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075

        7524.
        1997.12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7526.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the standard recipe for nutritious cowpea starch based grape jelly. The effects of grape juice concentration (4, 8, 12%) and 0.2% calcium addition were evaluated on textural and sensory properties of grape jelly through the instrumental analysis using rheometer and sensory evaluation. Instrumental analysis showed that hardness, chewiness and gumminess of grape jelly was incerased significantly In jelly made of higher concentration of grape juice, and also in 0.2% calcium containing jelly. According to sensory evaluation, higher grape juice contains jelly showed advantages in preference of color and overall quality. Calcium addition increased sourness in sensory score. Overall, 12% grape juice and 0.2% calcium containing jelly was most preferable, which means calcium fortified cowpea starch based grape jelly was successful try for nutritious and practical food for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4,000원
        7527.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부를 저온(8±2℃) 및 실온(25∼30℃)에 저장하였을 때 유부의 품질변화를 분석하였다. 초기 수분함량이 41.9%였던 유부를 8±2℃ 및 25∼30℃에 저장한 결과 저장기간 2일째에 각각 29.6%와 29.8%로 급격히 수분함량이 감소하였고 그 이후 큰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온도와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pH는 감소하였고 저장 중 유부기름의 산가는 저온저장 때보다 실온저장 4일째까지 서서히 증가하다가 5일째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과산화물가 역시 저장온도 8±2℃, 9일째까지 품질저하에 별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실온저장시 6일째에 12.20 meq/㎏으로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저장전 지방산조성과 8±2℃에서 8일간 및 25∼30℃ 4일간 저장하였을 경우에 지방산 조성의 차이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생균수의 변화는 저장초기 1.0×1.0 CFU/g이었으며 25∼30℃의 경우 저장 2일째부터 호기성 전세균과 곰팡이수가 각각 6.1×10 exp (5)와 2.0×13CFU/g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관능검사결과 저온저장 6일간 기호성에 큰 변화는 없었으나, 25∼30℃ 저장 4일째에는 관능적 품질이 큰 폭으로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식품위생법에 규정된 산가(3.0 KOH ㎎/g 이하) 및 과산화물가(30 meq/㎏ 이하)를 기준으로 하여 유부의 적절한 유통기간을 구하여 검토한 결과 8±2℃에서 저장한 경우 저장 7일째까지는 유통가능한 기간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식품위생법에 규정되어 있지는 않는 규격이지만 관능검사 결과로 보아서 실온저장 6일째 이후 상품적 가치가 다소 떨어질 것으로 추정된다.
        4,000원
        7529.
        199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7530.
        199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700원
        7531.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온실멜론의 양액재배에서 영양진단에 기초한 배양액관리를 하기 위해 유효한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고 신속하고 간편하며 정확한 즙액분석 방법(질산태질소의 정량방법, 인산정량방법, 즙액추출법, 추출비율, 마쇄시간 및 샘플채취 부위 등)들에 관한 비교검토를 하였다. 'Earl's Favorite 춘계를 1993년 1월 11일에 파종하여 본엽 3∼4매의 묘를 정식하여 비순환 방식으로 재배했다. 즙액분석법은 결핍이나 과잉증상이 외관적으로 나타나기 전에 신속하고 간이한 즙액분석법에 의해 물체의 영양상태를 진단하여 대응이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 즙액분석시 질산태질소의 분석에는 자외부 흡광도법, 인산분석에는 바나드몰리브덴산법이 추천되었고, 추출비율은 1:4로, 엽병의 마쇄시간은 60초, 그리고 채취부위는 일정부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었다. 그러나 샘플채취시간에 대해서는 채취시간에 따른 차이가 크기 때문에 앞으로 보다 상세한 검토가 요청되었다.
        4,000원
        7533.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초화류인 코레우스의 삽목시 삽수의 발근율을 높이기 위하여 배양액과 NAA 및 IBA처리 효과를 조사하였다. 모래삽목보다는 배양액을 이용한 것이 발근소요일이나 생육면에서 월등히 효과적이었다. 특히 배양액 농도는 일본 원시표준액보다는 표준액의 1/4 배양액 농도에서 재배한 것이 가장 발근이 빨리 되었으므로 삽목초기에는 낮은 양액농도가 경제적일 것으로 보인다. 생장조절제의 농도별로는 NAA나 IBA 0.01mg/l처리가 효과적이었으며 IBA처리보다는 NAA처리시의 발근소요일이 더 짧았다. 또한 NAA 및 IBA을 처리한 수돗물을 사웅하여 삽수의 발근을 유도할 경우 NAA와 IBA를 삽수에 침지처리한 후 수돗물에 재배하는 것보다 발근에 효과적이었으며, 무엽지삽보다는 유엽지삽이 효과적이었다. 또한 배양액이나 생장조절제를 단용처리한 것보다 배양액과 생장조절물질의 혼용처리가 발근소요일이 단축되었고 생육상태가 양호하였다.
        4,000원
        7539.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