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나라의 먹는물 검사항목에 지정되지 않은 32가지 오염물질의 원수에 대한 분포에 대하여 1997년과 1998년사이에 조사되었다. 조사대상 물질은 16가지 휘발성 유기물질과 7가지 유기인계 농약 그리고 8가지의 중금속과 우라늄 등이었다. Chlorobenzene, 1, 4-Dichloro- benzene, 1, 3-Dichloropropane이 휘발성 유기물질 중에서 0.03~1.33 μg/l 범위에서 검출되었다. Sr과 Ba, B은 다른 중금속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로 나타 났고, 검출 평균농도는 Sr이 25~60 μg/l, B는 약 5~40 μg/l 농도범위로 나타났다. Tl, Ni, Be, Mo, Sb과 U은 미 량 혹은 검출한계 이하의 값으로 조사되었다. Lindane 을 포함한 일곱가지 유기염소계 농약의 경우 1998년 한 해 동안 25개 조사대상지점에서 모두 검출한계 이하의 값으로 조사되었다. Chlorobenzene, 1, 4-Dichlorobenzene, Ba, B에 대한 WHO의 권고기준치는 모두 300 μg/l으로서 이번에 검출된 물질의 농도는 모두 이 기준치 이하로 나타 났다. 이 결과는 이들 조사 대상 항목으로 인한 원수의 오염 가능성이 매우 낮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이분해성 미생물 분해성 시험방법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를 해결하거나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OECD지침서에 등재된 6가지 이분해성 시험방법 중 시험물질의 선정에 제한이 없는 MITI(I), manometric respirometry, closed bottle test에 대하여 8개 화학물질을 대상으로 비교시험 하였다. 현재 국내에서는 MITI(I)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 방법은 접종미생물의 준비과정
난분해성 유기화합물의 일종인 염화 방향족화합물은 냉각제, 소화제, 페인트, 용매, 플라스틱류, 유압제, 제초제, 농약, 그리고 화학합성에 필요한 전구물질 등에 널리 사용된다. 이들은 친지질 특성을 가지므로 생물체의 세포막에 쉽게 흡착되며 먹이사슬에 의한 생물학적 농축과정을 통해 인간을 포함하는 각종 생물체에 축적된다. 그 결과 생물체의 세포막 구조가 변화되고 기능이 저해될 뿐더러 암과 돌연변이를 유발하고 「환경호르몬」
Among proteins separated from methanol extract of follicular fluid with superose column, the components inducing sperm swim-up separation through sucrose layer were analysed with superose column in Smart system and SDS-PAGE. An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The fractions of retention volume (RV) 0.83ml and RV 1.36ml separated with superose column should stimulate sperm migration and movement. However, RV 0.83 fraction was consisted of complex materials containing RV 1.36 component. RV 1.36 fraction contained a BSA analogue of 67 kilodaltons (Kd) and showed identical peak pattern with BSA fraction V. In conclusion, the protein of 67 Kd in follicular fluid should stimulate sperm migration and movement.
동해 연안역의 부영양화 상태 및 종속영양세균에 의한 유기물질 분해능을 조사하기 위해서 대진, 갈남, 포항, 울산의 4개 지역의 연안역을 대상으로 1994년 7월부터 1995년 4월까지 4회에 걸쳐 종속영양세균군집, 오염의 신호화합물, 세균의 생산력, 종속영양활성도 및 세포외 효소활성도 등을 분석하였다. 중금속내성균의 수는 포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각종 유기인을 이용하는 세균군집을 조사한 결과 유기인(C-P)화합물이 많이 포함될 것으로 예상되는 산
동해 연안에 위치한 대진, 갈남, 포항, 울산 등 4개 지역의 연안역을 대상으로 1994년 7월부터 1995년 4월까지 계절별로 4회에 걸쳐서 영양염과 유기물질의 분포에 관련된 환경요인, 영양염류, 부유성 유기물질 및 엽록소 함량 등을 조사하였다. BOD는 울산 처용암이 모든 정점 중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영양염류의 농도는 근처에 오염원이 많은 포항과 울산의 처용암에서 전 조사기간 동안에 걸쳐 전반적으로 높았다. 특히, 처용암은 조사된 모든 영양염
수생식물을 인공호의 수질개선에 이용할 수 있는지의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수식물인 갈대, 애기부들 그리고 줄의 생산량과 영양염류 흡수량을 조사하였다. 갈대와 애기부들 그리고 줄은 단위 면적당 지상부 최대생산량이 각각 3,504 g/m2, 2,834 g/m2, 3,125g/m2이었다. 이들의 지상부와 지하부의 비를 조사한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된 지하부 현존량은 갈대, 애기부들, 줄이 각각 9,671g/m2, 5,158 g/
본 연구는 단백질 분해효소 저해물질을 탐색하고자 방선균을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colloidal chitin 고체배지를 사용하여 강원도 원주 일원의 토양에서 Streptomyces sp. SK-862를 선별하여 배양여액으로부터 단백질 분해효소 저해물질을 분리하였다. 최적의 배양온도와 초기 pH는 각각 28℃와 8.5이었다. 가장 적합한 배지조성은 1.5% glucose, 0.5% peptone, 0.1% K_2HPO_4, 0.05% CaCO_3이었으며, 60시간 동안 진탕 배양하였을 때 저해물질 생산이 최대가 되었다.
α-아밀라제의 강력한 저해물질을 생성하는 분리주 BY-445를 토양으로부터 분리하여 이를 동정하였다. 이 균주의 기균사는 나선형이며, 포자의 표면은 침상형(spiny)이었다. 멜라닌 색소 및 용해성 색소는 음성이었으며, 단백질 및 전분 분해력은 강한 편이었다. 세포벽 성분중 diaminopimelic acid는 LL형이었고 세포의 지방산은 16 : 0 iso가 25.30%, 15 : 0 anteiso는 16.19% 그리고 16 : 0이 13.16%였으며 이 균주는 Streptomyces violaceusniger와 유사하였으나 몇몇 배양학적, 생리학적 특성이 달라 Streptomyces sp. BY-445로 명명하였다.
홍삼에서 수용성 갈변물질을 분리하여 부분적 구조분석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L, S-1 및 S-2의 UV spectrum은 280nm에서 최대 흡수를 나타내었으며, IR spectrum에서는 hydroxyl, amide 및 지방족 CH 등이 확인되었다. 당분석의 경우 L과 S-1에서 glucose와 xyloserk가 확인되었으며, S-2에서 fructose가 추가적으로 확인되었다. 아미노산 분석에서 갈변물질 L에서 13종의 아미노산, S-1에서는 10종의 아미노산 그리고 S-2에서는 7종의 아미노산이 확인 되었다. ^1H 및 ^13C-NMR spectrum에서는 sugar moiety, carbonyl 및 탄소이중결합(S-2)이 확인되었고, L, S-1 및 S-2는 각각 8∼10, 9∼11 그리고 4∼5개의 당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원소조성을 nitrogen, carbon 및 hydrogen 분석 결과 L>S-1>S-2순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was foc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itrosodimethylamine (NDMA) formation due to nitrosamine (NA) precursor and/or inhibitor addition to Kimchi during the fermentation of Kimchi at room temperature (16±2℃). The addition of nitrite and dimethylamine (DMA) to Kimchi showed the average 32-fold (21.3-113.9 ug/kg) and 9-fold (1.3-40.3 ug/kg) higher NDMA formation than control (0-5.6 ug/kg), respectively. Also, the addition of both nitrite and DMA resulted in the increase of NDMA formation to average 42-fold (39.4-155.7 ug/ kg) higher than control. On the other hand, the addition of 4 mM ascorbic acid to Kimchi with nitrite and DMA inhibited the formation of NDMA down to 71.3% of control. However, the addition of cysteine and erythorbic acid affected no inhibition to NDMA formation during the test. The addition of sodium sulfite increased NDMA formation. Accordingly, this showed that the amount of ascorbic acid generated during Kimchi fermentation played an important inhibition role for NA formation.
Antioxodative substances in Mulberry leaves were examined. Antioxidative substances in Mulberry leaves were extracted by 80% methanol agueous solution. Antioxidative activity of extract was determined by examining hydrogen donating ability on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the inhibitory effect on the formation of the peroxide from Linoleic acid in the test tube at 50℃. Antioxidative substance were, then, separated and indentified by thin layer chromatography(TLC), UV-Vis spectrum and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 methods. Hydrogen donating ability on DPPH and antioxidative ability on linoleic acid of the extracted antioxidative substance were higher than those of 100ppm butylated hydroxy toluene(BHT). The extracted antioxidative substances were separated by TLC using ethylacetate : chloroform : formic acid : water(8 : 1 : 1 : 1 v/v) as a solvent, and a spot at Rf=0.35 was detected. The spot was scraped from the plate, and extrated by methanol. The extract was analyzed by UV-Vis spetra and HPLC, and chlorogenic acid was identified as a antioxidative substance.
토양에서 분리한 Streptomyces lydicus YSK-681이 생산하는 메치실린내성 황색 포도상구균에 유효한 항생물질을 정제하여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물질정제는 chloroform으로 추출한 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Si, ODS, GPC HPLC순으로 진행하였다. FAB MS의 분자량 측정결과 m/z 1022.4와 1036.4(M+H)^+의 두 개의 피크가 분석되었으며, NMR 분석에서는 -OH와 leucine으로 추정되는 관능기가 조사되었다. 정제된 항생물질의 MIC는 그람 양성균에 대해서 1∼32 ug/ml그람음성균과 효모에서는 125 ug/ml 이상이었다. 임상에서 분리된 129개의 MRSA에 대한 MIC는 8 ug/ml이었으며, 암세포인 P388, HeLa, S180에 대한 세포독성은 없었다.
항생제에 대한 내성균의 출현은 매년 급격하게 증가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약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메치실린내성 황색 포도상구균(MRSA)은 여러 항생물질에 대하여 다제내성을 나타내므로 감염증 치료에 어려운 문제점으로 남아 있다. 이러한 감염증치료에 사용할 목적으로 임상 가검물에서 분리한 MRAS를 시험균으로 사용하여 항균 활성이 강한 방선균인 YSK-681을 선별하였다. 균주 동정을 위하여 선별된 YSK-681을 형태적, 배양학적, 생리적, 화학적 분석을 하였으며 41개의 단위 항목을 조사하여 TAXON program으로 수리 동정한 결과 주군집 29에서 속하는 Streptomyces lydicus로 동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