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0

        21.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여수 사도 공룡발자국 화석지는 많은 수의 공룡발자국 화석과 함께 공룡의 집단행동에 대한 연구로 잘 알려진 지역이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지질유산 및 지형유산이 분포하고 있어 지질관광과 지질교육의 장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지리적 위치에 따른 접근성, 조차에 의한 시간적 제약, 지속적인 풍화 및 훼손에 의해 학생들의 교육을 위한 야외조사는 매우 제한적으로만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는 사진측량법을 이용하여 사도의 공룡발자국 화석들의 3D 모델과 이미지를 생성한 후 이를 통해 과거에 확인하지 못한 화석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를 확인함과 동시에 이를 교육자료로 활용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획득한 3D 이미 지를 통해 확인한 결과 기존에 육안이나 사진으로 확인하지 못하였던 일부 발자국 화석들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고 기존에 발견된 화석이라도 사진이나 해석 드로잉으로 표현하지 못하였던 세부를 이미지로 나타낼 수 있었다. 또한 발자국 화석의 3D 모델은 향후 반영구적인 데이터로 보존할 수 있어 여러 형태로의 활용과 보존이 가능하다. 이번 연구에서는 사진측량법으로 얻어진 3D 모델을 활용하여 3D 프린팅 및 가상야외조사에 활용할 모바일 증강현실 콘텐츠를 구현하였으며 향후 3D 모델이 필요한 다양한 교육 콘텐츠 분야에서 사진측량법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4,800원
        22.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as a part of serial experiments of apply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CNN) in determining osteoporosis on panoramic radiograp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sensitively CNN determine osteoporosis on cropped panoramic radiograph. Panoramic radiographs from 1268 female patients(mean age 45.2 ± 21.1 yr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For the osteoporosis group, 633(mean age 72.2 ± 8.5 yrs) were selected, while for the normal group 635(mean age 28.3 ± 7.0 yrs). AlexNet was utilized as CNN in this study. A multiple-column CNN was designed with two rectangular regions of interest on the mandible inferior area. An occluding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sensitive area in determining osteoporosis on AlexNet. Testing of AlexNet showed accuracy of 99% in determining osteoporosis on panoramic radiographs. AlexNet was sensitive at the area of cortical and cancellous bone of the mandible inferior area including adjacent soft tissue.
        4,000원
        23.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eep convolutional network is a deep learning approach to optimize image recognition. This study aimed to apply DCNN to the reading of mandibular cortical thinning in digital panoramic radiographs. Digital panoramic radiographs of 1,268 female dental patients (age 45.2 ± 21.1yrs) were used in the reading of the mandibular cortical bone by two maxillofacial radiologists. Among the subjects, 535 normal subject’s panoramic radiographs (age 28.6 ±7.4 yrs) and 533 those of osteoporosis pationts (age 72.1 ± 8.7 yrs) with mandibular cortical thinning were used for training DCNN. In the testing of mandibular cortical thinning, 100 panoramic radiographs of normal subjects (age 26.6 ± 4.5 yrs) and 100 mandibular cortical thinning (age 72.5 ± 7.2 yrs) were used. The sensitive area of DCNN to mandibular cortical thinning was investigated by occluding analysis. The readings of DCNN were compared by two maxillofacial radiologists. DCNN showed 97.5% accuracy, 96% sensitivity, and 99% specificity in reading mandibular cortical thinning. DCNN was sensitively responded on the cancellous and cortical bone of the mandibular inferior area. DCNN was effective in diagnosing mandibular cortical thinning.
        4,000원
        24.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rtificial intelligence, has been applied in interpreting osteoporosis on dental panoramic radiograph with high accurac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ensitive area of convolutional neural network(CNN), on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interpreting osteoporosis on dental panoramic radiograph. Dental panoramic radiographs taken from 1,170 female (49.19 ±21.91 average age, 21 minimum age, and 84 maximum age)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wo oral maxillofacial radiologists agreed upon interpreting osteoporosis by interpreting mandibular inferior cortical changes. The region of interest included upper and lower jaws for training and testing CNN in interpreting osteoporosis. A filter which was set to look for image characteristics moved through the entire panoramic radiography to identify sensitive areas that distinguish normal groups and osteoporosis patients. In interpreting osteoporosis on panoramic radiograph, CNN responded sensitively at the cancellous bone of the upper and lower jaws while oral maxillofacial radiologists interpreted mandibular inferior cortical change.
        4,000원
        25.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땅밀림재해 발생지 중 재발생된 땅밀림지를 대상으로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땅밀림 발생시기 및 피해면적을 추정함으로써 땅밀림 재발생에 따른 복구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우리나라에서 땅밀림이 발생한 지역 중 재발생된 지역은 6개소이었으며, 이는 항공사진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재발생된 땅밀림지는 풍화암지대였으며, 불연속면은 사면경사와 동일한 방향이었고, 절리간격은 모두 조밀(6∼20mm)하게 나타났다. 땅밀림지의 피해 규모는, 평균 폭 216.3m (119.8m∼367.5m), 평균길이 287.8m (114.6m∼529.2m), 평균깊이 2.7m (1.2m∼5.8m)이었다. 땅밀림이 재발생된 6개소의 2차 땅밀림에 의한 피해면적은 1차 땅밀림 피해면적보다 평균 22.1(1.8∼45.5)배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해상도 항공사진을 활용하여 1차 땅밀림을 파악하면 이후 발생할 수 있는 땅밀림으로 인한 재해를 사전에 파악하여 복구대책을 수립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산지재해예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26.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소나무재선충병은 동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국내에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수목병해이다. 본 연구는 소나무재선충병 항공예찰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파악하기 위해 현장예찰 조사와 드론을 이용하여 항공사진 조사를 비교하였다. 소나무재선충병 감염목과 건전목 구분을 위해 포항과 밀양의 소나무재선충 병 발생지역에서 저고도 항공사진을 촬영 후, RGB값, 분광식생지수(Spectral Vegetation Indices), M-통계값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항공사진의 적색광 (R)값이 소나무재선충 감염목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건전목에서는 녹색광(G)값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감염목과 건전목의 RGB값의 차이는 적색광(R) 값이 가장 크게 변동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RGB값을 이용한 분광식생지수 Excess red (ExR), R-G, Color index of vegetation (CIVE), Woebbecke index (WI)는 소나무재선충 감염목과 건전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분광식생지수의 M-통계값은 포항(2.3-3.1)과 밀양 (2.6-3.3) 모두 ExR, R-G, CIVE, WI에서 기준값인 1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드론으로 촬영한 저고도 항공사진의 RBG값과 분광식생지수 분석을 통해 소나무재선충의 감염목과 건전목의 구분이 가능하며, 소나무재선충병의 항공예찰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7.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방법들을 이용하여 토릭렌즈 마킹 회전량을 평가할때 일치도를 평가측정하고자 하였다. 방법 : 모형안과 콘택트렌즈 착용이 가능한 57안(평균 24.79±1.29세)을 대상으로 토릭소프트렌즈를 제조사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피팅한 후, 사진 촬영, 각도기 어플리케이션, 휴대용 돋보기와 세극등 현미경을 사용하여 회전 평가를 진행했을 때의 서로 다른 검사자 간의 검사 결과값을 비교 분석하였고, 서로 다른 회전평가 방법 간의 일 치도는 블랜드 알트만 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 서로 다른 검사자 간 같은 회전평가 방법으로 토릭소프트렌즈의 회전량을 측정하였을 때, 측정값의 평 균 차이가 사진 촬영, 각도기 어플리케이션, 휴대용 돋보기, 세극등 현미경 평가 방법 각각 –0.50, -0.70, -0.30, -0.13°로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회전평가 방법 간 비교에 대해서는 사진 촬영과 각도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했을 때, 허용 오차 범위(5°) 내의 측정값이 각각 74.56%, 75.44%로 비교적 낮은 신뢰도를 보였고 휴대용 돋 보기를 사용한 방법에서는 95.61%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결론 : 토릭소프트렌즈 처방에서 세극등 현미경을 사용할 수 없어도 사진 촬영, 핸드폰 각도기 어플리케이션, 휴대용 돋보기를 통해 토릭소프트렌즈 회전평가에 대한 임상적으로 유용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4,200원
        28.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UAV를 활용한 사진측량에서 지상 기준점 배치에 따른 정확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지역에 17개의 지상 기준점과 13개의 검사점을 설치하고 5가지 유형의 배치 형태를 만들었으며 검사점을 이용한 항공삼각측량의 성과분석과 산출물인 정사영상의 정량적, 정성적 분석 및 DSM을 이용한 공간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지상기준점 배치 시에는 삼각망 형태의 평면상의 배치형태도 중요하지만, 지형의 기복에 따른 지점의 높이 값을 고려하여 배치해야함을 확인하였다. 즉, 측량 대상 지역의 전체적인 평면상의 배치와 함께, 높이 값을 고려하여 지상기준점을 배치해야 더 높은 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다.
        4,800원
        29.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한국 성인에서 성별과 연령에 따른 전안부 계측치(전방깊이와 전방각)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 평균 연령 35.38±15.75(20∼68)세의 92명 160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회전 샤임플러그 카메라(Pentacam, Oculus, Wetzlar, German)를 이용하여 안구 전안부를 측정하였다. 촬영된 샤임플러그 이미지에서 전방깊이와 전 방각의 평균값과 네 지점(상측, 하측, 코측, 그리고 귀측)에서의 방향별 측정값을 평가하였다. 결과 : 전체 대상자의 전방깊이는 평균 2.97±0.39 mm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전방깊이가 얕아졌다. 코측(1.87± 0.39 mm)과 상측(1.85±0.39 mm)은 귀측(2.29±0.40 mm)과 하측(2.20±0.41 mm)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얕 은 전방깊이를 보였으며, 4방향에서 모두 20대에서 60대로 갈수록 점차 전방깊이가 얕아졌다. 전방각은 평균 36.44± 6.76°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전방각이 좁아졌다. 상측(34.23±7.52°)과 하측(33.27±6.76°)은 코측(38.28±7.28°) 과 귀측(39.98±7.13°)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좁은 전방각을 보였으며, 4방향에서 모두 20대에서 60대로 갈수 록 점차 전방각이 좁아졌다. 결론 :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전방깊이는 얕아지고 전방각은 좁아졌으며, 연령증가에 따른 방향별 감소의 경향 이 다르게 나타났다.
        4,200원
        30.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measure ramal lengths and angles on panoramic radiography applying a polar coordinate system for analyzing facial asymmetry within normal range. Panoramic radiographs taken from 15 males and 15 females (mean age 31.33±3.7 yrs in males and 28.87±2.72 yrs in females) with symmetric-looking faces were selected. The polar coordinate system, length of condylar and ramal height and angles between the ramus tangent and the connecting line of the most inferior point of bilateral orbital rim were measured from panoramic radiographic images. Bilateral differences in the ramal and condylar heights and angles were determined by asymmetric index. The polar coordinate applied for analyzing facial asymmetry uses length and angle measure. The normal range of facial asymmetry was measured using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asymmetry index of length and angle measure. A new analysis method using polar coordinate system on panoramic radiograph may provide more accurate analysis for facial asymmetry.
        4,000원
        31.
        2020.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따라 여러 방식의 무인 감시카메라가 상용화되었지만 기술상의 한계로 식별에 하자가 있는 디지털 증거들이 많은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증거에 저해상도 사진의 식별력을 높여주는 초해상도 기술을 적용하면 증거의 가용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초해상도 기술의 정확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보장되기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은 관계로 해당 기술의 결과물에 증거능력을 인정할 수 있을지 여부에 대한 논의가 전무하다. 이 기술의 결과물은 현장의 정보를 그대로 담고 있는 것은 아닌바, 일반적인 증거능력 요건의 만족만으로 증거능력이 긍정되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초해상도 기계학습 전문가가 작성한 검사기록 보고서라는 진술증거로서 증거능력이 인정될 여지가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증거능력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증거능력의 기본 요건인 적법성과 임의성이 갖추어져야 한다. 그리고 여타 전 문증거와 마찬가지로 진술에 대해 전문법칙의 예외의 요건인 필요성과 신뢰성까지 인정되는 경우 에 한하여 증거능력이 긍정될 수 있다. 전문법칙의 예외의 요건 중 신뢰성까지 전문가와 기술 양자에 대하여 요구될 것이다. 본지에서는 기술에 대한 신뢰성을 갖추기 위한 구체적인 기준을 기술적인 관점에서 제시한다.
        4,900원
        32.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딥러닝 기술 가운데 이미지데이타 분석에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 합성곱신경망 기술의 발전은 이미지 분석 영역에서 다양한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관광객이 게시한 사진을 딥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분류하기 위해서는 관광사진에 대한 분류와 목적에 맞는 딥러닝 모델의 훈련작업이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관광객이 플리커에 게시한 사진을 효율적으로 분류하기 위해 관광목적으로 사진이 어떻게 분류되어야 하는지 관광목적 사진분류 체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관광목적 사진 분류 카테고리 개발을 위해 문헌분석, 웹사이트 분석, 관광객이 게시한 약 38,000장 사진의 검토과정을 거쳐 사진 분류 카테고리를 개발하였으며, 약 8400장의 사진을 개발된 카테고리에 맞춰 분류해 봄으로써 개발된 카테고리의 검증과정을 거쳤다. 이 과정을 거쳐 최종으로 제안된 카테고리는 13개 대분류, 64개 중분류, 164개의 세분류 체계를 갖으며,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관광목적 사진을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분류하고자 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4,800원
        33.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한 화훼상품 구매인식과 화훼상품 이미지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국내 성인남녀 31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소비자들이 SNS를 통해 화훼상품을 구매하는 가장 큰 이유로는 트렌드에 맞는 디자인을 판매하기 때문이며, 해당 항목에 대하여 20대가 가장 높은 평균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라 20대와 30대의 응답자는 40대에 비해 SNS를 통해 판매하는 화훼상품의 가격이 덜 합리적이라고 생각하였으며, 50대 이상의 연령에서는 SNS를 통해 판매하는 화훼상품의 품질과 꽃의 신선도에 대해 낮게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SNS에 게시된 화훼 상품의 이미지가 구매할 상품 선택에 많은 도움을 준다고 인식하였으며, SNS상의 화훼상품 이미지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화훼상품의 이미지가 보정효과로 다듬어진 것이라고 인식하였으나, 실제 상품과 비슷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을 보였다. 화훼상품 구매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이미지 특성으로는 전체적인 분위기가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절화 화훼상품 이미지에서 꽃다발과 꽃바구니 화훼상품에 따라 선호하는 배경에 약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구도에 따른 선호도는 꽃다발과 꽃바구니 모두 정면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이미지 보정에 대한 선호도에서는 밝은 느낌의 채도가 높은 이미지를 가장 선호하는 반면, 어두운 느낌의 이미지는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훼상품 이미지 보정효과에 대한 감성인식을 의미변별척도법(semantic differential scale)에 따라 조사한 결과, 채도에 상관없이 밝은 느낌의 이미지는 ‘풍부한’, ‘세련된’, ‘고급스러운’, ‘기품 있는’과 같이 긍정적인 감성어휘 쪽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어두운 느낌의 이미지는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감성어휘 쪽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화훼상품 이미지의 배경, 구도, 보정효과에 따라 소비자의 선호도와 감성반응에 차이가 나타났으나, 소비자의 성별, 연령 및 직업 특성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를 통해, 소비자가 선호하는 이미지를 구축하여 SNS를 통한 화훼상품을 판매하는 것이 소비자들의 구매상품 선택에 도움이 될 것으로 확인되었다.
        4,300원
        34.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소아의 굴절이상을 타각적 굴절검사인 탁상용 자동굴절검사기, 검영기와 휴대용 사진굴절검사기로 측정 하여 비교하였으며 휴대용 자동굴절검사기의 임상적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03명의 소아(206안)에게 탁상용 자동굴절검사기, 검영기, 휴대용 사진굴절검사기를 이용하여 굴절이상을 측정하였다. 각각의 기기에서 구면 굴절력, 난시 굴절력, 난시 축을 paired t-test로 분석하여 평균 차와 95% LoA를 구하였다. 측정된 굴절이상의 일치도를 분석하기 위해 Bland-Altman plot을 이용하였으며 기기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Spearman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Bland-Altman plot에서 구면 굴절력과 난시 굴절력에서는 휴대용 사진굴절검사기와 검영기에서 높은 일치도를 보였으며 난시 축은 탁상용 자동굴절검사기와 검영기에서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 탁상용 자동굴절검사기에서 근시쪽으로 측정되었으며 근시와 원시에서는 검영기보다 휴대용 사진굴절검사기가 근시 쪽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구면 굴절력, 난시 굴절력과 난시 축에서 휴대용 사진굴절검사기와 검영기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구면 굴절력과 난시 굴절력은 휴대용 사진굴절검사기와 검영기가 유사한 굴절 값으로 나타났다. 난시 축은 검영기와 탁상용 자동굴절검사기가 유사한 측정치를 보이긴 했으나 측정기기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협조가 부족한 소아에서 휴대용 사진굴절검사기는 빠르게 굴절이상을 측정할 수 있으며 정확한 자세에서 검사하게 되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4,000원
        35.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as part of a series of studies to introduce th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CNN) into the diagnostic field of osteoporo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esults when testing Digital Radiography(DR) and Computed Radiography(CR) panoramic radiographs by CNN that were trained by DR panoramic radiographs. The digital panoramic radiographs of females who visited for the purpose of diagnosis and treatment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were taken. Two Oral and Maxillofacial Radiologist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o compare the panoramic radiographs with normal and osteoporosis images. Among them, 1068 panoramic radiographs of females{Mean [± standard deviation] age: 49.19 ± 21.91 years} obtained by DR method were used for training of CNN. 200 panoramic radiographs of females{Mean [± standard deviation] age: 63.95 ± 6.45 years} obtained by DR method and 202 panoramic radiographs of females{Mean [± standard deviation] age: 62.00 ± 6.86 years} obtained by CR method were used for testing of CNN. When the DR panoramic radiographs were tested, the Accuracy was 92.5%. When the CR panoramic radiographs were tested, the Accuracy was 76.2%. It can be seen that the CNN trained by DR panoramic radiographs is suitable to be tested with the same DR panoramic radiographs.
        4,000원
        36.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플리커에 게시된 사진 게시물에 대한 공간적 분석을 통하여 서울을 방문한 관광객의 주요 관광지와 문화권별 관광 특성을 분석하였다. 서울 시내에 2013년 1월 1일부터 2017년 12월 31일 사이에 플리커의 지오태깅된 데이터를 수집하고, 전체 사용자를 관광객과 거주자로 분류하였다. 이후, 관광객이 주로 방문하는 지역인 RoA를 도출하여 RoA 방문 경향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서울 시내 문화권별 관광객이 많이 방문하는 핫스팟 지역 또한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데이터는 총 167,410건 이였으며, 사용자 수는 3,921명이었다. 이후 RoA를 도출하기 위하여 DBSCAN 알고리즘을 통하여 서울 전체에 11개, 종로 내부에 12개의 RoA를 도출하였다. 서울 전체에 종로, 홍대, 남산, 신촌, 강남역, 코엑스, 이태원, 잠실, 가로수길, 전쟁기념관, 대학로 RoA가 도출되었으며, 종로 내부의 경우에는 경복궁, 명동, 광화문, 동대문, 북촌, 시청, 창덕궁, 인사동, 남대문, 광장시장, 창경궁, 감고당길에서 RoA가 도출되었다. 이후 문화권별 관광객의 관광 경향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아시아권, 미주권, 유럽권 관광객의 관광 추이를 확인하였으며, 문화권별로 각각 상이한 핫스팟 지역이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발생핫스팟(EHSA)를 통하여 관광객 추이의 시공간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4,300원
        37.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compare chin deviation in angle measurement on posteroanterior(PA) cephalogram and computed tomography (CT). Chin deviation was assessed as menton(Me) deviation in angle measurement on PA cephalogram and CT images of 35 patients who had orthognathic surgery (19 male and 16 female with average age of 22.1±3.33yr).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 deviation was calculated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deviation direction and asymmetry severity on the two imaging modalitie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fference of Me deviation between PA cephalogram and CT by one-simple t-test (p<.05). The mean difference of Me deviation was 2.21°± 1.84°. The maximum difference of Me deviation was 8.64°. There were statistical agreements in the deviation direction (k =0.82, p<.05) and in the severity of facial asymmetry (k =0.37, p<.05). The difference of the deviation direction was detected in 2 patients (5.71 %). The difference of the severity of facial asymmetry was in 15 patients (42.86%). The chin deviation in angle measurement might be different between PA cephalogram and CT in some patients.
        4,000원
        38.
        201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portion size estimation by comparing the measurement errors of food and macronutrient intake by photography estimation and 24-hour recall from weighing method. A total of 28 female participants aged 20-24 years old were provided a meal that included rice, chard soup with soybean paste, stir-fried squid, japchae, stirfried boiled fish paste, lettuce geotjeori, and kimchi. Each portion was measured accurately, and food intake was measured using three dietary assessment methods. For the photography method, trained researchers estimated remaining food amount by analyzing photographs using a mean of four times. The measurement errors for the stir-fried squid and japchae were larger by the 24-hour recall method, while the error for kimchi was larger by the photography metho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each food, except chard soup with soybean paste, between the weighing method and photography method were 0.77~0.99 (p<0.001).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energy and intake of macronutrients between the weighing method and photography method were 0.85~0.86 (p<0.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substantially less measurement error using the photography method than the 24-hour recall method. However,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standardize various kinds of foods, photograph angles, serving plates, and serving style for establishment of reliable and valid portion size estimation using the photography method.
        4,300원
        39.
        2017.0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역사사진은 당대를 해명하고 진실을 찾아가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사료이다. 오늘날과 같은 디지털시대에 사진은 우리 주변 가까이에 늘 존재하고 있지만 한국 근현대사에서 사진의 존재는 여전히 드물고 소중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당대 직업적인 신문기자나 혹은 사진 관련 전문인들이 아니면 사진기를 소장하 기는 어려웠다. 그뿐만 아니라 사진이 역사의 기록이 된다고 하는 의식을 가진 이도 많지 않았다. 더욱이 비밀리에 모이고 운동 해야 했던 독립운동가들이나 항일운동 단체에서 기념으로 남긴 사진이 적에게 들어가 증거물이 되게 되면 그 사진이 근거가 되어 일제 경찰에 체포당할 수도 있어 공식적인 기념사진을 남기는 것을 꺼리기도 하였다. 그 점에서 미국에서 활동하고 미국문화에 익숙했던 도산은 사진의 중요성과 그 역사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었던 듯하다. 도산은 북미 최초의 결사인 샌프란시스코 한인친목회를 결성하고 북미 한인의 지도자로 부상하면서 공립협회와 대한신민회 등을 결성하고 상하이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미주 대한인국민회 활동 등 다양한 독립운동을 전개하면서 많은 기록 사진을 남기었다. 도산에게서 사진은 함께 기념하고 소장해야 하는 친근한 매체이면서 역사적 기록을 남긴다고 하는 의식을 가지고 있었기에 그와 관련 된 많은 사진 자료가 생산되고 전수될 수 있었다고 본다. 많은 사진 기록들이 소실되었으나 현재까지 살아남은 자료들은 소중한 기록이 아닐 수 없다. 이번 도산 안창호 탄신 138주년을 맞이하여 도산학회의 정기 학술회의에서는「도산 안창호와 사진 그리고 역사」라는 대주제 아래 도산의 활동을 크게 국내·중국·미주로 구분하여 각각의 범주에서 남겨진 사진 자료를 통해 도산의 다양한 활동상을 보여줄 기회를 갖고 사진에서 보여주는 장면의 의미를 새롭게 돌아보고자 한다.
        7,800원
        40.
        2017.0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0,2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