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18

        821.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험물질 산삼배양추출물의유전독성 평가를 위해 수컷 ICR 마우스 골수세포를 이용한 소핵시험을 실시하였다. 1회 투여 최고량은 예비 시험에서 결정하였다. 약 7주령의 수컷 마우스에 시험물질 0, 500, 1,000 및 2,000 mg/kg의 용량을 1일 1회 2일간 복강내 투여하고, 최종 투여로부터 약 24시간 후에 골수세포를 수거하여 소핵 유발과 세포독성을 평가하였다. 개체당 2,000개의 다염성적혈구(michromatic crythrocyte, PCE)중에 나타나는 소핵을 가진 다염성 적혈구(micronucleated polychromatic erythrocyte, MNPCE)의 수를 게수한 결과, 모든 시험물질 투여군은 음성 대조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증가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일반 증상에서도 모든 시험군은 투여로 인한 것으로 판단되는 증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부검시 체중에 있어서는 시험물질 최고 용량군에서 유의한 감소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산삼배양추출물은 위 시험 조건에서, 본 시험에 사용한 마우스 골수세포에 소핵을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822.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하 943 m(3 호공)로부터 취수한 경산 광천수의 유·무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총 17종류의 성분 중 무기물은 11종류가 검출 되었으며 무기성분 중에서는 나트륨과 칼슘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이 특징 이었다. 그리고 구리와 납과 같은 중금속과 탄산가스 및 유화수소 검출되지 않았다. 그리고 항산화 활성, 항돌연변이원성 및 인간 암세포 성장억제 실험 결과 항산화 활성에서는 비교적 약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MNNG, 4NQO, Trp-P-1 및 B(α)P와 같은 돌연변이원을 이용한 미생물 수준에서의 항돌연변이원성 실험 결과 S. typehimurium TA98에 대해서 간접변이 원인 Trp-P-1은 시료 농도 200μg/plate 첨가 시 54%의 억제활성을 보였으며 B(α)P 및 Trp-P-1에 대해서도 각각 67%와 63%의 높은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광천수의 항암활성을 규명하기 위한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에서는 시료농도 50 μg/well 첨가 시 A549, Hela, AGS 및 MCF-7에 대해서 각각 66%, 45.6%, 37.7% 및 47.6%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인간 정상 신세포 293에 대한 온천수 농도에 따른 세포독성 효과는 20% 이하는 낮은 생육 억제율을 보였으며 이것은 광천수가 정상세포에 대해서는 비교적 낮은 독성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823.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약용식물내 에스트로겐성과 항-에스트로겐성을 조사하고 항암인자를 발견하기 위하여, 본연구는 에탄올추출로 제조된 9종류의 한국산 약용식물에 대하여 재조합효모와 MCF-7 사람유방암세포주를 이용하여 스크리닝하고 비교하였다. 재조합효모를 이용한 실험결과, 7종류의 약용식물에서 에스트로겐성이 나타났고, 4종류에서 안드로겐성이 나타났다. 또한 MCF-7 사람유방암세포주를 이용한 실험결과, 8종류의 추출물이 MCF-7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비스페놀 A와 동시 처치한 경우에도 유의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lyeyrrhiza uralensis, Cassia tora, Syringa velutina, Zingiber officinale, Malva verticillata, Panax ginseng C.A. Meyer는 식물성 에스트로겐으로서 에스트로겐에 양성인 사람유방암세포의 증식을 유의적으로 억제시티는 흥미로운 결과가 제시되었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한국산 약용식물이 식물성 에스트로겐과 항암인자로서 이용될 수 있으며, 에스트로겐의 활성을 조사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824.
        2005.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우 수정란의 체외생산에 있어서 효율과 품질의 향상을 위해서, 미성숙 난포란을 회수하는 난소의 형태와 배양 용기로서 straw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난소의 형태에 따른 수정율은 전 군에서 70.3∼84.1%로서 비슷한 경향이었다. 8세포기 및 배반포기 발달율은 황체와 난포가 모두 존재하지 않는 대조군이 가장 높았다. 배반포의 inner cell mass(ICM), trophectoderm(TE), total cell number(TCN) 및 ICM/TCN 비율은 낭종군과 퇴행황체군이 다른군에 비하여 높은 경향이었다. 체외성숙에 이용하는 배양용기에 따른 수정율은 0.5 ㎖ straw 군이, 8세포기 발달율은 대조군이 가장 높았으나, 배반포기 발달율은 23.1∼30.7%로서 각 군 간에 비슷한 경향이었다. 한편 각각의 배양 용기에서 유래된 배반포의 ICM, TE, TCN 및 ICM/TCN 비율은 유사한 경향이었다.
        4,000원
        825.
        2005.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우 수정란의 체외생산에 있어서 효율과 품질의 향상을 위해서, 체외성숙 시간에 따른 배지 내의 ammonia 농도를 측정하였고, 체외성숙용 배지의 교환 및 첨가가 배 발생과 배반포의 세포수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였다. 체외성숙용 배지내의 ammonia 농도는 체외성숙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체외성숙용 배지의 첨가에 따른 수정율, 8세포기 및 배반포기 발달율은 각 군간에 유사한 경향이었다. 배반포의 inner cell mass(ICM) 및 총 세포수(TCN)는 비슷한 경향이었으나, trophectoderm(TE) 세포수는 4.5 시간 첨가군이 유의하게 낮았다. 한편 ICM/TCN 비율은 4.5 시간 첨가군이 대조군과 9 시간 첨가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체외성숙용 배지의 교환에 따른 수정율은 4.5시간 및 9시간 교환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나, 8세포기 발달율은 비슷한 경향이었다. 한편 배반포기 발달율은 9 시간 교환군이 가장 높았다. 배반포의 ICM 세포수와 ICM/TCN 비율은 9 시간 교환군이 다른 두 처리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나, TE 및 TCN은 차이가 없었다.
        4,000원
        826.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ell response to genotoxic agents is complex and involves the participation of different classes of genes including cell cycle control, DNA repair and apoptosis. In this report, we presented a approach to characterize the cellular functions associated wit
        4,000원
        827.
        200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mino acid transporters play an important role in supplying organic nutrient to cells. The expression of L-type arnino acid transporter 1 (LATl) and its subunit 4F2 heavy chain (4F2hc) was evaluated to deterrnine the alterations to these transporters in oral norrnal mucosa (ONM) , oral precancerous lesion (OPL) and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OSCC). Sections from formalin-ftxed, paraffm-embedded S따nples of ONM, OPL or OSCC were exarnined using immunohistochernical staining to detect LATl and 4F2hc proteins. 까le LATl and 4F강lC expression increased progressively from ONM to hypeφ,Iastic and to dysplastic lesions and OSCC. In partiαlar, LATl rnay be a more S야dftc indicator of tumor prog~않sion than 4F2hc. 까le gradually increasing LA Tl and 4F2hc expression detected during the multistep progressive change shows that the protein rnay have an important role in the early stages of multistep oral carcinogenesis. In addition, the specific inhibition of LA Tl and 4F2hc rnight be a new rationale to suppress oral cancer progression.
        4,000원
        828.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itric oxide (NO) has been known to inf1uence cell fate through apoptotic or necrotic cell death. Here, we investigated the role of nitric oxide on the growth and viability of immortalized human salivary gland (HSG) cells 띠 vitro. Treatrnent of HSG with a NO donor, S-nitroso-N-acetyl-DL-penκi1lamine (SNAP), significantly diminished the growth rate of HSG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However, this retardation of cell비ar growth rate was not corresponded to the apoptotic cell death of HSG cells, because there were no characteristic apopto디c features such as condensation of nuclear chromatin, nuclear fragmentation, and the apoptotic peak of propidium iodide (PI)-stained nuclei by flow cytome띠. 까ùs implies that HSG cells are resistant to NO-mediated 다π。to:잉city. 1n SNAP treated HSG cells, cell cycle analysis revealed that the number of G2/M phase increased markedly, according to while the percentage of cells in GO/Gl and S phases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Otherwise, high concentrations of SNAP increased both P1 and annexin V positive cells. 1nterestingly, preincubation of HSG cells with iron chelator, deferoxamine (DFO), significantly diminished NO cytotoxicity more than when HSG cells are only incubated with SNAP which su잃.ests the role of iron homeostasis in NO-mediated cell death of HSG cells. 1n addi디。n , treatrnent of HSG cells with SNAP specifically cleaved iron regulatory protein-2 (IRP2) while not affecting 1RP1. Collectively, the mπent results s멍gest that NO has a potential to control HSG cell growth through cell cycle arresting at G2/M phase. 1n addi디on , intracellular iron homeostasis nùght play an important role in regulating cell survival of HSG cells
        4,200원
        829.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φ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ole of EGF(Epidermal Growth Factor), EGFR(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aFGF(acidic Fibroblast Growth Factor or FGF-1), bFGF(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or FGF-2), FGFR(Fibroblast Growth Faαor Receptor), and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the human ameloblastomas For this study 9 subjects, diagnosed as ameloblastomas referred to the Dept. of Oral Path. College of Dentistry, Kyung Hee University, 2 subjeαs of normal oral mucosa with any inflammatory changes were used as experimental, control groups respectively. All the tissues ;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were fixed in 10% neutral formalin solution and embedded in paraffm, serial tissue section were made 하1m in thickness and processed in the standard way for immunohistochemical method, using primary and secondary antibodies, for EGF(Antirabbit Ig G, rabbit kit at }:1oo dilution), EGFR(Antimouse Ig G, mouse kit at 1:100 dilution), aFGF(Antirabbit Ig G, rabbit kit at 1:100 dilution), bFGF(Antirabbit Ig G, rabbit kit at 1:100 dilution), FGFR(Antimouse Ig G, mouse kit at 1:100 dilution) , and VEGF(Antirabbit Ig G, rabbit kit at 1:100 dilution), all BioGenex U.S. A. made, followed by the Streptavidin - Horse Radish Peroxidase(InnoGenex, Human-avidin kit) appli때on , counter stained with Mayer’s hematoxylin stain method. And examined under the biologic microscope, graded -(no epithelial stain), +(weak or focal epithelial stain), ++(moderate or focal intensive epithelial stain), +++(intense generalized epithelial staining) for the epithelial, and connective 따sue component in ameloblastomas and in normal mucosal epithelium on each. Attained results as follows ; 1. EGF, EGFR, aFGF, bFGF, FGFR, and VEGF showed more intense stainability on experimental group compare t,。 that on the control group. 2. EGF, EGFR, aFGF, bFGF, FGFR, and VEGF showed more intense stainability in epithelial component and more intensely stained on the peripheral ce11s of the ameloblastomas. 3. EGF, EGFR, aFGF, bFGF, FGFR, and VEGF showed positive stainability on the stromal tissues but its level is lower compare to that on the epithelial components. Those results suggested that those growth factors take a role in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n the amelob비las와tomas
        4,500원
        830.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소 체외수정란 생산에 있어서 체외성숙용 배지에 첨가하는 혈청과 호르몬의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제1극체 출현율과 배발달율을 조사하였고, 생산된 배반포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세포수를 검토하였다. 1. 체외성숙용 배지에 혈청 및 성선자극호르몬의 첨가에 따른 한우 난포란의 제1극체 출현율은 비슷한 경향이었다. 배반포까지의 발달율은 혈청 및 성선자극호르몬 공동 첨가군(26.0%)이 대조군과 성선자극호르몬 단독 첨가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
        4,000원
        832.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콘택트렌즈 착용자를 대상으로 압입 세포진단법 (Impression cytology) 을 이용하여 결막 표면을 평가하고자 시행하였다. 콘택트렌즈 착용자 38 명, 콘택트렌즈 착용을 한 번도 착용하지 않은 건강한 눈을 가진 대조군 35 명을 대상으로 Impres - sion cytology를 시행하여 대상자들의 결막 상피의 형태릎 조사하였다. Impression cytology는 겸체가 PAS system으로 염색이 된 후에 배상 세포의 밀도, 상피 세포의 크기와 형태, 상피 세포의 핵 : 세포질 (N: C) 비율 등의 변화룹 기초로 한 Nelson 의 등급에 따라 겸 체를 4단계로 분류하였다. 콘택트렌즈 착용자를 렌즈 착용 기 간에 따라 다시 3그룹으로 분류하여 Impression cytology를 시행하여 Nelson 의 Grade scale 에 따라 평가한 결파 0-12 개월 착용자에 서 정상에 해당하는 Grade 0은 53.85%, 13 - 487R 월 착용자에서는 20% 이며, 48개월 이상 착용자에서는 없었으며 Grade 1 이상이 100% 로 나타났다 콘택트렌즈 착용 기 간이 길수록 Snake-like chromatin changes 와 같은 세포학적 변화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안구표면에 대한 세포조직학적 조사는 Impression cytology를 이용하여 평가하는 것이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Impression cytology는 비침습적이며 안전하고 간단한 생겸 방볍으로 사용될 수 있 고, 건성안과 콘택트렌즈 착용자에서 다양한 안구 표변 변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