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Ba0.9Sr0.1Co2O5+δ 조성의 산화물을 고상반응법을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합성된 분말은 압축 성형 후 1,250℃에서 소결하여 치밀한 세라믹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PrBa0.9Sr0.1Co2O5+δ분리막은 XRD분석 결과 이중 페롭스카이트 (double perovskite)구조를 보였다. 밀봉재료로는 pyrex ring을 사용하여 가스누출 실험 및 산소투과 분석을 하였다. 산소투과량 분석은 850~950℃범위에서 측정되었다. 산소투과실험 결과, 투과량은 온도증가에 따라 0.15에서 0.32mL/㎠·min로 증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inimize the PCH(Propylene CHlorohydrins) as a by-product in HPMC(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manufacturing process. HPMC is made of cellulose which is natural high polymer. And HPMC is applicable to several industrial areas. Especially it can be used in food industry as an effective additive. PCH is the by-product which is generated in chemical reaction in HPMC manufacturing process. So it is essential to eliminate PCH for the improvement of product quality. Therefore we have studied to minimize the amount of PCH. It is expected that the application of HPMC could be enlarged as the result of this study.
재제조는 사용 후 제품을 체계적으로 회수하여 분해, 세척, 검사, 보수조정, 재조립 등의 공정을 거쳐 원래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만드는 과정이다. 자동차 교류발전기를 재제조하기 위해서는 재제조품에 요구되는 품질 및 신뢰성을 확실히 달성하기 위하여 공정 별 복잡한 작업들에 대하여 세부적인 사항들을 결정하고 이를 설계하는 일이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재제조를 위한 최적의 공정설계를 위해 FMEA를 활용한 체계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재제조품의
The hazard conditions on plant works of the steel industry have been investigated to efficiently prevent from industrial accidents. The plant works are eventually carried out by workers of smaller service companies where the safety management systems are not well established, on behalf of the main steel company. Based on the preliminary risk assessment on the plant working and open literature reviews, the safety management systems, which can be applied to the plant workplace of each process, are studied and then the step-by-step 4M check-list method is established. Accordingly, the risk assessment technique using 4M checklist for the plant workplace is proposed. In addition, a standardized flow-chart for safety management of plant work is introduced. These risk assessment technique and flow-chart can definitely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industrial accidents, considering the risk characterization and the unsafe conditions in small and medium-sized plant workplace, as effective safety management tools and safety guide line.
1. 원료 형태별 청국장의 발효시간에 따른 건물중은 콩, 환, 분말의 모든 원료형태에서 발효시간이 경과할수록 건물의 중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2. 원료 형태별 청국장의 발효시간에 따른 진의 길이 변화를 측정한 결과, 모든 원료 형태에서 발효시간이 경과할수록 진의 길이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48시간 이후에는 그 증가치가 완만함을 보였다. 태광콩을 콩의 형태로 발효하였을 때 진의 생성이 가장 많았고, 분말을 1cm의 두께로 발효하였을때 진이 거의 생성되지 않았다. 3. 원료 형태별 청국장의 발효시간에 따른 생균수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콩 형태로 발효시켰을 경우 모든 품종에서 비슷한 수준의 생균수가 측정되었다. 환 형태로 발효시켰을 경우 12시간 이후에 생균수가 급격히 증가하다가 24시간 이후 증가치가 완만해졌다. 분말형태로 발효시켰을 경우 시간에 따라 경시적으로 증가하였다. 4. 원료 형태별 청국장의 발효시간에 따른 색도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모든 원료 형태에서 발효시간이 경과할수록 명도는 흑색에 가까워졌고, 색상과 채도의 경우는 각각 적색과 황색을 띠는 쪽으로 변화하였다. 5. 원료 형태별 청국장의 발효시간에 따른 pH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모든 원료 형태에서 발효시간이 경과할수록 알칼리성으로 변화하였다. 6. 원료 형태별 청국장의 발효시간에 따른 isoflavone 함량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발효 후 48시간까지 isoflavone의 함량이 증가하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7. 청국장을 건조온도를 달리하여 균의 재생능력을 실험해본 결과 동결건조를 하였을 때 가장 많은 수의 균이 존재하였다. 8. 분말 또는 분말 (환)의 형태로 청국장을 만들 경우 종자 이용 시 보다 청국장의 품질이 떨어졌으며 분말 (환)을 이용하여 경제적인 청국장 제조를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고려되어 진다.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an inventory system where a single manufacturer purchases and processes raw materials in order to deliver finished goods to multiple retailers. Earlier study in this type of supply chain only consider a single raw material in
Fecralloy is the promising materials for high temperature exhaust filtering system due to the excellent its oxidation resistance property. In this research, Fecralloy nanoparticles coated Fecralloy thin foil was prepared by a single nozzle electrospray system in order to increase surface area of Fecralloy foil. Fecralloy nanoparticles were fabricated by electrical wire explosion method in ethanol using Fecralloy wires as a source material. Electrospray modes with applied D.C voltages to Fecralloy colloidal solution were investigated to make a stable cone-jet mode. Coated layers with and without additional heat treatment were observed by FE-SEM (field emission-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tape test for evaluating their adhesion to substrate were performed as well.
Alloy 617, Ni-22Cr-12Co-9Mo base oxide dispersion strengthened alloy was fabricated by using mechanical alloying, hot isostatic pressing and hot rolling. Uniaxial tensile tests were performed at room temperature and at .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Alloy 617, ODS alloy showed much higher yield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but lower elongation. Fracture surfaces of the tensile tested specimens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find out the mechanism of fracture mode at each test temperature. Grain adjustment during tensile deformation was analyzed by electron backscattered diffraction mapping, inverse pole figures and TEM observation.
The effect of BaF2 flux in Y3Al5O12:Ce3+(YAG:Ce) formation was investigated. Phase transformation ofY3Al5O12(YAG) was characterized by using XRD, SEM, and TEM-EDS, and it was revealed that the sequential formation ofthe Y4Al2O9(YAM), YAlO3(YAP) and Y3Al5O12(YAG) in the temperature range of 1000-1500oC. Single phase of YAG wasrevealed from 1300oC.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 of BaF2 flux, three modeling experiments between starting materials(1.5Al2O3−2.5Y2O3, Y2O3−BaF2, and Al2O3−BaF2) were done. These modeling experiments showed that the nucleationprocess occurs via the dissolution-precipitation mechanism, whereas the grain growth process is controlled via the liquid-phasediffusion route. YAG:Ce phosphor particles prepared using a proposed technique exhibit a spherical shape, high crystallinity,and an emission intensity.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conducted in this investigation, 5% of BaF2 was the bestconcentration for physical, chem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Y3Al5O12:Ce3+(YAG:Ce) that is approximately 10-15% greaterthan that of commercial phosphor powder.
다양한 무체재산이 혁신과 창작을 유도하는 데 효율적인 법적 도구가 될 수 있다면, 기업이나 개인의 명성과 신용은 거래비용을 낮춰 줌으로써 일상적인 경제활동의 효율성을 높여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명성과 신용의 경제적인 효과를 보면, 진실에 기초한 명성 또는 신용은 정확한 정보의 무상공유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품이나 서비스의 공급자와 소비자 사이의 효율적인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명예훼손이나 퍼블리시티 기타 불법행위에 관한 법리는 관련시장에서 거래비용을 낮춰 주는 훌륭한 법적 도구가 될 수 있다. 종래 기업의 신용을 훼손하는 행위에 대한 불법 행위책임의 문제는 구체적인 사실을 적시하거나 의견을 표명함으로써 기업에 대한 사회적 평가를 저해하는 행위들을 중심으로 논의가 이루어졌으나, 최근 선고된 대법원 2008. 10. 9. 선고 2006다 53146 판결에서는 고급 이미지의 의류로서 명성과 신용을 얻고 있는 타인의 의류와 유사한 디자인의 의류를 제조하여 저가로 유통한 행위가 타인인 법인의 신용을 훼손하는 행위에 해당하고 그에 대해 불법행위책임이 인정된다는 취지로 판시하였다. 이 글에서는 위 대상 판결의 사실관계와 판시내용을 중심으로 하여 산업디자인에 대한 저작권법적 보호가능성, 부정경쟁방지법상 상품주체혼동행위 및 상품형태모방행위의 각 성립요건, 영업비밀 침해행위의 성립요건, 저작권법이나 부정경쟁방지법 등의 성문법을 위반하지 아니한 행위에 대한 일반 불법행위책임의 적용가능성과 위법성의 판단기준 및 손해배상의 범위 등에 관한 쟁점을 검토하고 있다. 이 사건의 예에서 보듯이 기술의 발전과 시장의 변화로 인하여 다양한 형태의 경쟁질서 위반행위가 나타나고 있고, 이에 관한 판례도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는바, 이 분야에 관한 심도 있는 논의가 계속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