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677

        1041.
        2017.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n advanced organic-inorganic polymer composite membranes are synthesized to enhance chemical stability for the application of unitized regenerative fuel cells (URFCs). In order to improve chemical stability of polymer membrane, organic polymer is composed with inorganic materials for long-term operation of URFC. By addition of inorganic polymer, chemical stability of polymer membrane has highly increased. However, higher concentration of inorganic particles may lead to brittleness in polymer membrane. Therefore, the optimization of inorganic materials in polymer membrane is a crucial for the preparation of polymer membrane with high chemical stability in URFC.
        1042.
        2017.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반도체용 초순수를 생산하는 공정에서 다양한 종류의 멤브레인을 적용하고 있다. 정밀여과막, 한외여과막, 역삼투막, 탈기막, 이온교환막, 최종생산수용 한외 여과막 등이 있다. 멤브레인기술은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동등이상의 성능과 운전의 용이함과 설치면적의 최소화 등 부수적인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반도체산업에서 적용되고 있는 멤브레인은 주로 외산기술이 점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산화를 위해 설계공정과 일부 멤브레인 기자재 개발을 진행하 였다. 기자재 개발품의 실증을 위해 실증파일럿플랜트에 적용하여 국/외산 성능 비교와 운전방법에 따른 성능 등을 평가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1043.
        2017.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포토리소그래피는 웨이퍼 위에 선폭 10나노 이하의 패턴을 올리는 반도체 제조 공정의 핵심 기술이며 선폭을 줄이고 불량을 줄이기 위하여 photo-resist 용 액 제조 및 정제 기술이 상당한 수준에 올라와 있지만 아직고 soft particle 정제를 위한 공정을 시도되고 있다. 현재 개발되어 있는 필터는 soft particle 정제 기술이 상당히 미흡한 수준이다. 나일론이나 폴리에틸렌 위에 아라미드 고분자 를 함침하여 soft particle 정제 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팔라듐 나노입자를 합성하여 투과 특성에 사용하였다.
        1044.
        2017.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용매 이동 유도 상분리‘라는 신 기법을 이용하여 바이젤 중공사막을 개발했고 이를 물/기름 에멀젼 분리에 적용하였다. 바이젤막은 미세유체장치를 이용한 방사법을 통해 제조되며, 제조액으로는 실리카 나노입자가 분산된 삼성분계 혼 합액 (물/가교 가능한 단량체/ 에탄올)을 사용한다. 실리카 나노 입자의 양, 입자 표면을 개질하는 계면활성제의 양에 따라 표면층의 기공 크기 및 하부 층의 구조 변화를 살펴보았다. 바이젤 막의 장점은 후 코팅 공정을 거치지 않고도, 막 표면 전체를 실리카 입자 층으로 덮어 anti-fouling 효과를 보유한다는 점이다. 물/기름 에멀젼에서 순수 물을 얻는 정밀여과에 적용하였으며, 상용 폴리설폰 중공사막보다 우수한 oil rejection 및 투과도를 보여주었다.
        1045.
        2017.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수용액과 유기용액에 방향족 단량체를 사용하여 계면중합을 통하여 폴리아미드 나노여과막을 제조하고 황산내구성, 내열성 실제 제련액 투과물성을 평가하였다. 수용액에 지방족 디아민을 사용한 나노여과막에 비해서 방향족 디아민을 사용한 경우에 내산성이 매우 우수하였다. 방향족 단량체를 사용한 경우에는 1 가 이온 제거율 낮추기 위하여 첨가제 사용하였다. 내열성은 실제 제련액의 경우는 2가 이상의 이온에 대해서는 회수가 가능하였고 1가 이온 및 황산의 경우 에는 투과수로 빠져 나오는 것을 확인하였다.
        1046.
        2017.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Nanofiltration Membranes (NF) contain nanometer pores to selectively separate divalent ions and organic species from water. These membranes are most often made of polymeric thin films and are used in water softening applications to remove scale forming ions. NF membranes which can survive in harsh conditions such as acidic environments have drawn interests in the industry. Acid resistant nanofiltration membrane (ARM) was fabricated using interfacial polymerization reaction of a specially formulated monomers on a support layer. ARM showed durability in acidic environments. As compared to NE40, ARM showed little change in flux and divalent ion rejection after being exposed to 15% sulfuric acid solution for 30 days. The ARM showed stable performance in comparison to regular NF membranes, losing both flux and rejection.
        1047.
        2017.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as separation through membrane is considered as a promising solution for the stabilization of greenhouse gas level of atmosphere attributed from CO2. The separation process of membrane allows low energy requirement, low cost, and ease of operation. However, conventional polymeric membranes generally suffer from the trade-off between permeability and selectivity, which remains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llenges for commercialization. Mixed matrix membranes (MMMs), consisting of a polymer matrix and porous nano-filler, are considered to be a promising solution to overcome the trade-offs in polymeric membranes. Herein the porous nano-structures were fabricated to enhance the permselectity of CO2 separation membranes. The MMM which were fabricated with prepared porous nano-filler showed permeability improvement without significant selectivity loss.
        1048.
        2017.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Until now, single MFI nanosheets have been prepared using a multi-step approach based on the exfoliation of layered MFI, followed by centrifugation to remove nonexfoliated particles. This top-down method is time-consuming, costly and low-yield and it produces fragmented nanosheets with sub micrometre lateral dimensions. Alternatively, direct (bottom-up) synthesis could produce high-aspect-ratio zeolite nanosheets, with improved yield and at lower cost. Here we use a nanocrystal-seeded growth method triggered by a single rotational intergrowth to synthesize high-aspect-ratio MFI nanosheets with a thickness of 5 nanometres (2.5 unit cells). These high-aspect-ratio nanosheets allow the fabrication of thin and defect-free coatings that effectively cover porous substrates. These coatings can be intergrown to produce high-flux and ultra-selective MFI membranes that compare favourably with other MFI membranes prepared from existing MFI materials (such as exfoliated nanosheets or nanocrystals).
        1049.
        2017.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알루미나 튜브 지지체의 표면에 NaA제올라이트 분리막을 수열합성법으로 제조하고, 이를 투과증발 공정에 사용하였다. 분리막의 제조에 사용된 지지체는 기공율 40%, 기공경 0.7 μm를 갖는 지지체를 사용하였으며, 수열합성법으로 제 조된 NaA제올라이트 분리막은 약 18 μm의 두께를 나타내었다. 제조된 분리막 은 단일 분리막 형태와 분리막 모듈로 구성하여 각각 투과증발 성능을 평가하였으며, 단일 분리막은 10L Batch type반응기에서 투과증발 공정을 수행하고, 분리막 모듈은 1 ton Batch type 반응기에서 투과증발 공정을 수행하여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1050.
        2017.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화석연료 사용에 의한 환경문제의 해결을 위한 방법의 하나로 수소에너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물을 분해에 의한 수소 제조는 전기분해, 광화학적, 열화학적, 생물학적 방법 등이 있다. 물의 전기분해 기술은 전기를 이용하여 수소를 물로부터 직접 제조하는 방법으로 지구오염물질인 이산화탄소의 배출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물의 전기분해 방법 중에서 알칼리 수전해는 오래전부터 알려진 수소제조 방법으로 전해액으로 ∼30 wt%의 KOH수용액 또는 ∼20 wt%의 NaOH수용액을 사용하며, 셀은 수산화이온 (OH-) 만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격막, 수소와 산소를 발생시키는 전극으로 구성된다. 최근에는 양.음이온교환막의 발 전과 더불어 전해효율이 60% 이상에 이를 만큼 분리막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1051.
        2017.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소기업은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동화라인을 구축하거나 JIT시스템, TPM, 6시그마 혁신 활동등 다양한 기법을 적용하여 일부는 크게 효과를 보는 경우도 있지만 형식적인 시스템의 적용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고전적이며 가장 기본이 되는 5S3정을 직접 제조현장에 적용하여 생산성 향상에 대한 객관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KPI를 선정하고 적용전.후의 결과를 비교하여 유의미한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4,200원
        1052.
        201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manufacturing equipments for urushiol free raw rhus verniciflua stem(RRVS) extracts are developed which do not need for drying process and high pressure device. The three layered pressure tank and heating medium oil boiler are designed which are more efficient than the conventional ones, and the safety of the tank is assured by the structural analysis software. Finally, the RRVS extracts are prepared by water extraction technique at 100℃ using the developed equipments. In the physicochemical experiments for the RRVS extracts, an allergen such as urushiol is not detected, whereas the antioxidant such as polyphenol and flavonoid are contained.
        4,000원
        1053.
        201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insulation products with excellent insulation performance and durable insulation for building components. Various policies has been trying to improve the energy efficiency of buildings. The development of energy-saving building materials is also evolving as the energy saving of buildings becomes a main trend. In public and commercial buildings, reliability and beauty are emphasized with respect to the safety of building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anufacturing equipment and technology for the development of high airtight stainless steel insulation doors that can meet energy saving design standards of buildings.
        4,000원
        1054.
        2017.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d2O3:Eu3+ red phosphors were prepared by template method from crystalline cellulose impregnated by metal salt. The crystallite size and photoluminescence(PL) property of Gd2O3:Eu3+ red phosphors were controlled by varying the calcination temperature and Eu3+ mol ratio. The nano dispersion of Gd2O3:Eu3+ was also conducted with a bead mill wet process. Dependent on the time of bead milling, Gd2O3:Eu3+ nanosol of around 100 nm (median particle size : D50) was produced. As the bead milling process proceeded, the luminescent efficiency decreased due to the low crystallinity of the Gd2O3:Eu3+ nanoparticles. In spite of the low PL property of Gd2O3:Eu3+ nanosol, it was observed that the photoluminescent property was recovered after re-calcination. In addition, in the dispersed nanosol treated at 85 oC, a self assembly phenomenon between particles appeared, and the particles changed from spherical to rod-shap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article growth occurs due to mutual assembly of Gd(OH)3 particles, which is the hydration of Gd2O3 particles, in aqueous solvent at 85 oC.
        4,000원
        1055.
        2017.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optimum route to fabricate a hybrid-structured W powder composed of nano and micro size powders was investigated. The mixture of nano and micro W powders was prepared by a ball milling and hydrogen reduction process for WO3 and W powders. Microstructural observation for the ball-milled powder mixtures revealed that the nano-sized WO3 particles were homogeneously distributed on the surface of large W powders. The reduction behavior of WO3 powder was analyzed by a temperature programmed reduction method with different heating rates in Ar-10% H2 atmosphere. The activation energies for the reduction of WO3, estimated by the slope of the Kissinger plot from the amount of reaction peak shift with heating rates, were measured as 117.4 kJ/mol and 94.6 kJ/mol depending on reduction steps from WO3 to WO2 and from WO2 to W, respectively. SEM and XRD analysis for the hydrogen-reduced powder mixture showed that the nano-sized W particles were well distributed on the surface of the micro-sized W powders.
        4,000원
        1056.
        201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다공성 폴리에틸렌 지지체를 기반으로 세 가지 가교제를 혼합 도입한 세공충진 이온교환막을 제조 하고 역 전기투석에서 멤브레인의 특성이 발전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실험 결과, 분자 크기가 다른 가교제를 혼합 함으로써 이온교환막의 가교도 및 자유체적이 효과적으로 조절됨을 확인하였으며 상관 분석을 통해 멤브레인의 전기화학적 특성 및 이를 적용한 역 전기투석의 발전성능에 복합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세공충진 양이온 교환막은 최적 가교조건에서 상용막 대비 동등 이상의 발전 성능을 나타내었으며 음이온 교환막 또한 상용막에 근접하는 우수한 성능을 나 타내었다.
        4,000원
        1057.
        201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화석연료의 무분별한 사용에 따라 이산화탄소 배출 등 환경오염의 문제가 대두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신⋅재생에 너지 및 친환경 에너지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연료전지는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며 부산물로써 물만을 생성하는 친환경 에너지 발전 장치이다. 특히, 음이온 교환막을 이용한 알칼리 연료전지(Anion Exchange Membrane Alkaline Fuel Cell, AEMAFC)는 수소이온 교환막을 이용한 연료전지(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PEMFC)에 비해 보다 높은 촉 매의 활성으로 인해 저가의 금속 촉매의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AEMAFC에서 요구되는 AEM의 특성으로 는 연료전지가 작동하는 높은 pH 조건에서 높은 이온전도도 뿐만 아니라 화학적 안정성이다. 본 연구에서는 화학적 안정성 을 극대화 시키기 위하여 poly(2,6-dimethyl-1,4-phenylene oxide) 고분자에 spacer-type의 전도기를 도입함과 동시에 가교법을 이용하여 높은 이온전도도(80°C, 67.9 mS cm-1)와 기계적 성질(영률 : 0.53 GPa) 뿐만 아니라 높은 pH 조건에서 화학적 안정 성(80°C, 1000 h, 6.8% loss of IEC)을 갖는 AEMAFC용 고분자 전해질 막으로써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4,000원
        1058.
        201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얇은 폴리에틸렌 계 다공성 필름(두께 = 25 μm)에 이오노머를 충진시킨 세공충진 이온교환막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적용한 전 바나듐 레독스 흐름전지의 충방전 특성을 고찰하였다. 특히 분자 크기가 다른 가교제를 혼합함 으로써 이온교환막의 가교도 및 자유체적을 적절히 제어하여 저저항 및 저 바나듐 투과도를 나타내는 이온교환막을 제조하 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제조된 세공충진 이온교환막은 상용막 대비하여 동등 수준의 우수한 전기화학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바나듐 이온 투과도 및 전 바나듐 레독스 흐름전지 성능 평가 실험을 통해 얇은 막 두께에도 불구하고 상용막 대비하여 낮은 바나듐 이온 투과도와 높은 충방전 효율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4,000원
        1059.
        201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Nanosized WO3 and CuO powder mixture is prepared using novel high-energy ball milling in a bead mill to obtain a W-Cu nanocomposite powder, and the effect of milling time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WO3-CuO powder mixtures is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 that the ball-milled WO3-CuO powder mixture reaches at steady state after 10 h milling, characterized by the uniform and narrow particle size distribution with primary crystalline sizes below 50 nm, a specific surface area of 37 m2/g, and powder mean particle size (D50) of 0.57 μm. The WO3-CuO powder mixtures milled for 10 h are heat-treated at different temperatures in H2 atmosphere to produce W-Cu powder. The XRD results shows that both the WO3 and CuO phases can be reduced to W and Cu phases at temperatures over 700oC. The reduced W-Cu nanocomposite powder exhibits excellent sinterability, and the ultrafine W-Cu composite can be obtained by the Cu liquid phase sintering process.
        4,000원
        1060.
        201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i wires with a diameter and length of 0.4 and 100 mm, respectively, and a purity of 99.9% are electrically exploded at 25 cycles per minute. The Ni nanopowders are successfully synthesized by a pulsed wire evaporation (PWE) method, in which Ar gas is used as the ambient gas. The characterization of the nanopowders is carried out using X-ray diffraction (XRD) and a high-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microscope (HRTEM). The Ni nanopowders are classified for a multilayer ceramic condenser (MLCC) application using a type two Air-Centrifugal classifier (model: CNI, MP-250). The characterization of the classified Ni nanopowders are carried out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nd particle size analysis (PSA) to observe the distribution and minimum classification point (minimum cutting point) of the nanopowders.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