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 ‘읽기’는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정의한 ‘읽기’로 한정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아직 고등학교 한문과 교육과정 해설서가 우리에게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중학교 한문 교육과정 해설서의 내용을 끌어다가 바탕으로 삼아 고등학교 한문과 의 읽기 문제를 살펴보았다.‘소리 내어 읽기’를 중요 학습 요소로 설정하였는데, 이는 매우 환영할 만한 일 이다. 한문과 학습에서 ‘소리 내어 읽기’는 대단히 중요하고 긍정적인 요소가 많은 학습 활동이다. 학급 전체가 함께 소리 내어 읽으면서 공동체 의식이 형성된다든지, 언어에 대한 규약과 기술을 배울 수 있다든지, 학습자의 교재 이해력이 향상된 다든지, 교사의 읽는 소리를 듣거나 학생 스스로 소리 내어 읽으면서 접한 단어의 머릿속 저장이 용이하다든지 하는 것들이 긍정적인 점들이다. 다만 교육과정에서 묵독에 대한 언급이 없는 점은 개선이 필요하다. ‘소리 내어 읽기’ 활동의 평가 요소와 방법의 소개도 미미하다. 문종(文種)이나 분위기에 맞는 읽기 방법 그리고 읽기 태도에 대한 언급도 필요하다. 끊어 읽기에 대하여서는 그 필요성을 인정하되, 교과서에 현토문을 싣는 것에 대한 회의를 피력하였다. 고칠 수 없거나 또는 고쳐서는 안될 것 같은 관행이라도 의심하고 두드려 보는 것이 필요하다. 현토되어 있지 않은 원문을 굳이 현토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 끊어 읽기 또한 평가 방법과 수단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바르게 풀이하기와 관련해서는 필자가 따로 언급할 만한 것이 없었다. 직역과 의역 둘 중 무엇을 우선으로 할 것인가에 관한 논의가 필요하지만 고등학교 한문 수준에서는 축자적 직역을 우선시해야 할 것이다. 개정된 교육과정에 따른다면 앞으로 한문과의 수업이 문법-번역식 수업이 주류가 될 것이고 본다. 개정된 한문과 교육과정에 따라 새 교과서들이 속속 출간될 것이다. 한문과에서 ‘읽기’는 학습 단계에서 가장 앞서는 부분이다. ‘읽기’에 성공할 때 ‘이해’도 가능하게 된다. ‘읽기’ 교육의 성공을 위해 해야 할 것들이 많다. 교육과정의 상세화, 읽기 재료의 선정과 배치, 그리고 읽기 평가 요소와 평가 방식 및 절차의 마련 등이 그것이다.
초등학교 교실 수업 현장에서는 아침 자습, 특별 활동, 재량 활동 등의 시간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漢字敎育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초등학교 漢字敎育課程이 제정되지 못한 상태에서 학교별 또는 교사별로 자율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 에 적합한 敎授․學習方法을 찾아 한자 교육을 하지 못하고 있다. 한자 학습에 대한 認識變換과 교사 연수로 쓰기 중심의 한자 학습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지만, 아직도 많은 사들이 학습자가 익혀야 할 한자를 제시하고 학습자들이 그것을 공책에 옮겨 쓰는 쓰기 중심의 한자 학습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한자 읽기 교육 문제를 점검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필자는 초등학교에서의 한자 읽기가 文字의 音聲化에 그쳐서는 안 되며, 意味의理解를 통한 漢字 識의 構成에 이르러야 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시각으로 초 등학교 현장의 한자 읽기 실태를 검토해 본 결과, 초등학교 현장에서는 漢字의 字形․字音․字義를 統合한 한자 읽기, 活動中心의 놀이 학습을 통한 한자 읽기, 웹 자료를 통한 한자 읽기 수업이 진행되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한자어 읽기는 낱자의 結合을 통한 읽기와 文章活用을 통한 읽기로 수행되고 있음을 고찰 하였다. 이를 통하여 읽기 교육에 대한 敎師認識의 轉換, 標準訓音의 학습에 따른 漢字語意味의 混同, 意味脈絡을 고려한 한자 학습 등의 문제를 제기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構成主義에 바탕을 둔 한자․한자어 학습이 필요하다. 즉 교사 주도의 획일적 수업을 지양하고 學習者中心의 실제 활동, 학습자 간의 적극적인 相互作用活動을 통하여 한자 읽기 수업을 진행하는 것이 학습자들에게 참다운 漢字知識을 構成하게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고는 조선후기 여항인의 교육양상과 그것이 지니는 의의에 대해 고찰하는 것 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선후기 여항인들은 사대부가의 자제들을 비롯하여 여항인 과 하층민 등 광범위한 계층을 대상으로 교육활동을 전개하였다. 그 형태는 여항 인에게는 書堂방식의 강학이, 사대부를 대상으로 행해진 강학은 塾師의 형태를 띠고 있다. 또한, 조선후기 여항인들은 규모의 차이는 있었지만, 한문학 전반에 관한 지식 과 유교적 교양뿐만 아니라 학문, 처세 등 삶의 자세에 관한 全人敎育차원의 교 육을 실시했는데, 이러한 조선후기 여항인의 교육은 여항인 내부에 문식층을 증가 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그리고 이는 점차 동류의식으로 발전하며 높은 수준의 ‘여 항문학’을 산생하는 데 일조하는 한편, 여항인에 대한 기존의 시각을 일부 교정하 는 역할을 하기도 했다.
제7차 개정 漢文科敎育課程중 ‘읽기’에서는 ‘漢字․漢文의 正確한 朗讀’을 요구하고 있다. ‘漢字․漢文의 正確한 朗讀’이란 韓國語‘標準發音法’을 따르는 것이다. 漢字音도 韓國語發音의 한 부분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 漢文科에서는 漢字音敎育이 國語發音敎育의 한 부분이라는 인식을 하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韓國語標準發音法에서는 母音의 長短音을 구별하여 말해야 標準發音이 되는데, 현재까지 漢文科敎科書는 長短음을 구별하지 않는 不正確한 漢字音을 적어 왔고 漢文科敎師는 非標準漢字音을 가르쳐 왔다. 오늘날 韓國語의 標準發音敎育은 國語科에서는 불가능하다. 國語科敎科書는 한글專用으로 되어 있는데, 현행 한글은 長短音을 구별하지 않고 적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재 漢字를 가르치는 漢文科에서만 正確한 漢字音敎育이 가능하다. 漢文科에서 漢字의 標準發音敎育을 잘 해준다면, 漢字語가 韓國語語彙의 70%를 차지하므로 학생들은 韓國語標準發音을 거의 할 수 있게 된다. 따 라서 漢文科교육자들은 “漢字音의 正確한 敎育”은 漢文科의 時代的使命이자 特長임을 인식해야 한다. 글쓴이는 이런 관점에서 기존의 漢字音관련 論文들을 檢討해 보았는데, 현재 漢文科敎育에서는 長短音을 구별하지 않는 平讀이라는 잘못된 漢字音敎育을 大勢로 인정하고 있었다. 이는 時急히 바로잡아야 한다. 漢文科授業시간에 正確한 漢字音을 敎育하는 方法은 다음과 같다. 먼저 個別漢字音을 正確히 가르친다. 그리고 2․3자 漢字語, 4자 成語, 漢文, 漢詩는 나눌 곳을 각각 잘 알아서 끊어 읽게 해야 한다. 그리고 항상 제1音節에서만 長短音을 區別하여 發音하게 하면 된다. 漢文科敎師가 正確한 漢字音을 지도할 수 있으려면 본인이 먼저 正確한 漢字音을 알아야 한다. 그럴려면 敎育漢字代表訓音選定(案)(2000) 같은 책을 통해 漢字音의 長短音區別을 익혀야 한다. 漢文科에서 正確한 漢字音을 교육하면, 標準漢字音을 잘 배운 사람은 비록 한글專用으로 된 글일지라도 스스로 長短音을 區別하여 漢字를 正確히 朗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한글專用을 補完하기 위해서라도 漢文科에서는 正確한 標準漢字音을 敎育해야 한다.
이 논문은 “한자-한문 읽기교육의 과제와 전망”이라는 주제아래 우리의 전통한 문 교육 방법인 聲讀과 현대한문교육과의 연계성을 모색한 논문이다. 聲讀이란 전통한문학습의 일종으로 한문 문장의 뜻을 완전히 깨치기 위해 소리를 내어 읽 거나 한문 문장의 이해와 감상을 바탕으로 흥취나 리듬을 넣어 소리를 내어 읽는 방식을 말한다. 우선 엄숙하고 경건한 자세로 ‘漢字소리내어 읽기’를 시작으로, 한자에 대한 음과 훈, 한문 구절의 의미를 치밀하고 꼼꼼하게 새기고, 한자어나 고유명사 같은 한자어를 모두 찾고 깨우치고 전고의 유무를 따져 깊이 추구한 후 에 문장의 구조를 이해하여 문맥에 따라 토를 달고 의미단위로 짧게 끊어서 음조 미를 살려가면서 가만가만 읽어 문장의 해석이 이해되는 것을 바탕으로 소리를 점점 높여가며 읽어서 완성한 후에야 비로소 유창한 성독에 이를 수 있다. 성독은 예부터 우리 조상들에 의해 연구 개발된 한문 학습방법으로 읽기를 통해 반복적 으로 학습하여 완전학습의 모형에 이르는 특수한 교육방법이다. 생략과 도치, 영 탄, 상징, 등 심오하고 비유적인 표현이 다양하게 들어 있는 한문문장을 문법적으 로 다 설명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성독은 항상 맞아 들어가야 하는 문 법적인 구조도 수용하지만 새롭게 표현되는 돌발적인 표현에도 문장의 정황에 맞게 대처하여 학습 한다. 문장과 문장을 연결하는 구기는 여러 가지로 한문문장을 읽어나가는데 도움을 준다. 전통학습방법인 성독은 “한자-한문 읽기교육”의 다양 한 학습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훌륭한 교육 방안이었다. 한문교육에 있어서 전통 적인 성독의 교육 방법은 창조적으로 계승하여할 여지가 너무나 많다.
漢文科敎育은 이제 새 漢文科敎育課程의 ‘읽기’領域의 새로운 設定으로 하여, 우리 先人들이 보여 주었던 ‘聲讀’의 방법을 再現하여 익힐 수 있게 되었다. 또는 성독의 방법을 變容하여 더 나은 발전적인 모델의 ‘읽기’模型을 제시할 수도 있게 되었다. 위의 논문은 이러한 시기에 한문과 새 교육과정 중 ‘읽기’요소의 變遷過程을 알아보고, 傳統的인 한문교육에서의 읽기 교육을 살펴 본 논문이다. 또한 현대 한문교육에서의 읽기교육의 방법을 알아본 논문이며, 앞으로의 읽기교육을 통하여, 한문교육 본연의 敎授⋅學習방법을 改善시켜 他敎科를 가르치는 선생님들이 한문과 교육을 하는 교사들의 수가 減少하는 效果를 期待하여 보는 논문이다.
This study aimed at evaluating current sanitation management performances in Korean-Food restaurants by their operation types and to develop sanitary training posters based on the risk factors, in an attempt to improve the level of sanitation management in Korean food service facilities. Eighteen Korean-food restaurants that are managed by franchisor, franchisees as well as self-managed with large-scale and small-scale restaurants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evaluated by on-the-spot inspectors with an auditing tool consisting of three dimensions, nine categories and thirty four item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The total score of each group showed that restaurants managed by franchisees ranked the highest (59 out of 100 points), while self-managed, small-scale restaurants ranked the lowest (44 out of 100 points). In the categorization of sanitation management compliance, the dimensions of food hygiene during production recorded the lowest compliance rate of 47.7% (22.89/48.0 points) followed by the dimension of environmental hygiene 59.3% (20.17/34.0 points) and personal hygiene 60.5% (10.89/18.0 points). This indicated the need for urgent improvement. The items which showed the lowest compliance rates were 'proper thawing of frozen foods' (0%), 'notifying and observing heating/reheating temperature' (6%), 'using of hand-washing facility and proper hand-washing' (33%), 'monitoring temperature of frozen-foods and cold-foods' (35%), and 'prevention of cross-contamination' (36%) among thirty four items. Self-managed, small-scale restaurants, in particular, needed to improve sanitary practices such as 'sanitation education for employee', 'verifying the employee health inspection reports', 'storing food on the shelves 15 cm distance away from the wall', 'suitability of ventilation capacity of hoods' and 'cleanliness of drainage'.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 developed sanitary training posters, especially for small-scale restaurant operators. This could be an effective tool to educate food service employees on sanitary knowledge and principles and could be used to improve the existing sanitary conditions in Korean food service fac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oking activities on the unbalanced dietary food habi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develop the effective cooking activity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unbalanced dietary behaviors as well as the food intake and menu accepta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6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cooking activity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consisted of 128 students of 3rd & 5th grader each. Both cooking activity and the control group took the same 1-hour nutritional theory based class for 10 sessions. Only Cooking activity (CA) group took additional 10 sessions of 1-hour cooking class. Programs for cooking activity were developed and 10 cooking activity sessions were taken place for 4 months. The questionnairs were us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cooking activities over the intake of food group, unbalanced dietary behavior, eating attitudes, menu acceptance before and after the completion of all the cooking activities. Cooking activities affect the unbalanced dietary behaviors and the intake of food groups. Fish, cereals, milk products, fruits, potatoes, vegetables were more eaten by CA group than control group. Eating attitudes and unbalanced dietary behaviors of CA group are also improved significantly than control group. From thes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cooking activities had the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unbalanced dietary food habits over vegetables, cereals, fish, milk product and fruits as well as the unbalanced dietary behaviors of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이 연구에서는 과학탐구공동체 구성을 위한 잠재적인 학습 자료로서 자연사박물관의 전시물의 교육적 잠재성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과학 탐구공동체는 과학적 지식의 습득과 과학 방법의 학습으로 연결되는 과학실습의 한 형태로 제안하였다. 공동체 학습은 주변에서 접하게 되는 과학-기술-사회적인 이슈들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자연사 박물관 전시가 이러한 사회과학적인 이슈들을 포함하고 있다면 이는 자연사박물관의 과학탐구공동체로의 가능성에 대해 고려해 볼 수 있음을 전제로 하였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자연사박물관 전시의 사회과학적 학습 자료 잠재성을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사회과학적 소재로서 적용 가능한 지진' 학습의 과학탐구공동체 구현을 위해, 첫째 미국 뉴욕시의 미국 자연사박물관과 워싱턴 D.C.의 스미소니언 미국국립자연사박물관의 지진 관련 전시물과 지구과학 교육과정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둘째, 두 박물관의 관계자와 인터뷰하여 이와 관련한 박물관의 교육적 의도와 노력을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과학탐구공동체 구현을 위한 주제와 관련된 자연사 박물관 전시물의 특징을 탐색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조사한 박물관의 전시는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사회과학적 소재인 '지진'의 다양하고 실제적인 사례와 사건에 관한 풍부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었다. 대상 박물관은 지역적 흥미와 사회과학적 이슈와의 연관성에 초점을 맞추어 박물관의 교육적 목적을 달성하고자 했음을 알았다. 지진이란 주제를 관람객에게 적절하도록 하기 위해 전시특성에 있어 원자료나 상호작용적 매체를 이용하여 살아있는 경험의 전달을 강조되고 있음을 알아내었다.
영재교육에 대한 관심과 대상의 증가로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지만 영재들의 다양한 흥미와 요구에 부합되고 인성측면을 강조할 수 있는 지구과학 영역의 교육활동 자료 개발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교 과학영재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구과학 분야에 대한 능동적 소집단 협력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이 과학영재들의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과학탐구능력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능동적 소집단 협력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학생들의 수업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개발된 능동적 소집단 협력학습 프로그램은 영재들의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학습태도에 있어서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 또한, 능동적 소집단 협력학습은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흥미도와 만족도 및 참여도를 높일 수 있고 정의적영역에도 많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 설명 위주의 수업이 아니라, 학생 중심의 다양한 활동적 수업이 진행되었고 긍정적 상호작용을 위한 급우들과의 토의 및 토론을 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는 능동적 소집단 협력학습을 통하여 다른 학생을 배려하고 서로 조화를 이루며 의견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소집단 구성원 사이의 상호작용을 촉진했기 때문으로 인식된다.
흡혈성 등에류(Diptera: Tabanidae)는 대형가축인 소, 말, 사슴 등에게 직・간접적으로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한국마사회 경기도 원당 경마교육원(36.3ha, 70필 사육)의 흡혈성 등에 방제를 위해 2008년 5월 7일에 마방주변과 초지에 20개의 포집트랩을 설치하였고, 6~9월까지 4개월 동안 총 3회에 걸쳐 포집된 등에류를 조사하였다. 총 18종 2,184개체가 포집되었으며 그 중 흡혈성 등에는 10종 1,692개체였고 비흡혈성 등에는 8종 492개체로 조사되었다. 흡혈성 등에의 월별 포집수는 6월에 9종 1,364개체, 7월에 8종 382개체였다. 월별 우점종은 6월에 얼룩털등에(Tabanus griseinus) 482개체(35.3%), 북방등에(Haematopota tamerlani) 416개체(30.5%)이었으며, 7월에는 북방등에 140개체(42.7%), 얼룩털등에 89개체(27.1%)였다. 트랩의 설치 장소에 따라 포집된 흡혈성 등에는 마방주변이 총 574개체(평균 34.5개체/트랩)이었고, 초지는 총 1,118개체(평균 153개체/트랩)가 포집되었다.
최근 e-Learning의 확산에 따른 고품질 콘텐츠에 대한 요구와 함께 에듀테인먼트의 주요 콘텐츠로서 교육용 게임이 교육 분야에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정보 통신 발달에 따른 학습자 환경의 변화와 게임 이용률 증가에 따른 교육적 대책으로서 교육용 게임의 개발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컴퓨터 교과학습을 위한 새로운 프로그램으로 ‘게임’방식을 도입하여 컴퓨터 교과 학습을 개발함으로써 학습자로 하여금 긍정적인 교육 효과를 창출하고자 한다.
최근 우리 사회의 많은 관심 대상인 청소년 전자게임 중독 현황에 대하여 고찰하고, 이런 게임 중독으로 여러 사회문제를 야기 시켰다. 특히 우리 사회에서 거의 모든 청소년들은 게임을 즐기고 있다. (97.8%.게임백서 2006) 특히 한국사회에서 게임에 대한 본질적인 이해 부족으로 ‘청소년 게임 중독’에 대하여 학교나 가정에서 ‘억제’ 중심으로 접근하여 많은 갈등을 초래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청소년 게임중독을 단순한 ‘차단’, ‘억제’ 중심인 ‘수동적’이고 ‘일방적’인 방법을 탈피하여 게임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교육을 통하여 우리의 미래인 청소년들에게 게임 중독에 대하여 ‘능동적’이고, 부모님과 선생님의 ‘상호작용’인 방법을 제안한다. 더욱이 우리사회의 전자게임 대한 인식이 ‘산업적’인 관점에서 탈피 하여 ‘문화적’인 매개로 접근을 제안한다. 전자게임 중독에 대한 예방 교육은 기존의 우리사회에서 전 자게임에 교육은 단순히 ‘게임인력 양성’중심에서 ‘게임 홍익인간 양성’으로 전자게임 에 대한 문화 교육의 제도화를 제안하여, 청소년 게임 중독에 대한 새로운 방안을 모색한다.
최근 구성주의 학습이론은 교육패러다임의 변화를 이론적으로 대변해 주고 실천적 대안을 제시해 줄 수 있는 교육에 있어서의 포스트모더니즘이라고도 불리며 객관주의에 상대되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정보화 사회의 교육적 패러다임은 학습자 중심이다. 구성주의는 그러한 패러다임과 맥을 같이 함으로써 현재는 컴퓨터이용학습, 게임 기반학습, 교육용게임설계 등에 이론적 배경과 그 실천적 방안을 제시해주는 학습이론으로써 각광을 받고 있어 재미와 함께 교육성을 강조하는 교육용게임디자인연구에서도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구성주의 학습 이론을 고찰하고 사례를 살펴 결론적으로 시사점을 정리하여 체계적이고 교육성 있는 교육용 게임 디자인 연구 및 기획에 참고가 되고자 한다.
대부분의 게임인력을 위한 교육과정은 직무를 중심으로 설계 및 운영되고 있는데 이것을 게임 산업 내 인력 구조가 전문화되어 있는 특성을 반영한 교육 형태이다. 이러한 교육적 특성과 더불어 급변하는 환경 변화로 인해 게임 산업도 전문 인력을 통한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다양한 직무 분야를 수행할 수 있는 인력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직무별 주요 업무를 세분화한 후 업무 특성 및 내용과 관련된 기존 교육과정을 조사하고 비교하여, 신규 교육과정을 설계하기 위한 방안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기존의 직무 중심의 교육과정에서 탈피하여 전문화된 교육과정을 업무 중심으로 설계하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으므로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인력을 효과적으로 교육하고 양성하는데 이바지 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