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 fabricate a precise micro metal mold, the electrochemical etching process has been researched. We investigated the electrochemical etching process numerically and experimentally to determine the etching tendency of the process, focusing on the current density, which is a major parameter of the process. The finite element method, a kind of numerical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current density distribution on the workpiece. Stainless steel(SS304) substrate with various sized square and circular array patterns as an anode and copper(Cu) plate as a cathode were used for the electrochemical experiments. A mixture of H2SO4, H3PO4, and DIW was used as an electrolyte. In this paper, comparison of the results from the experiment and the numerical simulation is presented, including the current density distribution and line profile from the simulation, and the etching profile and surface morphology from the experiment. Etching profile and surface morphology were characterized using a 3D-profiler and FE-SEM measurement. From a comparison of the data, it was confirmed that the current density distribution and the line profile of the simulation were similar to the surface morphology and the etching profile of the experiment, respectively. The current density is more concentrated at the vertex of the square pattern and circumference of the circular pattern. And, the depth of the etched area is proportional to the current density.
본 연구는 사회심리학이론 중 사회정체성이론에 근거하여 다국적기업 자회사 현지 직원 조직일체감의 선행요인과 결과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다국적기업의 본사가 위치한 국가의 경제발전 수준은 다국적기업 자회사 현지 직원의 조직일체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본사 지분율은 조직일체감에 부(-)의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다국적기업 자회사의 전략적 자율성이 높고, 다국적기업 자회사 현지 직원에게 해외 근무 기회가 많을수록 조직일체감이 증가한다고 주장하였다. 뿐만 아니라 다국적기업 자회사 현지 직원의 조직일체감은 업무열의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24개국 출신, 75개 다국적기업 자회사에 근무 중인 503명의 현지 직원들을 대상으로 경로분석 및 소벨 테스트를 통해 이상의 주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In recent years China has experienced two forms of extreme macroeconomic imbalance: an expenditure imbalance in the sense of very high investment and very low consumption, giving rise to rapid capital accumulation; and an imbalance between expenditure and production, producing external imbalance, i.e. a huge surplus on the current account of the balance of payments. This paper explores the current state of the external imbalance in China, and reviews the factors underlying the pre-2008 rising and the post-2008 drop in China’s current account surplus. The paper says that China’s current account surplus must be modest in recent years. However, despite the fact that China’s recent current account is likely to stay below its precrisis range, it is too early to conclude that “rebalancing” has been truly achieved in China. Certainly, the policy thrust of the 12th Five Year Plan is very much focused on raising household income, boosting consumption, and facilitating an expansion of the service sector. In the coming years, if these ongoing structural reforms are implemented, China does have the potential to hand-off from an investment-driven to a consumption-driven decline in its external imbalance.
수정란 이식기술은 가축의 효율적인 증대와 조기번식에 유용한 기술로 알려져 있으며, 단 기간에 다량의 수정란을 확보할 수 있다. 수정란 이식기술은 한우의 개량 및 육종과 희소한 우의 조기증식 및 유전자 다양성 확보, 유전자 보존 등의 목적에 접근하는 데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일반한우와 희소한우간의 비외과적 채란 성적과 이식 가 능 수정란의 비율을 비교 검토하였다. 본 실험은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시험장에서 보유중인 일반한우 13두, 희소한우 11두를 공시하였다. 발정주기에 관계없이 CIDR를 질 내에 삽입하고, 4일 후부터 4일간 FSH (Antorin) 28AU를 12시간 간격으로 점감 주사하였다. FSH(Antorin) 투여 3일째 CIDR를 제 거하고, PGF2α(Lutalyse) 3 ml을 근육 주사하여 과배란을 유기하였다. 인공수정은 PGF2α (Lutalyse) 주사 후 발정을 확인하고 12시간 간격으로 3회 실시하였으며, 1차 인공수정 전 GnRH 1.0 ml을 주사하였다. 수정란 회수는 1차 인공수정 후 8일째에 3-Way Catheter를 이용 비외과적 방법으로 채란하였다. 일반한우와 희소한우에서 회수 된 수정란 총 개수는 각각 87개, 77개로 그 중 이식 가능 한 수정란 수는 51개, 53개였다. 평균 회수란 수는 각각 6.69±1.54개, 7.00±1.13개로 차이 가 없었으며, 평균 이식가능 수정란 수는 각각 3.92±1.11개, 4.82±1.09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 같다. 이 같은 결과들로부터, 일반한우와 희소한우 간 수정란 회수율과 이식가능 수정란 간의 비율의 차이는 소의 종 특이적인 차이보다 같은 종 내의 개체 차이로 인식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특허권자는 직무발명과 관련하여 특허출원서에 기재된 발명자에게 정당한 보상금을 지급하여야 할 의무를 가지게 된다. 특히 공동연구개발의 주체가 되는 교수와 함께 연구를 수행한 대학원생은 어떠한 방법으로 어느 범위까지 발명자의 대상과 범위에 포함되어서 정당한 보상금을 받을 수 있는가 하는 점이 중요하다. 공동연구의 상당부분은 산학협력단이 수주자(계약 당사자)가 되고, 실제 연구개발을 수행하는 주체는 수주자의 소속으로 교수와 대학원생이 된다. 대학원생은 연구원 또는 연구보조원 등의 형태의 피용자로서의 지위가 명시되어 있다. 따라서 대학원생이 실제 연구에 참여하여 특허법상의 발명자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특허출원서의 발명자란에 대학원생이 발명자로 기재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실은 교수만을 발명자로 기재하고 있으므로, 대학원생이 공동 발명자로써 적절한 법적보호를 받고 있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대학원생이 대학교와 고용관계에 있지 않다고 하더라도 공동연구계약에 의하여 발명진흥법의 직무발명자에 해당할 수 있다는 내용을 대학직무발명규정에 반영해야 한다. 또한 대학원생이 공동연구 수행자로 실제 공동 발명자에 해당하는 경우, 그 발명은 직무발명에 해당하여 특허출원할 수 있는 권리를 산학협력단이 가진다는 규정도 필요하다. 즉, 대학원생은 특허출원서의 발명자란에는 대학원생의 설명을 반드시 기재하여야 하고, 특허를 받은 경우에는 대학원생에게 정당한 보상금을 지급한다는 규정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Yoo, Hye-won. 2012. The study on speech education by self-evaluation results analysis of speech learners.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0(1). pp. 111-134. In this paper, I suggested the ideas for developing efficient educational contents and educational methods of speech education in the university by analyzing the self-evaluation results of college students' speeches. To do this study, I gave the students the checklist to be able to evaluate their speeches. The students had to submit the checklist and evaluation report for their speeches. The students' self-evaluations were quantitatively as well as qualitatively analyzed and extracted the main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speeche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 suggested some ideas as follow. First, to improve their speech ability, it is important to gain confidence. So four strategies to gain confidence were proposed. Second, we must enforce the non-verbal education contents. Many students think that non-verbal elements in the speech are very difficult to do well. Therefore efficient educational methods as well as educational contents of non-verbal must be developed. Third, as to do high level speech, students must enhance linguistic sensitivity, so I proposed the methods of enhancing linguistic sensitivity. Last, I represented the meaning of speech contents. What this study is empirical is its good points.(208)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installation of VLBI Correlation Subsystem (VCS) main product and its performance at the Korea-Japan Correlation Center (KJCC). The VCS main product was installed at KJCC in August 2009. For the overall performance evaluation of VCS, playbacks, Raw VLBI Data Buffer (RVDB) system, and Data Archive (DA) system were installed together. The VCS main product was connected between RVDB and DA, and the correlation results were put into the DA to confirm the normal operation of VCS 16 station mode configuration. The evaluation test was first performed with 4 station mode, same as the factory test of VCS main product. Based on the results of 4 station mode, the same evaluation test was conducted for 16 station mode of VCS. We found that the correlation results of VCS were almost similarly compared to those of the Mitaka FX Correlator. Through the test results, we confirmed that the problems such as spectrum errors, delay parameter processing module and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errors in antenna unit, which were generated at the factory test of VCS main product, were clearly solved. And we verified the performance and connectivity of VCS by obtaining the expected correlation results and we also confirmed that the performance of VCS was sufficient for real VLBI observation data in both 4 and 16 station modes.
본 연구에서는 조직몰입의 변수와 성과 간의 다양한 관계를 아시아 상황에서 검증하고자 한국과 태국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역할 스트레스(역할 모호성과 역할 갈등)와 조직몰입(감정몰입과 근속몰입) 간의 관계를 살펴 봄과 동시에 조직몰입과 조직성과(이직의도와 직무만족)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조직몰입의 매개효과에 대한 검증과 함께 변수간 관계를 좀더 종합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 구조방정식을 통한 경로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전반적으로 역할 모호성이 역할 갈등보다 변수들 간의 관계에 있어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역할 모호성은 감정몰입과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에서는 역할 모호성이 근속몰입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할 갈등의 경우 감정몰입이나 근속몰입에 제한적인 영향을 보였다. 매개효과에 대한 분석 결과, 감정몰입이 역할 모호성과 직무만족 사이에 그리고 역할 갈등과 이직의도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는 아시아 국가에서의 인적자원관리에 대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바람에 의한 초고층 건축물의 거동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구조체에 대한 풍하중의 설계는 매우 어렵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풍하중 산출방법은 풍동실험에 의존하고 있으며, 1차 탄성거동을 전제로 행해지고 있다. 가장 불리한 조건인 1차 모드로 가정하는 것은 다소 과대설계가 되어 안전하지만, 비경제적이다. 따라서 초고층 건축물에 작용하는 풍하중은 다차 모드 해석에 의해 산출하는 것이 안전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일 것이라 판단된다. 다차 모드를 고려한 풍하중의 산정은 풍압적분법(Pressure Integral Method)을 응용하면 가능하다. 본 연구는 풍압적분법(Pressure Integral Method)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며, 공력진동실험에 의한 풍응답 해석결과와 비교하여 그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CGE(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모형을 이용하여 28개 산업별 R&D투자액의 GDP 파급효과를 추정한 뒤, 그 결과로써 GDP의 R&D투자탄력성을 계산하여 산업별 R&D 투자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우선순위는 28개 대분류 산업 중 전체 연구개발투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 미만인 16개 산업을 제외한 12개 산업에 대해서만 적용해 보았다. 먼저 GDP의 R&D투자 탄력성에 근거한 우선순위는 제1차 금속제품, 화학제품, 음식료품, 전기 및 전자기기, 수송장비, 금속제품, 정밀기기, 전력·가스 및 수도, 일반기계, 통신 및 방송, 건설, 사회 및 기타 서비스, 부동산 및 사업 서비스 순이었다. GDP의 R&D투자탄력성에 근거한 순위설정은 비교적 우리나라 산업들의 현황을 잘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보조지표인 2030년 기준 균형 대비 GDP 증가율에 근거한 우선순위 역시 판정기준으로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결국 두 개의 우선순위 기준은 국가과학기술위원회의 R&D예산투자방향 및 기준 설정과 주요 사업별 예산배분 방향에 좋은 판정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Modern systems become more complex and the demand for systems safety goes up sharply. Thus, the proper handling of the safety requirements in the systems design is getting greatly increased attention these days. Hazard analysis has been one of the active areas of research in connection with systems safety. In this paper, we study a subject on how the hazard analysis results can be incorporated in the systems design. To this end we set up a goal on how to systematically generate safety requirements that should reflect hazard analysis results and be implemented in the systems design and development. To do so, we first review the process for systems design and suggest the associated Model. Then the process and results of hazard analysis are analyzed and Modeled particularly with emphasis on the safety data. The resulting data Model incorporating both the hazard analysis and system life cycle is used in the generation of safety requirements. Based on the developed data Model, the generation of the requirements, the construction of requirements DB, and the change management later on is demonstrated through the use of a computer-aided software t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