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56

        973.
        200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96년부터 2002년까지 7년간 국내 35진역에서 수집한 재래종 896개체를 대상으로 수형, 재배적응성과 관련한 생육특성을 조사하고 1차 선발된 계통을 다시 생장량 및 내병성등을 기준으로 2차 선발을 하여 총 34개통을 선발하여 가시오갈피 종자생산용 계통을 육성하였다. 종자생산용 가시오갈피 품종육성을 위하여 34계통에 대한 개화기 수정 결실특성을 집중적으로 검정하여 총 3조합 6계통을 선발하였다. 이들 3조합 6계통은 생육특성과 수분 결실능력의 연차가 변이검정을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수분수용 수그루 및 채종수용 암그루를 각각 1계통씩 선발하여 종자생산용 가시오갈피 품종으로 선발하였다. 최종 선발된 수그루 '천수'는 활성화분비율이 높고 주산형화서수가 많아 수분수로 접합하며 연평균 신초발생수가 많은 등 생육이 우수한 것이 특징적이고 개화기가 7월 1일로 다소 늦어 이루어지는 개체를 선발해야 하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최종선발된 암그루 '미수'는 전엽기가 매우 느린 편이며 신초발 생수가 많고 생육이 양호하며, 열매 수확량이 7년생 기준으로 1주당 1.5kg로 높은 편이다. 병해 저항성이 높고 채종포 조성에 적합한 품종으로 판단되었다.
        974.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랭지에서의 콩 재배 확대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고랭지에 적합한 콩 품종을 선발하기 위해 국내에서 육성된 콩 품종을 고랭지에서 재배 한 후 수량 및 isoflavone 함량을 조사하였다. 1. 파종 후부터 생리적 성숙기에 해당하는 9월 말까지 총 133일간의 평균기온은 12℃ 이상을 나타내었고 적산온도 또한 2,000℃ 이상을 나타내어 표고 600~800m 에 위치하는 시험지역이 콩 생육에 필요한 최소한의 온도조건을 충족한다고 볼 수 있었다. 2. 대관령면(표고 800 m)에서는 19개 시험품종 중에서 일품검정콩의 수량이 2.3t/ha으로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isoflavone함량이 가장 높은 품종은 2,000ug/g 이상의 함량을 나타낸 두유콩과 신팔달콩 2호였다. 3. 진부면(표고 600 m)에서는 장원콩과 신팔달콩2호의 수량이 4.0 t/ha 이상으로서 가장 높았으며, isoflavone 함량이 가장 높은 품종은 2,200ug/g 이상의 함량을 나타낸 두유콩, 만리콩, 신팔달콩 2호였다. 4. 표고 800 m 에서의 두유콩과 일품검정콩, 표고 600 m에서의 신팔달콩2호, 만리콩, 청자콩 및 청자콩2호는 수량성과 isoflavone 함량이 모두 우수한 품종이었다.
        975.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퓨어하트’ 품종은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 2002년도에 육성한 절화용 장미 신품종이다. 이 품종은 1998년도에 화색이 분홍색이며 화형이 우수한 스탠다드 장미 ‘Saphir’ 품종을 모본으로 하고 향기가 있는 백색 스탠다드 장미 ‘Crystal Line’ 품종을 부본으로 하여 교배를 하였다. 1998년에 실생을 양성하여 화색과 화형이 우수한 25계통을 예비선발 하였으며 2000~2002년에 1, 2, 3차 특성검정과 품평회 결과 절화특성이 우수한 KR98-12-2(Gyeonggi R1-2)계통을 최종 선발하였다. 화색은 연한 분홍색이며 화폭은 6.8cm 화고는 4.5cm로서 중형 크기의 스탠다드 형태로 개화하고 화형은 반고심형이며 꽃잎수는 44.8매이고 향기 정도는 약한 편이다. 년간 절화수량은 122본/m2이고 절화장은 66.0cm이며 줄기직경은 6.1mm이고 엽수는 11.0매이며 절화중은 25.6g이고 절화수명은 8.0일이다.
        976.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그린뷰티’ 품종은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 2005년도에 육성한 절화용 장미 신품종이다. 이 품종은 2000년도에 화색이 분홍색이며 화형이 우수한 스탠다드 장미 ‘Qvarna’ 품종을 모본으로 하고 향기가 있는 노랑색 스탠다드 장미 ‘Sky Line’ 품종을 부본으로 하여 교배를 하였다. 2000년에 실생을 양성하여 화색과 화형이 우수한 13계통을 예비선발 하였으며 2001~2005년에 1, 2, 3차 특성검정과 품평회 결과 절화특성이 우수한 KR99-62-1(Gyeonggi R1-8)계통을 최종 선발하였다. 화색은 연한오렌지색과 녹색의 복색이며 중형 크기의 스탠다드 형태로 개화하고 화형은 반고심형이며 꽃잎수는 61.2매이고 향기 정도는 약한 편이다. 년간 절화수량은 178본/m2이고 절화장은 64.6cm이며 줄기직경은 6.0mm이고 엽수는 13.6매이며 절화중은 28.6g이고 절화수명은 14일이다.
        977.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레드플래시’ 품종은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 2005년도에 육성한 절화용 장미 신품종이다. 이 품종은 2000년도에 화색이 적색이며 화형이 우수한 스탠다드 장미 ‘Red Sandra’ 품종을 모본으로 하고 향기가 있는 다홍색 스탠다드 장미 ‘Neon’ 품종을 부본으로 하여 교배를 하였다. 2001년에 실생을 양성하여 화색과 화형이 우수한 90계통을 예비선발 하였으며 2002~2004년에 1, 2, 3차 특성검정과 품평회 결과 절화특성이 우수한 KR00-54-83(Gyeonggi R1-7)계통을 최종 선발하였다. 화색은 적색이며 스탠다드 형태로 개화하고 화형은 반고심형이며 꽃잎수는 35.7매이고 향기 정도는 매우 약한 편이다. 년간 절화수량은 123본/m2이고 절화장은 65.2cm이며 줄기직경은 6.6mm이고 엽수는 11매이며 절화중은 27.3g이고 절화수명은 7.6일이다.
        978.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New bicolor spray rose (Rose hybrida Hort.) cultivar was developed by line selection in 2000 at the Flower Breeding Research Institute, Gyeongnam ARES.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three times from 2003 to 2006. ‘Yellow King’ was crossed between ‘Spring Time’ and ‘Flair’ and it has a Yellow Orange-group color (RHS No. 16A), few thorns and spray flower with a good harmony between ray floret and flower center. The vase life of cut flower was 9.1 days. It was registered as commercial cultivar in 2006. This new cultivar could be planted in most of greenhouse production region of Korea and will be released to general rose growers in 2007.
        979.
        200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effect of the mixed herbal medicine for the substitution of antibiotics on the performance of laying hens. Day old hyline 1,500 layer chicks were randomly assigned to 4 treatments. Control were 600 chicks and there were three treatments of each 300 chicks. The 4 treatments were as follows: the mixed herbal medicine 0.1%(T-1), 0.3%(T-2) and 0.5%(T-3) after removed antibiotics on commercial feed and commercial feed(control) from 5th week to 13th week, each treatment was replicated 3 times and from 14th week to 18th week. Each 100 hens of the mixed herbal medicine 0.1%(CT-1), 0.3%(CT-2) and 0.5%(CT-3) were moved to cage. Body weight were measured on 4th, 8th, 13th week and feed intake, mortality were measured on every weeks. Body weight at fourth week, all treatments tended to be higher than control and T-3 statistically was highest(p<0.01). On 8th week, also treatments statistically high and T-1 was highest(p<0.01). But 12th week, the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Therefore it will be possible that the mixed herbal medicine substitute for antibiotics after vaccination. Mortality was not different between treatment and control overall rearing period. Early laying period(19~41wk), T-2 showed highest feed intake(107.1g) among treatments, later laying period(42~77wk), T-1 showed highest feed intake(134.3g) and was not any different among each treat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