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통신윤리의 영어 몰입수업에 대한 효과, 학습자의 반응 분석, 영어 몰입수엽의 문제점을 찾아 그 대응책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는질적인 연구의 한 방법인 사례연구법에 의해 실시되었다. 데이터 수집은 연구자의 자기 평가와 학생들의 수엽 만족도 조사표의 응답 결과 그리고 태국 AIV 활동에서 함께 활동하였던 2 명의 교사들 평가를 반영하였다. 수업만족도 조사표로IACE 에서 개발하였으며, 선다형 10문항, 개방형 1 문항으로 작성되었다초등학교 5-6 학년 학생 20 명을 대상으로 시범수업으로 정보통신윤리의 영어몰입수엽 후 학생들의 수엽만족도 조사표에서 영어 몰입수엽은 효과가 있으며 학생들의 반응도 매우 긍정적이었다. 드러난 문제점으로 교사의 학생들 수준에 맞는 의사소통 능력의 부족, 고차원적인 사고 유도의 부족, 수업 중 학생들이 협력할 기회의 제공이 부족, 학생들의 의견 청취와 학생 중심의 수업 부족 등이었다.연구의 결론은 첫째, 정보통신윤리의 영어 몰입수업은 효과가 있었다. 둘째, 학생들의 반응은 매우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보통신윤리의 영어몰입수업에서교사의 철저한 수업계획과 자기 점검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농업의 서비스화 현상에 대한 대응 전략으로서 농촌경제 활동을 다각화하는 농촌시장 개발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먼저 농촌시장의 대두 배경을 포함한 농촌시장 형성 조건으로서 향토자원의 중요성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전라북도남원을 사례지역으로 현지 방문조사를 통해 농촌시장개발여건 및 향토자원을 분석하였고, 전문가 집단의 평가를 중심으로농촌시장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농촌시장개발은 지역에서 생산되는 농산물 생산․판매활동을 촉진하는데 본질적인 목적을두고 마케팅 촉진 수단으로 농업․농촌의 공간적 서비스를 활용해야 할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needed for running overweight management programs at school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hange of students' life habits and psychological status by applying those programs to them co-conducted by
Today, the people wish to enjoy a pleasant and safe life and high quality of urban environments in their neighborhood. Now is the time when we must give up government-oriented urban- planning(Top-Down) and adopt new city plans(Bottom-Up) of which the focus is placed on building an environment friendly city and based on citizens' participation.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ies are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process of urban renaissance and regional renaissance in japan. The results of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 city recreation board of japan are urban renaissance agency and regional renaissance agency. 2) The renaissance thema is 8 types: regional special products and tour oriented and academic oriented, eco-life practice oriented, experience and community oriented, industrial and job-creation oriented, urban-scene(view) and art-creation oriented and holistic renaissance oriented types. 3) The key aspects are citizens' participation and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of urban renaissance and regional renaissance in Japa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secondary-school-teaching-licensed- teach
ers-in-elementary-school perceived physical education teaching in elementary school and how they
practiced physical education actually in class. To achieve these goals,
온라인 게임은 불특정다수의 유저가 가상세계라는 공간에 모여 새롭게 구축해낸 또 하나의 사회공동체이다. 사회가 원활하게 유지되기 위해서는 구성원들 간의 조화를 이루기 위한 내부 규율이 필요하다. 그렇다면 온라인 게임에서의 내부 규율은 무엇일까? 온라인 게임은 게임 제작사의 의도한 바에 따라 창조된 가상세계이다. 그러나 유저들에 의해 그 세계는 변형되고 재창조된다. 이에 따라 온라인 게임의 내부 규율을 형평성에 입각하여 게임과 유저, 유저와 유저간의 조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평택시립안중도서관과 지역 주민의 적극적 참여로 이루어진 정보 서비스, 독서 및 문화 프로그램 추진 사례를 통해 지역 공동체 중심 공간으로써 공공도서관과 사서의 역할을 되짚어보고 시민들과 함께 추진한 공공도서관 프로그램의 세 가지 방향을 중심으로 지역 도서관 프로그램의 서비스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mechanical behaviors and structural integrity of the weldment of high strength steel by using an acoustic emission (AE) techniques. Monotonic simple tension and AE tests were conducted against the 3 kinds of welded specimen. In order to analysis the effectiveness of weldability, joinability and structural integrity, we used K-means clustering method as a unsupervised learning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for obtained multi-variate AE main data sets, such as AE counts, energy, amplitude, hits, risetime, duration, counts to peak and rms signals. Through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is discussed.
최근 게임 내 광고(In-Game Advertising)는 그 어느 때보다 더 게임개발사/퍼블리셔 및 광고업계의 관심을 끌고 있으며, 많은 이들이 게임내 광고가 게임 및 광고산업을 전혀 새로운 차원으로 발전시킬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본 논문은 배너 및 빌보드 광고가 게시된 온라인 레이싱 게임에 대한 실험을 통해 게임내 광고에 대한 경험적 연구결과를 담고 있다. 실증적 연구를 위해 현재 유럽지역에서 서비스 중인 3D 온라인 레이싱게임 호보런을 연구조사 대상으로 삼았다. 본 연구의 실험결과는 이전의 연구결과와는 상이한 점을 보이기도 하지만, 게임내 광고의 잠재적 가능성을 예증한다. 또한 게임관람자의 게임내 광고에 대한 인식률 실험을 통해 E-Sports와 관련한 게임내 광고의 가능성을 논의한다.
본 논문은 국내 외 PV 통합 프로젝트를 구조 디자인의 시각에서 평가한 논문이다. 국내 외 대표사례를 공공시설과 전시시설로 구분하여 국내 사례 3가지, 해외사례 3가지의 대표 사례를 들었다. 평가항목은 건축물과의 자연스러운 통합, 엔지니어링디테일, 혁신적인 새로운 설계의 항목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국내의 공공시설 및 전시시설은 주로 옥상층에 독립지지방식을 사용한 사례가 많았으며 아직 디자인적 통합부분에서는 미흡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전시시설은 건축물 설계단계에서부터 PV 패널을 염두에 둔 사례들이 증가하고 있었다. 그에 비해 해외 공공시설 및 전시시설의 경우는 주로 모듈 접합방식을 사용하면서 구조적인 통합과 디자인적 통합을 동시에 이루었으며 사용하는 PV패널의 종류도 좀 더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차종별 사고모형을 다루고 있다. 연구의 목적은 청주시 143개 4지 신호교차로에서 발생한 차종별 사고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EPDO(대물피해환산법)와 교통 및 기하구조 요인과의 관계를 설명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분석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뢰수준 90% 이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6개의 음이항 회귀모형이 개발되었다. 둘째, 모형의 σ2값은 0.14307(승용차), 0.35556(대형승합차), 0.21684(소형승합차), 0.205152(이륜차), 0.32338(소형트럭), 0.29046(대형트럭)으로, 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마지막으로 모든 모형의 공통된 사고요인은 ADT(일평균교통량)이며, 승용차의 특정 사고요인으로는 주도로차로폭합, 대형승합차의 경우 평균황색시간, 그리고 소형승합차의 경우 주도로와 부도로의 차로수 차이로 분석되었다.
지속가능한 발전과 관련된 새로운 패러다임이 우리사회가 도달해야할 목표로 간주 되고 있다. 물류는 자원순환형 시스템의 실행역할을 하고 있으며, 지속가능발전을 위해서 환경친화적으로 구축되어야 한다. 최근 물류분야에서도 환경이 중요한 경쟁수단으로 등장하고 있어서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따라 본 연구는 물류활동 중에서 수송활동과 포장활동을 중심으로 어떻게 환경친화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지를 기업의 사례를 통하여 살펴보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198사를 대상으로 77개 항목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업들이 추진해야할 환경친화적 물류활동의 추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In this thesis, We analyzed success enterprise case which is well worked by knowledge and is gained effect results. We searched key factor for success knowledge management and found problem which is able to happen when is introduced by success enterprise in knowledge management. We applied to in franchise real field with key factor found above results and experimented others real fields.
우리나라는 2000년에 제조물책임법이 제정하여 2002년 7월 1일부터 시행하였으며, 제조물의 제조, 설계, 표시등의 결함으로 인하여 발생한 손해에 대한 제조업자 등의 손해 배상책임을 규정하고 소비자의 결함 입증부담 경감과 피해자의 보호를 도모하자 하고 있다. 제조물의 표시등의 결함은 지시결함이나 경고결함에 관한 것으로 제조자는 그 위험에 의한 사고를 방지 회피할 수 있도록 소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여야 하나 이를 이행하지 않아 발생된 결함이다. 본 논문에서는 A사(社)의 공기정화기 B모델 사용설명서에 나타난 정보제공사항을 주의 경고표시 가이드 등에 따라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 일부 지시 및 경고사항에서 보완해야할 사항이 발견하였다. 보완사항은 제안사항으로 기업내부 에서 처리하되 전문성이 부족한 분야는 외부의 PL전문가의 협력하에 바람직한 개선안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age of neo-liberal, global capitalism various kinds of human communities are continuously deconstructed and the creation is severely demolished. Under this circumstance diakonia should overcome the dichotomy of giver and receiver, which means the Baal type of diakonia theology. On the one hand, the giver always wants to be a giver/stronger, so that s/he has never accepted help from others and s/he denies the justification by faith. On the other hand, the receiver could be a crippled inside by negating the possibility of becoming a giver. However, there is an alternative model of diakonia, alternative community model. This model is an “alternative” to the neo-liberal, global capitalism and an alternative “community” model rather than an alternative individual one. In this paper, diakonia is defined as a salvation act through establishing faith community aiming at the Kingdom of God. This thesis aims at suggesting some cases of diakonia of Korean Christianity as alternative community models. There are four types of alternative communities: community type (Pulmu school and its local community), church type (Jagun church), church-community type (Baegun church and Hanmaum community, and Multicultural church and the Borderless Village), and NGO type (Youngdungpo-UIM based credit cooperative, Kwanak Self-support Center, and Ulsan Social Enterprise). The missiological significance of these alternative communities is such as: their aim is the kingdom of God and church should be a sign-community orienting toward the kingdom of God; their model is the koinonia of trinity;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diakonia and koinonia; members of alternative communities are the little, outcasts, and minjung; we learn from them that the mission paradigm shifts from social mission to life mission; the center of the life mission is economy so that alternative economic community is very important; the importance of spirituality, concentrating toward the inner mind in oder to serve others(people and the creation). Though we are looking for alternative community models, they are particular ones, fit to their own socio-political, cultural and economic traditions and systems. However their missiological significance shows us some contour of a universal pi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