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probe pedagogical viability of extensive reading as an effective alternative in English reading instruction. To accomplish the purpose, an English book club was formed, consisting of 40 high school students. The book club activity was held during four months of summer and winter vacations in 2009. The participants were encouraged to freely write anything in their reading logs they felt while reading. The reading logs and interviews were analyzed. They revealed effects of extensive reading and changes of the readers' cognitive and affective reading processes. According to the results, 1) extensive reading has potential to be a successful alternative in English reading instruction; 2) the readers could experience “amusement” and “absorption” by reading sufficient books with the i−1 level; and 3) extensive reading enabled them to choose their ways of reading and to be responsible for their choices.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존재하는 조직은 환경으로부터 받은 영향과 압력에 적응하면서 이에 대응해 나가야 한다. 조직은 그 자체를 유지·존속시키고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이러한 적응과 대응활동을 전개할 수 있는 능력을 가져야 한다. 21세기 교정조직도 사회변화에 적응하며 동태적 조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전문화·개방화·민주화·정보화 등이 요구되며, 교정조직 및 교정공무원의 발전은 전문화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특히, 전문적이고 특수한 교정을 요하는 수용자가 증대되고 있고 사회의 민주화와 인권의 신장도 교정과 교정 공무원의 전문화를 더욱 요청하고 있다. 이러한 교정공무원의 전문화는 능력 있고 열성적인 우수 자원을 충분히 확보하여 그들의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교육훈련 시켜서 적재적소에 배치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정공무원의 전문화를 위한 교육훈련의 개선방안으로 첫째, 교육훈련기간의 연장과 적정한 실무 교육 확보로 다양하고 체계적인 교육훈련과 적정한 현장 실무교육 시간의 확보가 필요하다. 둘째, 조직개편을 통한 전문 교육기관의 신설로 교정공무원만을 대상으로 한 적정한 규모의 내실을 기할 수 있는 기관의 설치가 필요하다. 셋째, 인성 및 윤리교육 프로그램의 확대로 관련 교과목의 개설과 교육기법의 개발의 필수적이다. 넷째, 총체적품질관리의 적용을 통한 교육 훈련으로 총체적 품질관리가 조직문화 속으로 융화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개선활동이 필요하다. 특히 다른 공공부문에서 이미 적용하고 있는 총체적품질관리의 교정조직에의 적용에 대한 후속 연구가 계속 진행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states of French education in Korea and proposes the future prospect by analysing the causes of a change. The number of students who choose French as a foreign language (FFL) subject decreased in the secondary school education for years. One reason is that the French language is not included as one of the second foreign language subjects in the baccalaureate exam. In the case of secondary school education, there is not much we can do about it unless the government changes the policy about foreign language subjects. At university level education, I propose that students should go further with their education, not only to the French territories, but also to French speaking countries, particularly Africa. Then, we may plan to change a curriculum to include the African culture, for instance. According to students' specific objectives, the department can offer various curricula; the programs and teaching methods of FFL should be defined according to learners' goals. The collaboration with the Embassy of France in Korea is also necessary to overcome the current crisis.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realization of language immersion education for FLE (Français Langue Étrangère) and CLE (Coréen Langue Étrangère). Foreign Language teachers’ role has been recently concerned as to find out the interaction between a teacher and a learner in language immersion education. The success of language immersion education depends on the learners’ attitudes and motivation. The learners’ motivation can be enhanced through the electronic sources online made by the nonnative language teachers or through the extra-curricular language activities.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must perceive learners’ first language and culture to accomplish a successful interaction. Second, the foreign language policy should favor not only English, but also other various languages as well. Third, the feedback through the self-evaluation should be followed by its purposes and types.
Global perspective of Korea has been continuously enhanced, and accordingly,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who are interested in and try to study Korean language are increasing, too. In addition, recently the purpose of studying the Korean language is deepening from just getting employment or college preparation to interest about Korea and its culture.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should be developed for correct understanding and use in social & cultural context based on the language education for communication. One way of satisfying these Korean language educational target is to utilize literary works.But, even with the various possibilities of utilizing literary work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attempts to utilize literary works is insufficient in actual education fields and in teaching material. Also, the utilizing material are in limited state.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 of literature education status, activity and attempt to utilize literary work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is quite insufficient and there is no distinctive standard in selecting the works. In addition, most education is performed at above middle level, and it consists of passive literature utilizing methods such as vocabulary, grammar, expressional study, comprehension, etc. Also, it is difficult to give lessons because included literature's genre are skewed to poems for modern literature and fairy tales for classical literature, and because the study about teachers' manual or teaching instruction are insufficient.Therefore,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required to include various literary works based on the students' requirement survey results, to present integrated utilizing method and subject activities so that all language education functions such as reading, listening, speaking and writing can be studied, and to actively utilize auxiliary textbooks. Also primarily, it is required to establish standard to select adequate literary works, and to enable the use of literary works by grade from the selected list of works based on the standard.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provide class with the goal of understanding the literary work itself as well as language education and culture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text.
Korean is one of the 55 ethnic minorities in China who is famous for their persuasion in children’s education. However,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 society, the decline in the Korean population in China, since Chinese“Reform and Open” policy in 1970’s, has caused a crisis in the education in Korean communities. Education, a vital project of lasting importance, plays an essential role in developing a nation’s sophistication. This paper aims to discover and analyze the possible explanations for the crisis in educational practices in Korean communities in China in order to provide appropriate solutions for the problem. I hope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wards future researches in the education of Koreans in Chin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method of teaching Korean Vocabulary Education through semantic analysis of synonyms. In this paper, I discuss learning methods for second language learners that effectively learn the differences between synonyms. It is not only for teachers, but also for learners. In vocabulary education, it is very hard to explain differences between synonyms especially to L2 learners. So it is needed that various and clear study of synonym's meaning and teaching methods.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addresses the concept of synonym for second language learning. In this study, the substitution is the most important judgement condition of synonym pairs. In the next chapter, this paper analyses meaning differences between synonyms, 'Gwangaek 관객 : Gwanjung 관중 : Gwallamgaek 관람객', 'Gap 값 : Gagyeok 가격'. In the last chapter, this paper present concret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the case of the first pairs, we can use diagram for showing the usage meaning area. In the other synonym pairs, we can use practical sentences with the context. It needs further consideration about various synonym pairs classes.
◉ 서론: 특수학교의 지적장애 1개 학급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수준평가를 통하여 수준에 따라 3그룹으로 나눈 후 일상생활활동 중 의사소통에 관한 활동과제를 수행하고자 지역사회 상점에 전화로 음식 주문하기에 관한 연구 수업을 진행하였다. 본 사례안 소개를 통하여 수업안에 대한 이해와 국내 학교작업치료분야에서 장애를 가진 학생을 대상으로 한 특수학급에서의 일상생활교육 및 훈련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자 한다.
◉ 본론: 대상자는 서울지역의 D특수학교 고등부의 한 학급에 재학 중인 만 16세에서 20세의 지적장애 학생 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학생들의 학교와 사회생활에의 참여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School Function Assessment(SFA)와 사회 성숙도 검사를 사용하였고 이 결과들을 토대로 3그룹으로 분류하여 지역사회 상점에 전화로 음식주문하기에 대한 연구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수업 진행 후 학생들의 반응과 응답결과는 자신의 수준에 맞는 다양한 제재와 학습도구를 사용하여 전화를 사용하는 방법을 교육받고 훈련 받았다는 것에 만족하였고, 비슷한 수준을 가진 또래 사이에서의 학습과정을 통해 성취감과 독립성을 느꼈음을 나타내었다.
◉ 결론: 지적장애 학급을 대상으로 전화로 음식 주문하기와 같은 일상생활활동 훈련은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고 이는 곧 학생들의 자존감을 높이고 적극적인 사회참여를 하도록 준비하는데 도움이 된다.
목적 : 본 연구는 MVPT-3(Motor Free Visual Perception Test-3)을 사용하여 나이, 성별, 교육 수준이 노인의 시지각 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고, MVPT-3의 한국형 표준화작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G시에서 실시한 건강 검진을 위해 보건소에 방문한 뇌손상 경험이 없거나 치매 진단을 받지 않은 60 세 이상 노인 72명이였으며, 자료 수집은 면접조사와 MVPT-3을 사용하여 대상자의 시지각 능력을 평가하였다.
결과 : 연구결과 MVPT-3의 평균값은 남자가 28.74±7.79, 여자가 26.18±6.99로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연령 간 차이를 보면 MVPT-3의 총점은 65세 미만이 29.54±7.94, 65세 이상은 26.32±7.01로 65세 미만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고, MVPT-3의 기타 항목별 점수는 65세 미만에서 모두 높은 점수를 보였다. 항목별 점수는 시각적 완성(visual closure1)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교육 수준별로 살펴보면 초졸인 경우 MVPT-3의 평균값이 23.91±6.31이었으며, 중졸이상에서는 평균이 30.84±7.01이었다. 학력이 높을수록 점수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을 보였다(p<.05). MVPT-3의 총점과 하위항목 간 점수별 상관관계 분석 결과 전정배경(figure ground)을 제외하고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결론 : MVPT-3을 이용하여 노인의 시-지각 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본 결과 성별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고 연령과 교육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이는 시지각 관련 평가를 수행하는데 있어 성별, 나이, 교육의 영향을 이해하고, MVPT-3의 표준화 작업 이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미가 있을 것이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연령 범위를 좀 더 세분화하고 연구 대상자수를 확대하며 정상 노인과 환자군으로 나누어 비교해야 할 것이다.
Although many studies have suggested that introducing the distance learning method, including Web-based learning, to a practice class is effective, studies applying the distance learning method to subjects who are practicing cooking are r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erception of the distance learning method, the degree of computer use, and the use of distance learning by college students with cuisine-related majors to practice cooking.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students used the distance learning method, and that the method was positively perceived, as it was a great aid in learning. Most of the cooking information was obtained through the internet, and the most effective learning media for practicing cooking was "e-learning" using a computer. The most effective learning method for those who were practicing cooking was a "face-to-face learning method", because face-to-face type of teaching and learning was most universally recognized. Most of the students surveyed responded that using the distance learning method was a positive experience, indicating that cyber lectures could be applied at more universities for subjects practicing cooking.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model for foreign worker patients. Questionnaire and interview were carried out for collect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nformation from subjects, respectively. All subjects were foreign worker patients who could speak Korean, composed of 75 Chinese, 4 Mongolians and 1 American, aged from 22 to 73 years old. Among the subjects, 36 subjects had gastrointestinal disease(GD), 16 had coronary heart disease(CHD), 6 had diabetes, 6 had liver disease(LD) and the others had various different diseases. List of recommended and restricted foods for foreign workers to prevent GD and CHD were obtained from interviews with the subjects.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model for foreign worker patients having GD and CHD were developed, and small group education method was recommended. The contents of the program include cause and common symptom and basic nutrition care for the patients, choice of foods and cooking methods, behavioral modification, importance of medication and list of foods recommended and restricted for the patients.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화훼장식교육프로그램을 분석 하고 화훼장식가의 직업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현직 화훼장식사 60명과 지망생 60명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화훼장식가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대상자가 경험한 직종 등에 대한 만족도, 관련 교육에 대한 내용, 사회적 인식도, 사회적 대우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직업선택 시 고려하는 사항, 일에 대한 관련전공자와 비 관련전공자의 만족도, 현재 직업에 대한 만족도, 교육기간 에 대한 만족도, 화훼장식사 능력에 대한 중요도, 직업의 발전요건에 대한 중요도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현직 화훼 장식가와 지망생이 직업선택 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사항은 모두 원예적성 그리고 장래성으로 나타났고, 화훼장식사 들의 전공별에서는 화훼장식관련 전공자가 기타 전공자에 비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는 없었다. 지망생들의 전공별 분석결과에서도 현직 화훼장식가와 마찬가지고 만족도는 화훼장식관련 전공자가 기타 전공자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현직 화훼장식가와 지망생의 경력과 교육기간에 따라 만족도에 차이를 보면 화훼장식 관련 교육 또는 수업경험과 강사의 교수법에 대한 만족도는 경력이 적을수록 더욱 낮은 만족도를 보였 으며, 화훼장식 지망생의 교육기간에 따른 결과를 보면 일에 대한 만족도는 교육기간과 관계없이 거의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직 화훼장식가와 지망생의 전공에 따 라 능력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 본 결과는 현직 화훼장식가의 전공별 분석결과는 화훼부문과 장식 품제작부분에서 관련전공자가 기타 전공자에 비해 더 중 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품질유지 부문, 화훼장식부문, 그리고 화훼유통 및 경영부분에서는 관련전공자와 기타 전공자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에 있어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지망생들의 전공별 분석결과를 보면 화훼부문, 화훼장식부문, 장식품제작, 화훼유통 및 경 영에서 관련전공자가 기타전공자에 비해 전반적으로 중 요도를 높게 평가하였다. 품질유지에 대한 중요도는 전 체적으로 관련전공자가 기타전공자에 비해 중요하게 생 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화훼장식가로 활동을 하는 데 있 어서 화훼장식전공자가 비전공자들에 비해 직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며 교육내용 중에서 원예관련 교육이 가 장 중요하다라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문가적인 화훼장식가를 양성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전문 적인 교육프로그램이 미비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시대에 화훼장식 교육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론과 실기가 통합된 체계적인 교육내용에 따른 과정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한다.
지식기반 경제 사회의 진입과 더불어 조직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인적자원이며 인적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이야말로 기업 경영에 있어서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인적자원의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대부분의 기업들은 교육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교육훈련의 효율적인 활용이야말로 인적자원의 개발이고, 인적자원의 개발이 기업의 지속가능한 경영에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교육훈련이 조직의 발전에 최우선이 되어야 함은 아무
Physical education should be designed to facilitate students' intellectual, emotional, and social growth. The researcher applied the sport education model in real school settings in order to provide high quality school physical education programs. The pur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을 일반 유아로 선정하여 특정한 치료적인 목적보다 교육과 학습에서 필요한 좌우뇌의 균형적인 뇌 발달에 초점을 맞추어, 유아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2010년 1월부터 2010년 6월까지 S시, B시, J시, U시와 K도에 있는 관인 유치원 원아 200명에게 좌우뇌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중 무작위 추출한 65명에게 B.G.A 검사를 통하여 뇌 발달변화를 보고자 하였다. 분석의 결과로 첫째, B.G.A 교육 실시 후 좌우뇌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둘째, B.G.A 교육 실시 후 두뇌 영역별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