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의 해양 심층수 자원 기반 환경 연구의 일부로 청결기술을 적용하여 해수 중의 용존 미량금속(Cd, Co, Cu, Ni, Pb, Zn) 농도 분포와 변화를 조사하였다. 강원과 경북 지역에 총 6개 정점을 선정하고, 각 지역마다 최대 채수 수심 각각 200-300m와 500m까지 시료를 채취하였다. 본 연구의 미량금속을 위한 연안해수 표준물질(CASS-4)의 분석 결과 각 원소 평균 회수율은 Co의 89.4%에서 Cd의 99.8%의 범위였다. 용존 미량원소의 분포는 해역 및 시기적인 변화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Cd, Ni, Zn의 경우는 영양염 의존형으로 표층에서 낮고 저층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뚜렷하였다. 그러나 Co, Cu, Pb은 수직적으로 불규칙적인 분포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동해 심층수 원수의 중금속 농도는 해역별 수질 기준과 먹는 물 기준을 만족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vocabulary analysis programs suitable for English textbook authorization in the amended vers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The analysis of WordLister 2002, a conventional vocabulary analysis software, reveals that it fails to meet the needs necessary to authorize textbooks in terms of user-friendliness and limited uses of the vocabulary analysis output. The design of WordLister 2002 is too complicated to be used without special training. While it provides useful information on new vocabulary, it fails to provide information in comparison with the existing research on vocabulary. NLPtools, on the other hand, applies corpus analysis techniques to the analysis of textbook vocabulary. In this program, texts in the textbook are seen as a corpus. Another characteristic is that NLPtools employs analysis methods based on dictionaries. It is found that NLPtools processes special characters in the text, so that the user does not need to process them by using specified input codes as in WordLister 2002. Wordlister 2002 requires its user to register a number of words in the process of vocabulary analysis, whereas the user with NLPtools does not need to register words as its built-in dictionary has a wide range of information on words. NLPtools also provides its users with functions, by which they can get and analyze the information they need. With these advantages over the conventional software, it is suggested that NLPtools can be used as a vocabulary analysis program for textbook authorization in the amended curriculum.
Glass melting process is influenced by both control and observation factors, where control factors include quantity and mixing ratio of raw material, the amount of fuel and air in-take. Further observation factors include temperature and pressure at eac
DOAS (Differential Optical Absorbance Spectrometry) has been designated as one of the instrumental analyses for the continuous and real time measurement of ammonia and styrene under the newly established Korean Offensive Odor Prevention Law. However, cases of odor monitoring using DOAS are very limited, as questions have been raised relating to its reliability, mainly for ambient monitoring. This paper primarily focused on the advantages and limitations of DOAS for the measurements of ammonia and styrene, with a review of the theoretical and field intercomparison studies, to address its suitability, particularly for odor monitoring purposes. However, this instrumental technique was found to be useful for real time continuous measurements of concentrations over a few ppbv, for both ammonia and styrene, and was also found to be sensitive enough for odor monitoring purposes over vast multi industrial complex regions.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평가대상 토양을 증류수로 20배 희석하여 200rpm 으로 30분간 진탕한 후 PDA (감자추출배지)와 혼합하여 121℃에서 20분간 살균한 후 Coriolus hirsutus (MKACC 50560) 균을 접종한다. 접종완료 후 25℃에서 5일간 배양한 후 균사 생장을 측정하여 담자균의 균사 생장률 (목적토양에서의 균사생장/PDA 에서의 균사생장×100)을 계산한다. 이 기준에 따라 균사생장률이 60%이상이 되면 대상 토양은 작물 생육에 적합한 토양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토양의 건전성 평가를 위한 신속한 간이검사를 통하여 소량의 시료를 가지고 단기간 내 대량 분석을 가능하게 하여 토양 건정성 평가의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concentration of sulfur compounds present in ambient air at the pg or ppt level. The compounds were estimated using GC/PFPD (Gas Chromatography with Pulsed Flame Photometric Detector) analyses with a Thermal Desorber (TD). The analytical results showed very stable and precise retention time values (RSD: < 0.22%), peak area (RSD: < 3.9); the coefficients of the calibration curves were also determined (r²: > 0.991). Also, with respect to the recovery rates of the sulfur compounds from dry air, those for H₂S, MM, DMS and DMDS were 94, 100, 113 and 114%, respectively. In order to evaluate the sulfur chemicals in humid air, a study was conducted at RH of 55 and 100%. The recovery rate at a relative humidity of 55% was similar to that under dry conditions. However, recovery rates of H₂S and MM at RH 100% were reduced to 70 and 77%, respectively.
To construct a life table and development model Schizaphis graminum (Rondani), its adult longevity and fecundity were studied at various constant temperatures ranging from 15 to 32.5℃, with 65±5% RH, and a photoperiod of 16L:8D. Adult longevity of the greenbug gradually increased with decreasing temperature below 32.5℃. Total fecundi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all temperatures except at 32.5℃. Daily fecundity gradually increased from 25.0℃. It was 3.6 at 27.5℃ and as temperatures either went down or up, it decreased to 1.4 at 15.0℃ and 0.4 at 32.5℃. Net reproduction rate (Ro) was highest with 47.6 at 25.0℃. The intrinsic rate of increase per day (r<SUB>m</SUB>) and the finite rate of increase per day (λ) were highest with 0.4 and 1.5 at 30.0℃, respectively and the doubling time (Dt) was shortest with 0.98 at 32.5℃. The mean generation time (T) was 8.41 at 30.0℃.
Automobile manufacturing companies should provide the products and service that can satisfy consumers who usually want various kinds of automobiles. This paper studied the relations among sever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gender, age, occupation, inco
수경 재배 관련 기술개발 및 수경재배의 효율화를 위한 기초 자료 수집 측면에서 온라인 특허 검색 유료사이트(http://www2.wips.co.kr)를 이용해 1983년부터 2006년 1월까지의 수경재배와 관련된 국 내 특허출원정보를 분석하였다. 수경재배에 관련된 특허출원은 59건이 검색되었다. 특허의 내용은 수경재배 장치에 관한 것 19건(32.2%), 수경재배 자재에 관한 것 13건(22.0%), 양액의 조성에 관한 것이 11건(18.6%), 수경에 의한 재배방법에 관한 것 9건(15.3%), 수경재배배지에 관한 것 7건(11.9%) 순으로 많았다. 특정의 작물을 대상으로 한 양액의 조성 및 수경에 의한 재배방법의 대상 작물로는 토마토가 5건, 감자가 4건으로 많았다. 특허 출원시기는 전체적으로 2000년 이전에 출원된 것이 33건(55.9%)을 차지하였으며, 2000년 이전에는 양액조성과 자재와 관련된 것이 상대적으로 많았고, 2000년 이후에는 수경 재배방법과 배지에 관한 것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갈색 팽이균주간의 유전적 특성을 보기 위하여 RAPD를 수행하여 유전적 계통도를 본 결과 85% 수준에서 5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생리적 특성으로는 최적 온도는 25℃이고, CBFM-002를 제외한 모든 균주가 pH 6.0∼7.0 범위에서 균사 생장이 양호하였다. 균사생장은 MCM 배지에서 68.4∼83.4 mm로 가장 좋았고 균사밀도는 WA배지를 제외한 모든 배지에서 균사밀도가 높았다. 균총과 자실체간의 색깔 간에는 일정한 경향을 찾을 수 없었다. 갈색팽이버섯 재배에 적당한 배지 재료를 선발하기 위하여 검토한 결과, 배지별 이화학적 성분 분석에서 T-N은 미송+면실박+비트펄프 (6:2:2)가 가장 많았고, P2O2, K2O, MgO는 미송+쌀겨(8:2)배지에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배지혼용 처리에 따른 균사생장 정도는 CBFM-003, CBFM-007균주 모두 미송+면실박+비트펄프 (6:2:2)배지에서 균사생장이 빠르고 균사밀도가 높았다. 혼용된 배지로 병재배시 자실체의 갓 직경, 대 직경, 대 길이는 CBFM-003, CBFM-007 균주는 모든 배지에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병버섯 재배에서 배지 혼합비율에 따른 균주간 균사 및 자실체의 생육은 미송+쌀겨 (8:2)보다 미송+면실박+비트펄프 (6:2:2)배지에서 CBFM-003은 156.3 g, CBFM-007은 162.8 g으로 가장 좋은 수량을 보였다. 병재배에서 생육온도에 따른 수량은 7℃에서 약간 높은 수량을 보였으나, 발이기간 동안 에너지 투입량 등 경제성을 고려하면 CBFM-007은 발이온도 10℃가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paper addresses the allocation planning of the storage location in a warehouse system that the dedicated storage method is used. In the discrete finite time period model, the demands for storage location of products are dynamic for time periods. Th
느타리버섯류의 새로운 품목을 개발하기 위하여 고온기에 재배하기 알맞은 분홍느타리 품종 을 개발하였다. 단포자를 분리하고 균사접합 방법을 이용하여 분홍느타리 4개 계통에 의한 5개 교잡조합으로 125개의 교잡주를 육성하였다. 이중에서 2186 x 2104의 교잡주 25개중에서 3개의 백색 자실체 교잡주가 나타났다. 특성이 우수한 2172와 2104를 교잡하여 수량이 높고 색깔 등 품질이 우수한 Pss 2006-420호를 선발하여 새로운 품종 '노을'을 육성하였다. 주요 특성으로 균사배양 최적온도는 25℃∼30℃, 버섯발생 온도는 19∼24℃, 자실체 생육온도는 19∼24℃로 원기형성을 위하여 저온처리가 필요하지 않으며 여름철을 중심으로 늦봄부터 이른 가을까지 재배하기에 알맞은 품종이다. 자실체의 갓 색깔은 분홍색이며 자실체 형태는 다발형으로 기존에 보급되지 않은 새로운 종의 품종이다. 균사체 배양기간은 30-35일이며 균긁기 후 초발이소요일수는 3∼5일, 생육일수는 5∼10일로 온도가 높을수록 단축된다. 자실체 형태는 깔때기형이며 유효경수는 병당 47개, 대굵기는 11.3mm로 다른 느타리 종에 비해 가늘고, 개체중은 3.5g으로 갓이 얇고 수량은 병당 (850ml) 102.2±8.2g이다. 품질을 높게 하려면 재배온도를 19-22℃로 다소 낮은 생육온도에서 관리하는 것이 좋다. 재배 배지가 달라지거나 자실체가 너무 크게 생육하면 질겨지는 경향이 있고 담자포자의 비산량이 많은 편이다. 기존의 다른 느타리와는 달리 자실체 색깔이 분홍색으로 꽃과 같이 아주 아름답다. 특히 최근에 색깔이 다양한 웰빙식품이 각광을 받음에 따라 버섯의 칼러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분홍느타리는 시각적 효과가 뚜렷하여 버섯요리 개발과 판촉행사 등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궁극적으로는 새로운 버섯의 수요 창출로 농가 소득에 이바지 하게 될 것이다.
NOD/SCID 마우스는 선천성 면역결핍을 지닌 마우스로서 이종 세포 및 조직 이식을 위한 실험동물로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돼지의 골수조직에서 채취한 조혈줄기세포를 면역결핍마우스의 정맥 주입을 통하여 생체 내 주입을 실시한 결과, 마우스의 조혈조직에서 대단히 높은 돼지 T 면역세포의 증식이 관찰되었다.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해 돼지 골수 조혈세포 생체 이식 6주의 마우스에서의 돼지 T 면역세포의 증식과 분화 특성을 분석한 결과, 마우스 조혈조직인 골수(5.4±1.9%), 비장(15.4±7.3%), 간(21.3±1.4%), 림프절(33.5±32.8%)에서 돼지 조혈줄기세포 유래 T 세포의 증식과 분화가 관찰되었고, 돼지 helper T 세포와 cytotoxic T 세포의 발달도 확인되었다. 또한 조직 면역염색을 통하여 마우스의 비장조직에 이식한 돼지 면역세포의 증식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는 NOD/SCID 마우스를 이용해 돼지 조혈줄기세포로부터 T 면역세포로의 분화 및 발달과정을 생체 내에서 분석할 수 있는 유용한 동물모델로서 이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is paper addresses a the maintenance system based on the concept of RAMS (Reliability, Availability, Maintenance, Safety) for the effective maintenance of the urban transit. A systematic approach for developing a cost-effective maintenance strategy ba
Quality management has been applied to the industry for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regardless of the size of company. However, it has been argued that the operational models for quality management used in the large-sized enterprise could not be applied to the small & medium-sized enterprise (SME) directly. This paper analyzes the states and outcomes of movements for quality innovation in the SME and tries to give some suggestions for improving and spreading the movements within the framework of the cooperation with the large sized company. Survey results show that the preferable quality movements depends on the size of company. Especially, the Single PPM movement is most preferable in the SME. It contributes th decreasing the fraction defective and to vitalizing the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large-sized company and SME.
This research entailed collecting domestic and overseas research papers on technologies for fermentation of Kimchi, which is widely considered the national dish of Korea, creating a technology classification structure and conducting quantitative analysis on each technology component and schematization. Five research papers were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in 1990. Afterwards, the number increased by six to nine papers a year. There was no clear increase after the year 2000, but an average of around 20 papers have been Published every year, indicating that Kimchi research is now becoming widespread. An analysis on researchers entailed determining the percentage of research papers published by the top ten authors. The percentage was 76% in the early-1990s; 63% in the late-1990s; and 52% in the 2000s, indicating that Kimchi has been more and more widely researched and Kimchi research has become professionalized. Universities were found to be leading the research as 52% of researchers belonged to universities. Another 9% were at research institutions. Analysis of technologies showed that domestic research mainly focused on the Kimchi fermentation process and an additive for the development of new Kimchi ingredients and types, preservation and quality improvements. Most of the research papers published overseas dealt with the functions of bacteria strains isolated from Kimchi; and improvements in the Kimchi fermentation and ripening processes. And most of the research papers have been published in a field of microorganism and biotechn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