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압 화학 증착법으로 증착된 다결정실리콘에 As를 이온주입하여 As농도와 25~105˚C 범위의 측정온도에 따른 비저항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비저항이 최대가 되는 적정 As농도가 존재하였으며 이때 비저항의 온도의존성면에서 활성화에너지 값도 최대를 보였다. Passivation공정후 감소된 비저항이 O2플라즈마 처리와 N2 분위기에서의 열처리에 의하여 회복되는 현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The temperature effects of the KNU UBV photometric system are investigated, using the HAMAMATSU 1P21 data. The variation of the passband width of V-band with temperature is about 5\AA/∘C while those of B-band and U-band are negligible. This large effect of V-band causes a significant variation of V-mag. and (B-V)-color with temperature such as ∼0.02mag/∘C ∼0.02mag/∘C in both cases. This result strongly suggests that in the photometric observations of binary stars, the temperature effects of the response of photomultiplier and the passband of filters must be considered to avoid the systematic variation in magnitude and color particularly at the minimum of light curve.
핵과류를 가해하는 깍지벌레중 우점종인 뽕나무깍지벌레에 대한 용도조건이 충 발육 및 수관내분포에 미치는 영향과 월풍과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는 다용과 같다. 온도에 따른 각 stage의 성장비는 생육온도 범위의 항온에서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각 stage의 발육영점과 유효적산온도는 난이 각각 , 46.9일도, 1령약총 , 183.8 일도, 2령약충 , 188.2일도였으며 총 약충 기간에서는 , 383.0일도이었다. 자성충의 수명은 , , , 에서 각각 39.6일, 28.4일, 18.1일, 15.7일이었고 포란수 및 산란수는 각각 83.0개, 75.0개이었다. 또한 각 stage의 생육적온은 22~ 범위이었으며 에서는 부화되지 않았다. 여름철에 수관내 충의 밀도는 69.6%로 가지의 하향면에서 가장 높았으며 월동 자성충의 분포비율은 NE-SE변에서 가장 높았고 월동기간중 성충의 사충율은 36.2%이었다.
Anagrus incarnatus의 발육에 미치는 온도의 효과를 조사한 결파 다음파 같은 결과를 얻었다. 난에서 부터 성충이 우화되어 나올 때까지의 발육기간을 조사한 결과 , , 에서 각각 21.5일, 13.6일, 10.6일이 소요되었으며 온도와 발육속도간에는 높은 상관관계 (r = 0.99**)가 있었다. 발육임계온도는 였고 유효적산용도는 210.3일도였다 .. 25 (16L:8D) 조건하에서 기주의 종류를 달리 하였을 때 발육기간은 벼멸구난에서 12.4 일, 흰등멸구 12.5일, 애멸구 12.1일로 나타나 기주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벼멸구 난의 발육 단계에 따른 발육기간은 1, 3, 5, 7일된 난에서 각각 12.5, 12.1, 12.5, 12.9일로서 7일된 난 에서 조금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25 (16L: 8D) 조건하에서 꿀을 제공 하였을 때 기생봉성충 수명은 평균 5.3일 이었다. 난소 속의 장란수는 34.8 2.8개, 실제 산란수 28.3 0.6개였고 일별 산란수는 우화 후 1, 2, 3, 4일에 각각 17.8, 7.0, 3.3, 0.2개 였다. A. incarnatus는 우화 후 1일 이내 총산란의 63.3%를 산란하였다.
담배거세미나방 핵다각체병 바이러스(Spodoptera litura nuclear polyhedroses virus: SINPV) 미생물살충제로 개발하기 위하여 기주식물, 온도 보관조건 및 태양광선에 의한 병원성 및 안정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콩잎에 살포한 SlNPV의 담배거세미나방 3령과 5령 유충에 대한 은 각각 와 였으며 에 대한 은 3령과 5령에 대하여 각각 7.3일파 8.9일이었다. SINPV는 에서 4시간, 에서 1 10분 처리하였을 때 활성이 저하되었으며 처리시간이 길어질수록 급격한 활성감소현상을 보였다. 또한 SINPV는 동결보관이 나 보관보다 안정적인 활성을 유지하였다. 콩잎표변에 살포한 SINPV는 콩잎표변에 살포한 경우 3일 후에 불활화하였으나 콩잎 이면살포에서는 10일간 활성이 지속되었다.
숫검 은밤나방(Agrotis tokionis Butler) 유충 하면의 개시와 종료에 온도와 광주기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조사하였다. 자연조건에서 하면기간은 유충이 하면을 시작하는 시기가 늦을수록 짧아져서 조사짐단내 용화시기는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실험한 모든 광주기 및 온도 조건에서 유충의 발육속도에는 변화가 있었으나 하면개시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하 였기 때문에 이 곤충의 하면은 내인성으로 추측되었다. 그러나 하면의 종료는 이상의 두가 지 환경조건의 변화에 영향을 받았다. 온도조건에 대한 반응에 따라 하면기간은 2시기로 나눌 수 있었는데 전기에는 평균온도가 높을수록 하면시간이 단축되었으나 후기에는 저온 일수록 짧아졌다. 또한 실험한 광주기에서는 단일조건 (LD 8 : 16)에서 하면기간이 가장 짧았다.
약식의 유통기간을 결정하는 중요한 품질요소인 조직감의 경화현상을 측정하는 방법을 수집하고 제조방법과 저장조건에 의한 경화속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표준 제조방법으로 만든 약식은 실온 (20˚C)에서 3일간 저장할 수 있었으며 유통 상한점에서의 경도는 multipuncture시험의 700g 하중 수준이었다. 냉장저장(5℃)에 의하여 약식의 굳는 속도는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Avrami식으로 산출한 속도상수비는 1.3~3.3배 증가하였으며 수분함량이 높은 압력솥 처리구가 가장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물엿첨가는 약식의 경화속도를 다소 낮추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압력솥 처리에 의하여 약식은 너무 무르게 되어 기호도가 다소 떨어지나 냉장보관시에는 저장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사료된다. 전자렌지로 조리한 약식은 대단히 높은 경도를 나타내었다. 약식의 종합적인 기호도는 조직감 기호도와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며, 조직감 기호도는 multipuncture 시험의 최대 하중과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multipuncture 시험이 약식의 품질평가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Saccharomycopsis lipolytica ATCC44601과 온도감수성 변이균주인 MX9-11RX8로부터 정제한 isocitrate lyase의 성질을 조사하였다. 허영온도에서 정제한 야생형균주 및 온도감수성변이균주 isocitrate lyase는 등전점(pH5.3), 35℃와 40℃ 및 45℃에서의 열 안전성 그리고 23℃와 33℃에서 threo-Ds-isocitrate에 대한 km값(약 0.2mM)에 대하여 차이가 없었으며, 온도감수성 변이균주는 33℃의 acetate 최소배지에서 유도하였을 때 효소활성은 거의 나타나지 않지만 isocitrate lyase에 해당하는 polypeptide사슬을 23℃의 허영온도에서 유도하였을 때와 거의 같은 양을 생산하였다.
The effective temperatures and the bolometric corrections of 0-G type stars and derived from de-reddened monochrometric and integrated fluxes obtained by absolute spectrophotometry on the ground and satellite (IUE, 1985, OAO : Code and Meade, 1979 ; Code et al., 1980), using the method simillar to that of Code et al.(1976) with the LTE model atmospheres by Kurucz(1979). The effective temperatures and the bolometric corrections derived from this work are found to be in good agreement with those of Code et al. (1976), Morossi and Malagnini (1985), Malagnini et al. (1985) etc., being significant for basic astrophysical quantities.
In the view of the fact that data are scare concerning the change of Methionine composition of poultry meat in function of storage temperature and cooking method.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change in these compounds an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esult of measuring methionine compound of raw material stored under the condition of 5℃, 10℃ for 6 weeks were increased as temperature increases. 2. The result of change in methionine compound of roasting were decreased than raw material It was greatly decreased in the storage for 42 days at 10℃ and slightly decreased in the storage for 14 days at 5℃ 3. When the boiling in the water, methionine compound was decreased than roasting to compare with raw material 4. By the results of this study, one of the best cooking method is roasting, because of the change in methionine compound of roasting is slightly decrease.
Sorghum cv. Pioneer 93 1, sorghum-sudangrass hybrid cv. Sioux and maize plant cv. Blizzard were assayed for toxic concentrations of nitrate-nitrogen (NO3-N) and their relationship to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temperature in a fi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