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기생식물 종자의 발아를 유도하는 대표적인 물질로 알려진 Strigolactone은 토양균의 하나인 Arbuscular mycorrhizal 균과의 공생적 작용은 물론, 식물 지상부의 곁가지 생성을 억제하는 식물 호르몬으로서도 알려져 있다. 최초의 Strigolactone이 목화에서 확인되어 Strigol로 명명된 이후, 지금까지 약 15종 이상의 Strigolcatone이 숙주 식물과 비숙주 식물로부터 확인되었다. 대부분의 Strigolactone은 모핵이 되는 tricyclic-lantone(ABC-ring)에 methyl butenolide(D-ring)이 enol ether 결합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이 뿌리기생식물 종자의 발아를 자극하는 활성으로 작용한다. 특히, Strigolactone의 C-D ring구조와 AB ring의 치환기가 뿌리기생식물의 발아자극활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뿌리기생식물 종자의 발아자극활성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이는 Strigolactone 단독처리를 통한 활성을 측정한 것이다. 대부분의 식물은 두 종류 이상의 Strigolactone을 분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Strigolactone 혼합물에 대한 뿌리기생식물 종자의 발아자극활성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하겠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뿌리기생식물로 알려진 Orobanche minor와 Phelipanche ramosa 종자를 이용하여, solanacol, solanacyl acetate, orobanchol, orobanchyl acetate 및 각각의 입체이성질체 혼합물에 대한 발아자극활성을 조사하였다.
두 종류의 뿌리기생식물 종자는 평상시 휴면 상태로 존재하므로, 실험 전에 휴면 타파처리인 Conditioning을 실시한 수 실험에 사용하였다. 또한, 각각의 Strigolactone 혼합물은 10-13M~10-7M로 처리하였으며, positive control 과 negative control로는 합성 Strigolactone인 GR24와 Milli-Q를 각각 사용하였다. 뿌리기생식물 orobanche minor 종자에 대한 발아자극활성을 측정한 결과, Strigolactone 혼합물의 활성에 큰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2’-epi-solanacyl acetate 혼합물의 경우 다른 혼합물에 비해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 다른 뿌리기생식물 phelipanche ramosa 종자에 대한 발아자극활성에서도 각 처리구에서 뚜렷한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뿌리기생식물 종자의 발아를 유도하는 대표적인 물질로 알려진 Strigolactone은 토양균의 하나인 Arbuscular mycorrhizal 균과의 공생적 작용은 물론, 식물 지상부의 곁가지 생성을 억제하는 식물 호르몬으로서도 알려져 있다. 최초의 Strigolactone이 목화에서 확인되어 Strigol로 명명된 이후, 지금까지 약 15종 이상의 Strigolcatone이 숙주 식물과 비숙주 식물로부터 확인되었다. 대부분의 Strigolactone은 모핵이 되는 tricyclic-lantone(ABC-ring)에 methyl butenolide(D-ring)이 enol ether 결합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이 뿌리기생식물 종자의 발아를 자극하는 활성으로 작용한다. 특히, Strigolactone의 C-D ring구조와 AB ring의 치환기가 뿌리기생식물의 발아자극활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뿌리기생식물 종자의 발아자극활성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이는 Strigolactone 단독처리를 통한 활성을 측정한 것이다. 대부분의 식물은 두 종류 이상의 Strigolactone을 분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Strigolactone 혼합물에 대한 뿌리기생식물 종자의 발아자극활성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하겠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뿌리기생식물로 알려진 Orobanche minor와 Phelipanche ramosa 종자를 이용하여, solanacol, solanacyl acetate, orobanchol, orobanchyl acetate 및 각각의 입체이성질체 혼합물에 대한 발아자극활성을 조사하였다.
두 종류의 뿌리기생식물 종자는 평상시 휴면 상태로 존재하므로, 실험 전에 휴면 타파처리인 Conditioning을 실시한 수 실험에 사용하였다. 또한, 각각의 Strigolactone 혼합물은 10-13M~10-7M로 처리하였으며, positive control 과 negative control로는 합성 Strigolactone인 GR24와 Milli-Q를 각각 사용하였다. 뿌리기생식물 orobanche minor 종자에 대한 발아자극활성을 측정한 결과, Strigolactone 혼합물의 활성에 큰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2’-epi-solanacyl acetate 혼합물의 경우 다른 혼합물에 비해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 다른 뿌리기생식물 phelipanche ramosa 종자에 대한 발아자극활성에서도 각 처리구에서 뚜렷한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coated feed using mixed oil on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based on materials that were mixed. First, cashew nut and soybean oils were mixed with white mineral oil. And second, different plant extracts were mixed with white mineral oil. At first experiment, inclusion levels of mixed oil on diet (0.03%, 0.1%, 0.5%) were applied as variables. A coated diet was fermented with rumen inoculum according to in vitro rumen fermentation and its parameters were investigated. In the result of first experiment, no negative effects on rumen pH were found. Significantly decreased dry matter digestibility was detected at 0.5% treatment (P<0.05). Total gas productions in control and 0.03%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of others (P<0.05). Significantly reduced methane productions were found in all treatments compared to the control (P<0.05). Inclusion of mixed oil did not affect on ammonia production. Total volatile fatty acid production was also not influenced by coating with mixed oils. Rumen fermentation parameters were greatly changed according to introduced plant extracts at second experiment. The significantly lowest and greatest ammonia productions were found at treatments with Ixeris dentata and Plantago asiatica, respectively (P<0.05). The significantly greatest acetate and propionate productions were detected at treatments with Crucuma longa and Zizyphus vulgaris 1, respectively (P<0.05). All treatments, except Chrysanthemum idicum, Euyale ferox seed, Moringa leaf and fruit and Zizyphus vulgaris 1,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total volatile fatty acid production compared to the control (P<0.05). Only Paeonia lactiflora showed significantly lesser gas production than the control (P<0.05). In methane production, Ceramium, Zizyphus, Paeonia, Agrimonia, Torilis, Mugwort, Foeniculum, Euphorbia, Taraxacum, Artemisia, Momordica, Curcuma and Moringa reduced methane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control (P<0.05).
본 연구는 수박 과실썩음병의 원인균인 A. avenae subsp. citrulli에 대해 항균활성을 갖는 친환경 유기농자재를 개발할 목적으로 오배자(S. chinensis)를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오배자를 MeOH로 추출하여 용매분획을 하였고, 용매분획 중에서 가장 강한 활성을 나타낸 hexane fraction을 column chromatography로 분리하여 활성이 강한 분획들을 GC-MS로 분석하였다. GC chromatogram 상의 주요 peak에 해당하는 mass spectrum과 Wiley library를 비교하여 profiling한 결과, 지방산인 myristic acid, palmitic acid와 3-n-pentadecylphenol이 주요 물질로 검출되었다. 이들 검출 화합물의 항균활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표준품을 사용하여 bioassay한 결과, myristic acid와 3-n-pentadecylphenol 화합물이 강한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오배자로부터 분리한 myristic acid와 3-n-pentadecylphenol 화합물이 항균 활성물질인 것을 구명하였다.
부산과 울산의 중심지역에 대해 공기 중의 분진시료를 채취하여, 위상차현미경, 위상차분산현미경, 주사전자현미경 등으로 석면을 분석한 결과, 석면은 검출한계 이하로서 확인되지 않았다. 공기 중의 분진시료에는 섬유상물질이 다수 포함되었으나, 이들은 대부분 유기질 섬유인 것으로 나타났다. 무기질 섬유물질로는 암면, 세라믹섬유, 석고 등이 소량 포함되었으며, 비섬유상인 석영, 방해석, 장석 등의 광물도 가끔 관찰되었다. 국내의 공기 중 분진의 석면분석은 주로 위상차현미경으로 관찰하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으나, 이것만으로는 석면의 식별이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일본 JIS법과 같이 저온회화 처리 장치에 의한 유기물질 제거 후에 분산염색법으로 석면을 식별하고 계수하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유색미 품종들의 적정 재배시기와 지역에 따른 색소발현 및 항산화 활성 변이를 분석하여 고품질의 유색미를 생산할 수 있는 적정 재배관리기술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밀양, 봉화, 상주, 의성 4지역에서 이앙시기를 5월 20일, 6월 5일, 6월 20일 3시기에 걸쳐서 흑미 3품종과 적미 2품종을 재배한 결과 출수 후 30일간의 평균기온 19.0℃ 이상에서 평균기온이 1℃ 증가할 때마다 흑미의 안토시아닌 함량은 약 9.9%, 적미의 총폴리페놀 함량은 약 9%씩 감소하였다.
2. 유색미의 기능성물질 함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출수 후 30일간 적정등숙온도는 흑미의 경우 조생종은 22~23℃, 중만생종은 21~22℃의 범위였으며, 적미도 21~22℃ 범위였다.
3. 전국 지역별 30년간의 기상자료를 토대로 적정출수기를 추정한 결과 제천지역은 조생종이 8월 11일에서 8월 17일, 중만생종은 8월 25일경이며 보은지역은 조생종이 8월 15일에서 8월 19일, 중만생종은 8월 20일에서 8월 27일에 해당되었다. 영주지역은 조생종이 8월 15일에서 8월 21일, 중만생종은 8월 24일 경이었고, 충주지역은 조생종이 8월 17일에서 8월 23일, 중만생종은 8월 22일에서 8월 29일에 해당되었다. 대구지역은 조생종이 8월 27일에서 9월 2일, 중만생종은 9월 3일에서 9월 6일경으로 주요 재배적지는 제천, 보은, 문경, 영주 등이었다.
4. 적정파종기 추정결과 제천지역은 조생종이 5월 18일에서 5월 26일, 중만생종이 4월 11일 경이었으며, 보은지역은 조생종이 5월 23일에서 5월 28일, 중만생종이 4월 9일에서 4월 26일, 문경지역은 조생종이 5월 24일에서 6월 1일, 중만생종이 4월 21일에서 5월 4일, 영주지역은 조생종이 5월 22일에서 5월 30일, 중만생종이 4월 13일에서 4월 27일, 충주지역은 조생종이 5월 31일에서 6월 7일, 중만생종은 5월 4일에서 5월 14일 경으로 추정되었다.
현행 재활용기준비용은 2002년 연구용역 결과를 토대로 산정된 것으로 당시에 비하여 재활용 여건과 제도의 변화가 있었기 때문에 변화된 여건을 감안한 재활용 기준비용의 재산정이 필요하다. 재활용기준비용이 분담금 및 지원비의 기준으로써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회수와 재활용 단계를 구분한 단계별 순비용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회수 및 재활용 시스템의 각종 유형 및 비용변동 요인 등의 분석을 위해 재활용 품목별 특성을 고려하여 물질흐름도를 통해 재활용 표준 프로세스 수립에 목적을 두고 있다. 재활용가능자원의 회수와 관련된 영역은 크게 지자체 영역과 민간영역으로 구분된다. 지자체 회수영역은 단독주택 지역을 대상으로 한 혼합수거 및 종합선별을 하는 흐름이며, 회수 및 선별여건이 열악하고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그리고 선별 후 발생하는 수익 대비 비용이 많이 들어가며 지자체의 재정으로 부담하고 있는 실정이다. 민간영역은 공동주택 등에서 배출되는 재활용품의 회수영역이며 단독주택 지역의 재활용품이 동네고물상을 거쳐 이 영역으로 들어올 수도 있다. 이 영역의 회수 시스템은 민간업체간 자율적인 경쟁과 계약에 의하여 작동하고 있기 때문에 매우 복잡한 체계를 가지고 있으나, 크게 종합선별시스템과 전문선별시스템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재활용가능자원의 재활용 영역은 품목에 따라서 재활가능자원의 특성을 감안한 분석을 할 필요가 있다. 플라스틱은 재질(단일재질, 복합재질, PVC 등) 및 재활용 방법(재생원료, 재생제품, RFP, 유화 등)에 따라 구분하며 PVC의 경우 기준 수액백 위주의 비용산정이었기 때문에 기타 가정발생 포장재의 PVC에 대한 별도 비용산정이 필요하다. EPS의 경우 선별단계에서 잉코트 생산이 되고 있으며 통상적으로 회수경로가 다른 수산물 양식부자와 전자제품 역회수 물량, 농수산시장 등 다량발생원에 대한 별도 분석도 필요하다.
활성탄소섬유의 주재료인 탄소섬유는 제조공정이 매우 까다로워 미국, 일본, 유럽의 8개회사 외에는 아직까지 대량생산에 성공한 기업이 없는 실정이고, 활성탄소섬유 시장의 경우 일본의 Toray, Toho Tenax, Mitsubishi Rayon 3개사가 세계시장의 70% 이상을 장악하고 있으며 공기청정용 필터, 정수용 필터 및 용제 회수장치 들이 실용화 되어 있다. 이에 활성탄소섬유의 제조기술을 확보하여 전량수입 사용하고 있는 활성탄소섬유 소재 수입대체 및 국내 환경필터 시장 확대를 모색하고자 한다. 대기질 개선을 위해 도심지역 도외지역 도로변 실태조사를 통해 발생 가능한 유해가스상 물질을 파악하고, 도로변 대기정화에 적합한 Nano Size 기공 분포가 높은 특정 섬유장 분포를 갖는 활성탄소섬유의 개선 및 부직포화, 대기정화 성능개선 및 Filer 압력손실을 최소화한 활성탄소섬유 필터 시작품 제작하여, 유해가스 NOx, VOCs (B, T, X) 성능평가를 통하여 도로변 주변의 차량오염원 등에 의한 주요 가스상 물질의 저감대책 수립에 활용코자 한다.
Formation of disinfection by-products (DBPs) including trihalomethans (THMs) and haloacetic acids (HAAs) from chlorination of six different species (Chlorella vulgaris, Scenedesmus sp., Anabaena cylindrical, Microcystis aeruginosa, Asterionella formosa and Aulacoseira sp.) of algal extracellular organic matter (EOM). The EOM characteristics evaluation of six algal species reaching at the stationary phase in the growth curve showed most of its SUVA254 showed below 1 and this means hydrophilic organic matter is much higher than hydrophobic organic matter. Chloroform formation potential (CFFP), dichloroacetic acid formation potential (DCAAFP) and trichloroacetic acid formation potential (TCAAFP) were mainly composed of THMFP and HAAFP in the EOM of various algal species. In the case of THMFP/DOC and HAAFP/DOC values, EOM of blue-green algae has appeared highest and EOM of green algae and diatom in order. THMFP/DOC was higher than HAAFP/DOC in EOM of blue-green algae. In comparison of formation potential by unit DOC composed of HAAFP in algal species EOM, DCAAFP/DOC was 1.5 times to 7.5 time higher than TCAAFP/DOC in the EOM of blue-green algae, while DCAAFP/DOC was found to be relatively high compared to TCAAFP/DOC in the EOM of green algae and diatom.
저활용 단백질로부터 칼슘 결합물질을 분리하기 위해 돼지 육골분과 진주담치 단백질을 단백질 분해 효소인 alcalase를 이용하여 가수분해물을 제조하였고, 체내 흡수가 용이한 3 kDa 이하로 한외여과 하였다. 돼지 육골분 가수분해물은 Mono Q 컬럼을 통해 분리하였고, 진주담치가수분해물의 경우 Q-Sepharose로 분리 하여 각각 2개, 3개의 peptide fraction을 얻어 각 fraction의 칼슘 결합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MBM F2와 Mussel F3에서 가장 높은 칼슘결합력을 나타내었고, 따라서 본 연구 결과로 얻어진 가수분해물들은 칼슘 보충 소재로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Environmental regulations on the management of waste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s (WEEE) have been strengthened in many developed countries. Improper management and disposal of such waste, especially in informal sectors, may pose serious threats to the environment and human health. In Korea, there are very few available statistical data regarding distribution flow and treatment of WEEE in informal sectors (i.e., unreported private collection and recycling facilities). In order to provide additional measures related to proper management of WEE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quantitative material flow study on the amount of the waste found in the sectors. This can be achieved by conducting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flow of WEEE in the sectors and by drawing significant results and implications of such analysis. In this study, the relevant data were collected from literature review and a number of field site visits to informal private collection and recycling sites with survey in Daejoen Metropolitan City. Statistical analysis of the survey related to the distribution of WEEE in informal sector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quantitative flow of WEEE in the secto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3.38 kg/person/year were introduced into informal sectors in 2013, while 2.48 kg/ person/year was recycled in formal sectors in 2012. This study implies that there are significant amounts of WEEE that are present and processed in the sectors, which are not regulated by government. Small private collectors of WEEE in informal sectors received approximately 60.6 unit/month on average. The results of this statistical study indicate tha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factors such as the amount of treatment, the number of employee, and the degree of dismantle process. However,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WEEE category large home appliance, small-sized home appliance, and audio-video equipment. Further study may be warranted to focus the flow of WEEE in informal sectors in more large scale in order to accurately determine the final destination and disposal of such waste in the environment.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of the aggregated impregnated with PCM indicates 4~10 J/g of the amount of heat storage capacity. The results show that it is considered that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impregnated with PCM may have thermal energy storage capa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