar month, leap month, and cyclic day showed agreement with the current chronological table except for several cases. In particular, cyclic days in the solar eclipse account had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discrepancies. We believe that these errors might have been caused by the inaccurate identification of a year in the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while determining the year by referring to Chinese historical documents. Finally, we found that the starting point was included while counting a year, at least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similar to the current method of counting age in Korea. However, we point out that the starting point should be excluded when the term “after” is used in the expression. We believe that this study is very useful to verify the current chronological table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Korea.
PURPOSES : In this study, the installation standards for micro-roundabouts at the intersection of local streets with two entering lanes of a 3.0 m lane width were developed.
METHODS : The inscribed circle diameter where a design standard vehicle could turn around safely based on the lane width and speed was analyzed using AutoTURN software. A total of 864 analysis scenarios for different entering volume and left-turning ratio (10%, 20%, 30%, and 40%), intersection type (three-way and four-way), heavy vehicle ratio (0%, 5%, and 10%), and circle lane turning speed (10, 15, and 20 km/h) conditions were established and evaluated. VISSIM Micro-Simulation was used to estimate the entering volume for microroundabouts with LOS C. RESULTS :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stimated entering volumes of the three-way and four-way micro-roundabouts with LOS C were 300~400 and 200~400 vehicle/hour/lane, respectively. CONCLUSIONS : It is demonstrated that the standard volume of entering vehicles for micro-roundabouts is approximately 200 vehicle/ hour/lane, considering the number of approach lanes, designed speed of circulating lanes, left turn ratio, and heavy vehicle ratio.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체격과 체력을 평가하는 데 있어 골연령이 더욱 효과적일 것이라는 점을 가정으로 진행하였으며,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골연령과 역연령을 통해 체격과 체력의 차이를 규명하여 청소년들의 체격, 체력의 균형적 발달과 학생들의 건강증진에 기여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6세부터 16세까지의 총 1100명의 모집단 중 PAPS(학생건강체력평가)와 TW3 방법 연령 기준에 따라 총 874명(남자 483명, 여자 391명)의 11세∼16세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생물학적 성숙지표를 나타내는 골격성숙도는 X-ray 촬영 후 TW3(Tanner-Whitehouse 3) 방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역연령은 출생년월을 사용하였다. 체격은 신장계, InBody270(Biospace, Korea)을 이용하여 2개 항목을 측정 하였고 체력측정은 총 7개 항목으로 근력, 평형성, 민첩성, 순발력, 유연성, 근지구력, 심폐지구력을 측정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으로는 SPSS 25.0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고, p< .05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골연령과 역연령을 이용한 체격의 비교에서 11 세, 12세 남자는 키와 체중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13세 남자는 체중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11세 여자는 체중과 신장, 12세 여자는 신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골연령과 역연령을 이용 한 체력의 비교에서 11세 남자는 근력, 순발력, 유연성, 심폐지구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12세 남자는 근력, 순발력, 심폐지구력, 13세 남자는 유연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11세 여자는 근력, 순발력, 유연성,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14세 여자는 유연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본 연구에서는 급격한 골 성장이 이루어지는 시기에는 골연령을 기준으로 체격과 체력을 평가하는 것이 역연령 기준으로의 평가보다 정확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Fisheries policies are diversifying, including welfare programs for fishermen, revitalization of earfish and villages, and support for the sixth industrialization of fishing villages. In response to these policy chan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the fishing village fraternity, which is a local community, a fishery production organization, and a basic unit of a fishing village, and compare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A number of indicators were selected by collecting data on the Categorization and evaluation of fishing villages fraternity and the statistical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A number of indicators were extracted as representative factor variables using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then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to categorize the fishing village fraternity. This study was the first to attempt a comprehensive approach to revitalize the fishing village economy by using not only demographic and social characteristics, industri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but also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fishing village fraternity find its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s basic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in policy decisions. In order to strengthen the sustainability of the fishing community in the future and contribute to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t the national level,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fishing village fraternity development indicators and follow-up studies on fishing village regeneration strategies will be needed.
느타리 1 kg 봉지재배를 통해 살균배지의 주요 화학성과 2주기까지의 버섯 수량간 관계를 분석한 결과, 버섯 수확량은 pH, 총질소 함량, CN율과 2차 함수식에서 매우 높은 상관을 보였다. pH는 4.9~5.0의 범위에서, 총 질소량은 2.0~2.2%에서, CN율은 20~22.5에서 가장 높은 수량성을 보였다. 1주기 버섯은 pH, 총질소량 및 CN율과 높은 상관을 보였고 2주기 버섯은 CN율 외에는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수량합계가 1주기 수량보다 3종의 화학성과의 관계에서 모두 더 높은 상관이 나타났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 배지의 pH, 총질소 함량 및 CN율은 전 수확기간에 걸쳐서 버섯수량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무분별한 산업화로 인한 스카이라인의 무질서, 자연경관 오염 등은 경관의 훼손을 가속화시킨다. 이에 국토의 경관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 조성 및 복원하기 위하여 현재 환경부에서는 시행되어지 고 있는 개발사업 등을 대상으로 자연 경관 심의지침을 도입하였다. 제도에 입각하여 사업유형을 분류한 후, 정성적 평가를 시행하는 국내 지침 특성 상, 평가자에 의해 결과가 달라져 주관적이며 이는 곧 신뢰성의 문제로 이어진다. 반면 개발 대상지 각각의 평가 인자들을 도출한 후, 정성적, 정량 적 평가를 병행하는 영국의 경관영향평가는 지침의 유연성으로 인해 경관의 특이점을 반영하며 주 관적 관점 또한 최소화되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및 영국의 경관영향평가에 대한 고찰과 영국 노썸버랜드 경관영향평가 사례 분석을 통하여 국내의 경관영향평가의 한계점과 보완 가능성을 제시 하였다. 이는 국내외 경관영향평가에 대한 기초적 연구로, 향후 이어질 경관영향평가의 세부적인 가이드라인 개발 또는 정책 수립에 합리적인 발전 방안 제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풀버섯(Volvariella volvacea) 균주 4종의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 아질산염 소거능, 베타글루칸 함량 및 아미노산 성분분석을 통한 영양성분 함량을 분석하였다. 풀버섯 4종의 균주 중 Vv 균주(KMCC04386)의 DPPH 라디컬 소거능(23.7%)이 가장 높았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Vv-Chi 균주(KMCC04382)가 각각 8.17 mg GAE/g, 3.46 mg QE/g으로 가장 높았으며, 철 환원 항산화능(0.152) 및 환원력(0.094) 역시 Vv-Chi 균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풀버섯 균주 간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p<0.05). 베타글루칸 함량은 VG-19 균주(KMCC04380)가 17.53% (w/w)로 가장 높았다. 총 아미노산 및 총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VG-19 균주가 각각 986.8 mg/kg과 369.3 mg/kg으로 균주들에 비하여 가장 높게 검출되었다. VG-19 균주의 경우, 시스테인(Cys)이 171.0 mg/kg으로 다른 균주들에 비하여 월등히 높게 검출되었으며 그 외에도 아스파르트산(Asp), 세린(Ser), 글루탐산(Glu), 알라닌(Ala), 이소류신(Ile), 류신(Leu) 등의 감칠맛, 단맛을 내는 아미노산 성분과 일부 필수아미노산 성분이 다른 균주에 비하여 높게 검출되었다. 본 연구결과, 풀버섯 4종의 균주 중에서 DPPH 라디 컬소거능을 제회한 항산화 활성은 Vv-Chi 균주가 가장 높았으며, 베타글루칸 함량 및 영양성분 함량은 VG-19 균주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시아 주요국으로 ‘Shine Muscat’ 포도를 수출하기 위하여 수출대상국의 농약잔류허용기준(MRL)에 적합하며 안정적이고 우수한 품질의 포도를 생산할 수 있는 포도 병해 방제력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경북 경산과 상주 지역의 간이비가림시설에서 재배되는 ‘Shine Muscat’ 포장에서 수출 대상국에서 허용 된 약제 중에서 포도 재배에 많이 사용되는 살균제를 선발하였고, 재배 기간 동안의 병해 발생을 방제하기 위하여 개화전부터 성숙기까지 10-11회 살포하였다. 2년에 걸쳐 약제를 살포하고 수확 전 병해 발생 여부를 조사하고 수확 후에는 과실의 품질 특성과 잔류 농약을 분석하였다. 갈색무늬병, 노균병, 탄저병이 발생하였으며, 2019년 2번 처리구에서 전체적으로 82% 이상의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과실 품질 특성은 지역별로 약간의 차이를 나타냈고 모든 처리구에서 농약 잔류량은 0.00-0.20 mg/kg 수준으로 주요 수출국의 MRL 이하로 검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수출량이 증가하는 ‘Shine Muscat’ 포도 재배에 활용할 수 있으며 안전한 수출용 포도를 생산할 수 있는 병해 방제력을 개발하였으며, 국내의 포도 수출 농가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