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처리용 MF 막의 소재로 널리 쓰이는 PVDF는 높은 소수성으로 인해 막 오염현상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PVDF 중공사막 표면과 기공 내부에 defluorination을 시켜 hydroxyl기를 형성하고 epoxy, aldehyde functional PEG를 grafting하여 기공 내부와 막 표면의 친수화를 달성하고자한다. 이를 통해 막 오염현상을 감소시킴은 물론 수투과도 향상 또한 기대할 수 있다. PVDF 중공사 표면에 grafting된 functional PEG를 확인하고, 개질된 막의 친수화 정도와 장기운전 성능을 평가하고자 한다.
수환경에서 유해성 미생물을 검출하는 것은 환경미생물위해성 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연구 분야 중 하나이다. 유해성 미생물 검출은 인체 병원성 세균과 항생제 내성을 지닌 세균의 검출을 포함한다. 기존의 배양방법은 배양이 잘 되지 않는 유해성 세균의 검출이 불가하므로, 최근에는 환경 유전체를 전체로 염기서열을 분석하는 de nove metagenomic sequencing 방법으로 병원성에 대한 진단을 하려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환경에서 유해 미생물 검출을 위해 Next Generation Sequencing 방법인 Illumina Hi-Seq으로 미생물군집유전체를 shot-gun sequencing해서 병원성과 항생제 내성에 대한 정량적인 정도 도출하는 신규 방법에 대해서 결과와 함께 토의할 것이다.
수처리 분야에서 분리막은 MBR(membranebioreactor), RO(reverse osmosis), NF (nanofiltration) 등의 공정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분리막을 이용한 공정에서 가장 큰 문제점 중에 하나인 막오염 현상은 여전히 풀어야 할 문제로 남아있다. 본 연구에서는 막오염 현상을 완화시키기 위해 분리막의 표면에 다양한 모양의 패턴을 도입하였다. 이후 제조한 패턴형 분리막을 이용하여 교차형흐름 반응조에서 미생물의 부착 정도를 평가 해본 결과 패턴형 분리막에서 확연한 막오염 저감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패턴형 분리막에서의 막오염 저감메커니즘을 CFD를 이용해 해석해보았다.
Nematic liquid crystal (NLC) alignment effects on SiOF layers via ion-beam(IB) irradiation for four types of incident energy were successfully studied. The effect of fluorine addition on silicon oxide film properties as a function of SiOF₄/O₂gas flow ration was investigated. The SiOF thin film exhibits good chemical and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SiOF thin film were sustained as function of the NLC alignment until 200℃. Also, the response-time characteristics of aligned LCD based on SiOF film were stud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snack preference and the intake frequency of snacks with a primary focus on obesity index and snack preparations in upper grade (5~6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A total of 719 students in Gyeongsangnam-do province were recruited and a questionnaire-based survey was condu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V18.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A total scor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as 94.5 (full marks 125), and the scores of 7 factors consist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ere over 3.50(full marks 5.00). Overweight group had the lowest scor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p<0.01) and purchase group by oneself had a low score than the other groups in snacks preparation (p<0.001). Most favorite snacks were ice cream. Additionally, the snack purchase group showed higher scores than the cook group by family in 8 types of snack and a total score of preference (p<0.05~p<0.001). Milk and dairy products had the highest score in frequency of snack intake. And purchase group by oneself or family was a higher than cook group by family (p<0.01).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preference and intake frequency of milk and dairy products but their explanation powers (R2) were very low.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impact factor in snack preference and frequency of snack intake.
Recently, wind power has received attention as one of remarkable renewable energy resources, and worldwide researches about wind power are actively being proceeded. Wind turbine tower has a major role for safety in the wind turbine systems. It is necessary for design tower structure to consider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Earthquake, as one of the such environmental loads, is ground motion that applied to bottom of the tower structure and has a possibility of critical effect to the wind tower structure. There are various ways for seismic analysis, but design specifications that are in use do not suggest detailed method for seismic analysis. In this study, seismic responses are analyzed through different ways and the adequacy of seismic design methods is examined.
본 연구는 학생활동중심의 수업방법 개선을 통하여 미래사회에 능동적으로 대비할 수 있는 창의력과 자
기관리 능력의 기본인 자아존중감을 신장시키고자 하였다. 1학년 학생 89명을 대상으로 주 5시간 국어 시간을 4시간은 국어수업, 1시간은 독서시간으로 운영하였다. 국어시간은 다양한 사고력 향상을 바탕으로 한‘생각키움 프로그램’을 구안·적용하여 창의력 신장을 목적으로 하였고, 독서시간은 ‘키움 4단계 독서 로그램’을 구안·적용하여 자아존중감 향상을 목적으로 운영하였다.연구 결과 ‘생각키움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생들의 상상력, 공감능력, 통합적 사고력, 확산적 사고력,논리적 표현력 등을 포함한 창의력이 향상되었다. ‘키움 4단계 독서 프로그램’을 통하여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어 자신을 삶을 생산적으로 가꾸어갈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ompared to steel of the same weight in steel concrete structures, fiber reinforced polymer (FRP) is known to have greater strength and better resistance to corrosion. As such, it is being proposed as an effective structural material. Despite its many advantages, FRP has not been rapidly adopted in civil structures. This is because it is more expensive, prone to brittle fracture, and has weak fire resistance. To examine changes i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FRP and the effectiveness of fire resistant coating, this study conducted tensile tests on coated and uncoated specimens over varying temperature. Glass fiber has excellent fire resistance since it does not melt or burn at high temperatures. However, epoxy is unable to withstand exposure to temperatures exceeding the transition temperature, thus leading to unsatisfactory structural performance and fire resistanc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behavioral changes in FRP by exposing the specimens to temperatures ranging from room temperature (approx. 25℃) to 300℃, so as to improve the fire resistance of epoxy.
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HPAI)는 폐사율이 100%에 이르는 급성 조류 바이러스성 전염병이다. 우리나라는 2003년 첫 발생 이후 5회에 걸친 대규모 유행으로 인하여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경험한 바 있어 HPAI 발생을 가능한 조기에 검출하고 신속하게 대응함으로써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국가적 모니터링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오고 있다. 특히 국내의 경우 HPAI는 철새의 이동경로를 통하여 바이러스가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방역당국에서는 철새 이동에 따른 바이러스 조기검출을 위하여 주요 철새 도래지를 중심으로 무작위 방식의 철새의 분변시료 채취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시료채취 방법과 관련하여 표본추출 지점들이 인접할수록 공간적 자기상관성(spatial autocorrelation)으로 인하여 표본들이 비슷 한 정보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표본으로서의 철새 도래지 추출과정에서 이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리적으로 인접한 철새 도래지들이 유사한 표본정보를 가질 수 있음을 전제로 공간적 자기상관성을 고려한 공간표집방법론을 구축하고 실증적 활용성을 가늠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국 196개 조류 도래지들을 대상으로 분석결과를 도출하고 해석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마늘혹응애(Aceria tulipae (Keifer))(Acari: Eriophyoidae)는 마늘의 인편을 주로 가해하는 해충으로 몸길이가 250㎛, 체폭은 45㎛로 크기가 매우 작아 피해를 확인하기가 어렵다. 특히, 마늘 생육 중에는 육안 관찰이 불가능하여 마늘을 뽑아 현미경하에서만 관찰이 된다. 마늘 생육 중 피해증상과 조사시기에 따른 마늘잎별 밀도를 제시하고자, 마늘연구소 시험포장에서 마늘싹 출현부터 수확시까지 조사하였다. 3월 4일 조사에서는 1주당 35.5마리가 조사되었고, 3월 28일 2.5마리, 4월 16일 78마리가 조사되었으며, 그 이후 계속하여 밀도가 증가하다가 5월 21일 이후부터 500마리 이상의 높은 밀도가 마늘 수확 전까지 유지되었다.
마늘 생육기간 중에 마늘혹응애가 가해하더라도 육안으로 볼 수가 없고, 마늘혹응애 밀도가 낮을때에 효과적인 예찰을 위해 마늘잎별로 조사하였다. 4월 16일 조사에는 4, 5, 6번째 마늘잎의 주엽맥에서 각각 53, 73, 30마리이었고, 5월 7일에는 6, 7, 8번째 마늘잎의 주엽맥에서 각각 25, 41, 2마리가 조사되었다. 6월 4일에는 7, 8, 9,엽의 주엽맥과 마늘종에서 각각 200, 600, 250, 800마리가 조사되었다. 따라서 한지형마늘인 경우 마늘혹응애 조사는 4월 중순에는 4, 5, 6엽의 주엽맥에서 조사하고, 5월 상순에는 6, 7, 8엽의 주엽맥 또는 잎의 말림과 황색줄무늬를 동반한 생육불량 잎에서 조사한다. 그리고 6월 상순에는 7, 8, 9엽의 주엽맥 또는 마늘종 밑부분에서 조사한다. 마늘혹응애 피해증상은 종구에서 응애 밀도가 높을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생육이 크게 위축되고, 마늘 생육 초기에 잎을 따라 올라 오면서 주엽맥을 가해하여 잎이 꼿꼿하게 펴지지 못하고 말리게 된다.
반딧불이 성충의 개체군 조사방법은 크게 Mark-recapture method (MR)와 Flash counting method (FC)로 구분된다. 그러나 MR법은 오랜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어 대부분의 조사는 FC법을 이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두 조사방법의 차이와 상관성을 분석하여 각 조사방법의 효율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애반딧불이 성충의 조사는 경북 안동시 남선면 일대에서 2012년 6월부터 2013년 7월까지 총 33회 실시하였다. MR법을 이용한 결과 총 3,051개체가 조사되었으며, 비행하는 개체수의 암·수 비율은 약 1:9, 휴식하는 개체수의 암수 비율은 약 3:7로 나타났다. 비행 및 휴식하는 암·수 개체수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2012년 조사 시 휴식하는 개체의 상관관계는 0.809, 비행하는 개체는 0.677로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FC법으로 조사한 결과 비행시 관찰된 개체는 총 903개체, 휴식시 관찰된 개체는 총 1,166개체가 조사되었다. MR법 및 FC법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2012년과 2013년 조사시 휴식하는 개체수의 상관관계는 각각 0.904, 0.831, 비행하는 개체수는 0.942, 0.960으로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P<0.01).
조사방법에 따른 휴식 및 비행하는 개체에 대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2012년 및 2013년 휴식하는 개체는 결정계수(r2)가 각각 0.8180, 0.6910, 비행하는 개체는 각각 0.8882, 0.9221로 높게 나타났다(p<0.001). 따라서 약 2~3년간 MR법과 FC법을 병행하여 실시한 후 FC법으로 전환한다면, 애반딧불이 개체군 유지에 필요한 기본 정보를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해충 발생을 예측·평가하기 위해 해충 모형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대부분의 모형이 발육속도모형으로부터 생리적연령을 추정하고 추정된 생리적 연령을 발육완료분포 모형에 넣어 해충 발생을 모의하게 된다. 그러나 실제 해충 발생과 발육모형 추정결과와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월동 후 나방 성충의 첫 발생과 산란과 관련하여 나타나는 문제점과 그 해결방법을 구체화 하였다.
월동 후 나방 성충의 발생을 모의하기 위한 초기 값- 우화하는 성충의 자료-가 있어야된다. 대부분의 경우 월동용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에 적절한 초기값을 넣어 모의하기 어렵고, 임의의 위치에서 값을 넣을 경우 당연히 실제 발생과 차이가 있게 된다. 논리적이고 현실에 부합한 모의를 위해 두 가지 방법을 적용하였다. 첫째는 발육속도 시작 값을 조정한 월동용 구성 분포로부터 추정하는 방법, 둘째는 개체군 모형을 활용하여 추정하는 방법이다. 이들 방법을 적용한 결과 실제 포장에서 성충 발생을 최대한 유사하게 예측할 수 있었다.
산란모형에는 대개 교미여부에 대한 정보가 없다. 따라서 산란모형으로부터 추정된 결과는 실제 산란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특히 월동 후 성충이 낮은 온도에서 산란하는 것으로 모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부분을 보완하기 위하여 야외에서 관측된 트랩자료로 성충의 교미최저온도를 추정하였고, 이를 적용하여 산란모형을 모의하면 보다 합리적인 알 발생을 모의할 수 있다.
보증데이터의 분석 목적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현상파악이다. 현 상파악은 각 부품별 보증클레임데이터를 이용하여 각부품의 현수준을 분석하는 방법 으로 단변량 분석방법이다. 즉 부품의 현 수명(신뢰도)를 분석할 수 있는 생명표법, 카 랜마이어 방법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고장원인분석이다. 부품의 고장에 다 양한 인자가 영향을 줄 것이다. 생산부터 고객의 사용조건까지 다양할 것이다. 이처럼 단순히 사용시간을 가지고 분석하는 것이 아닌 다양한 원인변수를 통해서 원인을 파 악하는 다변량 방법이다. 셋째, 단변량이 아닌 다변량 수명예측방법으로 그 모형의 구 조에 따라 비례적 위험함수 모형 (proportional hazards)의 가정을 적용하는 COX 모형 과 가속화 시간 (accelerated failure time)을 적용하는 AFT 모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예측에 적합한 AFT모형을 통해서 생존 시간 자체에 대한 설명변수 의 효과를 모형화하고 각 부품의 수명을 예측하고자 한다. 이 방법을 제시하는 이유는 COX모형의 경우 준 모수적 방법으로 위험함수의 모수적 유형을 지정하지 않아도 된 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위험 함수 보다는 설명변수의 효과를 추정에 그 주 목적 이 있기 때문에 모형의 결과를 수명예측에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인자를 고려하여 부품의 수명 및 수명에 대한 설명변수의 효 과를 모형화 하여 보증데이터를 분석하는 AFT 모형을 제시 하였고 실제 보증데이터 를 통해서 AFT 모형의 활용성을 확인하였다.
오늘날 대 산업분야는 과학 기술의 진보에 따라 비약적인 기술발달을 이루었다. 따 라서, 고객이 요구(Needs)하는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상당수 부분을 소프트웨 어 중심으로 달성하고 있다. 이렇듯, 과거의 하드웨어 중심의 자동차와 달리 소프트웨 어 중심의 기능 구현이 이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다 보니, 시스템이 보다 복잡해 짐에 따라 시스템을 설계하고 제어하는데 있어서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따라 서, 유럽에서는 자동차 분야의 전자제어 장비로 인한 기능안전을 달성하기 위해 ISO26262라는 국제표준을 제정하였다. 국제표준의 제정에 따라 국내 자동차 산업은 차량 시스템을 설계하는데 있어서의 노력, 뿐만 아니라, 기능안전이라는 안전부분을 대비해야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시스템의 상위 수준의 설계인 개념설계 단계에서 FMEA를 통한 안전성 활동 반영을 통한 하나의 단일화된 개발 방법론을 본 연구를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를 기반으로 향후 추가 연구를 수행한다면, 국내 자동차 산업, 뿐만 아니라, 대형복합 안전 중시 시스템 으로 확대하여 설계단계에서 안전성을 동시 고려한 시스템 설계 신뢰성 확보를 위해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