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187

        6361.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품에 존재하는 주요 비타민 B12는 hydroxycobalamin, adenosylcobalamin, methylcobalamin이며 cyanocobalamin은 시리얼과 같은 강화식품에 사용되는 합성형이다. 비타민 B12는 식품 중에 낮은 농도로 존재하기 때문에 추출 및 농축과정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과자와 시리얼 같은 탄수화물 식품 중의 비타민 B12 추출을 위해 α-amylase처리와 산성조건과 cyanide 존재시 열처리, immunoaffinity column(IAC)로 농축과 세척, HPLC/DAD로 분리 검출하였다. 분석법 수행특성지표들을 측정함으로 분석법을 검증하였다. 정확성과 정밀성은 AOAC 가이드라인을 충족시켰고, LOD 0.01 μg/100g과 LOQ 0.03 μg/100 g을 얻었다. 국제정도관리 시험에서 z-score 1.4로 분석수행이 우수함을 확인하였고 QC chart를 이용한 분석품질관리로 모든 분석이 관리하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검증된 분석법으로 과자류 12종과 시리얼 11종의 비타민 B12 함량을 분석하여 각각 0.02-0.26과 0.03-2.67 μg/100 g 범위를 얻 고 이는 신뢰도높은 데이터로 식품성분표에 활용 가능할 것이며 IAC-HPLC/DAD법이 탄수화물 식품의 비타민 B12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4,600원
        636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식품산업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음료류에 대한 인공감미료 (삭카린나트륨, 아스파탐, 아세설팜 칼륨, 수크랄로스, 싸이클라메이트)의 함유현황 파악을 위한 동시분석법을 확립하였다. 희석 및 여과의 간편하고 효율적인 전처리 후 HPLC/MS/MS를 이용하여 5종 인공감 미료 동시분석 조건을 검토하였다. 컬럼은 C18(2.1 mm × 150 mm, 3.5 um), 이동상은 2% methanol (1 mM ammonium acetate)과 95% methanol (1 mM ammonium acetate)을 사용하여 농도구배 조건으로 각 성분을 분리하였으며 ESI/ SRM 방식으로 정량 분석하였다. 0.1~5.0 mg/L의 농도범 위에서 각 인공감미료 검량선은 1에 가까운 높은 직선성을 나타냈다. 검출한계, 정량한계는 각각 0.001~0.022 mg/ L, 0.004~0.073 mg/L로 저농도의 감미료 분석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회수율은 92.76~113.50%, 정밀도는 10.91% 이하로 양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본 분석법은 음료 중 인공감미료 분석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확립된 분석법으로 시중 유통 중인 음료 102건 분석한 결과 42건에 서 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수크랄로스가 검출되었으며 삭카린나트륨과 싸이클라메이트는 검출되지 않았다. 검출된 인공감미료는 표시사항과 일치하였으며 사용대상과 사용량의 기준에 적합하였다.
        4,000원
        6363.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감꽃의 주요 향기성분을 알아보기 위해서 감나무 수령별로 감꽃의 향기성분을 SPME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기관을 꽃과 꽃받침으로 분류하여 향기성분을 비교하였다. 감나무 수령별 감꽃의 만개율은 15년생 이상, 10-14년생, 5-9년생 순으로 수령이 오래될수록 초기 만개율이 높았다. 감나무 수령에 따른 감꽃 향기성분 분석 시 동정된 주요 향기 성분은 a-pinene, butene, caryophyllene, cubebene, lavandulol, D-limoneneylangene, ylangene 등의 성분을 얻을 수 있었다. 대부분이 green 향, fruit계, floral계의 옅은 향도 포함하고 있었다. 감꽃에 존재하는 휘발성 향기성분의 수는 5-9년생은 30종, 10-14년생은 24종, 그리고 15년생 이상에서는 32종으로 수령이 5년 미만과 15년 이상에서 많은 향기성분이 조사되었다. 감꽃을 꽃받침과 나누어 향기성분을 비교하면 단감 ‘부유’ 품종 중 꽃의 향기 성분은 10개이고 상대적인 총 함량은 26.35%이며, 꽃받침은 향기 성분은 14개 이고 상대적인 총 함량은 46.28%로 꽃에 비해서 더 다양한 향기성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떫 은감 ‘둥시’ 품종은 꽃에서는 6개의 향기성분이 17.58%, 꽃받침에서는 9개의 향기 성분이 50.27%로, ‘부유’ 품종 에 좀더 다양한 향기성분이 존재하였다. 본 연구는 감꽃 향기를 이용하고자 하는 향기산업에 기초자료를 제공하 는데 기여할 것이다.
        4,000원
        6364.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페놀은 보통 대기로 배출되며 반감기가 비교적 짧은 물질로서 환경에 농축되는 경우는 드물다. 하지만, 누출사고가 발생되어 수계나 토양에 오염될 경우 페놀에 오염된 농수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페놀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시험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식품 중 페 놀을 초음파추출기로 추출하고 GPC로 정제하여 GC/MS 로 분석하는 시험법을 확립하였으며, 시험법의 유효성 확인을 위한 실험 결과들이 AOAC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 는 Criteria를 만족함으로써 시험법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확립된 시험법은 식품 중 페놀의 오염조사 및 이행률 조사에 활용될 수 있다.
        3,000원
        6365.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정량적 미생물 위해평가(Quantitative microbial risk assessment: QMRA)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9종의 식중독 세균, 2종의 바이러스, 1종의 원생동물에 대한 최소 감염량(minimum infective dose)을 선정한 연구이다. 주요 식 중독 미생물들의 최소 감염량을 선정하기 위하여, 1980년부터 2012년까지 PubMed, ScienceDirect database 등에서 주요 식중독 미생물들의 최소 감염량 및 위해평가 자료 82종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메타분석(mata-analysis) 에서 사용되고 있는 relative frequency(fi, 상대빈도 값)를 계 산하여 가장 적정한 최소 감염량을 추정 및 선정하였다. 주요 식중독 미생물들의 최소 감염량은, B. cereus 105 cells/g (fi = 0.32), C. jejuni 500 cells/g (fi = 0.57), Cl. perfringens 107 cells/g (fi = 0.56), Pathogenic E. coli 중 EHEC 10 cells/ g (fi = 0.47), ETEC 108 cells/g (fi = 0.71), EPEC 106 cells/g (fi = 0.70), EIEC 106 cells/g (fi = 0.60), L. monocytogenes 102~103 cells/g (fi = 0.23), Salmonella spp. 10 cells/g (fi = 0.30), Shigella spp. 100 cells/g (fi = 0.32), S. aureus 105 cells/g (fi = 0.45), V. parahaemolyticus 106 cells/g (fi = 0.64), Hepatitis A virus 10~102 particles/g (fi = 0.33), Noro virus 10 particles/g (fi = 0.71), C. pavum 10~102 oocyst/g (fi = 0.33)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국내 QMRA를 통한 위해수준 추정결과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6366.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출용 온실 단지로 기대되는 간척지의 광환경은 해무 등에 의해 내륙과는 다른 광환경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간척지에서 온실 설계 기준을 작성하기 위해서 산란 광과 직달광을 고려한 온실 내 광분포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간척지의 고유의 광환경 특성을 분석하고 3-D 온실 모델에 적용하여 간척지의 온실 내 공간적인 광분포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먼저 간척지의 일사량을 산란광과 직달광으로 구분하여 측정하고 내륙의 일사량과 비교하였다. 또한 간척지 지역에 설치된 온실 내의 광분포를 측정하고 이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계산된 값과 비교함으로써 3-D 온실 모델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간척지는 내륙에 비하여 전체 일사량에 대비 높은 산란광의 비율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일출 및 일몰 부근에서 크게 나타났다. 3-D 온실 모델에 의한 온실 내 예측 광 분포는 실제 간척지의 온실 내 광분포와 유사하게 나타 났다. 검증된 3-D 온실 모델을 통하여 임의의 외부 광조 건에 대하여 간척지 지역의 온실 내부의 시간적인 평균 광도의 변화와 광분포를 예측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간척지 지역의 온실 내 광환경 해석 이외에도 작물의 수광량 해석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4,000원
        6367.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rror cases induced during the proficiency test of certified odor measurement agencies. In the case of the homogeneity test performed in three panel groups, the geometric mean dilution factor of the site boundary PTMs(proficiency testing materials) was 1.4 ± 0.2, 1.7 ± 0.2, 1.8 ± 0.1 and that of the outlet PTMs was 3.7 ± 0.2, 3.7 ± 0.3, 3.7 ± 0.3, respectively. In the case of the stability test for 72 h, the geometric mean dilution factor of the site boundary PTMs was 1.6 ± 0.1 and that of the outlet PTMs was 3.6 ± 0.1. Among error cases induced during the proficiency test of certified odor measurement agencies, the proportion of error cases was in the order of case II(discontinuance of estimation)(40.0%) > case I(error on estimation procedure by panelist)(33.3%) > case III(miswriting of estimation result)(13.3%) > case IV(miswriting of dilution factor) and V(writing of wrong estimation result)(6.7%). Therefore, it seems likely that additional education related to error cases II and I is required.
        4,000원
        6368.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在中国,创业在改革开放及经济发展方面发挥了重要作用。目前中国中 小企业总数已占到了全国企业总数的99%以上,创造的最终产品和服务价值 约为国内生产总值的60%,在繁荣经济,推动创新,扩大出口,增加就业等 方面发挥了重要作用。尤其是最近,鼓励创业已与解决就业,促进创新以及 产业升级等后经济危机时代促进经济恢复等重大现实问题紧密联系在一起。 本论文通过为期3年在中国进行的创业动态跟踪调查项目(PSED: Panel Study of Entrepreneurial Dynamics)可以了解中国创业者创建企业的条 件,以及创业者为此付出的努力。作为中国第一个聚焦于微观层次创业过程 规律的调查研究项目,CPSED至少具有以下两方面的重要实践价值。 第一,CPSED项目紧密扎根中国创业实践,在长达3年的调查设计和准 备阶段,通过大量实地访谈,深入了解了中国创业者在创业过程中的行为特 征和规律。第二,CPSED项目是按照国际上规范方法进行的系统性调查研 究。创业者群体呈现广泛性和多样性的特点,创业活动也因行业,地区和文 化等因素表现出巨大的差异,这给调查研究结果的代表性带来了严峻挑战。 因此,本论文在PSED基础上,在中国东部,中部,西部和东北地区选出8 个具有代表性城市为调研区域,采用随机跳号抽样的家户电话访问方式开展 调研。
        5,600원
        6369.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들깻잎과 들깻잎 생산 환경을 대상으로 S. aureus를 분리하고 MLVA를 이용해 분리된 S. aureus의 오 염경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들깻잎에서 S. aureus의 검출빈도는 7.9% (9/114)였고 검출수준은 0~2.92 log10 CFU/ g였으며 2곳의 농가에서 S. aureus가 2.00 log10CFU/g 이상으로 검출되었다. S. aureus가 분리된 5농가를 대상으로 들깻잎과 직접 접촉하는 시료에서 S. aureus를 분리하였으며 5 농가 중 3농가의 작업환경 (농가의 포장대, 포장비 닐, 작업자 손, 복장 등)에서 S. aureus가 검출되었다. 들 깻잎과 생산 환경에서 분리된 S. aureus를 대상으로 MLVA 를 수행했을 때 포장대, 작업자의 손, 포장비닐 및 관개용 수에서 분리된 균주와 들깻잎에서 분리된 S. aureus가 동일한 패턴을 보여 들깻잎의 오염은 이들 시료와 연관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MLVA를 이용한 유전자 typing은 농산물이나 식품 중 S. aureus의 오염원을 신속 하고 경제적으로 구명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 된다.
        4,000원
        6370.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자연환경의 변화가 젖소의 인공수정 수태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먼저 종속변수로는 32개 농가의 인공수정자료를 이용하여 60개월(2008년 1월~2012년 12월)의 월별수태율을 구해 패널 자료로 구성하여 이용하였다. 젖소의 인공수정 수태율에 미치는 주요한 설명변수로 자연환경 변수로는 기온, 강수량, 그리고 풍속을 이용하였고, 월별 효과를 제어하기 위해 월별더미변수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자연환경 설명변수 중 기온 변수가 가장 유의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기온이 1℃ 상승하면 수태율은 약 –0.6% 하락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더미변수를 활용한 추정에서는 1월, 4월, 6월, 7월, 8월의 더미변수가 유의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추정치를 보면 평균 수태율은 1월의 경우 약 44%, 4월의 경우 약 33%, 6월은 약 32%, 7월은 약 31%, 8월은 약 27%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태율은 기온이 높아지는 여름이 될수록 낮아지며 겨울의 경우 수태율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4,300원
        6371.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고온 스트레스가 우유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분석을 위해 모형 2개를 구축했다. 모형 1은 우유생산량과 THI를 비선형관계로 가정하여 우유생산량이 가장 많아지는 최적의 THI를 추정했다. 이를 위해 고온 스트레스를 정량화 시킨 THI를 산출했다. 모형 2는 우유생산량과 평균기온과 습도의 관계를 분석했다. 습도는 우유생산량과의 통계적 상관관계가 존재하지 않아 배제하였다. 우유생산량과 평균기온은 비선형관계로 가정하여 최적의 기온, 기온 변화에 따른 우유생산량의 한계효과와 농가소득의 변화분까지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최적의 THI는 자기상관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 17.79 고려한 경우 7.91로 나타났다. 최적의 평균기온은 자기상관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 16.5℃. 고려한 경우 7.4℃로 나타났다. 기온에 의한 우유생산량의 한계효과는 최적 기온을 기점으로 양의 한계효과는 감소하다 최적 기온을 넘어서면 음의 한계효과로 바뀌며 온도가 상승할수록 음의 한계효과는 커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농가소득 변화분은 농가의 착유우두수가 많고 기온 변화가 클수록 더욱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4,300원
        637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paper takes it as focal point is New Land Reform in China. Through New Land Reform, The Chinese Government seeks to increase peasant’s income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rural land. Since 2008, in many areas of China has been experimenting with the distribution of rural land. Chongqing model(The system of land quota) is watched by Chinese society with interes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ertify whether the increase in peasant’s income through Chongqing cit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ince enforcement of the system of land quota, Chongqing peasant’s income has increased more than China and Chengdu City. Second, Chongqing peasants are growing rapidly property income more than business income and earned income. Third, Urban-rural income gap in Chongqing city was reduced more than China but no difference with Chengdu city. In conclusion, Although there are many problems the system of land quota but Has a positive effect on peasant’s income.
        5,400원
        6373.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중고령자 고용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최근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중고령 여성 시간제 일자리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존의 시간제 일자리 연구에서 간과되었던 중고령 여성의 시간제 일자리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시간제 일자 리 중고령 여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시간제 일자리의 직업 특성과 근로여 건 특성을 국민노후보장패널 4차(2011년) 자료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시간제 일자리 중고령 여성은 인구사회학적 특성 면에서 상당히 취약하였으며, 시간제 일자리는 업종과 직종, 종사상 지위, 정규직 여부, 임금, 근속기간, 고용안정성과 국민연금, 고용보험, 산재보험의 사회보험제도 가입율 면에서 전일제 일자리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일자리의 질이 훨씬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 과를 토대로 중고령 여성 시간제 일자리의 질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4,800원
        6374.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mpare the nature of teacher talk between the native and non-native speaking professors with its focus on language functions and interaction modifications in English-mediated writing instruction. The study analyzed the classroom languages of two professors who were teaching college-level composition courses using the same textbook and syllabus. The classes taught by the two professors were videotaped, transcribed, and analyzed based on the AS-unit. The results showed both professors used all of the five functions in the order of information, suasion, opinion, future plans, and checking. The NS professor, on the other hand, used the information function more often, while the NNS professor relied more on the suasion function. The data also displayed that the NS professor gave more feedback responses, whereas the NNS professor asked more clarification requests and repeated their own utterances. The findings implied that the types and distribution of the teacher talk may be influenced by the subject-matter and the instructional foci of each professor.
        6,300원
        6375.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지리공간분석을 이용한 지표풍 균질화 방법의 적용성을 검토한다. 토지피복지도 항목별 지표면조도길이를 대응시키고 지리공간분석을 통하여 지표면조도를 평가하였으며, 자연로그 풍속고도분포식의 상사성을 이용하여 기준 지표면조도에서의 풍속을 추정하였다. ASCE-7 코드를 통하여 지형에 의한 풍속할증을 추정하였으며 지형계수 산정식에 필요한 매개변수는 DEM의 지리공간분석을 통하여 얻을 수 있었다. 태풍 KOMPASU(2010) 때 관측된 군집 AWS 풍속에 균질화 방법을 적용한 후 군집 AWS 균질풍속의 유사성을 조사하여 균질화 방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3곳 대상지역 검토 사례에서 지표면조도가 지배적인 관측 지표풍의 경우 8% 표준오차 이내로 균질풍속을 추정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균질화 기법은 태풍 시뮬레이션에 의한 지표풍 풍속 추정 분야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6376.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 적 : Q-MRA의 검사는 주로 뇌혈관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후로 검사하여 수술의 성공 여부와 질환의 재발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시행한다. 이밖에도 밝혀지지 않은 뇌혈류 질환이 의심되는 환자에게도 시행하여 비침습적으로 좀더 빠른 진단을 돕고자 검사를 시행한다. QMRA의 경우 뇌혈관 질환의 정량적 혈류량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검사과정 중 혈관의 contours를 그려서 혈류량을 평가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환자의 질환, 상태, 호흡, 맥박, 검사자의 숙련도 등의 오차로 가동적인 혈관의 contours를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렵다. 본원에서는 이러한 오차를 줄이고 정확한 contours를 그리고 정량적 검사를 시행하기 위해 Auto program contours 검사법 대신 Manual program contours검사를 시행하고 이를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 검사장비 •MRI 장비 : Achive 3.0 TX(Philips medical system) •신호수집 coil : 32 channel head coil. •혈류량 측정:Non-invasiveOptimalVessleAnallysis( NOVA7.0.3 T3, VaSol) •혈관직경의 비교측정 : Philips work station 2. 검사대상 : 2013년 1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본원에 뇌혈관 질환과 관련 있는 의심 환자(stent insert post-operation surgery 환자와 aneurysm clipping post-operation 환자를 포함한) 16명(남자:8명, 여자:8명, 평균연령은 62.0세)를 대상으로 본 검사를 시행하고 평가 했다. 3. 검사방법 : Q-MRI에서는 phase contrast image를 사용하여 NOVA 장비를 이용해 각각의 CCA, VA의 직경을 auto와 manual로 측정하고 flow rate을 비교하였다. 혈관 직경은 Philipsworkstation에서 측정된 값을 기준으로 비교 분석했다. 결 과 : Auto contours와 Manual contours를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hilips wortkstation에서 측정된 혈관 직경을 기준으로 CCA의 Auto contours 평균오차(직경)는 10.35%, Manual contours 평균오차(직경) 5.14% 이었다. 그에 따른 Auto flow rate 평균값 380.06(ml/sec), Manual flow rate 평균값376.71(ml/sec) 이었다. BA의 Auto contours 평균오차(직경) 14.59%, Manual contours 평균오차(직경) 9.97% 이고 그에 따른 Auto flow rate 평균값 125.65(ml/sec), Manual flow rate 평균값 125.71(ml/sec) 이었다. CCA에서 contours의 직경 5.21%만큼의 오차에 따라 diameter에 변화가 생겨 오차가 적은 Manual과 비교하여 flow rate도 1.02%만큼의 변동이 있었고, BA에서 contours의 직경 4.62%만큼의 오차에 따라 diameter에 변화가 생겨 Manual과 비교하여 flow rate도 약 -0.72%만큼의 변동이 있었다 결 론 : QMRA 검사시 flow rate는 뇌혈관 질환 환자들에게 있어 중요한 기능적 검사이다. 이로 인하여 병변부 재발의 가능성과, 앞으로 생길 수 있는 질환의 예방 목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검사이다. flow rate에서 혈관의 diameter의 중요한 factor이고 이를 정확하게 구하는 것은 정량적 검사의 목표이기도 하다. Manual contours 작업시 혈관직경의 오차가 줄어들었지만 혈류량에는 크게 변화가 없었다. 하지만 Philips Work station과 Manual contours 작업의 혈관직경의 오차가 Auto contours작업의 혈관직경 오차보다 작은만큼 보다 정확한 정량적 혈류량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고 사료된다.
        6377.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기존 Single RF source에서는 환자의 해부학적 차이에 따른 영상신호의 불균형으로 인해 dielectric shading artifact가 발생하여 최근 이를 개선하고자 dual RF source를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은 dual RF source 사용 시 필요한 B1 calibration scan의 호흡방법 변화에 따라 영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복부질환이 없는 건강한 지원자 14명을 대상으로 검사장비는 Archieva 3.0T TX(philips medical system, Netherlands)를 사용하였고, 신호수집 코일은 32channel sense cardiac coil을 사용하였다. 검사방법은 호흡을 실제 검사와 동일한 expiration, 변형한 방법인 free breathing과 inspiration하는 방법으로 B1 calibraion scan을 각각 실시하여 호흡방법의 변화에 따라 B1 calibration scan 후 3D dual echo, e-THRIVE sequence/Axial 영상을 획득하였다. 평가방법은 정량적 방법으로 liver를 9개 구역으로 나누어 SNR과 CNR을 비교 측정하였고, 정성적 평가방법은 방사선사 3명이 영상의 homogeneity와 background noise 발생 정도를 3점 척도로 상대평가 하였다. 평가된 값은 Wilcoxon signed rank test(SPSS 18.0K for windows)로 통계처리 하였다. 결 과 : 정량적 평가는 expiration, Free breathing, inspiration 일 때 3D dual echo의 SNR은 251.05/167.07/183.53, e-THRIVE 161.08/117.22/128.38로 나타났고, CNR은 3D dual echo에서 73.68/56.4/55.69, e-THRIVE 62.61/40.34/35로 나타났다. 정성적 평가는 3D dual echo 2.30/1.76/1.94, e-THRIVE 2.56/1.46/1.98로 나타났다. 통계적 분석은 expiration 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p<0.05), free breathing과 inspiration 사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05). 결 론 : 실제 검사와 동일한 호흡방법인 expiration으로 B1 calibration scan을 하였을 때 3D dual echo와 e-THRIVE에서 영상이 제일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호흡방법으로 실시한 경우에는 SNR과 CNR이 저하되고 심할 경우 dielectric shading artifact가 발생하여 영상의 질을 감소시킴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복부 MRI 검사 시실제 검사방법과 동일한 호흡방법으로 얻은 B1 calibration scan이 보다 진단학적 가치가 높은 영상을 구현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4,000원
        6378.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한우 보증씨수소 KPN 493, 586, 614, 632, 666을 암소에게 인공 수정하여 생산된 자손 축 총 60두(5처리×12두씩/처리구당)에 대한 육질의 이화학적 특성과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등심 면적 및 근내지방도는 KPN 586 자손축이 가장 우수하였으며(p<0.05), 육질의 이화학적 특성에서는 처리구 간에 거의 차이가 없었으나 특히 풍미와 육색의 황색도(b값)가 KPN 493이 가장 좋았다(p<0.05). 지방산중 올레인산은 KPN 493은 가장 높았다(p<0.05). 또한 각 형질별 상관관계에서, 도체중과 등심 단면적, 등심 단면적과 근내지방도에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P<0.01), 보수력은 수분과 조단백질 함량에서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 (P<0.01). 또한 연도는 다즙성과 정(+)의 상관관계, 풍미는 다즙성, 연도 간에 정(+)의 상관관계, C18:1n9과 C20:1n9와 불포화 지방산 간에는 정(+)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었다(P<0.01).
        4,300원
        6379.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to solve the public education’s dilemma between the standardized education to maximize learning efficiency and the personalized education to maximize learning effectiveness, using the paradox management process. The process is based on combining the TOC (Theory Of Constraints) and TRIZ (Russian Theory of Inventive Problem Solving), which is a creative way of thinking to draw the synergic effect by pursuing simultaneously the conflicting elements. Through this research, a new concept of learning method can be suggested on a public course. Further research should be performed to develop a learning guideline based on the students’ empirical study results.
        4,000원
        6380.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구는 Lipsky의 일선관료론을 바탕으로 인허가 분야 일 선관료의 재량에 대해 살펴보았다. 인허가 분야는 허가와 규제의 활동을 통하여 어느 행정영역보다도 일선관료의 재량권 이 발휘될 가능성이 높은 영역이다. 따라서 인허가 관료의 재량이 있는지, 재량 행위 유형은 무엇인지, 재량 행위 원인들은 무엇인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검토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상은 수원시의 인허가 관료(환경위생과와 건축과)로 한정하였다. 전반적인 재량 행사 정도를 보면 재량은 거의 행사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법규가 미흡할수록 재 량 행사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자가 여자보다 더 많은 재량권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량 행위 유형에 따른 분석 결과에서 오직 고객통제를 종속변수로 삼는 모형만 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업무가 전문적일수록 고객통제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ipsky의 이론은 수원시 인허가 관료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 나라 일선관료에 대한 좀 더 적실성 있는 이론 개발이 요청된다.
        9,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