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여름철 인체 실험을 통해 온냉감, 쾌적감, 기류감 등을 측정하여 토지피복현황에 따라 인간이 느끼는 온열쾌적감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지피복현황에 따라 기상요소를 분석한 결과 기온의 경우 식재지가 최저온을, 포장지가 최고온을 형성하였다. 최고온역인 포장지와 최저온역인 식재지의 온도 차이는 3.9~4.1℃로 나타났다. 풍속의 경우 나지, 수면, 건폐지의 풍속이 1m/s 이상을 보였고 식재지, 초지, 포장지는 1m/s 이하의 풍속이 관측되었다.2. 풍속에 따른 기류감 및 기류평가에서 풍속이 증가함에 따라 기류감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풍속이 0.3m/s일 경우부터, 기류감을 느끼기 시작하고 풍속이 1.5m/s일 경우 거의 모든 피험자가 보통이상으로 느끼며 1.9m/s일 경우 기류가 강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같은 기류일 경우 식재지의 기류가 포장지의 기류보다 더 큰 만족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온열 중성점은 25.6℃에서 나타났고 온냉감의 수치로 -0.5~+0.5를 쾌적범위로 할 경우 쾌적범위는 24.7~26.6℃로 나타났다.4. 기상요소와 쾌적감에 미치는 효과의 상관분석결과, 기상요소가 쾌적감에 미치는 효과는 일사량, 풍속, 기온, 습도의 순으로 나타났다. 5. 토지피복현황에 따른 기온과 쾌적감 비교 결과 식재지는 다른 지역에 비해 쾌적감이 현저히 높았으며, 실외의 경우 기상요소인 기온, 일사, 풍속, 습도의 조합에 따라 쾌적감이 달라지기 때문 단순한 기온 및 습도의 조합으로 쾌적감을 나타낼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variations and corelation among PM10, PM2.5 and PM1 concentrations, the hourly concentrations of each particle sizes of 300 ηm to 20 μm at a city, Gangneung in the eastern mountainous coast of Korean peninsula have been measured by GRIMM aerosol sampler-1107 from March 7 to 17, 2004. Before the influence of the Yellow Dust event from China toward the city, PM10, PM2.5 and PM1 concentrations near the ground of the city were very low less than 35.97 μg/m3, 22.33 μg/m3 and 16.77 μg/m3, with little variations. Under the partial influence of the dust transport from the China on March 9, they increased to 87.08 μg/m3, 56.55 μg/m3 and 51.62 μg/m3. PM10 concentration was 1.5 times higher than PM2.5 and 1.85 times higher than PM1. Ratio of (PM10-PM2.5)/PM2.5 had a maximum value of 1.49 with an averaged 0.5 and one of (PM2.5-PM1)/PM1 had a maximum value of 0.4 with an averaged 0.25. PM10 and PM2.5 concentrations were largely influenced by particles smaller than 2.5 μm and 1 μm particle sizes, respectively. During the dust event from the afternoon of March 10 until 1200 LST, March 14, PM10, PM2.5 and PM1 concentrations reached 343.53 μg/m3, 105 μg/m3 and 60 μg/m3, indicating the PM10 concentration being 3.3 times higher than PM2.5 and 5.97 times higher than PM1. Ratio of (PM10-PM2.5)/PM2.5 had a maximum value of 7.82 with an averaged 3.5 and one of (PM2.5-PM1)/PM1 had a maximum value of 2.8 with an averaged 1.5, showing PM10 and PM2.5 concentrations largely influenced by particles greater than 2.5 μm and 1 μm particle sizes, respectively. After the dust event, the most of PM concentrations became below 100 μg/m3, except of 0900LST, March 15, showing the gradual decrease of their concentrations. Ratio of (PM10-PM2.5)/PM2.5 had a maximum value of 3.75 with an averaged 1.6 and one of (PM2.5-PM1)/PM1 had a maximum value of 1.5 with an averaged 0.8, showing the PM10 concentration largely influenced by corse particles than 2.5 μm and the PM2.5 by fine particles smaller than 1 μm, respectively. Before the dust event,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PM10, PM2.5 and PM1 were 0.89, 0.99 and 0.82, respectively, and during the dust event, the coefficients were 0.71, 0.94 and 0.44. After the dust event, the coefficients were 0.90, 0.99 and 0.85. For whole period, the coefficients were 0.54, 0.95 and 0.28, respectivel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ensitivity of WSM(weighted scenario method)-AHP method according to variation of nonlinear exponent for accessibility criteria, which are used to make urbanization potential maps with the optimal weighting value for multiple criteria in grid-based GIS technique. Besides this study tried to develop WSM-AHP2 which is simplified by using rank of the potential value for each scenario. The two methods were applied to the test area, Suwon city located south area of Seoul, with time series land-use maps of 1986 and 1996. The evaluation system of urbanization potential have 7 criteria including 6 accessibility criteria. The results of WSM-AHP2, the optimal weighting values and their corresponding potential maps, have almost similar with those of WSM-AHP. In the application of CA(cellular automata) model for expansion of urbanized area using the three potential maps by WSM-AHP, WSM-AHP2, and specialists's AHP evaluation, it also showed that the accuracy of simulation for actual urban area is the highest in the potential map of WSM-AHP, followed by WSM-AHP2 and specialists's AHP evaluatio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SM-AHP and simplified WSM-AHP2 will be used to generate the optimal potential maps for land-use planning in urban fringe area.
도시 아파트의 발코니와 빌딩옥상에서 상추, 래디시, 미니배추 등의 채소를 재배하여 비타민 C와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항산화활성을 재배장소별로 비교하였다. 아파트의 남향 발코니에서 재배한 채소는 외부 환경에 노출된 옥상 재배와 비슷한 생육정도를 보였으나, 일조량이 부족한 동향 발코니 재배 채소는 크기는 작으나 조직이 연해 샐러드용으로 활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향 발코니에서 30일 재배한 상추와 래디시의 비타민 C 함량은 각각 18.0 mg%과 27.9 mg%로서, 동향 발코니와 옥상 재배 채소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과 항산화활성은 옥상재배 채소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발코니에서 재배한 채소는 수확 후 바로 섭취함으로서 저장 및 유통에 따른 항산화물질의 손실을 줄일 수 있을 것이며, 발코니 공간은 봄부터 가을철 까지 다양한 채소를 재배할 수 있는 채소밭으로 활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도시 아파트의 발코니에서 기능성 식용식물을 재배한다면 관상효과와 더불어 매일 신선한 무공해 채소를 공급하게 될 것이며, 본 연구 결과는 발코니 채소밭 보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 배수구역의 유출특성을 해석하기 위하여서는 유역의 지형특성 및 유출경로를 고려하여 소유역을 분할하고 배수계통에 대한 유출량을 분석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각 소유역의 도달시간과 시간-면적곡선은 유역형상에 따라 상이하게 구성되므로, 이로 인한 유출특성 또한 크게 변화하게 된다. SWMM 및 ILLUDAS 모형에서는 유역형상을 단순 직사각형으로 가정하여 해석함으로써 유역의 기하학적 형상이 지표면 유출에 미치는 영향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개선하
최근 하천의 흐름해석 분야에서는 수위 및 하상변동 양상과 오염된 지류유입으로 인한 본류에서의 유속분포 양상 및 혼합과정 등의 실제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1, 2차원적 해석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복잡한 하천을 균일화된 모양과 단순화된 방정식으로 일괄 적용함으로써 많은 한계점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관내 지방 2급 하천인 우이천 시험유역을 대상으로 하천의 물리적인 특성 변화에 따른 흐름해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3차원 RANS (Re
본 연구는 서울시내의 구시가지에 해당하는 도심부근 중구에 입지한 학교 학생들의 공간적 통학환경과 신시가지인 강남구에 입지한 학교 학생들의 그것을 비교 연구한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중구의 초등학교와 중학교, 강남구의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선정하여 학교주변의 유해환경을 조사하여 지도화하였고, 학생들의 통학거리, 방과 후의 사교육활동을 위한 이동거리를 설문으로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도심부의 학교 주변에는 많은 비교육적 기능체들이 입지되어 있어서 학교주변의 정화가 필요했고, 학생들의 통학을 위한 이동거리는 긴 편이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방과 후 사교육활동을 위한 이동거리의 차가 컸다. 강남지역 학교학생들은 도심지역 학교학생들보다 방과 후 사교육활동을 위한 이동거리가 거의 2배 이상이 되어서 빈부의 격차를 나타냈다. 이는 데일리 프리즘의 개념에서 장래의 격차를 고착화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causes and intensity of the urban heat island phenomenon by the seasons according to the pattern of land use in Chungju City. Highest temperature and lowest moisture areas of the urban were very similar to the distribution of commercial districts, on the other hand, lowest temperature and highest moisture areas were distributed in manufacturing districts, green zones and the Hoam Lake. If appear at intensity of the distance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commercial districts, wind direction and the rise of temperature, we could observe the remarkable expansion of high temperature from commercial districts toward residential districts around of downwind in all seasons. In case the effect of the wind was not significant as well, high temperature in commercial districts appeared tendency that a little spread to 1, 2 residential districts around. But checked up the intimate relations between the amount of moving heat and wind, when out of consideration that size of area was not much compared than residential areas of downwind affected by the wind. These phenomenon was relatively obvious in summer, the other side, in spring and autumn appeared a similar tendency.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basic policy materials to build a basis for supplying and creating urban parks balanced across Gyeonggi province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through, an extensive analysis of all city parks in cities/counties in Gyeonggi province. The study result showed that first, the number of parks is only 40% of the adequate number and, thus, accessibility of Gyeonggi province residents to parks in neighborhoods is significantly low. Second, a proportion of park types in children's park, neighborhood park, urban nature park is 67% : 24% : 2%, which is adequate in Gyeonggi province as a whole. Third, as for the area of parks per resident, the area of designated park is 17.7m2/person, which is over three times of legal requirement in urban planning area (6m2/person). However, created park area is only 5.6m2/person, which fails to meet the legal requirement. Fourth, when park area of each city was compared, the areas varied significantly across cities. The Gyeonggi provincial government needs to secure funds aggressively and accelerate setting up and expanding facilities at designated parks located within the current urban area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hould be used as important materials when developing supply & demand policies for urban parks in Gyeonggi province. The study implicates that independent park policies and management by each city/county as well as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a comprehensive park policy at a provincial level is significantly important.
본 연구에서는 2001년 3월부터 2002년 2월까지와 2006년 3월부터 2007년 2월까지 31개 자동기상관측에 의한 지표 근처 기온 자료를 이용하여 서울 지역 도시 열섬의 시ㆍ공간적 구조 분석 및 그 변화의 원인을 분석하였다. 서울의 도시 열섬 구조는 주간 보다는 야간에 더 강하게 나타나고, 특히 여름철에 가장 작게 발달하는 경향을 보였다. 기온 분포의 공간구조 변화 경향은 송파 및 광진구를 중심으로 한 남동 지역에서 크게 확장되었다. 이는 송파 및 광진구 지역 주거 지역 조성의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일 최대 도시 열섬 강도는 주간 보다는 야간에 높게 나타났으며 새벽 시간대에 가장 크게 발달하였다. 그러나 최대 도시 열섬 강도의 빈도는 새벽 시간대보다는 한밤중에 더 빈번하였다. 이는 교외 지역의 기온이 상대적으로 증가한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계절에 따른 최대 도시 열섬 강도는 겨울철을 제외하고 감소한 경향을 보였다. 강우량과 강우 일수의 분석을 통해 서울의 도시 열섬 구조는 토지 이용 변화에 따른 인공열 변화의 영향 뿐 아니라 그 해의 기후적 특성에도 많은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n terms of the indicators by the type for the landscape plan per the district nit, geographic ecology indicators were the items such as water, water system, topography and climate, while biological ecology indicators were the items such as green zone size, green zone ratio, biotope size and distribution. The sensory and visual indicators were the items such as view point, view axis and skyline, and the accessibility indicator items for the green zone were applied as the socially used indicators. As for the application method according to each indicator, the water or water system was expressed and applied through the slopes and elevation topographic analysis drawings, the climate was expressed and applied through the main direction of the wind and the cold wind pass alley drawings. As for the green zone size and green zone ratio, the land use according to the status and housing area development was compared to present the measured figures. In case of the biotop size and the distribution item, the range was limited to the preparation of the biotope drawings for the focused preservation. As for the view point and view axis, the view point was selected according to the view point to prepare and apply the view analysis drawing in which the view area to be preserved is analyzed. As for the skyline, its landscape photo was composed with the housing area shape, and then skyline photography was applied as the plan in order to propose and consider the various shapes of the skyline. As for the accessibility to the peen zone, the network drawing was drawn to reflect the users' accessibility and continuity of the green zone formed and preserved according to the land use plan and then the drawing was prepared and proposed as the applicable plan.
This study aims to increase the practicality of horticultural education by suggesting reorganization method and prospects of horticultiral education as urban horticulture. The outcome of research is the contents of hor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related with the cognitive and physical education and building a sense of justice which are educational aims of bloom. Hence horticultural education is undertaken under the larger theme of urban horticulture aiming to create sustainable society where people and nature are organically related. When recognizing the contents of horticultural education, effects of urban horticulture such as creation of pleasent environment and culturing of emotion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seven classifications of urban horticulture activity through rotated factor analysis becomes the basis for the recognization in areas such as education material, location, contents and in in-depth studies. It is also expected that increased effort on introducing a new concept into urban horticulture will make horticultural activity more prominent and more appreciated.
본 연구는 면적이 작은 도시유역에 적용하기 위한 강우의 시간분포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유역의 특성을 고려한 Interevent Time Definition(ETD) 결정방법과 3시간 미만의 강우를 포함한 무차원 누가우량곡선을 제안하였다. 새롭게 제시된 IETD 결정방법은 호우 사상의 종료 시점으로부터 직접유출의 종료 시점까지의 기간을 IETD로 정의하였다. 제안된 IETD 결정방법을 사용하여 중랑 배수구역에 대한 면적-IETD 관계곡선을 유도하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최대 도시인 서울지점에서의 도시화의 영향을 강우자료의 분석을 통해 파악하였다. 서울지점 강우의 도시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관측길이가 길고 도시화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덜한 전주지점과 관측 기록의 길이는 짧으나 서울 인근지점으로 도시화의 영향이 매우 적을 것으로 판단되는 이천지점의 강우자료를 비교 대상으로 이용하였다. 또한 도시화의 영향에 해당하는 서울지점과 전주지점의 강우량 차이를 간섭모형을 이용하여 정량화 하였다. 그 결과, 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