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437

        2541.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난지형 마늘의 주아재배를 통한 우량종구 생산을 위하여 주아크기, 파종시기, 재식거리 시험을 실시하였다. 남도마늘 주아는 클수록 출현이 빠르며 엽수, 엽폭, 초장의 신장이 좋은 편이며 단구크기도 커졌으나 단구형성율은 떨어졌다. 특히 단구형성율은 남도마늘 주아 0.1g처리구에서 높았으며 주아 크기가 클수록 낮아졌다. 대서마늘 주아는 남도마늘 주아에 비해 발아와 생육이 빠른 편이나 단구형성율이 낮고 단구크기가 작았다. 대주아 파종간격에 따른 생육은 파종간격이 넓을수록 엽수가 많고 엽폭도 넓었으며 구크기와 인편크기도 커졌으나 처리에 관계없이 단구형성율은 현저히 떨어졌으며 분구된 인편중 10×15cm처리구에서 3g이상 인편이 많고 경제성도 있어서 대주아를 이용한 인편 생산가능성이 있었다. 남도마늘 주아의 경우 9월 11일 파종구에서 수확주율, 단구형성율, 수량이 가장 많았다. 대서마늘의 경우 주아파종시기가 늦어질수록 수확주율이 많았지만 단구크기는 작아졌으며 단구형성율은 처리에 관계없이 낮아서 제주지역에서 재배는 적합하지 않았다.
        4,000원
        2542.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의 근단층지반운동인 Northridge 지진(1994, 미국), Kobe 지진(1995, 일본), Izmit 지진(1990, 터키)은 큰 수직성분의 영향으로 건축물 및 교량에 심각한 손상을 주었다. 일반적인 건축구조물의 내진설계에서 지진하중의 수직성분을 고려하여 설계하는 경우는 드물다. 본 연구에서는 지진하중의 수직성분 영향의 고려 유무에 따른 예제구조물의 기둥부재의 축력의 변화와 부재 단부의 소성힌지회전각을 산정하여 시스템의 손상상태를 평가하여 보았다. 해석결과 축력의 증가는 기둥부재의 손상에 의한 전체 구조시스템의 story collapse mechanism의 가능성을 주게 되므로 근단층지반운동이 예상되는 부분에서는 지진하중의 수직성분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여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543.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300원
        2546.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재난 발생시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도로 운영을 위해서는 사전에 대피 및 방재경로 등의 지정과 더불어 재난 발생시 상황 변환에 따른 신호운영 방안이 정의되어 있어야 한다. 특히 재난 발생시 운영자의 대응이 지체된다면 도로 이용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막대한 사회적 손실을 입게 되므로 교통방재시스템의 설계방향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풍수해로 인한 피해가 잦은 청주시를 대상으로 교통방재시스템을 설계하고, 도로 이용자의 안전을 위해 대피 및 방재경로를 새롭게 정의하였으며, 경로의 효용성을 높이기 위해 신호운영방안을 영향권별로 정의하여 그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정의한 신호운영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평상시와 유사한 교통흐름을 나타내었으며, 재난 발생시 재난에 대한 정보를 도로 이용자들에게 최대한 빠르게 전달하고, 상황에 적절한 신호운영을 실시한다면 이용자들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4,800원
        2547.
        200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최근 정부 및 지자체에서 다양하게 추진하고 있는 각종 지역개발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서 농산촌지역의 지대구분 및 사업추진을 위해 농산어촌지역 지대구분을 위한 구분기준과 지표를 개발하고 지대구분 안을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결과, 도시화지역 6개 읍․면, 준도시화 지역 13개 읍․면, 농촌지역 14개 읍․면, 중산간지역 18개 읍․면, 산간지역 11개 읍․면으로 구분되어 전체적으로 균등한 분포를 나타냈다. 세부적으로 보면, 각 군의 읍지역과 중심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일부 거점면이 도시화지역으로 분류되었으며, 반대로 지형적으로 다소 산간지역의 특성이 강한 지역일지라도 수려한 자연경관 및 우수한 관광자원을 보유한 지역의 경우에 평가량이 다소 높게 나타난 것이 특징이다. 결과적으로 같은 군에 위치하거나 인접한 읍․면일지라도 각 읍․면별 지역적 특성은 서로 다른 특성을 내포하고 있기에 당해지역의 발전 잠재력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사업추진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4,200원
        2548.
        200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anitary management status of chlorine sterilization methods used for raw fruits in a school foodservice, and to suggest basic data for sanitary improvements in the quality of raw fruits. A questionnaire form predicated on HACCP standards was developed and utilized for self-reported evaluations of dietitians regarding their sanitary management practices. The subjects consisted of 257 dietitians that were employed in school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foodservic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AS packag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deemed necessary that optimized sterilization and washing methods for good microbiological safety and quality of strawberries and bananas in school foodservice should be determined. Some strategies for future improvement were also suggested. They included the following: (1) Improvement of policy for assuring the quality of raw fruits by designing some sanitation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for raw fruits; (2) Strengthening the research and accumulation of background data regarding methods for the sanitation of raw fruits; (3) Enforced improvement of personal hygiene for dietitians and employees; (4) Use of a variety of methods in sanitary education and employee training.
        4,300원
        2549.
        200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리산국립공원 칠선계곡지역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고자 천왕봉-선녀탕 구간 계곡부에 방형구(400m2) 23개를 설정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식물군집을 분류한 결과 23개 조사구는 구상나무군집, 들메나무-당단풍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천왕봉-마폭포구간에는 대부분이 구상나무가 우점하고 있었으며, 일부 지역에서 잣나무, 당단풍, 마가목 등의 침엽수와 낙엽수종들이 혼효하고 있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가문비나무와 마가목, 주목, 쇠물푸레, 음나무; 거제수나무와 물갬나무, 층층나무; 구상나무와 잣나무; 국수나무와 사스래나무, 산겨릅나무, 산벚나무; 당단풍과 사스래나무; 들메나무와 바위말발도리, 시닥나무; 마가목과 음나무; 물갬나무와 층층나무; 비목나무와 조록싸리, 졸참나무, 쪽동백나무; 생강나무와 전나무; 서어나무와 조록싸리; 쇠물푸레와 시닥나무, 잣나무, 주목; 시닥나무와 주목; 신갈나무와 철쭉; 졸참나무와 쪽동백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고, 구상나무와 바위말발도리; 생강나무와 잣나무의 사이에는 부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조사지의 군락별 종다양성 지수(H')는 2.7478~2.9573 범위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4,000원
        2550.
        200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옥천습곡대의 서남부지역에서 분포하는 쥬라기 화강암류의 석영내에 존재하는 아문 미세균열과 유체표유물을 분석하여 이 지역에 작용한 고응력장을 해석하였다. 연구지역에서 나타나는 아문 미세균열의 방향성은 전체적으로 N30˚W의 방향이 가장 우세하며 N70˚W의 방향도 나타난다. 연구지역의 아문 미세균열 생성온도는 380-550˚C 범위를 보이며, 이들 아문 미세균열은 약 166-200Ma의 기간 동안 형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아문 미세균열의 방향성을 통한 고응력장의 작용 방향과 유체포유물에 의한 아문 미세균열의 형성시기를 비교하여 볼 때, 연구지역 내에서 발달하는 화강암질암체는 NNW-SSE와 WNW-ESE 방향의 최대수평주응력인 고응력장이 쥬라기 초기에서 쥬라기 중기 기간 동안 작용하였을 것으로 사료된다.
        4,600원
        2551.
        200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라남도 해남군에 위치한 달마산 및 인근지역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파악하였다. 2005년 3월부터 10월까지 총 4회 조사를 실시한 결과 달마산 일대의 관속식물은 112과 322속 473속 3아종 60변종 9품종의 총 545 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그 중 한반도 특산식물은 12분류군이었며,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이 4분류군이 분포하였다. 또한 환경부 지정 특정식물종으로는 IV등급 5분류군, III등급 17분류군 등 총 85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한반도 미기록 식물로 '초록별꽃(신칭)'이 관찰되었고, 차꼬리고사리, 수수고사리, 금억새, 처진물봉선, 서울민바랭이 5분류군은 이번 연구를 통해 한반도 내 자생지가 새롭게 확인되었다. 본 조사지역의 귀화식물은 29분류군으로 전체분류군의 5.3%를 차지하여 전남지역의 평균 귀화식물분포 수와 비슷한 수치로 조사되었다.
        5,700원
        2552.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analyzed the body shape perception, weight control attitude,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of 529 high school students in Jeju surveyed from January 14-18, 2008 according to students' body shape satisfaction, with the aim of providing basic nutritional education data to aid in appropriate weight control for high school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T-test, Chi-square 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using the SPSS Win 12.0 program. The body mass index (BMI) of subjects was in the normal range. With regard to weight distribution, 59.4% of subjects showed normal weight and girls were significantly more underweight than boys. More girls considered themselves to be fatter than boys and tended to be increasingly dissatisfied with their body shape. Both boys and girls were more interested in weight control for obesity and were significantly less satisfied with their body shape. Efforts at weight control and reduction had occurred significantly more often for girls than for boys. Dietary attitude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irls than boys. BMI positively correlated to weight control concern and nutrition knowledge positively correlated to dietary attitude. BMI negatively correlated to the body shape satisfaction, which in turn negatively correlated to food ingestion disord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atic nutrition educational program that can induce changes in dietary behavior and increase accurat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body shape.
        4,600원
        2553.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nsumption of a wide variety of food groups is considered one of the key components of nutritional adequacy. The 2005 Dietary Guidelines for Koreans includes the consumption of a variety of foods from diverse food groups as a component of a normal diet. A surve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etary diversity of food groups and nutrient intake in elderly patients (age 65 and above) at a rural area in Korea (Inje). 296 subjects (111 male and 185 female) were probed in a 3 day 24-recall dietary survey. Subjects were grouped according to food group intake frequency, based on six food groups (grain, meat/fish/legume/egg, vegetable, fat/oil, dairy, fruit). Nutritional quality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numbers of nutrients under EAR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s), and MAR (mean adequacy ratios). The frequency of elderly subjects consuming a meat/fish/legumes/egg food group less than once per day was 29.4%. The frequency of elderly subjects consuming fat/oil food group less than once per day was 65.8%. The percentage of subjects who did not eat dairy food was 88.8%, and that of subjects who did not eat fruit was 57.5%.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develop models relating nutritional quality to possible food group intake frequency factors. Using the number of nutrients under EAR as a dependent variable, the meat/fish/legume/egg food group intake frequency explained 9.9% of variance, followed by the grain group, fat/oil group, dairy group, and vegetable and fruit group (Model R2=0.260). For mean nutrient adequacy ratio as a dependent variable, the model R2 was 0.326.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 highly varied diet in elderly might be associated with better nutritional quality, as assessed by nutrient intake. Accordingly, dietary guidelines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nutrition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improve intake from all major food groups and to provide a variety of foods in the diet.
        4,600원
        2554.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parents had regarding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being used for school foodservice. A trained practitioner surveyed 221 parents of children at elementary schools in Daejeon using a questionnaire, after which the resulting data were analyzed by a Chi-square test. Overall, the parent's responses regarding the foodservice were positive. However, most of the parents do not participate (65%) in the school foodservice if they work, and those that do participate primarily work as meal service aides (58.1%). Parents indicated that the work of urgent field of inspection on food materials (69.9%), and the reason of an agreement (98.2%) for them were the students' health (68.4%). In addition, most parents were positive about the possibility of replacing foods used in the school with environment friendly products (51.6%) and felt that the government should pay the additional expense associated with their replacement. Furthermore, the majority of the parent's surveyed felt that children should be supplied with vegetables (54.9%) purchased directly from farms. The parents' satisfaction with the meal service (25.1%) was lower than that of the students (54.1%). The reason for the satisfaction reported by the parents was concern regarding the health of their children (53.3%). In addition, the majority of the parents (47.3%) responded that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differ from general agricultural products because insecticides and fertilizer were not used. The main objection parents had to using environment friendly products was their cost (59.1%), and most parents felt that a realistic solution to this problem was unified purchase (41.4%). Besides, a problem when replacing with them was the expensive price (38.1%) and true or false (37.7%), and the students' satisfaction (59.5%) was selected the most in an effect of using them, diversity of the product (39.1%) and price reduction (32.6%) for a solution of the increase of using them.
        4,200원
        2555.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preference for Korean Kimchi by Chinese people in Shandong Province was evaluated. Specifical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id in the introduction of Kimchi to China by providing information and developing local types designed to meet regional taste preferences. The subjects were comprised of 298 Chinese (male 108, female 190) residents of Weihai, Yantai and Qingdao, in Shandong province, China. The subjects were provided with a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 form designed to evaluate their views on Korean Kimchi. The collected data were then analyzed using the SAS software package. The results revealed that 95.3% of the respondents were aware of Korean Kimchi. In addition, 100% of the respondents who had visited Korea and 98.1% of the respondents who had an interest in Korea were aware of Kimchi. With regard to the origins of their interest in Kimchi, 26.8% of the subjects answered 'through mass media', while 23.9% reported that they learned about Kimchi 'through friends'. Most subjects recognized Kimchi as a 'Korean traditional food' (92.6%), a 'delicious food' (53.2%), and a 'fermented food' (38.0%). Baechu Kimchi was found to be the most well-known Kimchi, followed by Kkakdugi, Oi Kimchi, Yoelmu Kimchi and Nabak Kimchi. Additionally, 69.1% of the subjects knew how it was prepared, most of whom reported that they learned how Kimchi was prepared through 'Korean movie and/or drama'. Moreover, 88.9% of the subjects had eaten Kimchi. Overall, 43.8% of the subjects reported that they ate Kimchi 1~2 times per month, while 32.1% reported that they ate Kimchi 1~2 time per year. The most common places that Kimchi was eaten were a 'Korean restaurant' (67.6%) or with a 'colleague' (32.8%). The primary reasons for not having eaten Kimchi were 'no knowledge or dislike of Kimchi by family' (30.3%), 'difficulty purchasing Kimchi' (21.2%), 'high priced Kimchi' (21.2%), and 'dislike the smell and shape of Kimchi' (12.1%).
        4,300원
        2556.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bone density and processed food intake behavior of middle-aged and elderly women in the Seoul area. The subjects were assigned to one of the following groups on the basis of BMI: namely, the underweight, normal, and overweight group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average BMI and systolic blood pressure of the three groups were 19.0, 127.3 mmHg; 22.4, 132.8 mmHg; and 26.8, 136.1 mmHg respectively. The BQI and T-scores of the three groups were as follows: 56.6, -2.50; 62.3, -2.22; 66.0, -2.03 respectively. The bone status of the three groups, in terms of the percentage of normal and osteoporosis, were 9.5%, 52.4%; 8.3% 33.0%; and 8.8%, 23.6% respectively. We no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cessed food intake (frozen, cold and can processed food, instant and convenience store food, basic side dishes) behavior among the three groups. However, we recorded a negative value between processed food intake and bone density (BQI, T-score, %young adult, Z-score, %age-matched) generally. In particular, ramyeon (r=-0.1574, p<0.05) and cup-ramyeon (r=-0.1996, p<0.05) intak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T-scores of bone density level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processed food intake was not generally desirable for healthy bone. Thus, practically and systematically organized education regarding a good and healthy dietary life is highly recommended.
        4,300원
        2557.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동지역은 PET 합섬직물이 이들의 평상복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여성복은 차도르(Chador) 그리고 남성복은 토베(Thobe)라고 불려진다. 그리고 이들 PET 직물은 미세한 촉감특성에 따라서 수출가격의 큰 차이를 가져오며 원사의 특성과 제조공정 특성에 의해 미세한 감성촉감의 차이를 유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가에 팔리고 있는 일본 데이진 제품과 비교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된 중동 남성복 Thobe 제품의 감성특성을 분석하고 미세한 감성촉감의 원인을 규명하여 원사 및 최적 생산공정조건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 데이진 직물 4가지를 목표품질시료로서 준비하였고, 개발을 위한 시생산제품으로 5가지 직물을 시생산하였다. 실의 굵기, 꼬임수 그리고 실의 세팅조건 및 직물의 밀도 등을 바꾸어 연축과 직축 그리고 가공축 등의 설계조건을 바꾸어 주었다. 본 연구수행의 결과 데이진 Thobe 제품의 감성특성을 원사 및 직물에서 분석하고 이들 감성특성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사가공(絲加工)기술과 3차원 직물설계 시뮬레이션 기술을 바탕으로 감성 토베 직물의 설계기술을 확립하였다.
        4,300원
        2558.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관심을 받는 풍력자원개발에 대한 기초적, 실용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실제 그 지역 주위 유동특성에 대한 지식이 매우 중요하다. 두 개의 초음파 유속계와 널리 사용되고 있는 컵유속계와 풍향기를 유동방향에 수직하게 설치하여 높이가 약 4.5m에서 풍속의 평균과 변동성분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레이놀즈 수는 약 6.7×105, 그리고 마찰유속, u*는 약 0.32m/s로 측정되었다. 수평 및 수직 평면 풍속에 대한 파워 스펙트럼 분석은 다양한 주파수 범위의 값들을 조합하여 넓은 주파수 범위에 대해 분석 할 수 있었다. 스펙트럼 분석 결과 4개의 지배적인 와류 에너지 피크 값을 관찰 할 수 있는데, 각각의 피크 값들은 약 1~2분, 8시간, 24시간 그리고 100시간의 주기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 피크들 사이에 넓은 스펙트럼 갭이 0.2~10 cycle/hour 주파수 범위에 걸쳐 나타나고 있다.
        4,000원
        2559.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은 감옥 수감자가 해마다 늘어나 기존의 시설내 처우로는 감당하기 어렵게 되었다. 1990년대부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내 처우에 관한 관심이 많아졌고, 2002년에는 북경과 상해에 시범지역을 지정하여 지역사회교정(Community Correction)을 실시하였다. 그 후 점차 시범지역을 확대하였고, 기대했던 성과가 나타났다. 2006년에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는 “관대함과 엄격함이 서로 보완되는(寬嚴相濟) 형사사법정책을 실시하여 적극적으로 지역사회교정을 추진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2007년에는 전국 24개 성ㆍ시에, 그리고 2008년에는 25개 성ㆍ시에 지역사회교정을 실시하여 비감금형 교정이 정착되어가고 있다. 중국은 지역사회교정을 실시하는 가운데 다음과 같은 문제점도 들어났다. 근거법 제정이 미흡하고, 각 관련기관과의 업무분담이 명확하지 않아 효율성이 떨어지고 있다. 일선 실무자가 많이 부족하고 전문성도 미흡한 실정이다. 지역 사회교정 대상범위가 적은 편이다. 예산도 적어 실무에서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관련법제의 정비가 급하다. 관제형, 유예형, 가석방 등의 적용율을 높여 지역사회 교정 대상자를 확대하여야 한다. 각 관련기관의 업무범위를 명확히 정해 일사분란한 협력체제가 이루어져야 한다. 실무자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하여 부단한 연수교육이 이루어지고, 지역사회 실정에 맞는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향후 중국은 관련법을 제정하여 보다 완비된 지역사회교정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6,600원
        2560.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온실단지 내에서 발생되는 폐영농자재의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설농업용 폐영농자재의 관리 실태를 조사하여 검토하였다. 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현재 국내에서 발생되는 영농폐기물은 아직 생활쓰레기와 같이 취급되고 있었고, 일부 영농폐기물에 대한 자료는 별도로 관리되고 있었지만 공급량에 대한 정보가 전혀 없는 등 다소 신뢰도가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농촌지역에 보급되는 영농자재의 경우, 개인이 필요에 따라 수시로 구입하는 등 관리 및 조사가 용이하지는 않지만, 지역농협과 농업기술관리센터 등을 적극 활용하여 영농자재의 공급에서부터 수거, 재활용 및 처리단계까지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의 도입이 절실히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영농자재도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자재의 개발도 적극 도입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특히 공동 집하장의 경우, 재정지원으로 그칠 것이 아니라 재정지원은 물론 작목반, 마을 단위 또는 지자체별로 영농폐기물에 대한 인식을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적극적으로 홍보 및 교육 등을 실시하여 지역주민이 그 지역의 환경지킴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