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2

        64.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옥상정원에 발생하는 해충은 진딧물류, 방패벌레류, 깍지벌레류, 나방류, 잎벌레류, 응애류 등이었다. 진딧물류와 방패벌레류는 식물의 생육초기에 주로 발생하였고, 나방류는 생육중기부터 발생하여 후기까지 지속적으로 발생하였으며 잎벌류는 생육후기에만 발생하였다. 깍지벌레와 응애류는 다른 해충에 비해 비교적 발생기간이 길어 거의 생육전체 기간에 걸쳐 피해를 주었다. 봄철에 해충의 발생이 많은 식물은 보리수나무, 조팝나무, 구상나무, 작살나무, 기린초, 철쭉, 반송, 사철나무, 주목, 궹의밥 등이었고, 여름철에는 철쭉, 매실나무, 주목, 원추리, 화살나무, 사철나무, 회양목, 배롱나무, 산수유, 꽃사과 등이었다. 한편 가을에는 화살나무, 철쭉, 매실나무에 해충의 피해가 많았다. 옥상정원의 조성위치에 따라 해충의 발생종류와 피해정도는 크게 다르지 않았다.
        68.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an attempt to prove a relationship between Le Corbusier's utopian attitude towards nature and architectural ideology and ideology by a form of inquiry into sociological interests. That is to find out contradictions and limitations in Le Corbusier's architectural world, namely particularity of his ideology by exploring the base entangled with special interests in the society up until formation of his architectural language. A process of this study is by; 1. Examining of background which affected Le Corbusier's attitude towards nature until the nature became his architectural language; 2. An analysis of Le Corbusier's architectural works. That is, this study's main interest is on formation of Le Corbusier's architectural language by his attitude towards nature which present in residential field especially focused on Villa Meyer and Villa Savoye, two best examples of his villa. 3. This study have a goal to investigate that utopian and ideological conception in architecture of Le Corbusier have a dialectic relationship between them. This goal can be achieved by observing in what ways Le Corbusier's utopian attitude towards nature is expressed in residential architectural language and researching into his inconsistent architectural ideology derived from applying architectural language present in villa to pre-fabricated apartment houses.
        4,500원
        69.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2,000원
        70.
        2022.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rough psychological evalu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effect of quality of life improvements from gardening activities in apartment landscaping spaces. The study was conducted on 32 mothers raising children. Psychological valuation was conducted using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WHOQOL-Bref),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SWLS), the Life Satisfaction Experience Scale(LSES), and the Symptom Checklist-90-Revised(SCL-90-R). The psychological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engaging in gardening activities for two weeks had, a positive effect on mothers’ environmental of quality of life evaluation. The LSES indicates that satisfaction with oneself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starting the gardening activities. The activity resulted in a positive change in attitude toward life. The SCL-90-R results showed changes in the mother’s psychological state. There was a significant amelioration of obesessive-compulsive behaviors, hostility, and phobic anxiety. In conclusion, this study was found that, for mothers in apartments, outdoor gardening activities can significantly affect their quality of life. Moreover, it can help prevent mental health deterioration, Further study should be conducted on the beneficial effects of gardening on the variety of age groups and activities.
        71.
        202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19세기 수많은 작곡가에 의해 완성된 ≪들장미≫ 노래가 독일정원의 장미꽃 문화와 무관하지 않음은 누구나 인식하고 있어 19세기 사회문화적 배경에서 본 독일정원의 장미 꽃 문화로 탄생된 ≪들장미≫ 노래와 그 의미를 새롭게 주목하고자 한다. 괴테의 들장미 시는 1770년경에 작시 되지만 19세기 들어 장미꽃-붐과 함께 독일어권의 많은 작곡가에 의해 ≪들장미≫ 노래로 작곡된다. 그리고 괴테의 시를 가사로 한 ≪들장미≫ 노래는 19세기 독일정원 특히 장미원에서 소통력을 더욱 발휘했던 문화적 소리였음을 알아차리게 했고 동시에 시청각적 정서활동을 지원하는 매개체로 작용했다. 이는 당시 자연을 배경으로 한 시민들 의 생활음악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음악사에서 19세기 독일정원의 장미꽃 문화로 탄생된 ≪들장 미≫ 노래와 그 의미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한다. 논문투고일자
        72.
        202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ardens are known to provide relaxation, including psychological stability and mental rest. Recently, social interest in gardens has been growing in various ways, including the increase of groups sensitive to environmental pollution and a rising interest in the overall management of natural resources. In reality, however, the owners of housing gardens lack fundamental knowledge for creating and maintaining the gardens, directly and indirectly. This limitation presents a number of problems and challenge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n analysis of various aspects relating to the creation and maintenance of housing gardens, reflecting the sense of ownership. The study aimed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and based on this, it was intended to present improvement measures for practical and efficient creation of housing gardens and their maintenance in the future.
        73.
        2021.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benefits of indoor garden to humans and to analyze the comparison according to Type A behavior pattern. The subjects included 18 male university students. Heart rate variation was used as a parameter of physiological assessment, and Semantic Differential (SD), Profile of Mood States-Brief (POMS), and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were used as tools for psychological evaluation. The participants were subjected to a psychological evaluation when they were present in a garden. As a result, the parasympathetic nervous activity was increased in the indoor garden. In the analysis of psychological evaluation, indoor garden improved the positive mood states and decreased negative feelings with significant changes only in Type A group. This study supported that indoor garden can hav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relaxing effects, which could be more significant in Type A group than Type B.
        74.
        202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물 다양성을 유지하고 기후 변화를 조절하는 데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열대림에는 식품 또는 의약품 개발 등 산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자원 식물이 풍부하다. 이들을 활용하기 위하여 열대 및 아열대 식물의 보존 및 증식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데, 국내에서는 이에 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립 수목원 열대식물자원연구센터가 2013년부터 미얀마 천연자원 환경보전부(Ministry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와 미얀마 산림과학원(Forest Research Institute)과 함께 미얀마 보호지역 및 Sagging 지역 내 식물 다양성 보존을 위한 공동 현장 조사, 연구 및 출판 등의 협력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국립수목원과 미얀마 산림과학원 공동연구의 성과로 2018년 12월 미얀마 산림과학원으로부터 미얀마 유용 및 관상식물 65과 326종의 식물 생체 및 표본 등을 기증받아 국립수목원 열대식물자원연구센터에 보존과 교육 목적으로 전시 중이다. 이 기증은 미얀마에서 식물 생체를 국외로 반출한 첫 번째 사례이며, 국립수목원은 2008년 독일에서 열대식물을 기증받은 사례 다음으로 두 번째로 외국 정부의 공식적인 대량 식물 도입 사례다. 도입한 식물 중 Santalum album L.은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IUCN, 2017)에 취약종으로 분류되어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열대 및 아열대 식물의 생육에 적합한 인공 환경을 구명하고 국내의 실내 정원소재 및 미세먼지, 공기정화 능력을 가진 열대식물 의 발굴하고 추후 열대 및 아열대 식물의 보존 및 증식 방법과 더 나아가 생물 다양성 보존 및 산업적 이용을 위한 연구에 박차를 가할 수 있을 것이다.
        75.
        2020.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영남(岭南) 고전 원림의 건축, 첩산(叠山), 이수(理水)와 식물 배치는 해당 스타일 특징의 4가지 구체적인 표현 형식이다. 본 논문은 중국 청나라 시대에 건설된 영남(岭南) ‘4대명원’(四大名园)을 체계적으 로 연구하였고, 주로 공간 레이아웃, 관상 노선 등의 측면에 대한 비교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영남 (岭南) 전통 정원의 건축, 연못, 산석, 화목(花木) 처리의 특징에 대해 자세히 고찰하였다. 중국 청나라는 영남(岭南) 정원 발전의 전성기이며, 고고학적 발굴에 의해 2천 년 전 남월국(南越国) 의 궁궐 유적에서 ‘어화원’(御花园)을 발견되었다. 서기 1995-1997년 사이에 발견된 서한 남월국(南越 国) 궁서(宫署) 어원(御苑) 유적은 현재 중국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궁중 화원이다. 역사 자료의 기록 에 따르면 남한 시대(南汉时代) 광저우에 ‘선호’(仙湖) 어화원(御花园)이 존재했다고 전해지지만, 현재는 일부 유적의 흔적만이 남아 있다. 현재 광저우 남방희원(南方戏院)은 바로 ‘선호’(南方戏院)의 주요 경관인 약주(药州) 구요원(九曜园) 수석경(水石景)의 유적으로 천 년 이상의 역사를 지니고 있다. 이처럼 오랜 시간을 통해 영남(岭南)의 정원은 지속해서 발견되어 중국 원림 건축 예술의 3대 체계에서 중요한 일부를 형성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소중한 건축 유산으로 전해지고 있다. 다만, 영남(岭南) 정원에 대한 청나라 이전 문헌의 기록과 전해지는 실물은 매우 적으며, 현존하는 실물은 모두 청나라 중기 혹은 청나라 말기에 건축된 것으로 비교적 유명한 4개의 정원으로 순덕청휘원 (顺德清晖园), 번옹여음산방(番禺余荫山房), 동완가원(东莞可园)과 불산(佛山)에 위치한 양원군성초당(梁 园群星草堂) 등이 있다.
        76.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건주의의 기원으로 간주되는 요한 아른트 (1555-1621)는 독일 근대사에 절대적인 영향을 끼친 인물이다. 루터교에서의 아른트의 위치와 평가는 중세 신비주의의 문헌 그리고 영성주의와 같은 종교개혁의 외적 문헌들이 그의 작품을 통해 17세기 개신교 안으로 흘러 들어왔다는 것에 달려 있다. 아른트는 자신의 주저 “참된 기독교에 관한 4권의 책” (1605-1610)을 통해 요한 타울러, 독일 신학, 앙겔라드 폴리그노, 그리스도를 본받아, 발렌틴 바이겔 그리고 파라첼수스 등을 수용하였다. 본 논문은 아른트의 기도 서적 “천국의 작은 정원” (1612)에 대한 문헌 비평이며, 이러한 문헌 비평을 통해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은 중세 신비주 의자 버나드의 문헌 그리고 버나드의 영성 아래서 전승된 위 버나드 문헌들을 밝혀 낸 연구이다. 또한 아른트의 기도 서적 속에서 드러난 수난 신비주의, 신랑 신부 신비주의, 사랑의 신비주의, 예수 이름 신비주의 등 다양한 일치 신비주의는 버나드 없이는 이해가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77.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풍경식 ‘자연’에 펼쳐진 무대에서 연주되는 모든 음악으로 정의될 수 있는 19세기 독일 정원음악 은 도시의 산업화로 독일 도처에 정원이 들어서면서부터 탄생된다. 이에 시민들은 도심의 좁고 밀 집된 실내공간에서 이루지 못한 ‘감성적 활동’을 자연에서 음악활동으로 시도하여 정원음악이 보급 된다. 당시 가벼운 작품들로 구성된 정원음악으로는 심포니, 접속곡, 춤곡, 합창, 민요 등이 선호되 며 정원악기로는 플롯, 기타, 리라기타, 에올스하프, 하프, 타악기 그리고 관악기그룹 등이 사용되어 진다. 그리고 '즉흥적 표현들', 풍부한 음향 그리고 감상적 선율 등으로 정원음악의 다양한 특징들이 표현되어진다. 이런 정원음악은 19세기 독일 시민들의 생활공간으로 확장되어진 정원문화의 결과물 로 자연의 시각적 그리고 음악의 청각적 소통을 잠재로 한 개인의 ‘생활정서음악’이자 타인과 함께 즐길 수 있는 ‘오락음악’으로 사회적 가치를 갖는다. 따라서 19세기 독일 정원은 정원 그 자체의 의 미와 그에 따른 공간이 정원의 기능성을 높이면서 독일 시민들의 음악문화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공 하여 자연이라는 공간에서 기대할 수 있는 ‘문화적 소리’를 담아낸 정원음악의 보편성을 성립시킨다.
        78.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나라꽃으로 사랑받아온 무궁화에 대한 이용방안이 활기를 띠면서 실내공간으로 도입이 가능한 무궁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무궁화 품종 중 꽃과 잎이 아름다운 ‘아랑’에 대한 광적응성 실험을 하였다. 도입광원은 현재 실내등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형 광등, 삼파장, LED등을 비롯하여 태양광을 실내공간으로 도입하는 광섬유 등 4종류를 선정하여 실험하였다. 광도는 500lux, 750lux, 1,500lux, 2,500lux로 설정하였다. 실험기간은 2016년 5월 2일부터 2016년 10월 7일까지이며 광적응성은 관상가치를 파악하는 엽장, 엽 폭, 초장, 엽수, 낙엽수, 절간장, 개화율, 꽃색상 등의 형태적 측정요소를 측정하였으며, 생리적 활성요소를 알아보고자 LI-6400을 사용하 여 광합성 활성을 측정하였고 기공사진을 촬영하였다. 광원별 실험 결과, 형광등은 1,500lux, 2,500lux, 750lux, 500lux 순이었고, 삼파장등 의 경우, 2,500lux, 1,500lux, 750lux, 500lux 순으로 광도가 높을수록 양호한 생육 및 생장을 보였다. LED등의 경우, 1,500lux, 2,500lux, 750lux, 500lux 순으로 생장량 및 생육상태가 양호하였으며 광섬유의 경우, 2,500lux, 1,500lux, 750lux, 500lux 순으로 광도가 높을수록 원 활한 생장을 하였다. 무궁화 ‘아랑’을 실내공간으로 도입할 경우, 최적광원은 광섬유 였으며, LED등, 형광등, 삼파장 순으로 도입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 타났다. 광도는 대체적으로 1,500lux∼ 2,500lux 범위 내에서 무난하게 잘 자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79.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공동주택은 편리한 교통이나 우수한 교육여건보다 풍부한 녹지와 주변 자연경관을 선호하는 경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공동주택에서 교목, 관목, 초본이 다양하게 혼식되어 풍부한 생태공간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공동주택 건물에 의한 공간별 일조환경의 정확한 예측이 요 구된다. 본 연구는 다층구조식재를 위해 관목과 초본의 일조에 영향을 미치는 건물과 교목류 하부의 일조환경을 예측하기 위해 수종별 광 소멸계수를 도출하였다. 공동주택에 식재되는 대표적인 18종의 교목을 대상으로 180도 화각을 가진 어안렌즈로 측정한 영상자료를 Hemisfe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식물의 엽면적 지수를 산출한 후 Goudriaan의 방정식으로 수종별 광소멸 계수를 산정하였다. 엽면적 지수 증가에 따른 광소멸계수는 꽃사과, 대왕참나무, 고로쇠나무가 유사한 패턴으로 가장 급격하게 감소하여 일사의 차이가 가장 큰 수종 그룹 으로 나타났다. 향후 정원 설계 및 유지관리용 소프트웨어 개발을 통한 공동주택 일조환경 분석에 필요한 기초데이터로 활용하고자 한다.
        80.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무궁화는 나라꽃이라는 상징적 의미가 커서 우리나라 사람들의 관심과 사랑을 많이 받아왔다. 본 연구는 선호하는 무궁화 품종 중 ‘새아침’ 을 실내공간으로 도입할 수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내 광환경을 설정해 주고 광적응성을 실험하였다. 실험구내 설정한 광원은 실내 공간에서 주광원으로 도입되고 있는 LED등, 형광등, 삼파장, 광섬유 등 4종류를 사용하였다. 광도범위는 500lux, 750lux, 1,500lux, 2,500lux로 설정하였다. 실험기간은 2016년 5월 2일부터 2016년 10월 7일까지이며 광적응성에 대한 측정요소는 형태적 특성에 따른 관상 가치와 LI-6400을 사용하여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기공사진을 촬영하였다. 실험 결과, 새아침 품종 도입시 가장 적합한 광원은 LED등 이었으며 형광등, 삼파장, 광섬유 순으로 나타났다. 광원별 적합한 광도는 LED등의 경우, 1,500lux, 750lux, 2,500lux, 500lux 순으로 우월 한 생육과 생장을 보였으며 형광등의 경우, 1,500lux, 750lux, 2,500lux, 500lux 순으로 생장량 및 생육상태가 양호하였다. 삼파장등의 경 우, 1,500lux, 750lux, 2,500lux, 500lux 순으로 양호하였다. 광섬유의 경우, 2,500lux, 1,500lux, 750lux, 500lux 순으로 나타나 광도가 높을 수록 원활한 생장을 하였으며 생육상태도 양호하였다. 무궁화 ‘새아침’을 실내공간으로 도입함에 있어서 에너지 절감을 고려해 볼 때, 750lux∼2,500lux 광도범위 내에서 무난히 적응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