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34

        921.
        201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이질적인 속성을 가진 학문분야들을 통합하여 하나의 교육과정으로 운영하는 프로젝트 중심 교육과정 에 대한 운영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통합교과의 의미는 게임 현장에서처럼 게임 기획, 프로그램, 그래픽과 같은 이 질적인 분야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제적인 하나의 결과물을 만들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 서 제시되는 프로젝트 중심의 교육과정에 대한 운영방안은 국내에서 2008년도부터 A 교육기관에서 진행해온 게임 프로젝트 교육과정을 토대로 실증 및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통합교과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젝트 교육 과정에 대한 운영 방안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내용을 분류하여 구성하고 있다. 첫 번째는 학생들이 교육과정을 통해 “책임감” 및 “협업 능력”과 같이 학습되어지는 내용들에 대한 부분들을 정리하고 있으며, 두 번째로는 성공적인 프로젝트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 단계별로 진행되는 팀 구성, 프로젝트 계획, 팀 운영 및 협업, 중간 및 기말 발표, 그리고 평가 부분에 대한 운영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제안된 운영방안이 통합 교과로서의 프로젝트 교육과정을 운영하는데 있어서 하나의 밑거름 및 가이드라인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922.
        201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t was conducted to provide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healing programs utilizing the existing infrastructure of the rural education farm in the process of looking for early application plan of ‘Agro-healing’. The purpose of operating the farm was in order production・ process・sales and education, and then, healing. The production・process・sales was the highest (p=0.000). All farms have had signs or bulletin board, parking. Gender-separated toilets, and basin was held 90% or more. The farm which was held cultivation facilities for disabled in wheelchair was found to be 9.6%. Regular employee was minimum 1 people including owner up to 10 people, an average of 3.7 people were working, a welfare horticultural therapist is the highest as a retain qualification. The purpose of operating program in the farm was education, it was the highest. The most utilizing resources were agricultural work for operation the programs (p=0.000). The program was developed by owner themselves in the most of farms. Regular employment was found to be 6.7%. The age of participant was in order elementary schoolchild and then toddlers. Group form of visiting was school unit or work unit mostly. Target who needed help appeared to alcohol drug addicts and then handicapped, the number of people of participating at the same time was minimum 10 to 100 people. 79% of respondents had the intend of introducing healing program and transition to healing farm. Subject who respondents wanted to access for the next healing program was elementary schoolchild. Number of participants which respondents wanted as a group was 15. Most general people wanted the emotional experience which stimulated the emotion and mood such as positive emotions, joy, and pride. If we introduce the program for healing utilizing the infrastructure of the rural education farm, it might contribute to explore new spaces for creative agriculture and the early settlement of ‘Agro-healing’.
        923.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법무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조기적응 프로그램의 추진 배경 및 운영 실태와 문 제점을 파악하여 조기적응 프로그램의 발전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도입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조기적응 프로그램 참가시간 및 교육 내용 등에 대한 만족도에 관한 설문조사에서는 총 51명의 학생이 참여하였다. 설문지 내용을 토대로 한 심층면접은 학생 8명, 현장 전문가 5명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결과 조기적응 프로그 램의 대상이 초․중․고등학생으로 함께 참여하고 있는데 아이들의 이해 수준과 집중도 차 이의 어려움, 법과 제도 및 질서에 대한 교재 내용 이해의 어려움, 한국 사회 정보에 대한 이론적인 이해의 어려움, 교육 내용을 이수하기에 너무 많은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어 시간 의 부족함 등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발전 방안으로는 초․중․고등 분리교육 진행과 만화나 그림으로 이해하기 쉬운 교재개발의 필요성, 현장에 나가서 진행하는 현장체험학습과 같은 프로그램 추가, 한국인 및 본국 선배들의 멘토링 프 로그램 실시, 교육부 차원에서 지원해주는 조기적응 프로그램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연계과 정의 필요성 등 중도입국 청소년들이 한국 사회에서 범죄를 예방하고 사회생활과 학교생 활, 직장 생활을 잘 적응 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적응 지원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제안하 고 있다.
        924.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각 항만의 터미널별 물동량을 기반으로 허쉬만-허핀달지수를 통해 부산항과 상하이항의 시장구조 측정을 실시하였고, 시장성과를 분석하기 위해 시장성과를 수익성과 성장성의 두 가지 측면으로 구분하였다. 수익성 측면에서는 각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사들의 가격-비용 마진율(PCM)과 자산수익률(ROA), 성장성 측면에서는 각 터미널의 처리 실적과 물동량 증감률을 통해 각 터미널 운영사의 성과를 측정하였 다. 측정된 결과를 바탕으로 시장구조와 터미널 운영사의 성과에 대한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결과를 상호 비교하 였다. 연구결과, 부산항의 시장구조와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사의 성장성(처리실적), 상하이항의 시장구조와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사의 수익성 (PCM, ROA) 및 성장성(처리실적)과의 관계가 유의적인 관계로 나타났다.
        929.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xamines the flow characteristics of upstream channel depending on water gate operation of Nakdan Multi-fuctional weir. The specific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simulate the variation of flow velocity depending on the operation of the weir using 1-dimensional hydraulic model, HEC-RAS, and compare it with observed velocity. For discharge conditions from 50 ㎥/s to 3,500 ㎥/s, it is observed that the velocity of upstream channel is almost constant, whereas for probability flood discharge, the velocity and froude number are increased as the discharge values are increased. The velocity values for downstream boundary condition EL, 40.0 m are more decreased than those for EL. 40.5m. From comparison on the variation of water stage depending on water gate operation, it is observed that the stage values are almost constant for discharges below 300 ㎥/s, whereas 5 cm to 20 cm for discharges over 700 ㎥/s. Flow velocity at streamflow gauging station. Nakdong, is decreased by more than 875% after installing the weir.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velocity of upstream channel is decreased and the discharge and velocity of downstream channel are significantly varied after installing the weir.
        930.
        2016.04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제주 지역의 공립 유치원 방과후 과정 전반적인 운영 체계, 급·간식 및 안전 관리, 교직원 구성, 시설 및 행·재정 지원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에 참여한 교사는 제주도에 소재 하는 공립유치원에서 근무하는 방과후 과정 업무를 담당한 교사 89명이었다. 연구과정은 2015년 1월 5일 (월) ∼ 1월 23일(금)까지 3주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선행연구를 참고로 하여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특성화 프로그램을 가르치는 외부강사의 질 관리가 필요하다. 둘째, 급·간식 업무는 전문가의 영양(교)사가 담당해야 하며 보안시설이 완비되고 보안 담당자가 배치된 안 전관리가 필요하다. 셋째. 방과후 과정의 인력 배치가 확대 되어야 한다. 넷째, 방과후 과정의 예산이 확대 와 행정 실무 인력의 배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유치원 교사의 방과후 과정 업무를 지원 하는 교육청의 행·재정 지원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931.
        2016.04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공립유치원 방과후 과정 교사 운영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이야기를 듣고 방과후 과정 교사 운 영에 관해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교사가 인식하는 방과후 과정 교사 운영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로 연구 문제를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에 참여 한 연구 참여 교사는 충청북도에 공립유치원에서 근무하며 방과후 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교사 5명과 타․시 도(대전, 경기, 대구, 전라북도) 공립유치원 근무하며 방과후 과정을 운영하는 교사 5명이다. 연구 과정은 2015년 4월 6일(월) ∼ 6월 27일(토)까지 12주 동안 주 1회 교사 10인과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의 시각으로부터 통찰과 발견, 이해에 이르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자료를 많이 수집하기 위해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전화 면담, e-메일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면 담한 자료를 취합하여 전사하였으며, 현장 노트를 작성하여 현장에서의 상황을 묘사하여 예비적인 보충 자 료로 연구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갑자기 달라진 방과후 과정 교사 운영 지침이 갑자기 변 경되어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둘째, 방과후 과정 교사를 채용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지원자가 감소하게 된 배경을 보면 방과후 과정 교사 채용 자격 조건이 강화되었으며, 유치원이 위치한 지역적 특성에 따라 면 이하의 경우 유치원 정교사 자격증 소지자의 부재로 지원자가 턱없이 감소하였다. 셋째, 다양한 방과후 과정 교사의 유형으로 인해 누구와 함께 일을 하느냐에 따라 교사가 느끼는 인식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넷째, 방과후 과정 교사 운영에 대한 어려움으로 소통의 부재를 말하고 있다. 한 학급을 함께 운영하는 교 육과정 교사와 방과후 과정 교사가 학급 운영을 잘하기 위해 무엇보다 필요한 것이 소통일 것이다.
        932.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implications and critical success factors by surveying and analysing practice cases of green care in south Korea. To achieve the object of this study, many valuable cases were checked through preceding researches and internet informations. Case study targets were divided into side-work farmer type, professional farmer type, and Institution directed type, and then case study surveys were performed by each type. Every case has the natural environment in common, and tries to satisfy users’s demands and to give the opportunity to communicate. Especially, the strong motivation, mind, and entrepreneurship of operators are very important factors for green care. If the development of government supporting policies and related education programs are accompanied with lots of potential such as Korean oriental medicine, rural tourism village, and sixth industry project, it will be possible to introduce and manage green care successfully.
        933.
        201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Hongseong-Gun school food service center (Hongseong SFSC) that is managed directly by local government is supplying local environmentally friendly foods from 2014. This study aimed to analyze a case on Hongseong SFSC and to propose improving directions. Hongseong SFSC showed higher supply ratio (67.4%) of local environmentally friendly foods compared to the other centers. The operation effects of this center are reliably price of farmer’s products, increased consumption of local agri-products, school food confidence, and so on. But there are many problems on this operation. Improvement directions of SFSC for local food system are as follows: Firstly, the supply range of foodstuffs is needed to establish quality standards to increase foodstuffs quality. Secondly, guidelines for creating a fair commission fee structure should be established. Thirdly, the contract issues between the center and schools need to be resolved by governance system. Fourthly, local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al cultivation and cropping systems are required to establish reliably supply of farmer’s products.
        934.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14년 우리나라 선용품 시장의 규모는 5조 7천400억 원 정도로 추정되며, 대부분이 부산, 울산 등 경남권에서 이뤄지지만, 관련 업체가 400여 개나 난립해 대부분 평균 매출이 20억 원 미만으로 영세한 수준이다. 또한, 세계 해운항만산업의 불황과 중국을 비롯한 개발도 상국들의 저가 선용품의 생산 및 공급으로 인해 국내 선용품 업계의 전망은 그다지 밝지 않는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선용품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선용품 공동물류를 선택하였고, 공동물류를 운영함에 어떠한 요인이 중요한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공동물류 운영과 관련된 16가지 요인을 도출하여 AHP, IPA 기법을 활용해 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비용측면이 선용품 공동 물류를 운영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935.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바다낚시인의 증가 따른 낚시시설의 부족을 해결하고 바다낚시를 해양레저로 정착시키며 어촌의 경제 활성화를 돕 기 위한 목적으로 조성된 바다낚시공원의 시설측면의 문제점을 실증적으로 파악하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바다낚시공원의 시설개선사항 및 새로운 바다낚시공원의 계획을 위한 시설계획방향을 제시하였다. 시설측면의 문제점 분석을 위하여 현재 운영 중인 9군데 바다낚시공원과 2 군대 바다목장을 대상으로 시설운영 현황조사 및 시설관리인 인터뷰조사를 실시하고 바다낚시공원, 어촌체험마을 등 25군데 바다낚시시설에 서 낚시인을 대상으로 시설요구사항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가족단위 낚시인구의 증가에 따른 안전시설 및 화장실, 휴게시 설 등의 편의시설 확충에 대한 요구가 많았으며, 초보자를 위한 가두리낚시터 등의 교육, 체험시설의 필요성과 캠핑장, 해변공원, 산책로 등의 낚시활동 외 여가활동을 위한 시설 도입에 대한 요구가 높게 조사 되었다. 따라서 바다낚시공원은 낚시활동을 중심으로 한 복합레저공간으로 계획하여야 하며, 낚시공원 내 활동요구사항에 적합한 시설구성 및 시설계획이 필요하다.
        939.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because people are taking a great interest in the water supply system and the related facilities are getting larger, the surge suppression is very important problem. The waterhammer occurs when the pumps are started or stoped for operation or tripped due to the power failure. As the waterhammer problems as a result of the pump power failure were very serious, these situations were carefully investigated. Accordingly, we carried out both numerical simulations to confirm the safety fot the intergrated operating of 1st stage and 2nd stage Juam intake pumping station in which had the in-line pumps. In this paper, it was reviewed that the water supply system has the reliability on the pressure surge, in case the air chambers were installed at both the inlet and the oulet of the in-line pumping station. we are sure that Juam intake pumping station in which have the air chambers is safe for the waterhammer.
        940.
        201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1세기를 대비하는 창의적 우수인재 양성을 위해서 교수법 내용체계와 운영체계에 있어 과거의 주입식교육체제와는 질적 수준을 달리하는 창의혁신기반의 수업역량 개발과 실행적 전문성 함양이 단위학교 수준에서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교육의 주체는 교사라는 사실을 감안할 때, 창의성교육의 적극적 실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학습자 중심의 창의적 수업운영방식(확산적 사고촉진, 브레인스토밍과 같은 아이디어 생성기법 훈련, 학생의 내적 동기 촉진, 문제해결능력 함양 등) 유형과 이를 위한 제도적 지원여건 구비에 대한 현장 교사의 인식과 신념이 포괄적으로 확인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학생 창의성 계발을 위해 교사가 활용하는 교수방식과 수업형태의 다양성을 확인할 수 있는 창의성 실행 진단항목을 구안하고, 그 구성적 내용타당성을 교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또한 창의성교육 실행 및 계발에 대한 교육현장 구성원의 다양한 인식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교원 성별에 따른 군집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창의성교육 구현을 위한 수업운영 방식과 지원인프라 구축에 대한 교원의 인식을 다양한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조망함으로써 향후 보다 정교한 창의성교육 실행 진단도구 계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는데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