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4

        41.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is part of the Chinese beverage selection attributes according to dietary style purchases based on the different dietary styles among different factors and consumer behavior analysis of consumer characteristics. The subjects of study were for the people living in Tianjin China objects directly in the local implementation of the questionnaire survey. A statistical analysis of 455 was conducted using SPSS 19. Using the general statistical analysis and cause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ANOVA test and cross analysis. Investigation object types related dietary style 20 projects, selection attributes 14 exploratory analysis of the caus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dietary style in five factors, respectively of the health oriented, convenience oriented, economy oriented, gourmet oriented, food safety oriented convenient type named pursuit. Selection attributes is to consider three items of the preference factors, production and functional factors, information factors named. Food safety oriented showed a high percentage, Gourmet oriented compared to other types of higher proportion of singles. Food safety oriented production and functional factors to purchase consideration magazine and newspaper has obtained the information. Gourmet oriented production and functional factors to purchase consideration TV and radio were obtained by using the information. Health oriented green tea beverages have been preferred.
        4,000원
        4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ulgogi (Korean-traditional barbequed beef) is one of the most globally well-known Korean foods. Though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promote bulgogi, studies are limited understanding mostly to US consumers or foreigners who reside in Korea. China, the world’s most populous country, has the biggest market potential in the worl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reasons of liking or disliking bulgogi products in Chinese consumers who reside in China in comparison to Korean consumers. The bulgogi used in this study differed in its main marinating ingredients. Check-all-thatapply (CATA)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the reasons why one liked or disliked the given bulgogi product. CATA result showed that even for the same product,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liked or disliked it for different reasons. In particular, unlike Koreans, Chinese consumers reported sweet taste and garlic flavor as reasons for disliking the samples with high amounts of sugar and garlic, respectively. This seemed to be the result of differences in familiarity of consumers to certain tastes and flavors. The results imply the influence of culture in consumer preferences.
        4,000원
        43.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Yang, Myunghee, Yoo, Yang & Moon, Grace Ge-Soon. 2014. A Study of the Complaint Speech Act by Chinese Office Workers in Korea: With Focus on High-Level Strategies.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2(3).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use of the speech act of complaint in Korean by Chinese office workers in Korea, with particular focus on their use of high-level strategies. By looking at the differences in speech act between Korean-speaking Chinese office workers and native Korean office workers from a cross-cultural pragmatics perspective, the study aims to shed light on intercultural differences and explore their implicatio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High-level strategies in the speech act of complaint are broadly classified into direct, indirect, mixed, and silent strategies. By means of a discourse completion test (DCT), 50 Chinese office workers and 50 Korean office workers were surveyed with respect to their use of the complaint speech act. The results indicated that Chinese office workers tend to use more indirect strategies than their Korean counterparts and that Korean office workers use the silent strategy more often than Chinese workers. Significant results were also obtained by comparing the use of high-level strategies by the two subject groups according to variables such as social status, familiarity, age, gender, and employment period.
        5,500원
        44.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gap in perceived importance-satisfaction rates of foreign Chinese students regarding the university foodservice selection attributes. All statistical analyses are conducted by the SPSS package program (ver 20.0).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es are as follows: The validity of the 22 food service selection attributes is being evaluated via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n five factors are extracted. The five factors are: ‘Factor 1. Cleanness and service quality’, ‘Factor 2. Food quality and price’, ‘Factor 3. Physical environment’, ‘Factor 4. Convenience’, and ‘Factor 5. Servic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one-way ANOVA, physical environment showed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the periods of residence in Korea and the eating frequency at on campus foodservices. On the other hand, the food quality and price, convenience, and service environment showed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the periods of residence in Korea.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results, ‘ventilation of dining room’ is the key aspect that university food service managers should reinforce. In conclusion, in order to increase the customer satisfaction rates, the food service managers should not only improve the quality of food and service but also the physical environments of the food service facility.
        4,000원
        46.
        201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eating experience, and preference of kimchi, and the sensory evaluation of kimchi from Chinese and Korean students residing in Korea. General information (including age, sex, duration of staying, living status) was collected. A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the information on awareness, eating experience, and preference of kimchi and dishes made with kimchi. Sensory evaluations were carried out on a 10 point scale. All subjects (37 Koreans, 43 Chinese) were aware of kimchi, with 98% of the Chinese subjects recognizing kimchi as a Korean traditional food and 65% having eaten kimchi at least once a day. The types of kimchi preferred by Chinese subjects were generally sweet and not over-bearing in seasoning, hotness, or ripeness. The more frequently eaten foods made with kimchi were jjigae, bokkeumbap, bibimbap and kimbap. However, the more preferred dishes made with kimchi were bossam, jeongol, bokkeum, jeon, and ramyeon. The Chinese subjects were especially sensitive to spicy odors (4.6±2.2/10), salted seafood odors (4.6±2.3/10), offodors (4.4±2.3/10) and aftertaste (5.9±2.1/10) compared to Korean subjects. Taken all together, the perception as well as sensory characteristic of kimchi needs to be improved for the globalization of kimchi.
        4,000원
        49.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디자인 요소로 한글을 사용하려 할 때 다양한 한글글꼴에 대한 감성과 선호도에 대한 객관적 정보 제공하여 한글글꼴 사용에 있어서의 방향 제시를 돕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연구의 세부 목표는 첫째, 한글글꼴의 조형 요소를 좀 더 객관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한글을 전혀 모르는 중국인을 대상으로 한글글꼴에 대한 감성 차이가 한국인하고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둘째, 글꼴에 대하여 한국인과 중국인들의 선호 비선호를 비교 분석 하였다. 첫 번째 목표를 밝히기 위해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국인과 중국인이 모두 2가지 대표요인으로 [친숙성], [soft]가 추출되었으며 양국 모두 제 1요인과 제2요인의 소속요인 모두가 순위의 차이는 있었지만 대다수가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어 한국인과 중국인들이 한글글꼴에 대하여 서로 비슷한 감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한글글꼴 선호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국인 및 중국인의 선호도를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은 친숙성이라고 볼 수 있고, 한글을 전혀 모르는 중국인들 또한 중국문화에 애용하여 왔던 붓글씨적인 서체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다.
        4,000원
        51.
        201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numerous Korean church today embraces the technical goal of the invention building the paradigm of the new mission about the Chinese student studying abroads flowed in into the righteousness, to pay attention to the interior of a country China student studying abroads to the oversea missionary work resource voluntarily, the interior of a country. While the mission environment of Korean Chinese student studying abroads is unable to be good, the result which can be obtained through the missionary activity of the missionaries in China field church is very low. If for the missionary judgment of the Korean churches, the focus is adjusted to the Chinese student studying abroads, the long-term mission strategy which creates the social support system and so that the it has been growing in the mutually different cultural area Chinese student studying abroads can adapt well the Chinese student studying abroads to the Korean culture and college life and can minimize the culture shock because of the gospel will be established. The stress removal factor in which the student studying abroads can take the emotional psychological relaxation is grasped and the Christian culture and the faith settlement, that is the gospel, should be made. the various pattern of adjustments show as to Chinese student studying abroads’ right-foot shoot. However, that it is attached when it has to pay attention. Whether it is familiar with the various factorses including the member of the cultural area, living this success popular culture, language, and etc. or not. However, while the existing values according to the socialist identity which they have in the process of doing Korean college life and world view underwent a lot of difficulties in strange Korean cultural adaptation, the stress was experienced. In this condition, when the church community sets the mission direction and strategy, the many-sided effort for the stress relaxation according to the cultural adaptation of the Chinese student studying abroads is required. the strategic access about how approaching from the position in which the Social Support for canceling the stress required for the cultural adaptation for Korean Chinese college life is needed is required. It has the values, of the church the world view and existing paradigm so far, it is not easy to propagate the Chinese student studying abroads. The strategic access to the new paradigm which can be managed with the form of ‘the come mission’ in ‘it visits mission’ paradigm which the church and missionary group had been providing is desperately required. Therefore the mission resource in which many churches can distinguish the various obstacle according toes the Chinese student studying abroad mission and which can overcome this has to be communally created.
        7,800원
        52.
        201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산업화 및 세계화에 따른 자살문제가 점차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1990년대부터 자살은 중국의 사망원인 중에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였다. 자살문제의 심각성으로 인하여 중국인의 독특한 자살률 추세와 유행병학적 특징을 파악하기 위하여 최근에 학술계에서 중국인의 자살에 관한 연구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0년부터 2010년까지 중국의 핵심간행물에 등재된 39편 중국문헌과 11편 외국문헌을 분석하여 그동안 중국인의 자살연구 내용과 한계점을 살펴보고 최근의 핵심 이슈와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향후의 자살연구 과제도 제시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를 살펴본 결과 연구목적에서는 자살의 현황과 특징을 다루었지만 자살예방 프로젝트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연구대상에서는 일반인 및 청소년에 편중하였고 자살 위험성이 높은 기타 인구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연구방법에서는 설문조사와 심리부검조사를 사용하였는데 이러한 방법들은 중국인 자살 행위 원인을 설명하기에는 부족하였다. 연구변인에서는 사회학과 인구학요인을 사용하였고 경제와 문화요인의 사용은 부족하였다. 키워드 ‘자살위해’, ‘청소년’과 ‘자살미수’가 자살연구의 핵심 이슈로 꼽혔고 키워드 ‘자살행위’, ‘대학생’과 ‘자살생각’에 대한 연구비중이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의 연구 과제를 제시하면, 첫째, 중국사회 환경이 변천함에 따라 개인 삶의 환경이 함께 변화하는 상호작용 요인을 찾아냄으로써 거시적인 각도로 자살문제를 접근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질적과 양적 연구방법의 장점을 결합하고 중국 각 지역의 문화특징과 사회 환경을 고려하여 자살 위험인구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자살 위험인구를 비롯하여 전인구에 적용할 수 있는 자살예방 프로젝트를 기획하는 동시에 이러한 프로젝트의 효율성도 함께 측정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5,500원
        53.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urvey on the quality improvement and preference for green onion kimchi by Chinese and Japanese consumers was conducted by 30 Korean specialists in order to develop an improved green onion kimchi product. The long green onion shape, kimchi juice, seasonings, off-odor of fermented sea food, and stimulatory flavor of green onion were the main issues considered for the improvement of green onion product. Usage of the favorite ingredients of the Chinese and Japanese consumers was also suggested. The percentages of Chinese and Japanese who already knew green onion kimchi were 54.1% and 30.3%, respectively, whereas 46.8% of Chinese and 28.1% of Japanese have actually tried green onion kimchi in Korea.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ference for green onion kimchi between Chinese (3.25/5.0) and Japanese (3.17/5.0) consumers. For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green onion, Chinese consumers thought off-flavor, fibrous texture, and fermentation level were more significant while the Japanese considered red color, various taste, MSG content, and length of green onion. Seasoned tofu with green onion and rice were suggested as complementary foods to green onion kimchi by the Chinese and Japanese, respectively.
        4,000원
        54.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금까지 조직문화에 관한 연구들은 선진국에만 초점이 주로 맞추어져 있었고 중국에서의 경우는 거의 연구되지 않았다. 또한 강력하고 뚜렷한 특징을 보이는 소수의 CEO나 최고경영자층은 주목을 받아왔지만 중간관리자의 리더십에는 거의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중국에서 경영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한국기업의 경우, 전략을 수행할 수 있는 적합한 현지의 중간관리자를 발굴하고 선발하기 위하여 자사의 조직문화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가설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한국기업들에게 귀중하고 실질적인 경영상의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첫 번째 가설은 중국에 있는 해외자회사의 조직문화 유형을 조사하고 기존의 유형과 비교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두 번째 가설은 중국의 중간관리자 층의 리더십 유형과 서구의 유형 간의 차이를 살펴보는 것이다. 마지막 가설은 조직문화와 중간관리자 층의 리더십 사이의 관계를 검토하는 것이다. 표본자료는 중국 해외자회사에 근무하는 중간관리자들로부터 수집되었다. 약 4주 동안 152개의 설문자료가 가설 검증을 위해 최종적으로 선택되었다. 요인분석과 군집분석, 그리고 분산분석이 제시된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해 활용되었다. 경쟁가치모형에 입각하여 진행된 본 연구는 중국 해외자회사의 조직문화와 중간관리자의 리더십 유형이 구별되어 나타남을 확인하였지만, 합리적 조직문화와 지원적 리더십 유형은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첫 번째와 두 번째 가설은 지지되었다. 또한 각 각의 조직문화 유형과 중간관리자 리더십 유형 간의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고, 가설 3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6,600원
        57.
        200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은 일찍 농업에 편중하는 식생산전통과 백성들이 어렵게 생계를 유지하는 식생활상태가 형성되었으며 이런 상황은 중국인들이 신랄(辛辣)한 맛에 대한 기호를 결정하였던 것이다. 중국인들이 신랄(辛辣)한 맛을 즐긴 역사는 선사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랄(辣)”자(字)는 “신랄(辛辣)”이라는 단어에서 분리하여 특별히 매운 맛을 의미하는데 즉 일반적인 “신(辛)” 보다 더욱 “신(辛)”하다는 뜻이며 이 문자는 한(漢)나라 이후에야 나타난다. 고추는 명(明)나라 중엽에 해상을 통해 중국대륙에 전해 들어왔고 짧은 기간 내에 중국인들이 제일 보편적으로 식용하고 좋아하는 매운 음식으로 자리 잡았다. 중국에서 고추는 번초(蕃椒), 해초(海椒), 랄각(辣角), 랄호(辣虎), 랄자(辣子) 등 다양한 명칭을 갖고 있는데 이는 그 분포의 지리적 특징과 인문적인 특징을 반영한 것이다. 고추에 대해 최초로 기록한 한문문헌으로는 1591년에 출간된 「존생팔전(尊生八箋)」이다. 본 논문에서는 상기 문헌의 고추에 관한 기록에 대한 종래 연구자들의 보편적인 견해와는 다른 새로운 관점을 제기하였다. 고추는 짧은 시간 내에 화초(花椒) 등 허다한 전통적인 매운 양념들을 재치고 결국 중국인들의 고추정서가 형성된 것은 “그 맛이 최고로 매웠던 것(기미최랄(其味最辣))” 및 적응성이 강하고 재배 할 때 소요되는 인력물력도 적게 드는 것과 중국인들이 보편적으로 매운 맛을 즐겼던 정서가 결합된 필연적인 결과라고 하겠다. 관습은 쉽게 개변하지 않고 오래 접하면 자연히 은이 생기며 강한 자극을 통쾌하다고 여기는 인간의 통성(通性)은 매운 맛에 대한 오랜 접촉으로 습관을 형성시키고 세월이 흘러도 고추를 먹는 습관만은 남게 되는 중요한 원인이다. 고추가 중국 대륙에서 불균형하게 보급되어 있는 상황에서 경제생활이 상대적으로 빈곤한 지역일수록 매운 맛에 대한 기호가 보다 강함을 알 수 있다.
        4,000원
        58.
        200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어 모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어를 교육할 경우 부딪히게 되는 대표적인 문제로는, 발음 교육에서는 유음 ㄹ, 연음, 모음 ㅡ, ㅢ, 후설모음 ㅓ, ㅜ, ㅗ 등의 발음이 어려움으로 대두될 수 있다. 또한 문법 방면에서는 무엇보다도 조사의 활용이 학습자로 하여금 어려움을 느끼게 하는 요소이며, 그 중에서도 ‘은/는’ 과 ‘이/가’의 구분이 더욱 어려움을 느끼게 한다. 물론 위에서 제시한 문제 외에도 중국어에는 없는 종성의 발음 문제, 종성 대표음의 발음 문제, 경어 활용 등등 더 많은 문제들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드라마에서 학습자들이 접하게 되는 동사/형용사의 형태들은 이미 여러 가지 형태 변화 과정을 거치고 난 것이어서 초급이나 중급 수준의 학습자가 그것을 보고 기본형과 그 어미를 분리해내는 일은 매우 어려운 일이기 때문이다. 또한 잘 분리해내었다 하더라도 그 어미가 나타내는 어감과 의미를 알아내기도 어려운 일이다. 예를 들어 학습자가 드라마에서 ‘하렴’, ‘하려무나’, ‘하게’, ‘해야지’ 등등의 표현을 접하고 그 어감과 의미의 차이를 알아내는 일은 상당한 노력이 필요한 일일 것이다. 그러한 노력을 덜어주는 것이 사전의 역할일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중국어 모어 학습자들은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사전을 찾고 싶어도 기본형을 분리할 수 없기 때문에 찾을 수 없거나 찾아도 사전에 나와 있지 않아서 답답하다는 불만을 토로하는 경우가 많다. 중국어 모어 학습자들의 학습 편의를 도와주고 궁극적으로는 중국에서의 한국어 학습 수준을 제고시키는 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중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어휘사전, 한국어 학습 사전, 그리고 한국어 역순 사전 등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4,300원
        59.
        200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familiarity and preference of Chinese residing in Korea on Korean food. They were composed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and Chinese staffs working at the Chinese Embassy in Seoul. About 65.60% of the respondents liked Korean food while 28.00% disliked it. The reason for liking Korean food was its taste. The frequency of having Korean food a week was 46.80%, which meant Chinese had Korean food quite often. Their interest in Korean food was derived from their own personal taste and food programs of mass communication media. The most familiar food was kimchi (90.40%), followed by bulgogi (89.60%), samketang, chicken stew with ginseng (75.60%) and bibimbap, rice with vegetables (74.80%). The the most favored dish was bulgogi (64.40%), which showed that bulgogi was the most representative dish to them among Korean dishes. The area where Korean food needed innovation, Chinese pointed out, was some changes in cooking. That is, traditional Korean food needs, although maintaining its original tastes, to change its preparation of spices catering to foreigners' taste.
        4,600원
        60.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Job characteristics have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job characteristics are the core job dimens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ptitude and personality also act on job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chinese characters by province and c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odel for chinese by province and city. Consequently, we suggest to be applied the model to korean finns strategically, which push into China, by view of improvement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adaptation in China.
        4,3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