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presents investigation study on the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ystem for the over-pass bridge connected to the passanger terminal of Inchoen International Airport. The bridge structure designed very conseratively was found to be structurally safe and well-operating based on the measured records over the last 10 years. However, the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ystem is recommended to be investigated again in a regular basis of every 2~3 years to ensure reliability of measurements.
In this paper, we suggest the new floating type photovoltaic energy generation system, which is improved the structural and economical efficiency, compared with the system developed in the previous research. The structural system in new floating type photovoltaic energy generation system reveals better in structural performance.
In this study, we conducted Life-Cycle Reliability Analysis Classified by Structure Movements in Removal PSC Beam Bridge. in short, we secured experimental values of bridge design factor and perform a detailed behavior analysis of structure system. finally, we could accomplish an Life-Cycle Reliability Analysis with considering of an environmental factor and variability of loading.
We defined limit state function by statistical method (Response Surface Method, RSM) and calculated confidence indicator and Probability of Failure using reliability interpretation technique(FORM). eventually, we could compute Performance Profile and compare deterioration form according to time history by structure movements.
To contribute to efficient and safe inspection and maintenance of underwater facilities by identifying the damage status of underwater parts through collecting and analyzing local and overseas data. The carrying out actual underwater surveys to perform characteristics analysis and evaluation on the underwater facilities and present a Application Method of 3-D side scan sonar for Assessment of Underwater Structures.
This paper presents a subspace system identification algorithm for time-invariant structural system. System matrices are estimated from input-output data. The main computational tools are the LQ and the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in subspace system identification. The accuracy and stability of estimated system matrices are influenced by the parameters of Hankel matrix. For stable SI, the optimal parameters of Hankel matrix are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computational cost and the accuracy of system matrix.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presenting a rational procedure of assessing target reliability level of nuclear containment. The target reliability level can be obtained by considering LCC(Life Cycle Cost) of damage and operation. The LCC evaluation results in the different environmental situations. It is verified that this deviation of LCC can be adjusted by selecting the proper initial target reliability. In addition, slight increase of initial target reliability for the nuclear containment aiming a longer service life, therefore, the total expected loss during the extended service years can be maintained in the same level as the total loss expected in the 20-year service life for the existing containment structures.
Shear panel steel damper has been widely used as seismic energy absorption device because it is economical and effective. It dissipates seismic energy by plastic deformation and fatigue resistant around welded part. However, due to early deformation of the panel under cyclic loading, the resisting strength decreases, so that the resisting capacity of the panel needs to be increased. In this paper, to investigate the improved damper called advanced shear panel damper (ASPD), both plastic deformation and resisting capacity was carried out non-linear FEA. In addition, the analysis result was compared with static loading test for verification.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study the adsorption and desorption characteristics of acetone vapor and toluene vapor from adsorption tower in the VOCs recovery device. The six kinds of activated carbon with different pore structures were used and the adsorption and desorption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according to pore structure, desorption temperature, and adsorption method, respectively. Adsorption capacity of acetone vapor and toluene vapor by batch method was higher than that by dynamic method. Especially, activated carbon with medium-sized or large pores had more difference in adsorption capacity according to adsorption methods as a result of gradually condensation of vapors on relatively mesopore and large pores. Activated carbons with relatively large pores and relatively small saturated adsorption capacity had excellent desorption ability.
본 연구는 총 50개의 SSR primer를 이용하여 색소옥수수(색소종실 옥수수 12계통, 색소찰 옥수수 12계통) 및 비색소옥수수(종실옥수수 2계통, 찰옥수수 5계통) 계통들에 대하여 유전적 다양성, 계통유연관계 및 집단구조를 분석하였다.1. 그 결과 50 개의 SSR primer들은 색소 및 비색소옥수수 31계통들에서 총 282개의 대립단편을 증폭시켰으며, SSR primer들에서 증폭된 대립단편의 수는 최소 2개에서부터 최대 11개까지의 범위로 나타나 평균 5.64개가 증폭되었다. MAF(major allele frequency)는 0.23(bnlg279)에서 0.90(umc2338)의 범위로 나타나, SSR primer 당 평균 0.45개로 나타났고, 유전적 다양성(GD)값은 0.17(umc2338)에서 0.86(bnlg279)의 범위로 나타나, SSR primer 당 평균 0.67의 값을 나타내었다. 2. 31개의 색소 및 비색소옥수수 계통들의 집단구조를 분석한 결과, 이들 옥수수 계통들은 Groups I, II, III, IV, V, admixed로 구분되었다. Group I은 찰옥수수 1계통, 색소종실옥수수 1계통, 색소찰옥수수 5계통이 포함되었고, Group II는 찰옥수수 1계통, 색소찰옥수수 3계통이, Group III는 색소종실옥수수 3계통, Group IV는 색소종실옥수수 2계통이, Group V는 종실옥수수 2계통, 찰옥수수 2계통, 색소종실옥수수 5계통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리고 admixed group에는 찰옥수수 1계통, 색소종실옥수수 1계통, 색소찰옥수수 4계통 이 포함되어 있었다.3. UPGMA법에 의한 계통유연관계 분석 결과, 31개의 색소 및 비색소옥수수 계통들은 유전적 유사성 27.4%의 수준에서 크게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졌다. Group I은 10개의 옥수수 계통(종실옥수수 2계통, 찰옥수수 2계통, 색소종실옥수수 6계통)을 포함하고 있었고, Group II는 20개의 옥수수 계통(찰옥수수 3계통, 색소종실옥수수 5계통, 색소찰옥수수 12계통)을, 그리고 Group III은 색소종실옥수수 1계통을 포함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강원도 농업기술원 옥수수시험장에서 색소옥수수 자식계통들에 대한 선발과 품종 육성 연구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 논문에서는 대표적 수치해석에의 균열처리 방법으로 손상모델 기반의 분산균열모델을 체택하여 구조내력을 산정하였다. 또한 전력구 구조물의 실구조 모델링을 위해 3차원 해석방법을 택하였으며 3차원 콘크리트 구성모델로는 현재 3차원 모델중 콘크리트의 다축압축, 인장균열을 효과적으로 모사하는 미소면 모델(Microplane model)을 재료모델로 사용하여 비선형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SFRC의 인장연화곡선을 얻기 위해 역해석법을 사용하였으며, 역해석으로 구한 인장연화곡선이 실험결과와 아주 잘 일치함을 보였다. 하중-균열폭 관계를 입력값으로 사용한 역해석 결과와 하중-CMOD 관계를 사용한 역해석 결과는 서로 잘 일치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 논문에서는 실험으로부터 측정된 균열폭 데이터와 수치해석시의 손상지수와의 관계를 도출하여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향후 균열탐사를 통한 구조물의 잔존 구조내력 산정에 적용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the physical structure and characteristic of Gudle-jang Paddy-field in Cheongsando. On the basis of this study, the potential value and the assignment for the preservation of Gudle-jang Paddy-field were suggested. Gudle-jang Paddy-field is centrally distributed to Cheongsando and has various features as follows. First, it has the Ondol structure which is used Gudle-jang. Second, it has an irrigation canal which has functions of the tank and the prevention of cold-weather damage as well as the irrigation and drainage canal. The values of Gudle-jang Paddy-field are as follows; 1) It is the peculiar and inherent agricultural structure which is only found in Cheongsando. 2) It is the structure that the agricultural civil engineering and the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technique of traditional methode are applied. 3) It has the worths of the traditional culture of Korea. 4) It is the important resource creating superb rural landscape of the region. In spite of these values of Gudle-jang Paddy-field, there were little efforts to preserve it. From now on, it is needed to form of sympathy about the value of Gudle-jang Paddy-field and to make efforts for preservation of it. Also the institutional and political strategy should be provided to preserve and manage Gudle-jang Paddy-field.
혈액 정소 장벽은 정소내에 있는 세정관과 Sertoli cell 사이에 존재하는 물리적 장벽이고, 혈액 부정소 장벽은 부정소 내의 상피세포간의 밀착결합에 의한 장벽이다. 이러한 혈액 정소 장벽과 혈액 부정소 장벽은 내강과 외부 사이의 물질수송에 관여하는 역할을 한다. 정소와 부정소에서는 정자의 형성과 성숙이 일어나기 때문에 이러한 장벽을 통한 물질수송의 조절은 정자의 형성과 성숙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Lipopolysaccharide(LPS)를 투여하여 전신성 염증반응을 일으킴으로서 염증반응에 의한 혈액정소장벽과 혈액부정소장벽의 분자적인 변화와 확산장벽기능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생후 8주령 생쥐에 LPS와 식염수를 각각 투여 후 24시간 뒤 정소 및 부정소를 적출하여 무게측정 뒤 정량적 realtime RT-PCR 방법을 통해 혈액정소장벽과 혈액부정소 장벽 현성에 관여하는 밀착결합 유전자(CAR, Claudins, JAMs, Occludin, Tricellulin, ZO-1) mRNA와 단백질 발현을 분석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적출한 정소와 부정소의 무게를 측정하여 평균을 낸 결과, 무게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염증반응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TNF-α, IL-1β, IL-5, IL-18의 mRNA를 realtime RT-PCR로 분석한 결과, TNF-α와 IL-5의 발현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정소에서 밀착결합 유전자의 realtime RT-PCR 결과, Cldn 1, 2, 4 mRNA의 발현은 대조군보다 LPS를 복강주사한 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JAM3 mRNA 발현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Occludin과 ZO-1 mRNA 발현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CAR의 경우, isoform 중 Exon 7번이 마지막인 long form의 mRNA 발현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Tricellulin의 경우, isoform 중 long form과 mid form의 mRNA 발현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부정소에서는 Claudin 유전자와 JAM 유전자중 대부분이 증가하는 양상을 띄었고, 그 중 Cldn5와 JAM2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부위별로 나눠 유전자 발현을 분석한 결과, 차이를 나타내는 유전자도 있었다. Cldn5 mRNA의 발현은 전체적으로는 유의적으로 증가했으나 부정소 미부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LPS투여군이 대조군보다 밀착결합 유전자 대부분에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고 일부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면역조직화학법으로 염색한 결과, Cldn1, 4, JAM3, Tricellulin의 경우 발색정도가 증가하였고, CAR의 경우 감소하였다. Biotin tracer를 통해 BTB의 투과성을 확인해본 결과, 대조군에서는 BTB에 막혀서 Sertoli cell 사이로 통과하지 못하였으나, LPS를 투여한 군에서는 BTB를 통과하여 감수분열 중인 정모세포 부근까지 확산되었다. 따라서 정소와 부정소에서 염증반응이 일어나게 되면 혈액정소장벽과 혈액부정 소장벽을 형성하는 밀착결합의 분자적 구조 변화를 초래하고, 이는 확산장벽의 변화시킴으로서 정자 형성과 성숙에 영향을 주어 남성 생식기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