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의 의의와 특성, 필요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활동이론, 확산이론, 교환이론으로 설명하고 있는 노인 자원봉사활동과 관련된 이론을 통하여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의 적합성을 설명하였으며, 현재 우리나라에서 활동 중인 노인들의 자원봉사활동의 사례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에 따른 노인 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방안을 모색하였다. 현재 우리나라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사례를 통하여 발견된 문제점으로는 크게 다섯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경제적 어려움, 둘째 잠재적 노인 자원봉사자 활용의 소극성, 셋째 자원봉사활동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미흡, 넷째 자원봉사활동의 법적, 제도적 지원체계와 재정지원의 미흡, 다섯째, 자원봉사활동의 체계적인 조직 관리의 미흡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통하여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을 위한 활성화방안으로는 첫 번째, 노인에 대한 의식변화가 우선되어야 하며, 두 번째는 노인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관련법을 제정 및 지속적인 활동의 동기부여 등을 위한 다양한 보상제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마지막으로 노인의 욕구와 특성에 맞는 다양하고 적합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an exemplary case of an English immersion program originally initiated by some primary school teachers. It investigates how an immersion education was initiated by the members of an English teachers" study group and later supported by a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The contents of the program and the three examples of immersion classes are briefly illustrated and commented. The innovative endeavors for the successful execution of the immersion classes include the use of the daily morning English practice and various ways of exposing students to English. It was found from the interview conducted with 5 immersion teachers that the strong motivation of the immersion teachers was the first empowering factor for this program and the appropriate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help from the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was another crucial one. Several practical problems from implementing the immersion program are also reported. From these results and findings some suggestions are made for better ways for implementing immersion programs in elementary schools.
본 연구는 서울시내 도림천, 방학천, 성내천, 양재천 일부구간을 대상으로 도시하천의 식생회복을 위한 기초자료 구축을 통해 횡단구조를 유형화하고 유형별 식생분포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도시하천 횡단구조는 제방형태(수직형, 사면형)와 둔치 유무, 호안구조의 3가지 항목을 조합하여 사면형 56개 유형, 수직형 31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대상지내에서는 SB1(저수호안-자연형 식생호안, 고수호안-자연하안), SG5(저수호안-콘크리트, 고수호안-사석공) 유형을 비롯한 사면형 9개 유형, VH4(제방호안-찰쌓기), VH7(제방호안-콘크리트) 유형 등 수직형 3개 유형이 도출되었다. 이 중 저수호안과 고수호안이 모두 콘크리트로 정비된 SG7 유형과, VG7 유형이 가장 긴 구간에서 분포하였다. 주요 8개 유형에 대한 미지형구조 및 식생구조를 조사 분석결과 유형화 항목별 특성에 따라 횡단구조가 식물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었으나 횡단구조 유형별 식생분포 특성은 뚜렷치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2006년 9월 17일의 태풍 산산과 2006년 12월 16일의 시베리아 고기압 확장에 의한 강풍 사례에 대하여 MM5와 WRF 중규모 수치 모형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강한 해상풍을 모의하기 위한 모형의 최적화가 조사되었다. 모형의 최적화는 모형의 최하층 고도, 물리 모수화, 모형 해상도에 대해 조사되었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두 사례 모두 최하층 연직 고도를 해상풍 관측 고도인 10m가지 선형적으로 내리는 것보다 대기 하층의 안정도와 해수면 거칠기를 고려하여 로가리듬의 함수로 변환하는 것이 더 정확한 모의를 하였다. 2) 강한 해상풍 모의를 위한 최적의 모수화 방안을 찾기 위해, 여러 물리 모수화 방안을 조합하여 모형에 적용하였다. 3) 3-km의 고분해능의 모형 결과가 9-km 분해능의 모형 결과에 비해 강풍 지역과 저기압의 강도와 같은 저기압의 중규모 구조를 잘 나타내었다.
The research it sees the many enterprises ERP system Go-Live after, which fail are appearing to are actuality plentifully with continuous change management insufficiency. One objective of the research it sees the ERP system effect leads simple with successful ERP system embodiment end me, the thing knows, the successful change management to ERP system Go-Live after and there is report that the effect appears. The ERP system Go-Live after the domestic enterprise 2 year above is analysis about the user's degree of satisfaction.
국내 게임 시장의 규모는 영화시장과 음악시장을 통합한 것보다 2배 이상으로 성장으로 하고 있고, 전체 엔터테이먼트 산업의 주도권을 갖고 있는 산업으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기업에서 게임 산업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인해 게임을 개발하고, 관리하는 기술이나 능력은 게임 산업의 변화에 못 미치고 있을게 사실이다. 또한 온라인 게임인 경우는 개발과정과 설계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과정이 많기 때문에 이로 인해서 많은 시행착오가 있는 것이 오늘날의 현실이며, 특히 이러한 국내실정에서 캐주얼 게임 개발에 대한 정립이 그 어느 때보다도 절실히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온라인 캐주얼 게임에 적합한 게임 디자인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연구를 위해서 2005년 12월 부터 개발하기 시작한 "스트로커"란(온라인 캐주얼 리듬액션) 게임을 기반으로 사례 분석하여 실제 상용게임개발에 사용되는 게임디자인 과정의 소개와 캐주얼 게임에 적합한 게임디자인 문서를 제안한다.
This study try introduce a cell manufacturing form and to make the productivity in a conveyor line manufacture for the customer requirement and market change. The case research from JIT theory that made the model to make a productivity enhance through the cell line in a conveyor line and U-line. This research was subject with a cosmetics manufacture company, therefor we can raise the quality enhance, personnel expenses and reduction of delivery effectiveness in a stroke types of industry consequently.
멸종위기종 황새의 보존와 복원 계획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황새의 섭식행동과 서식지 환경을 이해하기 위하여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를 위하여 충북 청원군 미원면 화원리에 있는 산지형 습지 일부에 울타리를 치고 황새 암수의 한 쪽 날개의 첫째날개깃 일부를 잘라 방사하여, 6월 16일부터 7월 11일까지 25일간 일일 그리고 시간에 따른 섭식 행동 변화, 먹이 종류 및 양, 먹이 서식지 선택을 관찰하였다. 황새 암수의 하루 중 시간에 따른 섭식 시간과 휴식 시간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아스팔트포장의 공용수명을 예측하기 위한 포장상태 평가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ARAN(Automatic Road Analyzer)을 이용하여 균열 및 소성변형 감과 감전 포장의 표면파손 현황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HPCI(Highway Pavement Condition Index)를 산정하였다. 포장 파손현황을 분석한 결과 가장 빈번한 형태의 파손은 Top-down 균열로 나타났다. FWD(Falling Weight Deflectometer)로부터 측정한 처짐데이터를 사용하여 포장의 탄성계수를 역산정하여 실내에서 구한 동탄성계수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역학적-경험적 방법과 AASHTO 93 설계법에 적용하여 포장의 지지력을 평가하였으며, 지지력은 설계수명 동안 충분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현재 포장의 주된 파손은 표층부의 Top-down 균열이므로 포장상태 평가로 계산된 HPCI와 기존 공용성 자료에 근거하여 포장의 잔존수명을 예측하였다. 포장상태 평가와 함께 포장의 조기파손 원인분석을 위해 대상구간의 코어 시편을 채취하여 공극률, 입도, 아스팔트 함량, 피로저항성 등의 물성을 측정하였다. 바인더를 태워 아스팔트 함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현장시료의 경우 부정확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내시험결과 조기 균열이 발생한 가장 큰 이유는 다짐부족과 골재의 입도 부정확 등 시공시의 품질관리가 미흡한 것이 주된 원인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