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예전부터 쌀 생산의 명승지였으며 국민은 벼농사를 주요생업으로 삼아 왔기 때문에 자연히 쌀을 원료로 한 술이 나오게 된 것은 당연한 이치이다. 탁주는 일반인이 아는 바와 같이 쌀과 누룩으로 제조한 것이 전통 민속주라 할 수 있겠다. 일제시대에 들어와 1920년경에 일본에서 종국을 들여와 청주제조 및 조미료 제조에 약간씩 이용되었고 해방을 전 후하여 탁 약주에 널리 보급되기 시작하였다. 근대의 탁 약주 출고 및 원료의 변천을 보면 1. 1960년대부터 매년 출고량이 신장되어 왔으며 1973년도 출고량 1,613,147kl가 출고되어 전주류 구성비율은 78.6% 이상에 이르게 되었으나, 2. 1974년부터 1975년(2년간) 사이에 원료변화가 4차례나 바뀌어짐에 따라 1974년도에 소맥 50%, 대맥(보리쌀)50%를 사용하면서부터 출고량이 감소되기 시작하였다. 3. 1988년말 현재에 이르러 출고량은 761,284kl로 53%가 감소되었고 주류 구성비율은 30%내로 이르게 되었다. 우리나라 국민은 누구나 민속주 하면 탁주를 연상한다. 그러나 정부의 식량난 정책에 따라 탁 약주 제조원료 변화는 갖은 수난을 거쳐 오늘에 이르게 되었으나 이제는 경제가 발전되어 국민의 의 식 주도 많이 변화되어지고 있는 바 지난날과 같은 원료변화는 다시는 없어야겠다. 끝으로 탁 약주 제조자의 바램이라면 제조원료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상품을 다양화하고 소비자의 선택에 따라 전통 민속주의 맛을 음미할 수 있는 때가 오기를 바란다.
Studies were conducted on the preparation methods of strawberry jam. Strawberry was homogenized and centrifuged to serum-pulp portion. Concentration of strawberry serum was carried out at 55∼58℃ under pressure of 30∼60 mmHg. Strawberry jam bases were mixed throughly and stuffed in retortable pouch. The pouch was sterilized to make a new strawberry jam. The characteristics of new type jam was analyized gas chromatographic profile, and sensory evaluations.
약식의 유통기간을 결정하는 중요한 품질요소인 조직감의 경화현상을 측정하는 방법을 수집하고 제조방법과 저장조건에 의한 경화속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표준 제조방법으로 만든 약식은 실온 (20˚C)에서 3일간 저장할 수 있었으며 유통 상한점에서의 경도는 multipuncture시험의 700g 하중 수준이었다. 냉장저장(5℃)에 의하여 약식의 굳는 속도는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Avrami식으로 산출한 속도상수비는 1.3~3.3배 증가하였으며 수분함량이 높은 압력솥 처리구가 가장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물엿첨가는 약식의 경화속도를 다소 낮추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압력솥 처리에 의하여 약식은 너무 무르게 되어 기호도가 다소 떨어지나 냉장보관시에는 저장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사료된다. 전자렌지로 조리한 약식은 대단히 높은 경도를 나타내었다. 약식의 종합적인 기호도는 조직감 기호도와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며, 조직감 기호도는 multipuncture 시험의 최대 하중과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multipuncture 시험이 약식의 품질평가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건시제조에 관한 기초자료로서 품종에 따른 화학성분 및 당조성의 변화와 생과 및 건시의 물성에 관하여 실험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가용성 tannin은 acetaldehyde, alcohol의 증가와는 반대로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변화는 경산반시와 평핵무(平核無)에서 비교적 컸다. 건조중 당조성의 변화는 sucrose가 건조초기에 급격히 감소하는 반면 glucose와 fructose는 증가하여 건시과육의 당조성은 품종에 따라서 약간 다르나 glucose와 fructose가 비슷한 함량이었으며 백분은 대부분 glucose로 구성되어 있었다. 생과와 건시의 물성을 측정해본 결과와 관능검사 결과 평핵무(平核無), 사곡시는 건시제조용 품종으로 비교적 좋았으나 장둥이, 남양수시는 건시제조용 품종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Straight no-time method로 조제한 냉동(冷凍)반죽을 이용(利用)한 발효(醱酵)빵제조에 있어서 가장 적절한 반죽의 조성(組成)을 제(製)빵성적(成積)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경질(硬質)밀가루 1,000 g에 대하여 압착효모(壓搾酵母) 30 g, 설탕 50 g, 식염(食鹽) 20 g, 쇼트닝 40 g, 브롬산칼륨 75mg, L-ascorbic acid 200mg, yeast food 3 g, vital wheat gluten 30 g, 제1인산칼슘 400mg, 스테아릴젖산나트륨 8 g, 급수량(汲水量) 680 g 으로 냉동(冷凍)반죽을 만드는 것이 제(製)빵과정(過程)에서 팽창력(膨脹力)과 발효시간(醱酵時間)이 적절하고 높은 비용적(比容積)을 얻을 수 있어서 가장 바람직하였다. Farinograph 성적상의 흡수율(吸水率)보다 높은 68%의 급수량(汲水量)으로도 유화제(乳化劑)나 품질개량제(品質改良劑)의 다량첨가(多量添加)로 반죽의 동결장해(凍結障害)를 억제할 수 있었다.
34 packaged meal (Dosirak) manufacturing establishments were assessed in terms of working environment, production and transportation practices. Questionnaires and facility check-lists were developed. Most establishments were small in business, and production personnel as well as production facilities were insufficient compared with production capacity of establishments. Mean production capacity for packaged meals in terms of optimum and maximum levels were 6,500 and 15,166 meals in large sized establishments; 2,662 and 8,301 in medium; and 2,112, and 4,733 in small respectively. Those figures indicate potentially hazardous practices in production especially in small and medium sized establishments. Most meals were produced to order. Transportation facility and kitchen space were assessed as insufficient.
In order to utilize the tuber of Jerusalem artichoke (Jerusalem tuberosus L.) which has been considered one of the most economical resources for bioenergy, the tubers of the plant were processed into silage in 11 lab-silo with three levels of mixture of c
The storage stability of Instant Ramyon by industrially prepared with palm, beef tallow and blended rapeseed oils for frying oil was studied. The products was stored under fluorescent light at 60℃ with illumination of 9,000 lux. Changes of peroxide value, total carbonyl value, and absorbance at 232 nm of lipids extracted from Ramyon were investigated during storage. The storage stability of Ramyon prepared with oils containing TBHQ had better than that prepared with a mixture of BHA and BHT. The Ramyon prepared with 4 part of rapeseed oil to 6 part of tallow containing 0.02% BHA/BHT showed higher storage stability than that prepared with palm oil alone but showed lower stability than that prepared with tallow alone both under the same condition of antioxidant treatment.
A preliminary investigation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partially replacing palm oil and beef tallow by rapeseed oil for frying oils of instant Ramyon manufacturing. The AOM stability of rapeseed oil was inferior than of palm oil, but was comparable to that of beef tallow. When rapeseed oil was blended with palm oil or beef tallow, the AOM stability of the blended oil was improved. As far as AOM stability is concerned, best results were obtained with a blending ratio of 3 part of rapeseed oil to 7 part of palm oil and a ratio of 4 part of rapeseed oil to 6 part of beef tallow. These blended rapesee oils was retarded the formation of conjugated dienes and polymers during heating. The antioxidative effects on the stabilities of AOM and thermal in blended rapeseed oils showed that TBHQ was superior to tocopherols and a mixture of BHA and BHT was inferior.
감자바이러스 S(PVS)의 진단, 동정 및 씨감자의 검정에 이용할 항혈청을 만들기 위하여 이병주로부터 PVS를 순수분리 순화하여 항혈청을 제조하였다. PVS는 지표식물파 전자 현미경으로 순수 분리하여 Nicotiana debneyii에서 증식하여 순화하였다. 순화된 PVS의 순화도는 1.18mg/ml이었으며 이것을 1.5ml씩 7일 간격으로 5회 .토끼에 주사하였으며 마지막 주사후 10일에 채혈하여 항혈청을 분리하였다. 제조된 PVS항혈청의 역가는 미량침강법에 의하여 1/2048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중부이남 지역에서 벼 오갈병에 의한 피가 현저히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본시험에서는 매개충을 사용, 순수분리하고 이를 접종하여 증식한 후 Toyoda 등의 순화방법을 개선하여 순화하였다. 그 결과 순화된 바이러스 함량은 ml당 3.12mg 이었다. 순화된 바이러스를 Adjuvant와 함께 토끼에 10-14일 간격으로 5회 주사하여 항혈청을 제조한 결과 1/4,096의 높은 역가를 나타내는 항혈청이 제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