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다문화주의 관점 수용 정도를 파악하고, 다문화 관련 단원을 가르칠 때 쟁점을 다루려는 의향을 조사하였다. 강원, 경기, 충청 지역의 초등 예비교사 2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반적으로 문화적 다양성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었으며, 모든 집단에게 기회의 평등을 보장해야 한다는데 동의하였다. 그러나 사적, 공적 영역에서 소수 집단의 문화 표출과 소수 집단의 문화 유지를 위한 지원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다문화 교육 관련 수업을 들었던 집단은 문화적 측면에서 다문화주의 관점 수용 정도가 높았다. 한편, 다문화 관련 단원을 가르칠 때, 다문화 사회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나 편견·차별과 관련된 문제를 중립적으로 다루겠다는 의향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제기될 수 있는 쟁점을 다루겠다는 의향은 낮게 나타났다. 예비교사들은 다문화 사회에서 제기될 수 있는 문제들을 적극적으로 검토하는 과정을 통해 다문화적인 태도를 함양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가 긍정적이고 개방적으로 다문화주의 관점을 수용하도록 하며, 다문화 관련 쟁점을 다루려는 교사의 역량을 제고할 수 있는 교육과정이 마련되어야 한다.
일상생활을 살아나가면서 발생하는 안전사고 중에 어린이에게 가장 위협적인 사고는 보행 중 발생하는 교통사고이다. 사고발생 후의 대책이나 처리보다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어린이 스스로 몸을 유지할 수 있는 안전에 대한 바른 습관 및 태도를 형성시켜주는 교통안전 교육이 강조되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능성게임으로서 교통안전교육을 가장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 어린이의 몸을 활용해 교통안전 준수체험 교육훈련을 할 수 있는 체감형 교통안전교육게임을 설계해보고 3차원 동작인식기술을 다양한 기능성게임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introduces a HGS(Hybrid Grobal Search) method of cable system identification. This method is based on GA(Genetic Algorithms) and LOA(Local Optimization Algorithm) and combines GA and LOA. GA has a advantage of grobal search and LOA has shown a rapid and accurate solution. It is verified the accuracy and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through a set of numerical tes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교육의 초기 과정에 있는 예비유아교사들이 지닌 유아의 놀이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 전공 대학생 1학년 108명에게 유아에게 놀이가 의미하는 바를 은유로 표현하도록 하고 그 이유를 서술하도록 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이 기술한 유아의 놀이에 대한 은유적 표현은 총 81가지였으며 이들 표현은 ‘식물’, ‘동물’, ‘자연’, ‘사람’, ‘활동’, ‘추상’, ‘음식’, ‘물건’, ‘장소’ 등 9개 범주로 분류되었다. 가장 많이 나타난 범주는 ‘물건’이었으며, 다음은 ‘자연’, ‘사람’이었다. 은유적 표현에 나타난 놀이에 대한 인식은 ‘성장과 발달’, ‘즐거움’, ‘학습’, ‘자발성’, ‘탐색’, ‘생활 자체’, 그리고 ‘정서적 치유’의 7개의 범주였다. 가장 빈번하게 나타난 범주는 ‘성장과 발달’, ‘즐거움’, ‘학습’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유아교사들이 교사교육과정의 초기부터 놀이를 가치 있고 교육적인 것으로 여기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연구는 마이스터고 교원의 역량별 인식을 조사하여 마이스터고 교원의 전문성 함양 방안을 제안하는데 주 목적을 두고 있다. 주요 연구방법으로는 설문조사 방법이 활용되었다. 연구 결과, 마이스터고에 재직하면서 교수학습, 대외협력과 관련된 역량의 중요도를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이는 담당교과, 보직유무, 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특성화고 재직시와 비교할 때 직업기초능력지도, 직무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개발 지원, 현장연구, 산학협력구축 및 운영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수행수준차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마이스터고 교원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교원의 특성(담당교과, 경력 등)을 고려하고 마이스터고 운영을 위해 강조되는 역량을 중심으로 한 차별화된 연수 프로그램의 마련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수학교사의 ICT 활용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조사하고, 초·중·고 학교급에 따른 수학교사의 인식 및 태도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95명의 수학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먼저, 수학교사의 ICT 활용 현황은 초등학교 교사는 ICT 도구 중 프레젠테이션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으며, 문제상황의 제시를 위해 ICT를 주로 활용하는 반면, 중·고등학교 교사는 ‘수학 소프트웨어’의 활용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수학교사의 ICT 활용 변인 간 관계를 살펴본 결과, 수학교사의 ICT 활용 스킬과 ICT 활용 동의가 ICT 활용 의지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급별 수학교사의 ICT 활용 스킬, ICT 활용 동의, ICT 활용 의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초·중학교 수학교사에 비하여 고등학교 수학교사의 ICT 활용 스킬, 활용 동의, 활용 의지 모두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수학교사의 ICT 활용 스킬과 활용 동의가 높을수록 수학교육에서 ICT를 활용하고자 하는 의지가 높게 나타났으며, 고등학교 수학교사 보다는 초·중학교 수학교사의 ICT 활용 의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키보드나 마우스를 이용하지 않고 손 포즈나 동작으로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 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실시간 손 포즈 인식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깊이 카메라 입력영상에서 왼손과 오른손의 영역을 분할 및 잡음 보정 후 각 손 영역에 대하여 손 회전각과 손 중심점을 계산한다. 그리고 손 중심점에서 일정간격으로 원을 확장해 나가면서 손 경계 교차점의 중간 지점을 구해 손가락 관절점과 끝점을 검출한다. 마지막으로 앞서 구한 손 정보와 이전 프레임의 손 모델간의 매칭을 수행하여 손 포즈를 인식한 후 다음 프레임을 위하여 손 모델을 갱신한다. 본 방법은 연속된 프레임간의 시간 일관성을 이용하여 이전 프레임의 손 모델 정보를 통하여 은닉된 손가락의 예측이 가능하다. 양손을 사용하여 은닉된 손가락을 가진 다양한 손 포즈에 대해 실험한 결과 제안 방법은 평균 95% 이상의 정확도로 32 fps 이상의 성능을 보였다. 제안 방법은 프리젠테이션, 광고, 교육, 게임 등의 응용분야에서 비접촉식 입력 인터페이스로 사용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Korean university learners' perception of native English speaking teachers(NESTs) and non-native English speaking teachers (NNESTs) in the University English for academic purpose. Questionnaire survey and interview data collection were implemented. For the questionnaire survey, 118 students participated for NEST courses and 127 for NNEST courses. Among them 10 students(5 from NEST, 5 from NNEST) were interviewed to consolidate the data. The results revealed that students perceived more positively in the English speaking courses by NEST with regard to improving their listening and speaking ability, NESTs' teaching attitude which intrigued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class, trying to ask questions in class, and keeping their tense during the class with English language code. However, students in NNEST courses felt less anxiety, used more L1 in group work, and tended to ask questions later the class in Korean than in NEST course. Students in NNEST courses perceived positively about L1 use as long as it is controlled. These findings are valuable implications for NNESts to manage their EAP courses effectively.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유탐구지도 연수 프로그램이 과학교사의 자유탐구 교수 효능감과 자유탐구에 대한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자유탐구의 이론, 자유탐구의 지도방법, 자유탐구의 예시 등 세 부분으로 구성된 자유탐구지도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한 후, 연수에 참여한 중등과학교사 67명을 대상으로 사전과 사후에 자유탐구 교수 효능감 검사와 인식 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연수 프로그램이 자유탐구의 교수 효능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은 자유탐구의 목적으로 ‘비판적 사고능력의 증진’과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증진’에 기여한다는 인식이 유의미하게 높아졌으며, 자유탐구의 주제에 대해서는 ‘교육과정과 연계된 자연, 생명현상 탐구 주제’에 대한 선호도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한편, 과제 수행 유형에서 다른 과제 개별 수행에 대한 선호도가 사전에 비해 감소하였으며, 평가 방식에 있어서는 다면적인 평가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는 등 긍정적인 인식 변화가 나타났다. 그러나 교사들은 연수 후 자유탐구의 도입에 대하여 ‘지도시간 부족’이나 ‘학급당 학생 수의 많음’, ‘학생의 시간 부족’ 등의 어려움에 대한 인식이 오히려 증가하였으며 이에 대한 연수프로그램의 보완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자유탐구지도 연수 프로그램의 개선과 관련된 시사점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학급 내에서 수학영재아 지도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지 조사한다. 조사결과 교사들은 일반학급 내에서 수학영재아를 지도하는데 필요한 수학적 지식이나 수학적 능력은 갖추어져 있다고 생각하는 반면, 수학영재아를 지도하는 방법 및 기술과 관련된 교수학적 지식에 대해서는 충분한 역량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교사들은 또한 다양한 능력의 학생들로 구성된 학급에서 수학을 지도하는 것에 대해 크게 부담을 느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학영재아를 위해 과제를 변형할 수 있는 역량이 갖추어져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시간적 여유, 일반학생과 수학부진아 지도 등의 교육여건으로 인해 실제로 수업을 계획할 때 수학영재아를 위한 구체적 지도계획을 세우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학급 내에 있는 수학영재아를 배려할 때 약 28%의 교사만이 진도와 관련된 주제에 대해 깊이 있게 생각해 볼 수 있는 과제를 제공하였으며, 약 22%의 교사만이 교육과정을 넘어서는 수학심화 문제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요트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소비자의 요트관광 선호도와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인식도 조사를 통해 요트관광 마케팅 전략수립과 보다 효과적인 요트관광 활성화 방안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B광역시 요트경기장과 해수욕장을 방문한 외부 방문객 및 시민 300명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해 현장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요트관광 상품 구매의사는 64%로 요트관광 수요는 낙관적이었으며, 지불가능 지출액은 일일기준 10만원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들의 요트관광에 대한 선호도는 요트체험 및 교육 중심 프로그램으로 주말이나 방학 및 휴가기간을 이용해 당일 또는 1박 2일 요트관광 상품을 선호하고 있었으며 요트관광의 목적은 여가 및 위락 그리고 선호 동행인은 가족 및 친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비자들의 요트관광 제약요인은 요트관광 비용, 시간소비형 관광활동 그리고 다양한 상품의 부재가 주요인이었으며, 선택요인은 관광비용, 연계관광 상품 그리고 요트관광 상품의 질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요트관광 활성화 방안 중에 요트관광 상품의 개발, 기반여건 조성 그리고 마케팅에 대한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인 어메니티 창출을 위해 문헌조사와 현장조사를 통해 어메니티 평가 요소와 시험 프로그램(pilot program)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식물축제와 테마식물원 방문자를 대상으로 방문동기별 어메니티 요소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비교분석 함으로 식물관련 축제와 체험행사의 공간구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 또 시범용 체험프로그램 참여자의 참여목적별 만족도를 비교하여 프로그램 활용 방안을 유형별로 분류하는 지침을 도출하였다. 즉, 어메니티 요소에 대하여 방문목적별 분석은 유의한 차이가 시설물과 식물의 다양성에 대하여만 나타났다. 나머지 항목은 나타나지 않은 것을 통해 시설물은 공간 방문목적에 맞게 종류와 배치를 재구성 해야 하고 식물의 다양성을 고려한 테마선정과 계절별 배치와 이용자의 목적에 따른 체류시간을 고려한 동선 배치가 필요하다고 분석된다. 어메니티 체험 프로그램은 대상자의 체험활동 목적에 따라 그리기와 토피어리조형정원, 미니정원 프로그램에서 만족도 차이가 나타나므로 단순체험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산책과 채집 식물활용, 먹거리 관련 프로그램과 교육이 요구되는 그리기와 만들기형 프로그램으로 대분류하고 교육이 요구되는 프로그램은 이해를 도울 수 있는 교구재와 모형을 만들어 지속적인 교육기능을 보완 한다면 효과적으로 체험프로그램이 운영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지역의 어메니티 향상을 위한 식물축제나 수목원, 식물원, 대안학교 등에서 식물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할 때는 방문자의 경험과 방문목적을 고려한 후 일시적 체험활동과 교육적 체험을 분류한 단계별 매뉴얼 중심의 체계적 체험 활동으로 질적인 운영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식물관련 축제와 식물원에서 어메니티 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공간 구성과 체험프로그램을 도입할 때, 본 연구에서 도출된 이용자의 목적별 데이터는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현대 웨딩화훼장식의 통일성(Unity) 표현기법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를 일반인과 전문가에게 설문하여 비교분석하였다. 통일성 표현기법의 개념을 인식하고 있는 경우는, 일반인 집단에서 인식하고 있는 경우는 로 전문가 그룹이 통일성의 개념에 대하여 화훼장식전문가 그룹과 일반인 그룹의 인식에 대한 집단의 인식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웨딩 화훼장식의 표현기법에 있어서 통일성에 대한 중요성 인식 정도는 전문가 그룹이 일반인 그룹 보다 더 높았다. 통일성 표현기법을 사용한 웨딩화훼장식의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화훼장식가와 일반인 모두 통일성 표현기법의 웨딩화훼장식을 선택하였다. 오브제의 통일성을 이룬 화훼장식을 선택한 그룹은 이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는 오브제를 전체 웨딩 화훼장식과 통일시킨 경우에 있어 선호 경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오브제 통일이 되었을 때 전체적으로 일체감을 이룬다는 이유를 가장 많이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급스럽고 세련됨이 였고 유니크 하면서도 로맨틱하다는 이유가 였고 유행하는 스타일로 나타났다. 색채의 통일성을 이룬 화훼장식을 선택한 그룹은 91%(143명)이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는 9%(14명)로 나타났고 색채를 통일시킨 것을 선택한 이유로는 고급스럽고 세련됨이 가장 비율이 높았으며 유니크 하면서도 로맨틱하다, 고급스럽고 세련된, 유행하는 스타일 순으로 나타났다. 화훼소재의 통일성을 이룬 사진을 선택한 그룹은 83%(130명)이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는 17%(27명)로 나타났으며 화훼소재를 전체 화훼장식과 통일시킨 경우에 있어 선호 경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effect of consumption of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EFAP) on improvement of family health,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improvement of family health. A survey was conducted for qualitative analysis regarding relationship between EFAP consumption and family health. The method of his study was employed Cross-tabulation and an Ordinal Logistic Regression Model to derive more significant results in analyzing factors of improvement of family health. The result shows that improvement of health h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consumption of EFAP. In addition, those consumers with high reliability and quality contentment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improvement of health. As consumers constantly eat EFAP, they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improvement of health. In order to provide consumer reliability of EFAP, more strict certification management system with sound monitoring and an appropriate penalty for violation should be established
이 연구는 경기도에 위치한 한 초등학교의 4, 5, 6학년 전체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인식하는 소수자와 소수자를 대상으로 하는 적극적 조치에 대한 공정성 및 찬반 인식, 그리고 이러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초등학생 대상 소수자 관련 교육에의 함의를 파악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에 위치한 초등학교 한 개 학교를 선택하여 4, 5, 6학년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학생들이 소수자로 우선 인식한 대상을 보면 ‘장애여부, 경제적 측면’의 조건을 고려한 것으로, 집단화된 소수자 보다는 비집단화된 소수자를 주로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적극적 조치가 공정하다고 인식하는 비율은 70%정도였으며,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비율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적극적 조치의 제도 도입에 대해서는 80%가량이 찬성하는데, 4, 5학년에 비하여 6학년의 경우 반대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넷째, 적극적 조치의 도입에 대하여 공정하다고 인식하는 것과 찬성하는 비율 모두 남학생에 비하여 여학생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초등학생들이 적극적 조치의 도입에 찬성하는 것에는 적극적 조치가 공정하다고 여기는 인식이, 적극적 조치에 대한 공정성 인식에는 적극적 조치 도입에 대한 찬성 여부가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나서 개인적 변인 보다는 적극적 조치에 대한 인식이 상호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학업, 취업 혹은 결혼을 목적으로 한국으로 유입되는 외국인의 수가 급증하면서 다문화 사회로 급속히 변화되고 있다. 이들 중 결혼하여 국내에 정착한 이주여성은 자녀를 건강하게 양육하여 가족의 행복은 물론 사회의 존속과 번영을 책임지게 된다. 따라서 이들이 자녀의 건강을 책임질 수 있도록 영양가 있는 음식의 중요성을 인식시킬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한국어가 유창하지 않은 이들에게 이론교육을 실시하는 것은 자칫 지루할 수 있으며 조리강습은 가사노동의 연장이라는 부담이 될 수 있으므로 에듀테인먼트 개념을 도입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2회에 걸쳐 중국, 필리핀, 베트남 출신 등의 결혼이주여성과 그들의 가족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오방색을 소재로 하여 개발한 본 미술교육 프로그램은 이론교육과 실기교육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이론교육은 시각자료를 이용하여 오방색과 건강과의 관계, 오방색으로 만들어진 한국음식과 소품, 그리고 결혼이주여성의 모국의 대표음식에 대해 스토리텔링형식으로 20분간 진행되었다. 그리고 약 2시간 동안 자녀의 건강을 기원하면서 창의적인 작품을 점토로 제작하고 발표와 토론의 시간을 가졌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서 결혼이주여성들은 좋은 식재료의 선택과 영양가 높은 음식이 자녀의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깨닫고 좋은 음식을 통해 자녀를 건강한 다문화사회의 주역으로 양성시킬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