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xty-eight open clusters have been sampled in proportion to the age fraction of the number distribution of open clusters in Galaxy in order to find out the aging effect in number density distribution of member stars of the open clusters. The Ring method can be used to establish the number density distribution around the central regions of the open clusters. Their number density distributions have been classified to several types according to their shapes. They have been arranged to a serial distribution of A to F in age.
봄철 보리와 둑새풀에 대한 애멸구, 끝동매미충의 기주선택성을 검토하기 위해 실태시험을 실시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애멸구 약충은 둑새풀이나 벼에 비하여 보리에 대한 식이선호성이 현저히 높고 둑새풀과 벼사이에는 별 차이없이 식이선호성이 낮았다. 끝동매미충 약충은 벼 보다는 독새풀에 대한 식이선호성이 현저히 높었다. 2. 보리, 둑새풀 및 벼에 대한 애멸구의 산란선호성은 기주식물간에 차이가 없었고 끝동매미충은 벼에 비하여 보리와 둑새풀에 대한 산란선호성이 현저히 낮았다. 3. 애멸구는 보리에서 약충의 발육이 빠르고 우화율이 높았으나 둑새풀에서는 발육이 늦고 우화율이 크게 낮았다. 끝동매미충은 보리에서는 약충기 사충율이 로서 한마디리로 우화하지 못하였으며 둑새풀은 벼에 비하여 우화율이 크게 낮았다. 4. 보리에서 사육한 애멸구 성충의 평균수명과 평균산란수는 각각 32일 182개인데 비하여 둑새풀에서 사육한 것은 성충의 수명이 9일이었고 산란수는 불과 13개이었다. 둑새풀에서 사육한 끝동매층은 성충의 평균 수명은 15일, 평균산란수는 24일기이었다. 5. 벼 진흥의 유묘에서 얻어진 애멸구, 끝동매미충 성충을 보리와 둑새풀에 옮겼을 때 애멸구의 평균수명은 보리에서 27일, 둑새풀에서 9일이었으며 끝동매미층의 평균수명은 보리에서 8일, 둑새풀에서 12일이었다. 6. 월동 애멸구, 끝동매미충의 증식 가능 여부면에서 볼 때 애멸구는 보리를 좋은 기주식물로서 선택하나 독새풀은 그렇지 않으며 보리는 끝동매미충의 기주식물로서 그 가치가 낮아 세대의 증식이 크게 이루어지지는 않을 것 같다.11.6%으로 세대간차가 심하였으며 보리에서 5월 17일 접종구의 평균성충수가 였음을 생각할 때 기주의 생리적 조건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6. 이상으로 보아 애멸구의 선천적 증식능에는 세대간차가 없는 것으로 생각되며 기주의 생리적 조건은 기상적 조건이나 천적과 아울러 밀도변동에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애멸구의 강한 이동성도 이와 같은 점과 유관한 것으로 추측된다.구방제효과가 월등히 좋았고 Omethoate보다는 Carbofuran의 방제효과가 좋았다. 2. Carbofuran 1회 액상근부처리는 Carbofuran 2회 수면시용과 대등한 수도해충의 방제효과가 있었다. 3. A포장에서 보다 B포장에서 이화명충 방제효과가 좋았는데 그것은 B포장에서의 약제처리시기가 이화명충 방제적기에 해당하기 때문인 것 같다. 4. Carbofuran 1회 근부처리는 수도 전 생육기간에 걸친 수도해충방제가 가능한 것으로 보였다.이었다. 따라서 양자간의 상관관계를 밝히는데 도움이 되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기간 중 필자의 주장을 뒷받침 해 주는 중요한 새로운 정보를 입수할 수 있었다. 즉 1946년에 흰둥멸구의 대발생으로 충남, 전남지방에 피해가 심했으며 그중 피해액이 밝혀진 곳은 라주군에서 16만석, 서산군에서 19만석이었다. (당시 농사시험장 곤충담당관 이봉우씨 담, 현재선 교수 전) 1910년 이후의 우리나라에서의 벼멸구 생기록을 보면 항상 흰등멸구와 함께 발생하고 있으며 최근의 예찰등성적을 보아도 함께 나타나 있고, 해에 따라 1975년도와 같이 벼멸구가 대발생하는 수도 있
이 글의 주요 연구 대상은 한국어 동의어이다. 한국어 어휘 중에서 의미가 비슷한 어휘가 많다. 한국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중국어 학습자들은 어떻게 의미가 비슷하지만 미세한 차이가 있는 어휘들을 정확히 구분해서 활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표현하고자 하는 뜻에 가장 어울리는 동의어를 선택해서 활용하는 것은 복잡한 일이다. 그래서 본문에서 한국어 동의어를 완전동의어와 부분동의어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우선 완전동의어의 유형 및 대응관계를 살펴보고 그 다음에 부분동의어의 의미차이 유형을 사용대상 및 사용환경 등 미세한 차이를 10가지로 나누어 제시하고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런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각기 의미차이와 적절한 사용 대상이 있는 동의어들의 정확한 사용에 길잡이가 되고자 한다.
목적: 본 연구는 필라테스 운동 시 지도자의 피드백 유형이 운동참여자의 운동몰입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참여자들이 운동을 지속하기 위한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2022년 수도권을 중 심으로 필라테스를 하고 있는 성인 30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Jamovi 2.2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Cronbach’ α 계수, Pearson’s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이 용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운동참여자의 운동몰입에 대한 하위요인 중 인지몰입에는 지도자의 피드백 유형 의 하위요인인 수행지식 피드백, 긍정일반 피드백, 긍정적비언어 피드백이 영향을 미쳤으며, 행위몰입에는 긍정일 반 피드백, 긍정적비언어 피드백, 부정적비언어 피드백이 영향을 미쳤다. 운동참여자의 만족도에 대한 하위요인인 지도자행동만족, 운동능력만족, 운동환경만족 모두 수행지식 피드백, 긍정일반 피드백, 긍정적비언어 피드백이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지도자의 피드백 유형은 운동몰입과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운동참여자들의 필라테스 참여의 지속을 위하여 필라테스 지도자는 긍정적인 분위기를 바탕으로 상 황에 맞는 피드백의 활용을 통하여 참여자의 운동몰입과 만족도를 높일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중국 내 대학 한국어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읽기 전략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읽기 능숙자 집단과 미숙 자 집단을 나누어 사고구술법을 활용하여 텍스트 유형별로 두 집단이 사용하는 전략 양상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집단이 설명문을 읽을 때 두드러진 차이를 보이지만 서사문을 읽을 때 전략 각 범주의 분포에서 두드러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능숙자 집단은 텍스트 유형에 따라 사용하는 읽기 전략에서 다른 양상이 나타나고 미숙자 집단은 거의 같은 전략을 사용하 는 경향이 도출되었다. 셋째, 능숙자 집단이 서사문보다 설명문에 더욱 뛰어나고 우세를 가졌지만 미숙자 집단은 설명문보다 서사문을 조금 더 빠르게 읽고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This study aimed to classify typhoons using a more objective index based on strong winds and precipitation data from 1904 to 2019 obtained from the Automated Surface Observing System. The Typhoon Type Index (TTI) was calculated by classifying wind speed and precipitation of each typhoon, thereby revealing the rate and characteristics of the wind-type and rain-type typhoons. In addition, the top 10 typhoons for property damage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typhoon course. The analysis showed that typhoons of type 1, heading north to the west coast, were most clearly affected by the wind. In addition, the impact of the wind was reduced and the impact of rain increased in the order of typhoon type 2 that landed on the southern coast and type 6 that affected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China.
목적: 스포츠 건강 심리학 관점에서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과 건강 행동을 증진하는 방법을 탐구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당뇨병 질환으로 인한 건강 관리와 유지를 위해 규칙적인 운동 참여가 필수적 인 당뇨병 환자들의 동기 유형을 파악하고, 동기 유형과 불안과의 관계를 규명했다. 방법: 당뇨병으로 진단받은 25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동기 유형과 불안을 측정하고, 이들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했다. 부가적으로 불안 수준 과 성별에 따라 동기 유형의 차이를 확인했다. 결과: 연구결과, 확인규제는 불안에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외적규 제는 불안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차이검증에서도 통합규제와 확인규제가 높은 당뇨병 환자들은 불안 수준이 낮 은 것으로 밝혀졌으며, 외적규제가 높은 당뇨병 환자들은 불안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운동의 중요 성을 인식하는 동기를 갖고 규칙적인 운동에 참여할 때 불안이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에 외적 보상, 죄 책감이나 처벌을 피하려는 동기를 갖고 운동에 참여할 때는 불안이 높아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결론: 이러한 연 구결과는 당뇨병 환자들이 불안 수준을 낮추기 위해서는 개인이 지닌 동기 유형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통합규제와 확인규제를 지니고 운동에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자신이 원 하고 운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자발적으로 운동에 참여하는 것이 심리적 건강에 이롭다는 것을 시사한다. 반대 로 가족이나 의사의 지시나 질책으로 운동에 참여하는 것은 심리적 건강에 해롭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당뇨병 환자들의 운동 상담 및 운동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데 있어서 환자들의 동기 특성을 반영하고, 이를 계획하는데 유용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 자신이 지각하는 부모의 자율성 지지, 성장 마인드셋, 그릿에 기초하여 군집을 분류하고, 각 군집에 따라 학업지연행동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서울 소재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 6학년 467명(여=228명, 남=239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일원변량분석, 군집분석, 교차분석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 자신이 지각하는 부모의 자율성 지지, 성장 마인드셋, 그릿에 근거하여 군집 분석을 실시한 결과, 네 개의 군집이 도출되었다. 이들은 부모의 자율성 지지 필요형(군집 1), 전반 적 관심 필요형(군집 2), 이상형(군집 3), 부모의 자율성 지지 우위형(군집 4) 등이다. 둘째, 군집유형에 따라 학업지연행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군집 2>군집 1>군집 4>군집 3). 각 군집 유형 별 학업지연행동 감소를 위한 제안도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글 유형에 따른 예비교사의 평가 특성을 분석하여 교원 양성 과정에서의 구체적인 평가자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5년, 2016년, 2017년, 2019년에 국내 사범 대학에 재학 중이었던 예비교사 133명으로부터 설명문 40편과 논설문 40편에 대한 평가 결과를 수집한 후 글 유형에 따른 평가자의 엄격성 및 일관성, 평가자와 글 유형 간 편향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의 엄격성은 글 유형에 따라 크게 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교사의 일관성 수준은 글 유형에 따라 크게 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 났지만, 일부 예비교사는 글 유형에 관계없이 부적합이나 과적합 경향을 보이거나, 특정 글 유형에 부적합 혹은 과적합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교사 중 약 1/3은 특정 글 유형에 편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교원 양성 과정에서의 다루어야 할 평가자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suggest a framework for biotope classification and evaluation based on habitat values to rationally establish management areas of national parks. The factors and indicators related to the biotope classification and evaluation were established based on integration from those of previous studies. The decision tree evaluation process was applied to the classification and evaluation of the biotope type level. The evaluation of the biotope group level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weight and the AUEM (Adding Up Estimation Matrix) was applied for the final grades. As a result, the biotope type of Seolaksan National Park was classified into 43 types and Odaesan National Park was classified into 41 types. Bukhansan National Park, which is located in a metropolitan city, was classified into 49 types. In terms of biotope evaluation, grade Ⅲ had a ratio of 50.6%, the highest in Seolaksan national park. The ratios of grade I and grade II, which have great ecological-value, were respectively 12.0% and 36.5%. Grade II was 48.2%, the highest ratio in Odaesan National Park. The ratios of grades I and II were 10.8% and 37.9%, respectively. Grade III was 54.8%, the highest ratio in Bukhansan national park, and the ratios of grade I and grade II, which have great ecological-value were, respectively, 11.4% and 25.7%. The biotope values of major national park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type focusing on the actual vegetation. This framework can be considered for application to the spatial management of other types of protected areas.
본고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의 어원 유형 분류와 활용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어 어휘 교육에서의 어원의 개념과 어원을 활용한 교육의 의의를 정리하고 어원을 유형별, 주제별로 제시하여 한국어 교육에서의 활용 방안과 그 가능성을 모색해 보았다. 어원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은 한국의 언어 문화와 한국인의 사고를 이해할 수 있고 학습자들의 흥미와 관심을 유도할 수 있으며 한국어 어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에 어원을 한국어 교육에 활용할 수 있도록 일반적인 어원의 활용, 지명의 어원 활용, 공통 주제별 어원의 활용, 동일한 구조의 의미 관계를 가진 어원의 활용, 사전에 등재된 신조어 어원의 활용 등의 5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고 그 의미와 활용 방안도 제시하였다.
Due to recent heavy rain events, there are increasing demands for adapting infrastructure design, including drainage facilities in urban basins. Therefore, a clear definition of urban rainfall must be provided; however, currently, such a definition is unavailable. In this study, urban rainfall is defined as a rainfall event that has the potential to cause water-related disasters such as floods and landslides in urban areas. Moreover, based on design rainfall, these disasters are defined as those that causes excess design flooding due to certain rainfall events. These heavy rain scenarios require that the design of various urban rainfall facilities consider design rainfall in the target years of their life cycle, for disaster prevention. The average frequency of heavy rain in each region, inland and coastal areas, was analyzed through a frequency analysis of the highest annual rainfall in the past year. The potential change in future rainfall intensity changes the service level of the infrastructure related to hand-to-hand construction; therefore, the target year and design rainfall considering the climate change premium were presented. Finally, the change in dimensional safety according to the RCP8.5 climate change scenario was predicted.
본 연구는 경기도교육청의 다문화교육 정책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교육 방향 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지난 10년간 경기도교육청의 다문화교육 기본계 획을 수집․분석하였으며, 관점 및 방향성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는 2010, 2014, 2018, 2020 년도를 중심으로 정책을 내용 분석하였다. 그리고, Jenks, Lee, & Kanpol(2001)이 제시한 보수 적, 개방적, 비판적 다문화주의에 따라 이를 해석하여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2010 년부터 지금까지 경기도교육청의 다문화교육 정책은 보수적 다문화주의 관점의 다문화교육이 꾸준히 운영되고 있었다. 다문화학생 대상 한국어 교육 및 문화 적응 교육이 이 관점에 해당하는 다문화교육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좀 더 체계적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2010년 부터 지금까지 점점 확대되어 운영되고 있는 다문화교육 정책은 개방적 다문화주의 관점의 교육이다. 2010년도에는 일반학생 대상으로 다문화 축제 및 문화 체험 교육을 통해 문화 다양성을 이해하고 감수성 함양을 강조하였으며, 2019년도에는 ‘상호문화이해’ 연구학교를 지정․운영함으로써 다문화교육으로 상호문화이해 교육을 보급 확산시키는 정책을 시행하 였다. 비판적 다문화주의 관점의 교육은 기본계획에서 나타난 것은 2018년도부터이다. 기본 계획에서 ‘평등한 출발선, 교육기회 보장’ 등의 용어를 통해서 비판적 다문화주의 관점이 반영되었으며, 다문화국제혁신학교 지정 및 법률 개정 등 구조 변화를 통한 다문화교육을 시도하고 있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경기도교육청의 다문화 정책은 비판적 다문화주의 관 점으로 이동하고 있으나, 아직은 시작 단계이다. 향후 과제는 비판적 다문화주의 관점에 부 합되는 다문화 정책 발굴과 학교 현장에 이에 대한 명확한 프로그램 제시 및 공유, 확산이 필요하다.
The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how Korean native adult speakers comprehend the distributive function of extrinsic plural marker -tul(EPM) attached to different verb types. It also examines how the three verb types, each of which can evoke a distributive interpretation a collective interpretation and both of the interpretations, influence the sentence interpretation in terms of distributivity. The inconsistency of the previous analyses on the distributivity needs to be verified to shade light on Korean native adult speakers’ knowledge for the extrinsic plural marking from the experimental approach. To do so, the study employed Translation Task, in which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ad a story that ends with a sentence to depict a situation. The last sentence was manipulated either to contain EPM attached to three different verb types or not to contain it. And then they were instructed to select any possible translations for the sentence among three choices that correspond to a distributive interpretation, a collective interpretation and both of the interpretations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Korean native adult speakers assigned more distributive interpretations to the sentences with EPM than sentences without it.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verb types in evoking distributivity. However, the sentences with EPM also allowed for collective interpretations, which implies that it is not an obligatory distributor but plays a role of a distributive facilitator in the sentence interpre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