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0

        123.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24.
        1993.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반도체 소자의 표면 보호용으로 사용되는 상압 CVD 방법에 의한 PSG(Phosposilicate glass)막 및 플라즈마 CVD방법에 의한 PE-SiN(Plasma enhanced CVD Si2N4)막의 항균열 특성을 알루미늄박막이 증착되어 있는 실리콘 기판위에서 조사했다. 450˚C에서 30분간으 열처리를 반복하면서 균열 발생 유무 및 그 형태를 조사하여 이러한 균열의 생성을 각 막의 막응력과 관련하여 검토하였다. 이들 박막에서의 균열 발생은 하부 조직인 알루미튬배선과의 열팽창계수차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PSG막 두께가 증가할수록 인장응력이 증가하여 항균열성이 저하되었다. PSG막의 P농도가 증가할수록 막응력은 압축응력쪽으로 이동하였고 균열 발생은 억제되었다. PE-SiN 막도 높은 압축응력을 갖게 함으로써 항균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본 실험의 결과로부터 반복 열처리시 균열 발생여부에 대한 실험식을 제시하였다.
        4,000원
        125.
        199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26.
        1991.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a2O5 박막은 실리콘산화막, 실리콘질화막 박막에 비해 유전율은 높으나 누설전류밀도가 높고, 절연파괴강도가 낮아 DRAM의 커패시터용 재료로서 실용화가 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LPCVD법으로 형성시킨 300Å 두께의 Ta2O5 유전체박막에 대해 후속열처리 또는 전극재료를 변화시켜 열악한 전기적 특성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다결정 실리콘 전극의 경우 성막상태의 Ta2O5 박막은 전극에 의한 환원반응에 의해 전기적 특성이 열화됨을 알 수 있었고, 이를 TiN 전극의 사용으로 억제시킬 수 있었다. 다결정 실리콘 전극의 경우 성막상태의 Ta2O5 유전체는 누설정류밀도가 10-1A/cm2, 절연파괴강도가 1.5MV/cm 정도였으며, 800˚C에서 O2열처리를 하면 전기적 특성은 개선되나, 유전율이 낮아진다 TiN 전극을 채용할 경우 누설전류밀도 10-6~10-7A/cm2, 절연파괴강도 7~12MV/cm 로 ONO(Oxide-Nitride-Oxide) 박막과 비슷한 Ta2O5 고유전막을 얻을 수 있었다.
        4,000원
        127.
        199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28.
        199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29.
        1991.0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반도체 공정의 최종 보호막으로 주로 사용되는 PSG (Phosphosilicate class), USG (Undoped silicate glass) 및 SiN 막을 CVD 방식으로 deposition 하여 각 막의 스트레스를 막 두께 또는 대기중 방치시간의 함수로 조사하고 Al 배선의 stress-migration 관점에서 평가했다. 그 결과 PSG 막과 USG 막은 tensile stress를 나타내고 두께증가에 따라 스트레스가 증가하였고, SiN 막은 두께에 관계없이 일정한 compressive stress를 나타내었다. PSG 막은 현저한 스트레스 경시변화를 보여 대기중에 방치시 2일이내로 tensile stress가 compressive stress로 변화되었다. 그 주 원인은 PSG 막의 수분 흡수 때문인것이 FTIR 분석으로 밝혀졌고, 300˚C에서 20분간 anneal 처리로 2.5×109 dyne/cm2의 스트레스 회복이 가능하였다. PSG 막이 포함된 복합막의 경우, 복합막 stress는 PSG 막의 방치시간에 따라 변한다. 즉, 복합막의 스트레스는 복합막을 구성하고 있는 막들의 두께의 함수이다. 또 SiN 막의 강한 압축응력을 완화시켜주는 PSG, USG 막의 스트레스가 큰 인장응력을 나타낼수록 Al 배선의 stress-migration 에 대한 저항은 커진다.
        4,000원
        130.
        199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31.
        199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P 로프의 유연도와 모릿줄이 사려지는 현상등을 기초적으로 조사한 다음, 반원형 안내판의 회전중심이 편심되도록 고달이채기 레버를 회전시켜 고달이를 자동으로 채어서 이송벨트에 정리하면서, 모릿줄이 고르게 사려지도록 줄받이의 왕복 회전장치 등을 제작하여 실험실과 통발어선에서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직경 10mm의 PP 연심 모릿줄이 양승풀리에서부터 사려질 때 한 코일의 최소직경은 14cm 정도, 줄더미의 직경은 60cm 정도였다. 2. 소형 고달이채기에서 이송벨트의 상, 하 10cm이내에 분포하는 고달이의 비율은, 납이 1개 있는 모릿줄에서는 93%정도이나 납이 없는 모릿줄에서는 98%이상이었다. 3. 감속비가 3:1인 소형 고달이채기에서 레버의 회전수 N 하(1) (rpm)과 양승풀리의 회전수 N 하(p) (rpm)와의 관계는 N 하(p) =2.86N 하(1) +23.74 이며, 양승속도에 대한 고달이의 수평최대 이동속도의 비는 70%정도였다. 4. 보조양승기와 고달이채기를 연계시켜 줄받이를 상, 하로 왕복시킬 경우 모릿줄은 길이 방향으로 고루 사릴 수 있었으며, 고달이채기 레버의 회전과 줄받이의 왕복운동 주기는 고달이의 간격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4,000원
        132.
        199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스프링강으로 만든 3가지 크기의 타원형후크에 대하여 만능시험기로 특성시험을 하고, 나팔관을 사용한 통발 자동분리기로 모릿줄의 고달이에 연결된 타원형후크에서 장어통발이 분리되도록 하는 실험을 육상과 해상에서 각각 시행한 경과는 다음과 같다. 1. 직경 3.1mm인 대형의 타원형후크에서 줄의 이탈장력은 60kg 정도이고, 줄을 끼워넣기 위한 손누름 압축력은 6kg 정도이며, 나팔관을 통과장력은 11~15kg 정도였다. 2. 현측 로울러의 앞쪽이나 뒤쪽에 나팔관을 부착한 자동분리기를 사용하여 대형후크에서 통발이 자동으로 분리되도록 하는 육상실험의 결과 양승속도 2~4m/sec에서 분리율은 99%정도였다. 3. 현측 로울러의 후방 2m 정도 되는 곳에 나팔관을 설치하고 대형후크로 해상 시험조업을 한 결과 양승속도 3~4m/sec에서 통발의 분리율은 97%정도였다.
        4,000원
        133.
        199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장어 통발어업의 어로작업을 자동기계화하기 위한 기초조사로서, 통발어선과 어구 및 어로작업시간 등을 설문 조사한 다음 각 단계별 어로작업시간을 측정\ulcorner분석하였으며, 자동기계화에 적당한 통발어구의 구조와 규격 등을 파악하기 위한 해상 시험조업으로 어획성능과 실용성 등을 비교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플라스틱 장어통발의 직경이 13cm인 대형통발과 11cm인 소형통발의 어획시험 결과 통발당 어획미수나 어획량은 차이가 거의 없었으며, 소형통발을 사용할 경우 유수저항을 20%이상 감소시킬 수 있었다. 2. 외측돌기물에 의한 회전개폐식 입구의 경우 부설 중의 분실률은 끈으로 고정시키는 입구의 경우와 거의 같아 1% 정도이나, 회전개폐식의 작업시간은 훨씬 짧아서 3인이 하던 작업을 2인으로도 충분하였다. 3. 통발의 모릿줄에 다는 납침자와 돌을 제거하고, P\ulcorner P연심로프를 침강력이 동일하도록 납줄이 2~3가닥 들어 있는 연심로프 대체하면 고달이 부분의 직경이 감소되면서 요철이 원만하게 되어 자동기계화에 의한 연속작업이 가능해진다.
        4,000원
        134.
        198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장어통발의 P.P깔때기 살과 대나무 깔때기 살의 탄성을 측정하고 측면 구멍을 막은 통발과 원형의 유수저항, 침강시간 및 미끼의 냄새확산 등을 관찰한 다음 해상어획 시험을 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P.P 깔때기 살의 탄성은 대나무 살보다 훨씬 작고, 하중이 증가할수록 탄성회복도는 감소하였다. 2. 플라스틱 장어통발의 유수저항 R(kg)는 유속 V(m/sec)에 따라 다음 관계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R=0.36V 상(2.01) 3. 장어통발의 침강시간은 측면 구멍을 막은 경우 수면상에서의 완전 침수까지 1~2초 정도 원형보다 지연되나 그 후의 침강속도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4. 통발 내의 미끼 수용액은 측면 구멍을 많이 막을수록 원형보다 입구쪽으로 집중되어 확산되었다. 5. 측면 구멍을 일부 막은 통발과 원형을 가지고 어획시험을 한 결과 통발당 평균 어획미수나 평균어획량의 어획성능에 있어서 뻘로 된 어장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 같다.
        4,000원
        135.
        198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olanum melongena var. fructualbo 품종(品種)을 이용(利用)해서 원형질체 유리(遊離)에 미치는 여러 가지 요인(要因)을 규명하여 원형질체를 배양(培養)하여 금후(今後) 유용(有用)한 체세포잡종식물의 획득(獲得)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험(實驗)하였다. CPW 무기염이 함유(含有)된 0.7M mannitol 용액(溶液)에 1시간(時間)동안 전처리(前處理)한 후(後) cellulase 1.5%, macerozyme 0.2%, mannitol 0.6M, MES 0.01M, BSA 0.2%, pH 6.3에서 4시간(時間) 배양(培養)한 것이 원형질체 수량(收量) 및 상태(狀態)가 가장 양호(良好)하였다. 수세용액내(水洗溶液內) mannitol 농도(濃度)는 0.7M에서, sucrose 농도(濃度)는 0.6M로 하여 ESSCC방법(方法)으로 회수(回收)하는 것이 건전하고 안정(安定)된 원형질체 대량획득(大量獲得)에 적합하였으며, 거의 최적조건을 이용(利用)하여 처리(處理)된 원형질체를 의 밀도(密度)로 8P-KM배지(培地)에 배양(培養)했을 때 3~5일(日)부터 세포신장(細胞伸長)을 하였고, 그 이후(以後)부터 세포분열(細胞分裂)이 이루어져 10일(日) 후(後)부터 colony 형성(形成)이 관찰되었다.
        4,000원
        136.
        202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로로 페리선은 급선회 시 선박의 선미부 객실의 증개축으로 인한 무게중심 상승, 과도한 화물적재, 발라스트 부족 등으로 인한 복 원성 결여 및 고박 부실 등의 여러 가지 원인으로 전복되어 해저에 침몰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유체-구조 연성(Fluid-Structure Interaction; FSI) 해석기법을 이용하여 급선회에 따른 빠른 침수 및 전복에 이어 침몰사고로 진척된 원인을 과학적이고 정확하게 규명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고 당시의 동영상과 사진들을 분석하여 시간에 따른 선박의 정확한 자세를 구현하고, 이에 따른 화물 이동과 선체 외부의 해수 유입구와 선체 내부에서의 유입된 해수의 이동 경로에 따른 해수 유입량을 실선 부양 시뮬레이션 및 유체정역학적 특성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정확히 검증하여 실선 침수⋅침몰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사고원인을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137.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항해 중인 함정은 늘 충돌 가능성이 존재하지만 충돌회피를 위한 명확한 기동지침은 없고 함교 당직사관의 직관적 판단에 의존하 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해 중인 함정이 방위끌림이 없는 장애물을 조우하는 상황에서 함교 당직사관을 대상으로 언제 어떻게 충돌 을 회피하는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를 활용하여 방위끌림이 없는 장애물 조우 상황, 주·야간 충돌 회피 방법을 분석하였다. 조함이 까다로운 지역은 평택, 목포 순이었고, 주로 협수로 내에서 발생하였다. 빈도는 4시간 항해 시 평균 1회 정도로 나타났으며, 1:1 조우 상황보다 다수 선박 조우가 많았다. 충돌침로 확인 시 전자해도보다 육안 확인 결과를 더 신뢰하였고, 충돌회피 고려 요소로 최단 접근거리, 최단 접근시간을 우선시하였다. 피항의무선과 침로유지선의 충돌회피 기동상 특별한 차이는 없었지만 주·야간 시 최단 접근거리의 차이는 존재 했다. 충돌회피 시대부분의 항해사들은 변침·변속을 함께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며 타각 10~15°, 변속 ±5knots, 변침침로는 타함 함미 정방향에서 함미 가중치를 두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승조원들에게 부임 함정의 충돌 회피 기준을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나아가 AI, 빅데이터 기반의 무인함정 충돌회피 알고리즘 개발에도 적용될 것이다.
        138.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e Schizonepeta which is characterized by short growth period is used for the pedicel as a medicinal plant. Its main ingredients are essential oil, monoterpenoid, and flavonoid. Major effects include fever, pain, anti-inflammation, and anti-allergy. There are no varieties developed so far,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andard varieties to supply domestically good varieties. In this study, the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of the genetic resources collected for cultivating good-quality varieties were tested. Three strains were classified into early, medium, and late life. Methods and Results :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in the test packaging of the Medicinal Resources Research Institute (Hamyang) in Gyeongnam province. It was harvested in late May, early June, and mid June by flowering season. The harvest time was mid June, late June, mid July, late July, mid August, and late August. Flowering,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were investigated. Growth characteristics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with the delay of flowering and harvesting time, such as plant height, leaf length etc. As the flowering time and harvesting time were delayed, the number of trees increased. The selected early line showed 89.4 ㎝ in plant length, 38.3 g grain weight, medium line 69.5 ㎝, 61.0 g, late line 136.4 ㎝, 111.2 g. Conclusion : When the cultivars are selected for the selected strains, it is expected that the cultivars with high physiological activity characteristics will be able to develop the cultivars as high quality varieties and high yield varieties.
        139.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Rehmannia glutinosa is a perennial herb belonging to family Scrophulariaceae. This study was breeding of R. glutinosa cultivar with insect tolerance and high-yielding. Methods and Results : ‘Chunggang’ is developed by the medicinal crop breeding team of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e and Herbal Science (NIHH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during the period from 2005 to 2017. The reproduction of Rehmannia glutinosa has been accomplished mainly by vegetative propagation with its seedlings. This cultivar was selected from seedling of RG10. The plant type of Chungang is some rising from ground. Regional yield trials conducted at three site from 2016 to 2017. The root yield of ‘Chunggang’ was 22.3 ton per hectare, which was increased 11% compared with ‘Jihwang 1’ (check variety). Also, ‘Chunggang’ has higher insect tolerance compared with ‘Jihwang 1’. Conclusion : ‘Chunggang’ is a insect tolerance and high-yielding Rehmannia glutinosa cultivar.
        140.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When the Platycodon grandiflorum is applied before the rainy season, the increase of the incidence of the Platycodon grandiflorum root rot disease increases greatly.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reduce the incidence of rot root rot disease through the lodging protecting method. Methods and Results : Three-years-old Platycodon grandiflorum was subjected to four treatments with no treatment, net installation, cutting stem, and removing bud. No treatment was used as a control, and as a further control, netting was used in the Platycodon grandiflorum to set up a treatment with almost no lodging. In the case of cutting stem, the stem was cut off in the middle of June, leaving more than 60 ㎝ before flowering. In the case of removing bud, blooming just before, the bud was removed. As a result, the coverage rate was the highest at 36.9% in the non - treatment area in the middle of July after the rainy season and 0.4% in the net installation. Compared with the case of cutting a lot of stems, 12.7% of the stem was covered with stones, whereas the stalk was 31.8%, which was close to the untreated stomach. As a result of the change of morbidity rate per treatment, it showed a morbidity rate of 49.7% in case of net installation, compared with 60% or more morbidity rate in case of untreated. Conclusion : As a result, an anti-lodging technic has helped prevent the onset of root rot disease. Further research on how to prevent the lodging of Platycodon grandiflorum using cutting stem will be needed.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