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사례중심대학의 보육교사 양성과정별(유아교육과, 사회복지과, 언어재활과)로 진입동기와 전문성 등 교직관의 차이를 알아보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보육교사양성과정별로 보육교사직을 지원하는 동기와 재학생들이 생각하는 보육교사직을 질문내용으로 하여 의견을 수집하였다. 또한 이를 위한 분석방법으로 빈도분석, 백분율, 독립2표본, t-검증, One-way ANOVA, Turkey 사후분석 등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전문대학의 수업특성을 반영한 강의평가 문항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문항개발은 일련의 사전작업을 거쳐 전문가집단 의견조사를 기반으로 하는 델파이조사를 주요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강의평가 문항은 이론․강의식 수업용 문항과 실습․실기식 수업용 문항으로 자기평가 항목(3문항), 수업만족도 평가항목(8문항), 수업특성별 항목(3문항) 자유기술 항목(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과정이 가지는 의의는 대학 수업의 주체인 교원들의 의견을 반영할 기회를 마련하고자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고, 연구결과발표를 통한 의견 수렴 등의 과정을 통해 도출된 안이라는 점을 들 수 있다. 아울러 대학 수업의 특성을 반영하여 수업방법에 따른 강의평가 문항개발을 시도하였다는 점도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향후, 학생들의 응답특성 및 유형에 따른 강의평가 결과 활용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요구되며, 그보다 앞서 운영적 측면에서 볼 때 신뢰로운 제도가 될 수 있도록 운영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도학의 주요 개념인 투영법과 축척에 관한 미국 학부생들의 이해 상태를 조사하였다. 첫째, 투영법 개념을 테스트하는 인터뷰에서 지도학의 비전문가인 학생들은 두 지점 사이의 대권항로가 지도상에서 직선으로 나타나지 않는 이유에 대해 항공 교통 통제 및 비행기 충돌방지, 높은 산과 같은 장애물 회피, 환승, 코리올리의 힘 때문이라는 네 가지 유형의 반응을 보였다. 본 조사에 참여한 학생들은 투영법에 따른 대권항로의 다양한 표현 형태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였다. 둘째, 축척에 대해서는 기존 연구에서 널리 알려진 대축척, 소축척 개념의 혼동이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오해였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대축척 지도에서 사용된 ‘대’자라는 용어 때문에 대축척 지도가 넓은 지역을 표현한 지도라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축척이라는 개념 자체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는 학생들도 있었다. 이 연구는 투영법과 축척이라는 두 가지의 중요한 지도학적 개념에 대해 학생들의 이해 상태를 실증적으로 조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 연구 결과는 추후 지도 관련 정보 디자인이나 효과적인 지리교육 전략 개발 등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ating patterns, nutrient intakes, blood levels, and health status of 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BMI). In this study, we classified subjects into normal weight (n=240), under weight (n=11), and obese (n=46) groups according to BMI. The weight and BMI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bese group compared to other groups (p<0.0001). The obesity was associated with overeating and frequent eating. The under weight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onsumption of fast food, snacks, and fried foods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p<0.05). The intakes of milk, meat, fish, eggs, and fried food and preference ratios were higher in the obese group (p<0.05). The male college students in this study showed insufficient intakes of calories, vitamin C, folic acid, and calcium. The plasma LDL-cholesterol levels in the obese group were higher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In conclusion, intake of nutrients among male college students is found to be insufficient and requires nutritional education. The under weight group showed regular eating habits and increased nutrient intake. The obese group was shown to need more exercise with higher intakes of vegetables and fruits.
The study analyzes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ESP) needs of law school students and lawyers for developing English for Legal Purposes(ELP) courses in Korea. In order to investigate pedagogic needs of the learners and target needs of the domain experts, 74 law school students and 50 lawyers who were in charge of legal cases were interviewed and surveyed. The content of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pedagogic and target needs about lawyer's tasks and open questions and comments about English education for law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learners' main need for studying English is conducting legal research and in communicating with others. The results of the language function analysis indicated that understanding legal terminology, reviewing provisions of law, writing a legal memo, legal translation, evaluating information to determine compliance with standards are considered important. The results also showed the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ranking of function and type of language skills between the learner group and the domain expert group.
Heating and air conditioning system is changing rapidly from the traditional HVAC central supply system to the individual supply system with electrical heat pump system (EHP) in Korean school buildings. The individual supply system has advantages to turn on and off individually and to adjust the thermal comfort separately, but energy is wasted in the unoccupied classroom when the last leaving occupant does not turn off the controller. If the controller is to be off automatically while the classroom is not in use, energy consumption would decrease dramatically. This project aims to cease the unnecessary EHP supply in vacant classroom by inputting the class schedule from the central control room to reduce the energy-spending. Experimental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between the controlled classroom that is turned off when not in use and the uncontrolled room that is turned on continually. Occupant's comfort and energy consumption were measured and compared between the controlled case and the uncontrolled case. The energy consumption of controlled classroom case is 30-60% less than that of the uncontrolled classroom case. This result shows that controlling the cooling supply for the unoccupied classroom using the class schedule can decrease the energy consumption remarkably. This supply control system can be used to conserve energy in school structures like universities.
지방자치단체들은 지역축제를 통한 새로운 수익창출 모델 및 홍보를 위하여 자체적인 전담기구 및 추진위원회, 조직위원회 등 많은 기구를 두고 운영 하고 있으며 전문성을 갖춘 이벤트사 및 기획사가 행사를 대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많은 축제들이 관주도형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지방자치단체장들의 선심성 및 선전용으로만 전락되어 축제의 본질을 벗어나는 경우도 있으며 특히 전문가를 확보하지 않는 상태에서 관 주도형 및 일부 몰지각한 회사들의 이익을 위한 축제들도 많이 등장하여 주민들의 혈세로 진행되는 축제의 예산의 낭비를 초래하는 일도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기초가 없는 상태에서이루어지는 일이기 때문에 당연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럼 이 시점에서 제기하고 싶은 것 은 열악한 교육환경이다. 현재 대부분의 4년제 대학교와 일부 전문대학에서는 광고홍보학과에서 축제 이벤트 관련 교육을 일부 다루기는 하나 이벤트 기획을 체계적으로 교육하는 학교가 희박하며, 교육을 할 전문 인력 또한 부재하다. 이벤트 기획 및 실무 교육위주의 교육 프로그램이 절실하며, 대학교와 대학원외 현 이벤트업계 종사자들을 재교육할 전문기관의 설치가 필요한 시점이다. 21세기 첨단 문화산업의 선구자로 우뚝 선 지역축제를 잘 선도하여 전문성 및 독창성을 갖고 각 지자체들의 특색을 잘 살려 관광객들을 많이끌어들여 지방 자립도 확립 및 살기 좋은 고장으로서의 면모를 확실히 갖추어야 할 문제를 전문 교육에서 부터 출발을 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learning flow and problem solving ability by simulation-based fundamentals of nursing practice program depending on the level of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study was a one group pre-post design. This study involved 254 second grade nursing students at T university in D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28th to November 29th in 2013.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percentage,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t-test, ANOVA and post hoc test with using IBM SPSS WIN version 18.0. Resul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learning flow(F=14.328, p <.001) and problem solving ability(F=4.315, p=.01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11.12 score of learning flow and 7.20 score of problem solving ability with answer ‘Low’ by the level of self-efficacy. Conclus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simulation-based fundamentals of nursing practice program improve learning flow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low self-efficacy students. Therefore, it is an effective learning method.
본 논문은 2014년 3월 <한국컴퓨터게임논문지>(제27권, 제1호)에 실린 "디지털 영상매체와 게임 콘텐츠를 활용한 상호문화교육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에 대한 이론적 검토"의 후속 연구이다. 상호문화교육을 위해 디지털 영상매체 중의 하나인 영화를 활용하는 것은 단순히 교수-학습 방법의 다양화에 기여하는데 그치지 않는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문화상대성을 이해시키고 다문화 (또는 상호문화) 감수성을 증진시키는 교육에 상업영화를 적용시키는 것은 독창적이고 통합적인 상호문화교육의 장을 열어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는 문자텍스트에 주로 의존했던 전통교육의 한계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현재 한국사회는 이주노동자, 결혼이민자, 북한이탈주민, 유학생 등과 같은 이질적인 문화구성원들의 유입으로 인해 여러 사회적인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본 논문은 독일과 프랑스의 상업영화를 이용한 대학생용 상호문화교육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용이 다문화사회로 진입단계에 한국사회를 보다 조화로운 사회로 구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이런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학습자에게 즐거움을 줄 뿐만 아니라, 배우려는 인간의 본능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다.
본고는 韓國語를 專攻으로 운영하는 海外의 大學 중 이탈리아대학에서 이루어지는 漢字授業을 위한 漢字敎材의 內容과 構成에 대해 具體的으로 논의한 것이다. 본고의 논의는 세 가지 部分으로 이루어졌다. 첫 번째는 序文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한국어와 관련된 한자의 내용이 다루어졌다. 구체적으로, 韓半島에서의 漢字表記의 歷史, 漢字가 韓國語에 미친 影響 및 韓國語 內에서의 漢字의 位置 및 使用樣相 등을 論議하였다. 이 부분은 특히 非漢字文化圈 한국어 학습자에게는 필요한 교육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두 번째는 교육 대상이 될 한자와 한자어의 선정과 관련된 부분이다. 이를 위해 현재 해외의 대학에서 사용되고 있는 몇몇 韓國語敎材에 제시되어 있는 語彙 중 한자 및 한자어들을 대상으로 하여 네 가지 選定基準(造語力․頻度數․難易度․基礎字)에 따라 한자교재에서 다룰 한자를 選別하였다. 대상이 된 한자들은 다시 系列關係를 이루는 것이나 體系的으로 분류할 수 있는 것으로 묶어서 領域別로 제시되었다. 본고에서는 총 390여개의 한자와 이들 한자가 결합되어 사용되는 한자어 중에서 敎材, 日常生活, 時事的인 分野에서 자주 등장하는 것들을 選別하여 총 1110여개의 한자어를 제시하였다. 세 번째는 교재의 內容과 構成에 대한 부분이다. 이는 細部的으로 本文의 내용과 구성, 읽기의 내용과 구성, 연습의 내용과 구성으로 나누어져 구체적인 예를 통해 살펴보았다.
Black Friday, a biggest holiday shopping season in the United States, has been regarded as a great opportunity that fashion retailers can dramatically increase their sales. However, there has been a lack of attention to consumers' shopping experiences on Black Friday from the consumer persp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onsumer shopping experiences on Black Friday, in terms of consumer responses toward the experiences, shopping values, and any possible factors influencing the experiences. The method of critical incident technique was used with 198 critical incidents extracted from 165 responses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United States. As results, the shopping experiences on Black Friday were categorized into positive vs. negative shopping experiences. After that, the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s were respectively divided into two common themes: utilitarian shopping value vs. hedonic shopping value. In addition to the common themes, 12 categories were also emerged. Among positive experiences, utilitarian shopping experiences includes two categories of off-price shopping and shopping for expensive products, whereas hedonic shopping experiences includes three categories of impulse buying, holiday atmosphere, and shopping for the latest or luxury brand products. Among negative experiences, utilitarian shopping experiences includes four categories of modest discounts, out of stock, time-consuming queues, and fatigue of holiday shopping, while hedonic shopping experiences includes three categories of crowded environments, compulsive buying, and poorly managed stores. In conclusion, it is notable that consumer can undergo negative as well as positive shopping experiences on Black Frida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are also discussed.
Park Hai-kyong & Jeon Ji-hyeon. 2014. Move analyses of English job application letters: A case of Korean college students.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2(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hetorical structure of English job application letters written by Korean college students. College students were asked to write job application letters as an assignment for their Business English class. A move-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obtained college students' application letters. Then, the results were compared to the authentic application letters written by (1) Korean workers who obtained the interview and the job through their application letters and (2) native English-speakers who were in search of jobs in Korea.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no consiste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 statistically. However, the authentic letters from the Korean and the English workers showed similar patterns in move sequence, frequency, and length, which was different from those written by the college students. The Korean college students seemed to use all the moves in their letters, whereas the other two groups seemed to focus more on promoting candidature(Move 5) for the communicative purpose of a job application letter.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an understanding of both the rhetorical patterns and the communicative purpose (i.e., to obtain an interview opportunity in the case of submitting a job application letter) should be emphasized in the genre writing process.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양무용 참가 대학생이 지각한 지도행동과 흥미 및 학습태도의 관계를 규명하여 참가학생들의 흥미를 유도하고 학습효율성을 높이는데 필요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3년 10월 4일부터 30일까지 J지역과 K지역에 소재되어 있는 J대학, P대학, S대학 교양무용참가 대학생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 며 표집방법은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t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였다. 설문지 작성은 자기 평가기입법을 통해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최초 23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료 가 누락되거나 5문항 이상 응답하지 않았고 10문항이상 동일한 응답을 반복한 46부를 제외하여 총 184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교양무용참가 대학생이 지각한 지도행동은 참가 대학생의 흥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양무용참가 대학생의 흥미는 학습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양무용참가 대학생이 지각한 지도행동은 참가 대학생의 학습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설계안은 전라북도 익산시 신용동 344-2번지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 광장에 대한 조경계획 설계안이다. 이 설계안의 목적은 원불교 이념을 기반으로 역사와 전통을 가진 원광대학교의 역사성 및 정체성을 담은 랜드마크적 공간으로 조성함과 동시에 이용도가 낮은 기존의 중앙도서관 광장을 새롭게 디자인하여 그 이용률을 향상시키고자 수행되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세 가지 목표가 설정되었는데, 첫 번째는 지속가능한 옥외공간을 조성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차별화된 오픈스페이스공간을 조성하고 세 번째는 주변토지이용을 반영한 공간을 조성하는 것이다. 먼저 지속가능한 옥외공간을 조성하기 위해서 건축물의 배치 및 동선, 입지환경을 고려하여 공간을 유기적으로 연계시키고 점진적인 성장성을 확보하였다. 차별화된 오픈스페이스공간을 조성하기 위하여 원광대학교의 교조인 봉황의 이미지를 디자인 모티브로 하여 동선과 포장패턴으로 담아내었으며 수덕호와의 연계를 통한 친수공간을 조성하였다. 또한 원불교 이미지 도입을 위해 원불교 교리의 핵심인 일상수행의 요법 9조목을 새겨놓은 열주를 세웠으며 열주에는 뻘삽 모형을 형상화 하였다. 또한 대나무 열매를 먹는 봉황의 전설을 도입하였는데, 대나무를 식재함으로써 봉황이 날아오는 학문적 태평성대를 기원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구체적으로 주변토지이용을 반영한 공간을 조성하기 위해서 광장을 진입, 만남, 휴식 및 이벤트, 수변공간의 4개 공간으로 구분하고 교내이용자들의 행태에 맞는 공간을 창출하여 효율적인 토지이용을 촉진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English vocabulary used in Korea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with the one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s (afterwards CSAT) administered in the years of 2009-2013 by using a concordance program, NLPTools, and to make a list of vocabulary used only in CSAT.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hen compared with Coxhead's (2000) Academic Word List, the 'Basic Words List' shows a conformity rate of 98.78%. Second, in terms of TTR (Type Token Ratio), there is no noticeable difference among the English textbooks. Third, in the respect of TTR, CSATs show higher figures, which means that CSATs' vocabulary is more difficult than that in the English textbooks and that for CSATs, annually each test has shown a gradual increase in the number of valid types. (This shows that more valid types to be learned are needed for the preparation of CSAT. Also the degree of difficulty in CSAT is getting higher.) Lastly, the higher level of the 208 words which occur only in CSATs illustrates that the gap between the vocabulary level of textbooks and that of CSAT needs to be reduced for normalization of public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