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46

        1501.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대학에서 영어를 가르치는 원어민 대학교원들의 직업에 대한 인식 실태 및 직업 만족도 를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총 10개 대학에서 근무하는 44명의 원어민 교원들이 설문 조사에 참여하 였다. 설문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영어 원어민 교원들의 직업 만족도는 비교적 높았다. 그러나 두 집단(기혼집단과 미혼집단) 간의 평균 비교에서는 집단 간의 차이를 보였다. 특히 고용 보장 항목에 서 기혼집단의 평균 점수가 미혼집단의 평균 점수보다 더 낮게 나타났으며,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참여자들을 한국어 능력 수준에 따라 두 집단(초급/상위초급집단과 중급/고급집단)으로 나눈 후, 평균 점수를 비교하였다. 두 집단 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두 집단 모두 자신들의 직업 에 대해 다소 불만족하다는 견해가 있었다. 원어민 교원들은 학교에서 자신의 일에 대해 고마워하거 나 자신들을 존중하지 않는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소속감을 충분히 느끼지 못한다고 밝혔다. 아울 러 직업을 통해 얻는 혜택에서 만족감을 느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 원어민 대학교원들의 직업 만족도를 높이고 대학 영어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그들과의 원활한 소통이 필요하며, 소 속감 및 자존감을 고취시킬 수 있는 장치 마련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1502.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급진적인 다문화사회로의 변화로 인한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간의 다문화적 태도와 다문화교육인식의 차이를 살펴보고, 다문화교육이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의 다문화적 태 도와 다문화교육인식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다문화적 태도 관련 12문항과 다문화교육인식 관련 11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원주시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2016년 12월부터 2017년 1월까지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지 중에서 중학생 183명, 고등학생 249명, 그리고 대학생 221명, 전체 653개의 설문지가 회수되어 분석에 사용되었다. 중학생, 고등학생 그리고 대학생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3의 One-way ANOVA를 실시하였고, 다문화교육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편상상관관계분석을 실시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적 태도의 하위영역 중, ‘열린 자세’와 ‘관계존중’에서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간에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의 순서로 평균 값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교육이 중학생과 고등학생들의 다문화적 태도에 한정적으로 영향 을 미쳤지만 대학생에게는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다문화교육의 하위영역 중, ‘다문화교육 의 필요성 인식’, ‘다문화교육의 필요성’, ‘다문화교육의 목표 인식’, ‘다문화의 이해’, ‘세계화 인식’ 등에서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간에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넷째, 다문화교육이 중학생의 다문화교육인식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고, 고등학생의 다문화인식에는 일부분만 영향을 미쳤다. 그렇지만 다문화교육이 대학생의 다문화교육인식에는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1503.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대학교가 역량기반 교육을 도입하고 운영하는 상황에서 대 학교육의 변화 양상을 이해하고자 대학교수자의 역량기반 수업 운영 경험을 살펴보고자 했다. 근래에는 대학교육에서 학생역량강화를 위해 다양한 수업방식을 적용하는 등 수업 의 질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D대학교의 교수역량강화 사업 ‘역량기반 수업 재설계’에 참여한 교수 1명의 역량기반 수업 운영 경험과 개인적 지식을 내러티브 탐구 방법으로 이해하고 수업 질 개선의 시사점을 알아보고자 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는 기업에서 요구하는 인재는 이론에 충실하고 창의적으로 응용 할 수 있는 사람이며, 이를 양성하는 것이 실질적인 교육이라고 보고 있다. 둘째, 연구 참여자는 학생들의 성실한 학습을 이끌어내는 것이 성공적인 교육의 지름길이라고 보고 있다. 흥미와 재미, 그리고 참여하는 수업을 구상하기 보다는 학생들이 성실하게 학습하 도록 교육의 절차와 엄격한 규율을 강조한다. 셋째, 연구 참여자는 팀워크와 협업능력을 바탕으로 문제해결력을 높이는 수업 설계를 해야 한다고 본다. 넷째, 연구 참여자는 수업 운영의 원칙으로서 학생의 모든 노력을 정당하게 인정하여 평가에 반영하는 것과 학생이 문제를 제출하고 토론을 통해 과제를 하도록 한다. 다섯째, 연구 참여자는 학생들에게 제 공하는 과제를 철저하게 지도하고 완전학습 하도록 수업을 운영한다. 이러한 연구 참여 자의 수업 운영에 대한 신념과 원칙을 볼 때, 수업 운영은 전공학문의 특성, 교수학습 방 법, 교수와 학생과의 관계, 학습문제에 대한 관점, 학습자에 대한 이해, 학습자에게 요구 되는 자세 등과 밀접하게 연관이 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대학교수자의 수업 질 개선을 위해서는 다양한 요소에 대한 반성적 성찰이 필요함을 제언했다.
        1504.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학교 숲을 이용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대학 임직원의 회복탄력성과 행복지수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대학 임직원 대상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예비연구로써, 학교 숲을 이용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기초 자 료를 마련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충청북도 소재 충북대학교 임직원 59명을 대상으로 요구분석을 실시 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실험에 동의 한 실험자 14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실험집단 7명, 통제집단 7명으로 구분하였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2015년 10월 27일부터 11월 17일까지 주 1회기 60분씩 총 4회기의 학교 숲을 이용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대학 임직원의 회복탄력성과 행복지수를 측정하기 위해 신우열 등(2009)이 개발한 회복 탄력성 척도와 서은국과 구재선(2011)이 개발한 단축형 행복척도(COMOSWB: Concise Measure of Subjective Well-being)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숲을 이용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대학 임직원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본 결과, 통제집단은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으나 학교 숲을 이용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회복탄력성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학교 숲을 이용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대학 임직원의 행복지수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본 결과, 통제집단은 유의미한 변화가 없 었으나 학교 숲을 이용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행복지수에서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
        1505.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원예치료는 다양한 학문을 배경으로 사람들의 신체와 심리의 재활과 회복으로 삶의 질 향상을 이루는 것으로(Relf, 2008), 다양한 원예치 료 프로그램을 대상자에 따라 설계하여 치료를 실시하고 평가를 실시한다(Son et al., 2006). 이에 따라 행해지는 다양한 원예치료활동의 경우 선행연구들(Choi, 2003; Son et al., 2006; Oh et al., 2006; Kim, 2007; Lee et al., 2009, Lee et al., 2015)에서 원예활동을 각각 4가지, 5가지, 7가지로 분류하였다. 4가지로 분류한 Lee 등(2004)은 원예활동은 기르기(재배), 꾸미기(장식), 느끼기(감상), 기타로 분류하였으며, 5가지로 분류한 Kim(2007) 은 원예활동을 재배활동, 공예활동, 요리활동, 학습활동, 야외활동의 5개 활동으로 구분하였으며, 가장 많은 분류로 나눈 경우는 Choi(2003)가 실내 식물 기르기, 실외 정원에서 식물기르기, 아트와 크래프트, 그룹활동, 소풍, 요리, 식물과 관련된 공부로 7가지 분류한 것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Choi(2003)의 7가지 분류에 따라 각각 4가지의 활동씩 총 28가지 활동의 원예활동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여 선호도에 따른 원예활동을 조사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원예활동을 분류하고 프로그램 유형별 선호 순위를 알 아보았다. 요인분석의 결과 총 7가지의 요인이 나타났으며, 이는 Choi(2003)가 분류한것과 유사한 결과였음을 알 수 있었으나, 실질적인 요인별 항목 은 예상했던 활동들이 조금씩 다른 항목과 묶여지는것을 알 수 있었다.
        1506.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대학생 및 청년의 게임 및 인터넷 과몰입에 대한 문제가 사회적으로 대두되면서 청소년 뿐만 아니라 대학생 또는 성인들 또한 많은 문 제가 되고 있다. 그중 비교적 스스로 시간을 분배하고 혼자만의 시간이 많은 대학생 또는 20대 초중반의 성인들을 대상자로 정하여 게임 및 인터넷 과몰입에 대한 문제를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개선점과 선호도 및 기대효과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게임 및 인터넷 과몰입 대상 자 선별은 1곳의 pc방 사용시간이 100시간 이상인 대상자로 한국정보화진흥원(스마트 쉼센터)에서 배포한 인터넷중독진단(성인대상) 척 도를 사용하여 15문항 기준 43점 이상으로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에 해당하는 대학생 또는 청년들 총 남녀 14명을 선별 후 실험군 7명, 대조 군 7명으로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실험군은 총 주 1회씩 13회기 약 3 개월 정도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행 후 사전 과 사후에 동일 한 총 6개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대조군은 1회기가 시작될 때 6개 측정도구를 실시하였고 3개월 후 13회기 진행할 때 동일한 측정도구 를 통해 실시하였다. 위와 같이 프로그램을 진행한 실험군과 그렇지 않은 대조군의 차이를 관찰 했으며 그 결과 3개월 후 게임 및 인터넷 과 몰입의 정도가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한 실험군이 그렇지 않은 대조군의 비하여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 라 대학생 및 청년의 게임 및 인터넷 과몰입 대상자가 원예치료를 통해 긍정적인 영향을 얻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명확 하고 객관적인 근거를 기반으로 대상자를 선별하기에 부족함이 있었으며 조금 더 객관적인 근거를 기반으로 대상자를 선별할 수 있는 방법 을 통해 추가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1507.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BTI 성격 유형은 총 16가지 성격 유형으로 사람들의 성격 유형을 구분하며, 세부적으로는 각각의 분류를 나누어 사람들의 성격을 설명 하는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이중 사람들의 심리기능을 나누는 기준으로 MBTI 검사에서 인식과 판단의 심리 방향성을 이용하여 4가지 심 리유형으로 나누고 있다. 원예활동은 식물을 재배하는 활동에서부터 식물을 이용하여 다양한 공예품을 만드는 활동, 실내에서 하는 활동, 실외에서 하는 활동 등 여러 가지 분류로 나뉘어진다(). Jeong(2012)은 이러한 원예에 대한 선호를 MBTI 성격 유형에 따라 분석하기도 하 였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들에게 Choi(2003)가 분류한 원예활동 중 7가지 분류를 기준으로 각 분류별로 4가지 활동을 선정하여 선호도 를 조사하여 학습스타일과 관계가 깊은 심리기능에 따른 선호도차이와 IPA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대상자는 총 223명으로 심리기능별로 는 ST유형(실질적이고 사실적인 유형)이 76명, SF유형(동정적이고 우호적인 유형)이 95명, NT유형(논리적이고 창의적인 유형)이 23명, NF유형(열정적이고 통찰적인 유형)이 29명으로 조사되었다. 심리기능별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원예치료 활동으로는 꽃꽂이, 실내화단꾸 미기, 화분옮겨심기, 허브정원조성, 허브 양초/비누 만들기, 잔디인형 만들기, 함께 나누기 공동작업, 근처 공원으로 소풍, 허브식빵 만들기, 식용 꽃 까나페 만들기였다. 심리기능별 선호하는 활동으로는 ST유형은 정원 산책, 근처 공원으로 소풍, 허브 차 마시기 순으로 나타났고, SF유형은 근처 공원으로 소풍, 정원 산책, 허브 양초/비누 만들기 순위, NT유형은 꽃꽂이, 실내 화단 꾸미기, 옥상텃밭 만들기 순위, NF유 형은 근처 공원으로 소풍, 허브 차 마시기, 정원 산책 순이었다. 연구 결과와 같이 다양한 원예활동이 있지만 심리기능별 선호하는 원예활동 은 조금씩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원예활동을 실시할 때 대상자들의 특성에 맞춘 원예활동을 설계한다면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효과가 증진될 것이라 사료된다.
        1508.
        2017.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에서는 운동에 참여하는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사회심리적 분위기가 스포츠인성에 주는 영향을 규명 했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330명(남자=235명, 여자=95명)의 대학생들이며, 측정도구로는 케어링 질문지, 동기분위기 질문지, 그리고 스포츠인성 질문지가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각 측정도구에 대한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인과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동기 분위기는 스포츠인성의 다섯 개 하위 요인들(공감성, 공정성, 스포츠퍼슨십, 반사회적 태도, 그리고 일치성)에 유의한 영향을 끼쳤다. 구체적으로, 숙달 분위기는 반사회적 태도에 부적인 영향을 주었고 스포츠인성의 다른 네 개의 하위 요인들에는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수행 분위기는 반사회적 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스포츠인성의 다른 하위 요인들에는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케어링 분위기는 스포츠인성의 하위 요인들 중에서 스포츠퍼슨십에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델 적합도 지수 결과, 본 연구 모형은 좋은 모델 적합도를 나타냈다(χ2/df=2.163, TLI=.930, CFI=.943, SRMR=.048, RMSEA=.060). 결론: 본 연구는 사회심리적 분위기의 개념 소개 및 스포츠인성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증명함은 물론 운동에 참여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심리적 분위기와 스포츠인성과 의 인과 모형 관계를 적절하게 제시했다.
        1509.
        201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커뮤니케이션 보드 게임을 활용하여 낙관성 증진 효과를 검 증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낙관성이 자기효능감, 성취감, 성적, 삶의 만족도, 역경 극복 등과 밀 접하게 관련이 있기에 낙관성 증진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기질과 상관없이 낙관성 도 학습될 수 있다는 Seligman(1990)의 연구를 기반으로, 보다 캐주얼한 환경에서 게임을 활용 하여 낙관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실용적인 방안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study1에서는 사전 (t1) 검사 시 낙관주의는 M=–4.7, 그리고 사후(t2) 시기에는 M=12.8점으로 증가하였다 (***p<.001). study2에서는 실험집단(n=21)과 함께 통제집단(n=22)도 설계하였으며, 실험집단은 M=–2.4(t1)에서 M=11.5(t2)로 증가하였으나(***p<.001), 통제집단은 차이가 없었다.
        1510.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University facilities have became aged building because their average was more than 30 years old.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university facility i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tudent academic performance and outcome. Thus, green remodeling is crucial which improves energy performances of university facilities and student outcome. This study analyzes the case of 'H university'. Target of case study applies Green-Remodeling in old university facility for performance improvement. Goal of this study is suggestion for strategies to successfully apply Green-Remodeling to a university facility. This study draws a conclusion from risk analysis of the target case.
        1511.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University facilities have became aged building because their average was more than 30 years old.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university facility i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tudent academic performance and outcome. Thus, green remodeling is crucial which improves energy performances of university facilities and student outcome. This study analyzes the case of 'H university'. Target of case study applies Green-Remodeling in old university facility for performance improvement. Goal of this study is suggestion for strategies to successfully apply Green-Remodeling to a university facility. This study draws a conclusion from risk analysis of the target case.
        1512.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that cause EFL freshman students’ demotivation while learning English in their high school days. Two hundred twenty four freshm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emotivation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affective factor causing demotivation of English learning was teaching methods which were mainly given for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In addition, a grammar-centered lesson was the second most influential demotivational factor. Memorizing vocabularies, phrases, and sentences was also reported as the third most affective demotivational factor. The overall and vocabulary scor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factor 1 (test score, lesson pac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entence difficulty, understanding of teachers' explanation), factor 5 (learning load, low endurance of uncertainty), and factor 6 (memorization ability, regulation of English learning purpose, chance to communicate). Reading scor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factor 1 and factor 6, while listening scores were correlated with factor 1. Some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to design English courses to remotivate students' English learning.
        1513.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인식과 문화적 민감성 수준을 파악하고 두 변수 간의 관 계 및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시도되었다.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인식과 문화적 민감성 은 5점 척도에서 각각 3.63점과 3.56점으로 선행연구와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인식은 다문화 관련 자원봉사 경험이 있거나, 외국인 환자를 돌보거나 간호한 경험이 있는 경우 유의하게 높았다. 문화적 민감성은 종교나 외국인 친구가 있거나, 외국인 환자를 돌보 거나 간호한 경험이 있는 경우 유의하게 높았다.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인식과 문화적 민감 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다문화 인식에 영 향을 미치는 변수는 문화적 지식 습득, 문화적 독특성 수용으로 다문화 인식을 44.2% 설명 한다. 대상자의 문화적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다문화에 대한 수용성, 다양성에 대한 개방성, 다문화에 대한 민감성과 차별성, 외국인환자 간호경험, 종교로서 문화적 민감 성을 30.7% 설명한다.
        1514.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과학・예술교과(프로그램)은 21세기 학계, 산업계를 비롯 국가적으로 그 발전을 권장하는 핵심 분야이다. 우리나라는 현재 세계 10위권의 경제규모를 유지하고 있지만 기존 선진국들의 견제와 중국 등 신흥 국가들의 끊임없는 도전을 통해 그 위치의 유지는 물론 향후 전망 또한 밟지 않은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미래에 충분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새로운 산업 분야를 확보하는 것은 학계, 산업계를 망라하고 전 국가적인 과제로 등장하고 있다. 과학・예술교과(프로그램)은 이런 국가적 난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훌륭한 대안으로 인정되고 있으며 때문에 학계와 산업계는 물론 정부에서도 주요한 분야로 육성발전시키고자 하는 융합 분야이다. 따라서 과학・예술교과(프로그램) 융합교육과 스마트교육은 지식기반인 현대사회에서 각광받고 있는 교육의 새로운 흐름이며,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대학 교양교육의 과학・예술교과(프로그램)은 아주 중요하다. 연구의 방법 및 내용, 범위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교양교육의 과학・예술교과(프로그램) 사례를 국내외적로 분석하고 진단하여 관련 연구동향과 기대효과를 파악하고 예측하기 위하여 관련 선행연구 및 이론적 고찰을 행하며, 둘째, 대학 교양교육의 과학・예술교과(프로그램)에 대한 개별 심층면접(In-deep Interview)을 통한 전문가 집단의 태도연구(FGI)를 실시한다. 또한 결과 분석을 활용하여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정책 제안과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향후의 실증적 자료로 활용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총 설문 대상자 30명의 전문가집단 태도에 관한 SAS 9.3, Chi-square & Fisher's Exact test 설문응답의 기술 통계로써, 신뢰성과 타당성을 갖는 설문조사를 위해서 조사계획, 설문지, 표본추출, 본 조사, 자료입력, 자료 분석 등의 전 과정에서 가장 적절한 통계적 방법을 적용한다. 특히, 과학적이고 창의적인 FGI 설문 설계 및 통계적 분석기법과 신뢰도를 위하여 설문지 문항작성이 본 연구에서 상당히 중요하다고 판단되어 전문가집단 태도에 관한 각 설문문항에 대하여 크론바흐 기법을 이용한 신뢰도의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하여 확인한다. 설문항목은 인지 및 경험, 참여의도, 교과(프로그램)의 주제, 목표, 내용영역, 학문영역, 이수시간, 이수학점, 온.오프라인 교육(시스템) 형태 등이다. 연구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대학 교양교육의 과학・예술 교과(프로그램)에 대한 인지 및 경험, 참여의도, 교과(프로그램)의 주제, 목표, 내용영역, 학문영역, 이수시간, 이수학점, 온.오프라인 교육(시스템) 형태 등 모든 문항에서는 남녀 구분 없이 긍정적인 응답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각 문항 간 신뢰도 또한 높게 나타났다. 문항 간 상관관계 또한 독립적이지 않고 연관이 있음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활성화 정도, 장단점, 한계 등의 설문항목에서는 부정적인 응답이 통계적으로 확인되었고 특히, 정부와 대학 당국의 적극적인 정책개발과 지원에 대한 아쉬움 또한 통계적으로 확인되어 이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1515.
        2016.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95년부터 우리나라는 배출자부담원칙을 적용하여 쓰레기종량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음식물류 폐기물도 생활폐기물과의 혼합배출을 금지하고 2014년부터 종량제 사용을 의무화 하고 있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이 제도는 폐기물의 관리 및 발생억제를 위해 어느 정도 잘 추진되고 있다고 할 수 있으나, 최근 들어 타지역에서 온 사람들이 모여 형성된 자취촌에서는 쓰레기 배출로 인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대표적인 곳이 대학교 원룸촌이라 할 수 있다. 대학교 원룸촌의 주거인은 대부분 학생으로, 대학교에 입학하기 전까지는 부모님과 함께 생활하였기 때문에 정확하게 쓰레기를 배출하는 방법을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학생들은 정확한 배출방법을 모른채 무단투기를 하게 되고, 수거업체는 무단투기된 쓰레기의 미수거하게 되며, 이로 인한 민원이 발생하게 된다. 혹 원룸주인이 학생들의 무단투기를 하는 모습을 볼지라도 행정기관에 신고도 할 수 없는 상황(학생은 원룸의 고객이므로)이 만들어지고, 결국 대학교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초래한다. 이러한 악순환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학가 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한 추진 협의체(이하 추진 협의체)”를 구성하였고, 이는 사회적 상호작용인 거버넌스 활동이라 할 수 있다. 이 논문의 초점은 이미 쓰레기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부각된 만큼, 원룸촌에서 발생된 쓰레기 문제에 대해서도 사람들의 인식변화 및 행동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거버넌스 활동이 실제적으로 배출되는 쓰레기 성상에 변화를 가져왔는가를 조사하는 것이다. 따라서 K대학교 원룸촌을 대상으로 하여, 거버넌스 활동(추진 협의체)을 실시하고, 거버넌스 전과 후에 대학가 원룸촌에서 배출된 쓰레기의 물리적 성상에 어떠한 성상변화가 있는가를 조사・분석하였다.
        1518.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spring flowers blossoms, which is one of the elements influencing to human psychology, in order to provide scientific evidence on the psychological benefits of green plants. A self-reporting survey was conducted by using self reporting questionnaires on the impression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SD method) and mood states (profile of mood states: POMS) of eighty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twenties. Korean forsythia, Korean rosebay, Japanese apricot, Cherry blossom, and Magnolia were chosen as spring flowers. The results of impression evaluation and mood states changes showed that spring flower blossom had beautiful, soft, warm, moist, familiar and full impressions, and changed our mood positively by reducing depression and anger, or by increasing vigor. In addition, different psychological effects can be differently observed depending on the species; for example, Cherry blossom had a greater effect in changing the impression and feeling than others. The findings would provide support toward the active usage in green space as well as its design maximizing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nature.
        1519.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leop and apply training program for serve routine of tennis player in an attempt to improve serve sucess rate. Methods: Female collegiate tennis player who have been involved in this sport for more than 12 years of experience as a tennis player in either amateur or backup national players were recruited as subjects in this study. In order to analyze psychological problem of subjects in this study, in-depth interview and questionnaire were applied to them, and any results raised from the interview was used to set up for goal setting based on any factors the subjects required. Routine program for serve success rate improvement developed in expert consultation was applied to the subject once a week for 8 weeks to investigate factors to affect serve accuracy rate and subsequently serve routine program was developed. Selection of subjects, pilot study, routine application, post-analysis and statistical analysis were progressed in the order. Results: As a result of applying serve routine program to improve were success rate, positive imaginery, grid plate and self-talk could be a good stratedgy to transfter negative to positive way of thinking and this may lead to reducing anxiety, improving concentration and slef-confidence for first and second serve success rate. Conclusion: Serve routin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may be positively effective to increase serve sucess rate.
        1520.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편입학을 경험한 두 대학생이 살아낸 그들 삶의 이야기를 ‘교육 전환의 여 정’ 관점에서 탐구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편입학 경험이 그들이 살아낸 ‘전환의 여정’ 이 야기(stories to live by in their transition journey)와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가 연구의 퍼즐이었으며, ‘4 S 시스템’(Schlossberg, 1984)의 관점에서 제시하는 연구의 결과는 다 음과 같다. Situation: 경제적 어려움과 학벌주의, 취업은 참여자의 전환 경험 형성에서 가장 두드러진 상황 요인이었다. Self: 참여자가 살아내는 이야기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가장 돋보이는 것은 자기 자신에 대한 믿음과 확신이었다. Support: 전환 경험 구성에 있어 드러나는 지원 요소는 가족, 친구, 만남의 인연 등 다양하지만, 가장 돋보였던 지원 요소는 현수의 경우 ‘자신감의 고양’, 만수의 경우 자기 성찰에서 비롯된 ‘자신감과 주체 의식의 성장’이라는 ‘자기-지원(self-support)’요소였다. Strategies: 전환 경험 형성에서 작동했던 전략은 현수의 경우 ‘자기 가치의 적용’으로, 만수의 경우 ‘지속적인 자기 성찰’ 로 해석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