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 교사가 갖추어야 할 인성요소에 대해 전문가의 인식과 예비교사의 인식이 서로 다른가를 밝히는 데 있다. 또한 교원양성기관 재학기간, 교육실습, 교육봉사 및 진로 요인에 따라 예비교사가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교직인성이 전문가의 인식과 다른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예비교사 252명을 대상으로 전문가 22인과 비교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성실성, 책임감, 교사효능감, 교육적 신념, 소명의식 영역에서 예비교사와 전문가의 중요도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예비교사의 학년에 따라, 교육실습 이수 여부에 따라, 교육봉사 이수 여부에 따라, 그리고 교직 장래희망에 따라 예비교사와 전문가의 교직인성 인식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들의 교직 인성 함양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과 대학의 연구자가 함께 한 전문학습공동체에서 집단 탐구 과정의 특징과 교사의 학습 기회를 분석하여 수학교과에 대한 초등교사의 수학교과 전문성 신장을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문학습공동체에 참여한 교사 활동의 바람직한 방향을 수학 및 수학교육적 탐구로 보고, 학생중심의 탐구 수학교실의 문화를 논의하는데 유용한 개념인 사회수학적 규범을 분석의 틀로 삼았다. 즉, 사회수학적 규범을 분석하여 전문학습공동체에 참여한 교사의 수학적 참여의 질과 학습의 기회를 기술하고, 이 과정에서 전문학습공동체 참여자들이 겪게 되는 성공과 어려움의 관점에서 전문성 신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전문학습공동체의 사회수학적 규범을 수학에 대한 탐구, 수학 교수법에 대한 탐구, 수학교수법 발달에 대한 탐구로 확장하여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MKT의 하위 요소인 CCK, SCK, KCS, KCT에 따라 학습 기회를 설명하고 전문학습 공동체 운영의 내용과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프리미엄 아이스크림 전문점 브랜드의 이미지 연구이다. 소비자가 브랜드 이미지에 대해서 받는 인상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측정이 되고 있지만 브랜드를 보고 판단하는 소비자들의 심리학적인 분석은 미흡한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페르소나라는 개념을 사용하였다. 브랜드 페르소나란 소비자들이 브랜드의 이미지를 마치 특정한 사람처럼 생각하고 은유한다는 것이다. 이는 실제로 사람들이 편하게 사물을 인식하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자신과 유사한 것을 더 좋아한다는 심리학의 유사성의 법칙이 브랜드 페르소나에 있어서도 역시 동일하게 적용되는지를 본 연구에서는 알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소비자들은 브랜드를 사람과 같이 은유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이 브랜드 페르소나 조사를 통하여 나타났다. 그리고 소비자들은 자신들과 유사한 연령과 성별 그리고 성격을 지닌 브랜드 페르소나에 대한 호감이 상대적으로 상이한 인성유성을 가진 다른 브랜드 페르소나에 비교하여 더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특정 브랜드 페르소나와 고객의 세그먼트 간에 유사한 인간적 특성을 가졌을 때 더 호감을 가질 것이라는 유사성의 법칙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14명의 예비전문상담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생각하는 전문상담교사의 역할 수행은 무엇인지, 역할 수행을 위한 경력개발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경력개발을 하는데 있어 저해요인은 무엇인지에 대해 심층면접을 통하여 탐색해 봄으로써 전문상담교사 수행 능력 개발의 시사점을 알아보려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예비전문상담교사들은 전문상담교사가 개인·집단 상담, 심리 검사 및 측정, 행정업무, 센터·병원 연계, 부적응학생 상담, 상담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상당홍보 및 교육, 또래 상담동아리 운영, 진로지도, 학부모 교육연수 등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대답하였다. 역할 수행 능력을 획득하기 위한 실질적인 활동은 대부분 비형식 교육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다. 경력개발의 개인적 측면의 저해요인은 1)금전적·시간적 어려움 2)정보 부족 3)기회의 부족 4)자신감 부족이었고, 조직적 측면의 저해요인은 1)다양한 역할 수행 요구 2)교장·교감·일반 교사의 상담 몰이해 3)전문성의 의심과 부당한 처우 4)질 좋은 연수 프로그램 부재와 학교 지원 미비 등이었다.
본 연구는 예비전문상담교사들이 전문상담교사의 역할 수행 능력을 획득하기 위해 필요한 경력개발의 방향을 보여줌으로써, 향후 국가 및 단위학교, 양성기관 등이 전문상담교사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경력개발 지원책을 설계할 수 있는 기초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21세기 정보화 시대의 디스플레이는 반도체와 함께 핵심 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는 전기적 정보를 시각정보로 변화시켜 화면으로 구현해주는 영상표시 장치이다. 디스플레이 산업을 살펴보면, 20세기 이전 핵심 디스플레이인 브라운관(CRT)의 단점을 극복한 LCD로 인해 디스플레이 시장은 2000년에 들어서면서 최근까지 비약적으로 성장하여 성숙기로 진입한다. 그러나 LCD 시장은 2008년 이후부터 둔화하기 시작한다. 특히 2010년부터 세계적인 경기 침체, 중대형 LCD 공급 과잉 및 가격 급락, 중국의 LCD 생산 등은 LCD의 시장 성장을 둔화시키는 계기를 마련한다. 이 시점에서 우리는 디스플레이 시장 정체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디스플레이를 탐색할 필요성을 느낀다. 왜냐하면 LCD 산업은 현재 세계 디스플레이 시장의 93%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서 LCD 산업의 둔화는 곧 전체 디스플레이 산업의 둔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스플레이의 시장현황 및 전망, 디스플레이의 장점 등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가 주목해야할 차세대 디스플레이를 찾아 새로운 디스플레이 시장 기회를 살펴보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차세대 디스플레이를 Flexible Display로 전망하며, 이에 대한 다양한 전문가 In-depth Interview를 가지고 필터링하고 유사그루핑하여 Focusing된 29가지 Key-Insight Feature를 전략 플랫폼에 Mapping해 봄으로써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Biz 기회를 탐색하고 주력분야를 예측한다.
이 논문은 스마트교육전문대학원 설립운영구상의 타당성을 SWOP-CIPP 분석을 교육적 타당성 경제적 타당성으로 나누어 검토하고 제도형성이론이 입각하여 그 지속가능한 제도로서의 성공가능성 문제를 논의한다. SWOP-CIPP의 준거를 사용한 기술적 단기 전략적 판단으로 볼 때 스마트교육전문대학원의 설립은 그 타당성이 매우 높은 필요하고도 시급하며 한국교원대학교가 충분한 역량을 가지고 시도할 수 있는 계획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교육전문대학원은 단순이 기업이나 정부가 기획하는 사업을 넘어선 대학이라는 제도의 일부로서 지속가능성을 가져야 한다고 볼 때 제도형성론에서 요구하는 제도로서의 성공가능성은 아직 어려운 숙제로 남아있는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그러한 과제의 성격과 제도적 성공을 위해 추구해야 할 여러 가지 노력의 내용을 확인한데 그 중요한 의의가 있다.
낮은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가진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프로그래밍 학습은 매우 어렵고 힘든 과정일 수 있다. 프로그래밍의 과정은 고차원적 사고를 요구하는 학습 과정이며, 높은 수준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래밍 학습에 어려움을 느끼는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을 위하여 로봇을 활용한 문제 중심 프로그래밍 교수-학습 과정을 설계하여 적용하였다.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은 본 교수-학습 설계를 통하여 프로그래밍의 개념을 익히는 것뿐만 아니라, 총체적으로 낮은 수준의 자기주도 학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G 공업고등학교 3학년 2개 학급에 3주에 걸쳐 실험집단에는 로봇 활용 문제중심 프로그래밍 학습을 통제집단에는 로봇을 활용하지 않은 문제중심 프로그래밍 학습을 실시하였다. 적용 결과, 로봇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활동이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troducing hearsay rule in 1961, the words of provisions that provide the authentication and attendance of the declarant as exceptions of principle of the court's self-experience, were used as exceptions of the hearsay rule. It results in confusion of the elements of the hearsay rule with the elements of the authentication in the jurisprudence. Many literatures insist and place emphasis on the elements of the authentication as the elements of exceptions of the hearsay rule. With this confusion and misunderstanding, it became very difficult to understand the hearsay rule and many improper interpretations result from this confusion. In the future, the discussion which distinguish the elements of the hearsay rule from the elements of the authentication should be made actively and lead the academy and practice.
본 연구에서는 fMRI를 사용하여 선택반응 시 전문가와 비전문가의 뇌 활성화 차이를 연구하였다. 피험자는 대학야구선수 15명과 남자대학생 16명으로 구성하였다. 과제는 스크린을 통해 제시되는 3가지 구질(직구, 커브, 슬라이더)을 관찰 후 해당 버튼을 빠르게 누르는 것이다. 실험설계는 집단(2)×구질(3)에 대한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FWER(family-wise error rate : p<0.01)에서 voxel 수준을 설정하였다. 모든 활성화 크기는 16 voxel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전문가 집단이 비전문가 집단보다 운동영역과 중전두엽 그리고 1차 체감각영역과 시각영역에서 활성화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시각정보 입력-정보통합-운동계획-의사결정으로 이루어지는 신경네트워크가 전문가 집단이 비전문가 집단보다 잘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비전문가 집단의 경우 자극의 생소함과 정보의 부족으로 기억저장과 관련된 방추상회와 측두영역에서 활성화가 나타났다. 그리고 전문가 집단에서 직구와 같이 자주 접하는 자극일수록 정보처리과정이 간결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보여주었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원예교육을 전인적으로 실시하는 대표적인 활동교육으로서 아동원예전문가(Junior master gardener) 프로그램은 우리나라 원예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도입이 필요한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아동원예전문가(JMG) 프로그램의 개념 및 내용을 분석하고 특성을 규명하며, 국내 원예교육과정 및 한국 JMG 프로그램과 비교・분석하여 국내 원예교육의 새로운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 내 Cooperative extension에 소속되어 있는 아동 원예관련 프로그램과 JMG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체적인 구성과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국내 원예교육 프로그램과 국내에서 실행되고 있는 JMG 프로그램 분석 준거를 마련하여 관련 있는 내용을 분석하였다. JMG 프로그램의 특성 및 내용 분석 결과, 통합교과적 교육내용을 추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과정지향적인 교육체계, 체험활동 중심 교육, 단계적 교육구조의 특성, 학년별 구분, 인증제 및 리더교육의 단계화의 구조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 학교 원예교육 현황 및 분석의 결과, 우리나라 교육내용 중 대표적으로 학교 원예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실과교육 내용의 현황 중 대별되는 문제점으로는 교육내용의 감소, 기술 지향적 교육목표 및 내용, 학생 및 지도자 교육기회 부족을 꼽을 수 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아동들에게 원예교육 기회를 현실적으로 늘릴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안은 JMG 프로그램 구조 중 통합교과적 교육내용의 추구, 학년별 구분, 체험활동 중심교육에 대한 내용을 연계한다면 원예교육 활성화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고려된다. 현재 JMG 프로그램은 국립과천과학관과 한택식물원 등의 교육장에서 어린이 및 청소년 체험 교육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으며 JMG에서 추구하는 다양한 체험 활동 위주의 프로그램은 국내 교육과정에 있어 창의적 재량활동에도 매우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즉, 식물과 정원활동을 통한 키우기, 가꾸기, 감상하기 등의 오감자극 활동을 적극 시도하여 이론의 전달이 놀이 활동 형식으로 이루어져 대상자들에게 지식을 쉽게 체험할 수 있게 해준다. 향후 원예산업 전반이 기술 지향적이며 고도의 산업화를 지향해야 함은 명백한 일이지만 최소한 인간 중심의 원예분야인 학교원예 분야에서는 과정 지향적이며 활동목표를 중심으로 한 아동원예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국립수목원 어린이정원을 관람하는 관람객들에게 효과적인 체험과 환경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국립수목원에 근무하는 숲해설가를 대상으로 전공영역에 따른 어린이정원에서의 활동 현황과 식재 및 운영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어린이정원의 개선 방안과 숲해설가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할 수 있었다. 첫째, 타전공자인 해설가들이 어린이정원에 대한 관련 자료 등 교육 정보의 부족으로 인하여 해설에 어려움을 느낀 경우가 많아 어린이정원 조성에 대한 정보를 적극적으로 제공하여 기본 개념과 기본 목적을 해설가들이 충분히 인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운영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다양하게 변화하는 자연생태계에 따라 적절하게 교육 프로그램이 세분화되어야 하며 이와 더불어 해설가들에게 다양한 식물을 활용한 생태교육에 대한 사전교육 및 교과 외 쉽게 접하지 않았던 분야에 대한 직무연수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어린이정원의 식재공간에 대한 해설가들의 인식은 전공자별로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어린이정원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전공자별로 차별화된 정보 제공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는 해설가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어린이정원의 운영 프로그램을 활성화시켜 어린이정원을 관람하는 관람객들에게 효과적인 체험과 환경교육을 제공하여 궁극적으로 국립수목원 전체 안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항만물류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은 항만물류분야의 영역과 그 범위가 매우 광범위하여 국가와 기업이 요구하는 능력을 갖춘 인력을 양성하기란 현실적으로 한계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항만물류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중등교육에 필요한 중요 교과목을 도출하기 위해서 인력 수요 및 공급에 대한 현황 및 예측치를 살펴보고, 국내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평가모형을 구축하여 교과목의 우선순위를 제시함으로써 의사결정의 판단근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o revitalize rural economy and to generate job opportunities in the Korean countryside through the specialized production of high-valued/environment-friendly farm products and the active promotion of green tourism in the farmland-remodelling project sites in 4 main riverside areas, this study developed the regionally differentiated development models of future-oriented agri-business complex. Through two rounds' expert group consulting/checking, related literatures review and similar case-projects benchmarking, a tentative model system was made and corrected, and finally, 6-development types with 24 model complexes proposed.
본 연구는 교재분석의 틀을 개발하고 이를 근거로 음악 전문교과 교재인 고등학교 음악 인정교과서 15종을 분석함으로써 음악전문교과 인정교과서 개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재분석을 위해 교육과정,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 편집 및 표현·표기, 교재 활용 가능성의 6개 영역을 19개의 요소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육과정의 충실성, 내용선정의 적정성과 타당성, 내용의 중립성, 단원구성의 체계성과 창의성 등의 측면에서 전체적으로 우수했던 반면, 교수·학습방법의 다양성, 목표와 평가의 일치성, 평가의 다양성, 교재의 가독성면에서는 미흡한 교재가 많았으며, 내용선정의 참신성과 편집의 체계성은 보통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여 교재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았을 때, 11개의 교재가 보통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나 수업활용 교재로 적절하였으나, 4개의 교재는 수업에 사용하기 부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라 음악전문교과 교재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수업비평 활동을 통한 예비교원의 수업전문성 신장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수 수업동영상을 활용하여 수업비평 활동을 실시한 후 수업전문성 신장 여부에 대한 예비교원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전문성을 총 4개의 영역으로 나누고 그 하위 영역들의 수업전문성 변화 정도를 측정한 결과, ‘수업전략 및 매체활용’, ‘교수자와 학습자간의 커뮤니케이션’, ‘상황 대처 및 시간관리’, ‘자신의 수업전문성에 대한 성찰’ 영역과 그 하위 11개 영역 모두에서 수업비평 전과 후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동영상을 활용한 수업비평 활동이 예비교원의 수업전문성을 신장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영상 수업비평 활동을 하고 난 후에 교원양성과정에서 수업비평 활동의 필요성에 대해 조사한 결과 대부분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동영상 수업비평 방법 활용에 대해서 ‘좋은 점’을 유목화하여 정리한 결과, ‘좋은 점’에서는 ‘수업전략 및 매체활용의 실제적 방법의 습득’, ‘실제 현장의 수업을 간접 경험’, ‘나의 수업 방법의 문제를 반성하고 개선점을 확인’ 등의 유익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Opening agricultural market expansion, reduced purchases through wholesale markets, expanding the influence large retailers of consumer's market such as changes in the distribution system to the farmer's market conditions are changing rapidly. Because of this, retailers of the scaled and chain-store operations was centered on distribution environmental changes of the consumer market place. In producing area due to changes in market conditions in the agricultural production of in producing area distribution organization and the size distribution can not be put off no longer challenge is imminent. If it do not raise forces banded together, the producer is bound to remain as the weak. To support the distribution of this production was introduced in 2000 enable the Activation Project of in producing area distribution. Recent in producing area Changes of Agricultural conditions in order to cope with the Small-scale farmers and small individual farmers are becoming Scaled and specialized. Also, is specific to each item and regional is showing aspects. Government support for Activation Project of in producing area distribution is greatly improved, but in terms of competitiveness on the market still is showing the limitations. The most common of these problems, the market response if in producing area producer's organization and scale of the problem. Equipped for the purpose of consumer market place responsiveness unreasonable propelled outward from the Painter-sized weakens the organizational power. also, Difficult to succeed organizational size is a dissolution or anything within a few years, farmers around the best producer organizations, such as deviation occurs is exposed to a variety of issues. In this study, previous studies refer to the recent changes in agricultural retail environment, background and needs of organization·scaled, Determine the status of the domestic in producing area organizations and derived Problems, look into Domestic and overseas of in producing area organization with best practices for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proposed improvement are intended to. In the future, in producing area distribution policy would like to provide direction to the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e follwing : 1) enhance utilization and orrganized through the diversification of the agricultural Collection systems. 2) Scaled to achieve through Items of specialized a wide area marketing. 3) Management operating units, such as installation and operating that overseas the best practices " Comite Economique Agricole Regional 'Fruits et Legumes' de Bretagne". 4) To establish a support system that in producing area distribution organization model development for appropriate domestic. In particular, in case of domestic in producing area distribution organiz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various case study that a successful organization and scaled. The process of the various challenges arising in organizational scaled and generalization, and by the way he goes about trying to overcome is required. At the end of the study'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suggested.
본연구의 목적은 전문상담교사의 역할 수행에 대한 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역할 수행 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10년 전문상담교사 1급 자격연수, 학교상담 전문가과정 연수, 전문상담교사 진로교육 심화연수 등에 참여한 전문상담교사 191명을 대상으로 전문상담교사 역할 수행에 대한 스트레스 검사, 자기효능감척도, 사회적지지 척도, 소진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문상담교사의 역할 수행에 대한 스트레스는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역할 수행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을지라도 자기효능감이 높거나 사회적 지지를 높게 지각하는 전문상담교사는 소진을 덜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지지 모두 역할 수행에 대한 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변수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전문상담교사의 역할 수행에 대한 스트레스로 인한 소진을 예방하고 그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기능하도록 돕기 위해서는 전문상담교사의 자기효능감을 높여주고 학교가 그들의 역할을 이해하고 지지해 주는 공조체제를 확립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해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