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orrelation between attitud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PSM) and practice of PSM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also identified how these factors attitude and practice of PSM influence on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eventually aimed to develop education programs to strengthen practice of PSM in nursing students. A descriptive design was used in the study. The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for the study to prove the factors how the attitude and practice of PSM were affected to the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The study subjects were 226 nursing students. The results show that attitude of PSM mean was 3.71, practice of PSM mean 3.97, the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mean 3.31.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tisfaction of major(F=5.10, p=.001), the existence of role model(t=2.64, p=.009).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ttitude of PSM, practice of PSM and the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Practice of PSM(β=.39) was shown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affect on the Satisfaction on clinical practice, also the explanation power of value for this study was found 41.1%. Consequently, this study indicates to develop the education program to strengthen practice of PSM. Also process the additional study for the nursing students in other areas.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simulation-based asthma pediatric care among nursing students. Methods: One group post design was utilized. A total of 148 nursing students were recruited as participa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22to June10, 2016. Seven hours of simulation-based asthma pediatric care was conducted. Results: The total mean knowledge score for asthma pediatric care was 3.8, and simulation-based performance score was 8.0. In simulation-based performance, the highest mean score was 2.4 for “oxygenation” category and the lowest mean score was 1.5 for “nursing recording.”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clinical performance using simulation for the upper, middle, and lower groups according to the theoretical knowledge level. Additionally,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theoretical knowledge score and simulation-based clinical performance score.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simulation-based care involving various scenarios and integrated evaluation tools for clinical nursing performance are required to improve asthma pediatric care among nursing students.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눈 피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대학생의 눈피로도를 분석하여 눈 피로도 감소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270명을 대상으로 눈 피로를 평가 설문을 하였고, 맥모니설문으로 건 성안증후군의 유무를 확인하여 한 통계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눈 피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독서 시간(p=0.00), 독서 거리(p=0.05), 독서 자세(p=0.00), TV 시청 거리(p=0.01), 컴퓨터 사용 시간(p=0.01), 스마트폰 사용 시간(p=0.00)이 유의한 결과로 나타났으며 건성안증후군이 있는 사람과 눈 피로도와의 관계도 유의하게 나타났다(p=0.00). 결론: 독서 시간, 컴퓨터 및 스마트폰의 사용 시간, 독서 거리와 독서 자세가 눈 피로도에 영향을 미치고, 눈 피로도가 높을수록 건성안증후군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에 대학생들의 눈 피로도 감소를 위한 적정한 멀티미디어의 사용시간과 거리 및 독서 자세에 관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목적: 대학생 소비자의 안경구매행태와 소비가치가 소비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기 위하여 인구 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안경구매행태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소비가치가 대학생 소비자의 소비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한다. 방법: 본 연구대상의 표본은 2017년 6월 1일부터 6월 15일까지 익산 소재 대학교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직접 설문방식으로 조사하였고, 총 32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응답이 누락되어 분석에서 제외한 17부를 제외하고 최종 302부를 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카이스퀘어 검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조사대상자의 안경구매행태를 살펴보면, 평균안경교체주기는 ‘1년 이상 2년 미만’이 32.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안경교체이유는 ‘도수 변화’가 39.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안경선택에 영향을 주는 사람 은 ‘나 자신’이 70.2%로 가장 높았다. 안경구매 시 가장 중요한 선택요인은 ‘디자인’이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 한 경우가 52.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안경구매행태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 성보다 남성이, 소득이 많은 사람이, 안경을 착용한지 얼마 되지 않은 대학생들이 더 안경교체를 쉽게 결정 하였다. 남성의 안경교체이유는 ‘안경파손’, ‘렌즈흠집’, ‘유행 뒤처짐’ 순이었으나 여성은 ‘도수 변화’가 51.9%로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안경착용기간이 ‘10년이상’인 집단은 ‘도수 변화’ 비율이 48.8%로 다른 집단에 비해 높았다. 소득수준이 높은 집단이 소득수준이 낮은 집단보다 안경선택이유로 디자인을 최우선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소득수준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안경선택이유로 가격을 최우선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본 연구에서 조사대상자인 대학생들에게 안경구매는 미래보다는 현재에 가치를 둔 소비로 나타났으 며, 쾌락보다는 실용성에 가치를 둔 소비로 나타났다. 소비가치 중 쾌락적 소비가치 수준이 높을수록 통계적 으로 유의미하게 소비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대학생의 안경구매에 대한 소비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쾌락적 소비가치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컨 텐츠 개발과 서비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research investigated various aspects of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used by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studying Korean. The study focused on four language skills, pronunciation, and vocabular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322 participants, Korean learners both in Korea and in other countries. It examined the usage of learning strategies used by the learners including the following variables: gender, experiences of living in Korea, first languages, and the countries Korean was learned. The quantitative data from the survey were analyzed by univariate ANOVAs to find out which skill is significant among the variables an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greatest frequency of learning strategies appeared in the order of listening, pronunciation, writing, speaking, vocabulary, and reading. Listening skill showed the most varied learning strategies. 2) The analysis of learn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e variables with respect to the language skills revealed that gender influenced listening, the experience of the target country influenced reading, and the first language influenced writing.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further research suggestions are discus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some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nslation of Chinese idiomatic expressions. The paper uses an intermediate-level Chinese conversational textbook titled New Speaking Chinese. The data consist of 90 Chinese idiomatic expressions. Whether a Chinese expression is replaced with a Korean idiom, Chinese idioms can be classified into the two major types: 1) mutable idioms, and 2) immutable idioms. Then mutable idioms are further divided into two subtypes: 1A) identical/similar images, and 1B) substitutional images. Likewise, immutable idioms can be divided into two subtypes: 2A) idioms with general explanations requiring no ethnic information about China, and 2B) idioms with special explanations requiring special background knowledge about Chinese cultures and history. The results show that type 1 is only responsible for 39% of all the Korean translations. Type 2 is responsible for 61% of the translations. For further analysis, type 2A has been most frequently used, with 55% of all data, and type 2B has been least used, with 6% only, but draws particular attentions of translators. For the other two types, there were type 1A with 26% and type 1B with 13%, respectively. Pedagogical skills for appropriate translation of Chinese idioms along with classroom activities are suggested.
Notre travail a pour objectif l'amélioration des conditions d'enseignement-apprentissage du FLE (Français Langue Etrangère) comme matière optionnelle en contexte universitaire coréen, mettant l'accent sur l'importance des interactions entre apprenants. Nous postulons que l'usage des dispositifs numériques donnent des pistes intéressantes afin de résoudre des obstacles auxquels les étudiants se confrontent lors de leur apprentissage du français en présentiel. Nous montrons d'abord l'évolution de la méthodologie des langues étrangères en fonction de celle du paradigme de l'éducation. Nous allons ensuite tenter de définir le dispositif numérique pour l'enseignementapprentissage des langues et de présenter quelques exemples d'utilisation en milieu universitaire. Afin de mieux comprendre l'état actuel du champ pédagogique pratique, nous avons mené une enquête sur les besoins concrets des apprenants pour l'apprentissage du français favorable et satisfaisant à leur guise. 100 étudiants de deux universités différentes qui suivent le cours de français comme matière optionnelle ont participé à cette enquête. Ce travail précise ainsi l'intérêt de l'usage des dispositifs numériques dans le but de développer différentes compétences dont les apprenants ont besoin pour être “acteurs sociaux” dans une perspective actionnell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affecting problematic drinking amongst the male university students of the Changwon area (n=367).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and undertook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survey. Based on the AUDIT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guidelines, problematic drinking were rated as ‘no problem’ (28.8%), ‘at-risk drinking’ (41.7%), and ‘alcohol abuse’ (29.5%). Our study revealed that students living alone, indulged in more club activities, and drank more than 3 cans of carbonated drinks a day; this was significantly high on the AUDIT score (p<0.05). Participation in educ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but intention to reduce the monthly alcohol consumption was significantly lower (p<0.001) in the alcohol abuse group. Recognition level of drinking cultures, drinking habits, AUDIT, and nicotine dependenc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lcohol abuse group (p<0.001). Recognition level of drinking cultures and nicotine dependence by the FTND (Fagerstrom Test for Nicotine Dependenc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oblematic drinking, whereas dietary guidelines and self-esteem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roblematic drinking (p<0.05). Based on the results of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s affecting problematic drinking were recognition level of drinking cultures (β=0.47, p<0.001) and nicotine dependence (β=0.23, p<0.001). We conclude that implementation of health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would aid in rectifying the incorrect perception of drinking. Furthermore, both drinking and smoking should be considered simultaneously.
This paper presents a study on motivating and demotivating factors in learning Kore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learning motivation and demotiva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Singapore taking Korean as unrestricted elective, and investigate what differences exist in the motivating and demotivating factors based on their Korean levels. Through the analysis of surveys on university students in Singapore, it was found that their major motivating factors were the travel orientation and the cultural interest. These motivating factors did not show any difference depending on the Korean levels. The major demotivating factors of Korean learners were the evaluation factor and the language factor. By interpreting open-ended responses, the competition factor was found as a demotivating factor. In addition, the competition factor and the language factor showed differences between the first level and the second level and above. This study suggests to motivate Korean learners by applying the major motivating factors to a class and weakening the major demotivating factors.
본 연구의 목적은 만학도로서 대학생활에서의 삶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탐색해 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경기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3∼4년제 재학생 6명으로 58세∼65세 연령의 만학도들이며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논 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활의 어려움]에 관한 주제군에서 <학과 수업에 대한 걱정>, <인간관계에서의 갈등>, <실습지 선정 및 실습의 두려움> 으로 주제가 분류되었다. 둘째, [대 학생활의 삶의 의미]에 관한 주제군에서 <자신감 향상>, <자아실현>, <비전제시>로 주제가 분류되었다. 만학도들은 공부를 못했다는 한(恨)에서 시작하는 학생이 대부분이었지만, 대학생활을 통해 자아실현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함께 공부를 하고 있는 학생들에게 귀감이 되고 있다는 것도 함께 발견할 수 있었다. 하지만 만학도들이 대학생활에 잘 적응하고 졸업 후 사회에 나와서 도 전공한 것을 사용할 수 있도록 이들을 지원할 수 있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이나 매뉴얼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보육관련학과에 재학 중인 만학도들의 대학생활 지원방안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목적 : 본 연구는 국내 작업치료(학)과 대학생의 진로선택에 대한 현황을 알아보고 일반적 현황에 따른 진 로성숙도와 진로불안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작업치료(학)과가 개설된 4년제 대학 7개 학교, 3년제 대학 7개 학교의 총 2,18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을 실시하였고 1,590명의 응답을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결과 : 전공 선택요인을 분석한 결과, 70.0%가 넘는 응답자가 입학 전 장애인관련 기관에서 봉사경험이 있 었고 가족 중 보건직종사자가 있는 경우도 60.0%에 달했다. 학과선택계기는 추천보다는 스스로 선택한 경우가 조금 더 높았으며 정보는 인터넷으로 습득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관심치료 연령군은 소아가 913명이 응답하여 가장 높았고 관심 치료 분야는 감각통합치료 빈도가 가장 높았다. 학생들의 졸업 후 또는 십년 후 희망 취업지 모두 의료기관 취업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응답자 중에 종합병원의 선호도 가 61.1%로 가장 높았다. 국시불안은 5점 만점에 평균 4.29으로 높은 편이었고 진로확신은 입학 시 평 균 4.34(5점 만점)에서 현재는 평균 4.15로 감소하였다. 그리고 진학확신수준에 따라 진로성숙도는 유 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진로확신 수준이 높은 경우 진로불안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마 지막으로 진로성숙도와 진로불안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최근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진로선택 현황, 진로성숙 및 진로불안의 경향에 대한 본 연구의 결과 는 향후 실제적이고 효과적인 교육환경 개선과 학생 지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dieser Arbeit wurde versucht, die Perzeption der Studenten von dem Kulturlernen im Fremdsprachenunterricht(FU) zu erfassen und über Ausrichtung des Unterrichts für Kulturlernen inklusive Literacies zu diskutieren. Dabei ging ich davon aus, dass der Kulturunterricht an den koreanischen Hochschulen sogennate Multiliteracies einschließen sollen. Dazu habe ich Studenten befragt, um ihre Perzeption von Literacices beim Kulturunterricht zu erfassen. Davor habe ich ein paar Terminologie wie Literacies, Cultural Literacy, Intercultural Literacy, Critical Literacy, und Information Literacy neu definert. Nach der Analyse der Umfragenresultat habe ich die Aufsätze von den Unterrichtsführungen des Intercultural Literacy und Critical Literacy untersucht. Die Analyse hat es gezeigt, dass die meisten koreanischen Studenten Kulturelernen im FU als wichtig fanden. Dagegen glaubten die ähnlichen Zahl der Studenten, dass Critical Literacy im Kulturlernen weniger nötig als andere Literacies war. Das hängt von dem Schulsystem von Korea, weil Lernerinnen in der Schule Kritik nicht so einfach üben könnten. Daher soll man im Kulturlernen an den Hochschulen Critical Literacy behandeln. Außerdem soll man beim Kulturlernen Schwerpunkt an das Interculral Literacy legen, um Studentinnen bei der Vorbereitung auf die globale Welt zu helfen. Die Arbeit hat auf der Grundlage der vorherigen Untersuchungen darüber diskutiert, wie man Intercultural Litarcy und Critical Literacy ins Kulturlernen einführen kann.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인권감수성 수준을 알아보고 변인 간 인권감수성의 차이 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추후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의 인권관련 직업 윤리 교과과정 개발 및 인권 행동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편의표집에 의해 선정한 전국의 작업치료학과에 재학 중인 작업치료학 전공 대학 생들로 일반적 특성과 인권감수성 에피소드 10개로 구성된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포·수거하여 최종 자 료 분석에 408부를 사용하였다. 결과 : 인권감수성은 전체평균 60.60±26.72점 이었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인권감 수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인권관련 교육의 경험이 있는 경우 경험이 없는 학생들보다 인권감수성이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에피소드 별로는 이주 노동자의 정당한 노동의 권리에 대한 항목의 감수성이 가장 높았고 구금으로부터의 자유권 항목의 감수성이 가장 낮았으며 이는 학년 간 차이가 있었다. 하위요인별 인권감수성 차이의 결과, 모든 학년에서 상황지각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년별로는 상황지각은 2학년이, 결과지각과 책임지각은 3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 : 작업치료학 전공학생들은 학년이 올라가면서 자신과 타인에게 미칠 결과에 대한 부분을 고려하고 타 인을 인식하는 능력인 결과지각, 인권과 관련된 행동에 책임을 지고 실제 행동으로 실천하고자 하는 책 임지각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교육과정 내 인권의식과 인권 행동이 향상 될 수 있는 내용이 강화되도록 하고, 교육 및 임상에서 작업공정성을 높이기 위한 작업치료실천 관련 논 의가 필요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Korean college students’ syntactic development, especially the order of acquisition in terms of the types of the sentences and clauses written in English essays. Eighty-six Korean fe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research method, the students wrote English essays with the given topic through the test web site. The essays were scored on a scale of one to six., and then were divided into three proficiency groups. After that, the students’ essays were analyzed and counted by types of sentences/clauses and frequency: simple/compound/complex sentences and nominal/adverbial/adjective clauses. The finding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different types of clauses by students’ English level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mount of sentences/clauses based on the level of English proficiency was quite different. In particula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use of the complex sentences and subordinate clauses by levels. In addition, the use of adjective (relative) clauses was prominent only in the advanced level. Teaching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nd future research suggestions were made at the end of the paper.
기독교대학들이 기독교 정체성 유지·제고의 문제로 난항중이다. 필자는 기독교대학에서 교양필수 과목으로 성경을 가르치는데, 80% 안팎의 비기독교인 학생들을 상대로 ‘선교적 해석학’의 틀로 성경에 접근하는 방식으로 가르친 결과, 대다수의 기독교인/비기독교인 학생 들에게 비교적 긍정적 반응을 얻어냈다. 긍정적 반응으로서 그리스도인 의 경우는 교회에서 들었던 성경의 파편적 내용들을 하나의 맥으로 관통해서 보게 되어 좋았다는 평가가 가장 많았다. 비기독교인의 경우 는 성경을 처음 접하는데도 지루하지 않고 기억에 잘 남았으며, 기독교 인들을 좀 더 이해하게 되었다는 언급이 가장 많았다. 또 종교에 상관없 이 많은 수강생들이 ‘선교적 해석학’을 통해 성경을 이야기로, 메타내러 티브로 이해하게 됨으로써 성경의 거대서사 안에서 자신의 자리를 발견하게 되었다고 피력하였다. 이것이 바로 메타내러티브로서 성경의 기능이다.
본 논문은 명상에 기반 한 습관개선 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정서, 알아차림 및 습관개 선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습관개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연구하 였다.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12주간의 아침명상 프로그램과 습관개선 프로그램 운영을 통 한 연구결과, 습관개선 프로그램은 연구 참여자들의 정서적 안정감 및 평온함에 긍정적 인 효과가 있었고, 알아차림 정도를 향상시켰으며, 습관개선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아울러 습관개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명상 을 통한 알아차림 능력 향상, 습관에 관한 체계적인 교육, 습관알아차림일지 작성을 통한 습관의 종합분석이라는 요인 들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실무적으로 습관개선 프로그램을 대학생들의 습관개선에 유 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고, 명상의 효과를 일상생활 속에서 습관개선이라는 실질적 체험을 통하여 체득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매우 큰 의의가 있다. 또한 향후 좀 더 보완하여 대학생 이외의 일반인들의 습관개선 프로그램으로도 고려해 볼 수 있고, 각종 중독치료 프로그램으로도 확대하여 시행하는 데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 대된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탐색효능감, 적응유연성신념, 취업준비행동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남녀 성별에 따라 직업탐색효능감과 적응유연성신념, 취업준비행동 수준의 차이가 있는지, 진로탐색효능감과 취업준비행동간의 관계에서 적응유연성 신념의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 수원지역의 대학생 271명으로, 남자 91명, 여자 180명이었다.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직업탐색효능감과 적응유연성신념, 취업준비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SPSS 20.0을 사용하여 Cronbach's α, t-검증, Pearson의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SPSS macro프로그램 PROCESS에서 Bootsrapping 방법을 통해 간접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탐색효능감, 적응유연성신념, 취업준비행동간에 서로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둘째, 성별에 따라 진로탐색효능감, 적응유연성신념, 취업준비행동 수준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적응유연성신념은 진로탐색효능감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