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41

        581.
        1995.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다이아몬드와는 달리 CBN은 철족 재료 연삭시 화학적 마모가 거의 없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CBN휠이 철강 재료 연삭에 널리 사용되고 잇는 것이다. 그러나 CBN 휠의 성능은 CBN을 붙잡고 있는 결합제에 크게 의존한다. 오늘날 널리 사용되는 결합제인 주석 청동 합금은 내마모성에 한계가 있다. 주석 청동 합금의 내마모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Co를 첨가하였다. 이러한 기지합금에 젖음성을 향사시키기위해 Co코팅 CBN을 사용하였다. 기지합금에 20%co를 첨가한 것이 입계에서 연속적인 δ상생성, 취성 증가에 따라 자생작용이 활발하였다. 가장 높은 연삭비를 나타낸 것은 Cu-15wt%Sn, cu-33wt%Sn, co를 40:40:20으로 제작한 휠이었다.
        4,200원
        582.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recombinant bovine somatotropin(γBST), which was administered to cow to promote milk production, on bST levels in milk. Fourteen cow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1) control cows received neither γbST nor vehicle, 2) treated cows were administered twice at two-week interval with 500 mg γbST each cow by subcutaneous injection. Milk samples were taken on day 0 (prior to injection), day 7 (7 days after 1st injection), day 21 (7 days after 2nd injection) and day 35 (21 days after 2nd injection). Milk bST concentration was measured by the radioimmunoassay method.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p$lt;0.05) in milk bST levels between two groups showing bST levels in the range of 1.8 ng/ml to 3.1 ng/ml. That is, γbST administration did not increase bST levels in milk.
        3,000원
        585.
        1994.08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SC와 XRD를 사용하여 Zr/Si 다층박막의 고상반응에 의한 비정질상과 결정상 생성 및 상전이를 확인하고 이를 유효구동력 개념과 유효생성열 개념 및 phase determining factor(PDF)모델을 이용하여 예측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Zr/Si 다층박막은 비정질호 반응이 잘 일어났으며 이는 유효구동력 개념으로 예측한 바와 일치하였다. Zr/Si 계에서 생성되는 최초의 결정상은 ZrSi 였으며 유효생성열과 PDF모델로부터 예측된 최초의 결정상은 PDF 모델의 예측 결과와 일치하였다. Zr/Si 다층박막의 원자조성비가 1대 1일경우와 1대 2일 경우의상전이는 ZrSi→ZrSi2로 되었으며 이러한 상전이 과정은 유효생성열 다이아그램으로 해석되었다. ZrSi의 생성기구는 핵생성이 율속임을 규명하였고 ZrSi와 ZrSi2의 생성에 필요한 활성화에너지는 1.64±0.19eV와 2.28±0.36eV이었다.
        4,000원
        588.
        1994.05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Si계에서 고상확산에 의하여 비정질상이 생성되는지의 여부를 유효구동력 개념을 이용하여 예측하였으며 유효생성열 개념 및 PDF모델로부터 결정상의 생성과 상전이를 예측하였다. 한편, DSC와 XRD를 이용하여 Co/Si다층박막에서의 비정질상의 생성여부와 결정상의 생성 및 상전이를 확인하여 모델로부터 예측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Co/si계에서는 비정질상이 성장하지 않았으며 이는 유효구동력 개념으로부터 예측된 결과와 일치하였다. Co/Si계에서 생성되는 최초의 결정상은 CoSi였으며 유효생성열과 PDF모델로부터 예측된 최초의 결정상은 각각 CO2Si와 CoSi였다. 따라서 Co/Si계에서 생성되는 최초의 결정상은 구조적인 요소를 고려해 PDF모델의 예측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증착당시 Co와 Si의 조성비가 2대 1일경우와 1대 2일 경우의 상전이는 각각 CoSi → Co2Si와 CoSi → Co2Si → CoSi → CoSi2의 초기단계의 생성기구는 각각 핵생성이 율속이었으며, 이들의 생성에 필요한 활성화에너지는 각각 1.71, 2.34, 2.79eV이었다.
        4,200원
        589.
        1994.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ultitarget bias cosputter deposition(MBCD)에 의해 저온(200˚C)에서 NaCI(100)상에 정합CoSi2를 성장시켰다. X-선회절과 투과전자현미경에 의해 증착온도와 기판 bias전압에 따른 각각 silicide의 상전이와 결정성을 관찰하였다. Metal induced crystallization(MIC) 과 self bias 효과에 의해 200˚C에서 기판전압을 인가하지 않은 경우에도 결정질 Si이 성장하였다. MIC현상을 이론 및 실험적으로 고찰하였다. 관찰된 상전이는 Co2Si → CoSi → Cosi2로서 유효생성열법칙에 의해 예측된 상전이와 일치하였다. 기판 bias전압 인가시 발생한 이온충돌에 의한 충돌연쇄혼합(collisional cascade mixing), 성장박막 표면의 in situ cleaning, 핵생성처(nucleation site)이 증가로 인하여 상전이, CoSi(111)우선방위, 결정성은 증착온도에 비해 기판bias전압에 더 큰 영향을 받았다. 200˚C에서 기판 bias전압을 증가시킴에 따라 이온충돌에 의한 결정입성장이 관찰되었으며, 이를 이온충독파괴(ion bombardment dissociation)모델에 의해 해석하였다. 200˚C에서의 기판 bias전압증가에 따른 결정성변화를 정량적으로 고찰하기 위해 Langmuir탐침을 이용하여 EAr, α(Vs)를 계산하였다.
        4,800원
        590.
        199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황(地黃)의 주(主) 약효성분(藥效成分)으로 알려져 있는 catalpol의 iridoid골격(骨格)과 glycosidic bond를 형성(形成)하는 유리당류(遊離糖類)를 확인(確認)하기 위하여 생육시기(生有時期)에 따른 무기성분(無記性分), 유리당류(遊離糖類), 회분(灰分), 엑기스 및 catalpol의 함량(含量)을 조사(調査)하였다. 수확기(收穫期)가 가까워질수록 P, K, Ca, Mg, Cu 및 회분(灰分)의 함량(含量)은 감소(減少)하였으나, Fe 및 엑기스의 함량(含量)은 증가(增加)하였다. 수확기(收穫期)가 가까워질수록 전당(全糖), sucrose 및 galactose의 함량(含量)은 감소(減少)하였으나, fructose 및 catalpol의 함량(含量)은 증가(增加)하였다.
        4,000원
        591.
        199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592.
        199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all fesuce 9 개 품종을 공시하여 가을철 예취시기를 달리했을 때 l 번초의 수량구성요소와 개체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가을철 최종예취시기를 추정하고 이 지역의 환경조건에 적응성이 높은 품종 을 선발하려고 하였다. l. 가을철 예취시기에 따라서 l 번초의 개체중에 관여하는 수량구성요소의 차이가 인정되었는데 의 l 번초 개체중은 출수관련형질들과 유의한 정상관이 인정되었으나 의 1 번초 개체중에서는 유의한 상관이 인정되지 않았다. 2. 에서는
        4,000원
        593.
        199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lutamate로부터 glutamine으로 전환하는 효소인 glutamine synthetase는 cofactor로서 ATP를 요구하는 endergonic reaction이므로, glutamine 전환반응에 요되는 ATP의 효율적인 공급을 위해서 acetate kinase에 의한 ATP 생성계를 도입하였다. Glutamine synthetase의 효소윈으로 사용된 미생물은 glutamine synthetase의 활성이 강화된 E. coli K-12로 부터 사용하였으며, acetate kinase는 E. coli K-12로 부터 부분 정제하여 사용하였다. Acetate kinase에 의한 ATP 생성계를 도입한 glutamine 전환반응의 최적조건은 100mM glutamate, 100mM NH_4Cl, 50mM acetyl phosphate, 5mM ADP, 40mM MgCl_2, 300mM potassium phosphate buffer(pH7.5) 5mM MnCl_2, 70units/㎖ glutamine synthetase, 99units/㎖ acetate inase이었으며, 상기의 최족조건하에서 6시간째 98%의 최대전환율을 나타내었고 이때 생산량은 14.3g/ℓ 이었다.
        4,000원
        596.
        199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통안동식혜의 제조법을 계승보존하고 제조공정 및 상품성을 높여 보다 우수한 가공식품으로 개발할 목적으로 L. delbreuckii를 이용하여 안동식혜를 제조하였다. L. delbreuckii를 이용하여 안동식혜를 발효시켜 저장하는 동안 안정제에 의한 침전 억제효과와 관능검사, 생균수와 산생성균수 및 점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안동식혜를 저장하는 동안 쌀표면과 내부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안정제의 침전억제효과는 Na-alginate가 가장 우수하였다. 침전안정제를 넣어서 관능검사를 한 결과 균질화하지 않은 식혜의 경우는 Na-alginate를 0.1에서 0.15% 첨가하였을 때, Carrageenan은 0.05% 첨가했을 때 가장 맛이 우수하였다. 식품안정제의 종류 및 첨가농도간의 상호효과는 침전안정제의 종류간에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으나 첨가농도간에는 유의성이 있었다. 식혜의 현탁안정성을 증진시킬 목적으로 안정제를 첨가하여 숙성시켰을 때 CMC, Na-alginate는 2일째, Carrageenan은 비균질화한 식혜는 2일에서 4일째 균질화한 식혜는 1일째 최고의 점도를 나타내었다. 젖산균수는 2일째까지는 급속히 증가하여 3.2×108/ml였으나 20일째는 3.0×107/ml로 감소하였다. 식혜의 숙성중 전자현미경으로 밥알의 표면 및 단층을 관찰한 결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구멍이 생기고 내부가 빈 형태의 세포벽만 남았다. L. delbreuckii를 첨가하여 안동식혜의 제조시 젖산균의 증식이 급격히 일어나므로 해서 숙성이 빨라 제조시간이 단축되고 상품의 균일성이 있으며 관능검사의 결과 맛도 좋았다.
        4,000원
        597.
        199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혐기성(嫌氣性) 광합성(光合成) 세균(細菌)인 R. capsulata B22와 R. spheroides SM11의Bio-fertilizer로의 이용(利用) 가능성(可能性)을 조사(調査)하였다. R. capsulata B22와 R. spheroides SM11을 각각 토양(土壤)에 처리(處理)하여 토양(土壤)의 유기물(有機物) 함량(含量)과 질소(窒素) 함량(含量)의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배양(培養) 5일(日) 후(後)부터 모든 처리구(處理區)에서 Algae의 번식(繁殖)이 관찰(觀察)되었으며 15-20일(日)까지 약간(若干)의 유기물(有機物) 및 질소함량(窒素含量)의 증가(增加)가 관찰(觀察)되었다.
        3,000원
        598.
        199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0,200원
        599.
        199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1,000원
        600.
        199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Zeolite에 의(依)한 의 흡착반응(吸着反應)에 영향(影響)을 미치는 열처리(熱處理)에 의(依)해 조사(調査)하고 배양실험(培養實驗)을 통하여 Zeolite에 흡착(吸着)된 의 소실량(消失量)을 조사(調査)하였다. Zeolite의 주구성점토광물(主構成粘土鑛物) Clinoptiolite와 mordenite였다. Zeolite에 의(依)한 의 흡착반응(吸着反應)은 4시간(時間) 진탕으로 흡착평형(吸着平衡)에 도달(到達)하였다. 열처리온도(熱處理溫度)가 높을수록 치환성(置換性) 의 합량(合量)은 증가(增加)하였으나 의 흡착량(吸着量)은 감소(減少)하였다. 유안(硫安)을 처리(處理)한 토양(土壤)을 담수상태(湛水狀態)에서 배양(培養)한 결과(結果) 시간(時間)이 경과(經過)할수록 토양중(土壤中) 잔류량(殘留量)이 감소(減少)한 반면(盤面) Zeolite에 흡착(吸着)된 는 동일기간(同一期間) 내(內)에 소실(消失)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Zeolite에 흡착(吸着)된 은 여러 가지 작용(作用)에 의(依)한 소실(消失)에 대(對)해 저항성(抵抗性)이 크다고 할 수 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