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품질 신농흑찰, 신명흑찰 생산을 위한 중산간지와 평야지의 이앙시기와 평야지의 수확시기 설정을 위한 시험을 수행 후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앙시기가 늦어질수록 재배지역, 시험품종에 관계없이 출수기는 늦었다. 동일한 이앙시기인 6월 5일 중산간지 진안, 평야지 익산의 신농흑찰, 신명흑찰 출수기는 큰 차이가 없었다. 재배지역별 출수기는 이앙시기가 상대적으로 빨랐던 진안의 평균 출수기가 빨랐다. 또한 이앙시기별 신농흑찰의 출수기는 신명흑찰의 출수기보다 늦어 진안은 2~3일, 익산은 1~2일정도 늦었다. 2. 이앙시기에 따른 현미수량은 진안지역에서 신농흑찰은 5월 25일 신명흑찰은 5월 30일 이앙에서 수량이 많았으며. 익산에서는 신농흑찰, 신명흑찰 현미수량은 이앙시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3. 이앙시기가 늦어질수록 평야지인 익산보다는 중산지 진안에서 신농흑찰의 안토시안함량이 높아 6월 5일 진안지역 신농흑찰의 안토시안함량이 100 g당 337.3 mg으로 가장 높았다. 4. 이앙시기별 완전 착색미 비율은 신농흑찰, 신명흑찰 모두 진안, 익산에서 이앙시기가 늦어질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으나 완전 착색미 수량은 진안 5월 30일 이앙에 익산 6월 10일 이앙에서 가장 높았다. 5. 수확시기에 따른 익산지역의 완전착색미 비율은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완전착색미수량은 신농흑찰 출수 후 50일 수확에서 가장 높았다.
방사성폐기물처분을 위한 부지특성평가 기술 개발을 위해 지질특성조사와 수리지질특성조사가 1997년부터 지표기반 조사, 시추공 조사, 터널조사를 포함하여 수행되었다. 특히, 2006년에는 지하처분연구시설 (KURT, KAERI Underground Research Tunnel)을 건설하여 지하 환경에서 심부지질환경에 대한 연구 뿐 만 아니라 용 질이동특성, 미생물특성, 공학적 방벽 시스템 연구 등 방사성폐기물처분을 위한 다양한 수행하고 있다. 본 연 구는 한국원자력연구원내 건설된 지하처분연구시설 주변 지역을 연구지역으로 부지특성모델 구축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지역의 지질모델구축을 위해 선형구조분석, 시추공/터널 조사, 지구물리탐사를 포함한 다양 한 연구를 수행하여, 암질모델과 지질구조모델을 구축하였으며, 현장수리시험의 결과를 이용하여 암질모델과 지질구조모델을 포함한 지질모델에 입력된 요소에 대한 수리지질특성이 평가되었다.
This article deals with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of Namsunghyun 'Gamggot(persimmon flower)' area, based on local tourism resources. For more efficient use of local tourism resources, questionnaire surveys for local residents and visitors were conducted. On the base of the results, the vision and objectives were established. And each items of project by division were also considered by the results of such surveys. Finally, priority scores of each items of project, based on importances and weighted value, were derived for more efficient propulsion of project and to construct sustainable rural community.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affected our daily life and has caused to separate residential places from working places. Particularly in rural areas, the life zones are incorporated into larger towns or urban areas due to their lack of cultural, social and economic infrastructures. Thus, the analysis of the depended region and the life zone is important for the planning of regional revitalization programs and related pro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regional dependency model (RDM) using the origin-destination(O-D) matrix of commuters and compare it with the Nystuen & Dacey model for regional correlati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re analysed and our RDM were tested using the commuting data on Seoul metropolitan area(Seoul, Gyeong-gi, Incheon) and Chungchung area. The regional correlation model can only explain the determination of regional interaction without considering the direction of regional correlation but our model can show the direction of regional dependenci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construct a rural development strategy from the nexus between spatial changes in specialized crops and suitable cultivation area of the crops. This paper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identify product life cycle of specialized crops in rural areas and estimate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alterations in spatial distribution of the crops. In order to do so, first of all, this study applies multi-level model (Random coefficient model) to estimate the regional coefficient of five orchard crops. It utilizes the data 1995 to 2010 Korea Agricultural Census. Futhermore, it also adopts overlay analysis by ArcGIS to identify the development path of the crops and the relationship with climate change. Based on the results, it suggests a mechanism activating regional agriculture. The findings propose re-searching and relocating specialized regions of the crops. Especially, it proves each rural area can drive the new agricultural strategy to strengthen regional agriculture by estim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 of specialized crops and suitable cultivation areas. For instance, shifting specialized crops in particular regions and enriching genetic or species varieties can be primary measures and it will contribute to improve the reliable base for income sources in the rural communities. This paper also offers specific policy implications regarding rural development plans in response to crops' life cycle and climate chang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living environment in rural fishing area and to suggest checking methods for implementation performance. Rural service standard is the key factor of rural development in Korea. In 2012. The first Implementations of performance was announced. The results were presented to the unit by the City and the County. Because of Fishing villages exists as a unit by the haengjeongri. It is difficult to know the status of the fishing villages by the Rural service standard. In order to look for the actual conditions in rural fishing village it was investigated in the 100 Eochongye. The data used in the analysis is 577 questionnaires. Analysis showed that rural fishing areas were superior to general state of rural in the 8 items of rural service standard. Especially housing, transportation and health care sector in rural fishing area wes better than general state of rural. But Public safety and order is relatively poor. This is because Fishing village contains islands. Presenting to improve rural service standard based on the results of research. The items of rural service standard should be measured the actual residents' accessibility than opportunity of the public service, and after setting the rural service standard clearly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in each sector. Accessibility aspects of the customer for the public services should be considered. Checking the performance for the unit by the City and the County should be replaced as a living zone in order to consider the facilities using nearby.
대부분 경골어류의 성은 자웅동체이며, 생식소 분화시기에 결정된 형태학적 성이 일생동안 지속된다. 하지만 형태학적 성이 완성된 이후에도 외부환경요인 등에 의하여 자웅동체 또는 성의 교란이 나타나기도 한다. 경골어류의 성과 생식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 EDCs(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는 생물의 내분비계 작용기작에 비정상적으로 작용하여 호르몬 생산, 분비, 이동, 대사, 결합작용 및 배설을 간섭하는 외인성 물질이다. 많은 연구자들은 EDCs가 androgenic effector나 estrogenic effector로서 각각 다른 기작에 의해 수서동물의 생식관련 내분비계를 교란시켜 성의 표현이나 기능을 변화시키는데, 이에 대한 가장 대표적인 biomarcker는 intersex라고 하였다(Ackermann et al., 2002; Metrio et al., 2003; Quinn et al., 2004).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임해 공단지역에서 채집된 숭어, Mugil cephalus와 주둥치, Leiognathus nuchalis의 생식이상 및 체내 EDCs 축적도를 보고하고자 한다. 연구에서 이용된 숭어와 주둥치는 각각 2009년 7월 동해안 울산 온산 인근해역과 남해안 광양만 인근 해역에서 채집되었다. 채집된 개체들은 생식소를 적출하여 조직표본을 제작하고 Mayer's hematoxylin-eosin(H-E) 염색하였다. 성비와 intersex는 생식소표본 관찰을 통하여 구분하였으며, intersex는 반대 성의 생식세포가 관찰되는 경우만을 포함하였다. 어류 중 EDCs의 축적도는 「잔류성유기오염물질공성시험법 (환경부고시, 제2007-165호)」 및 「내분비계장애물질측정분석방법 (국립환경연구원, 2002, 5)에 준하여 분석하였다. PBDEs의 경우 고분해능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 (HRGC/HRMS)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숭어와 주둥치의 성비와 intersexuality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1과 같으며, 체내 EDCs 6종류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This study postulates a study model to examine the effect on the local economy revitalization of a selection of local resources, the local innovation capability strengthening, the establishment of promotion system and the creation of revenues for the participant groups of the local industry promotion project. To accomplish study purposes, 169 response samples from 85 project groups which drive the local industry promotion project were verified using SPSS 12.0 and AMOS 5.0.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ly, the selection of local resourc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ocal innovation capability strengthening. Secondly, the local innovation capability strengthen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stablishment of promotion system. Thirdly, the establishment of promotion syste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reation of revenues. Fourthly, the selection of local resources didn't have an effect on the revitalization of local economy. Fifthly, both the local innovation capability strengthening and the establishment of promotion system didn't have an effect on the revitalization of local economy. Sixthly, the creation of revenu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vitalization of local economy. According to the verifications of study model, the revitalization of local economy is achieved by inducing creation of revenues through the local innovation capability strengthening and the establishment of promotion system after the selection of local resources. From these results, this study presents suggestions, limits of study and directions in the future study.
The annual variations of the urban heat island in Busan is investigated using surface temperature data measured at 3 automatic weather stations(AWSs) for the 5 years period, 2006 to 2010. Similar to previous studies, the intensity of the urban heat island is calculated us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downtown(Busanjin, Dongnae) and suburb(Gijang). The maximum hourly mean urban heat island are 1.4℃ at Busanjin site, 2300LST and 1.6 ℃ at Dongnae site, 2100LST. It occurs more often at Dongnae than Busanjin. Also the maximum hourly mean urban heat island appears in November at both sites. The urban heat island in Busan is stronger in the nighttime than in the daytime and decreases with increasing wind speed, but it is least developed in summer. Also it partly causes the increasement of nighttime PM10 concentration.
This study is conducted to estimate the air temperature decreasing effects by restoring urban streams using WRF/CALMET coupled system. The types of land use on covered streams are constructed with the land cover map from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Restoring covered streams changes the types of land use on covered areas to water. Two different types of land use(CASE 1 and CASE 2) are inputted to the WRF/CALMET coupled system in order to calculate the temperature difference.
The results of the WRF/CALMET coupled system are similar to the observed values at automatic weather stations(AWS) in Busan area. Restoring covered streams causes temperature to be decreased by about 0.34~2℃ according to the locations of streams and the regions that temperature is reduced are widely distributed over the restored area. Reduction of temperature is increased rapidly from morning and maximus at 13LST. Natural restoration of streams will reduce the built-up area within urban. With this, temperature reductions which are the cause to weaken the urban heat island appear. Relief of urban heat island will help to improve the air quality such as accumulation of air pollutants in within urban area.
우리나라는 세계 5위의 해운국가이며, 특히, 부산은 세계 3위의 최대 컨테이너 항만시설과 물류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해양도시이다. 하지만 부산시민의 해양의식은 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부산지역 해양교육의 현황을 분석한 결과, 해양교육 프로그램의 획일화, 해양교육 체계 미비, 해양교육 프로그램 운영미흡, 해양교육 실시 전문 인력 부족, 해양교육 실시기관간의 연계부족 등 크게 5가지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해양교육모듈을 개발하고 교육모듈을 하나의 주제에 맞게 편성하는 해양교육코스를 설계, 이러한 교육을 총괄적으로 운영하는 해양교육센터를 설립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해양교육을 내실 있는 정규교육과정으로 편성하여 교육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부산시가 해양도시로 명성을 이어가고 건전한 친수문화의 조성과 해양문화를 널리 전파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the management of food service in schools. The subjects consisted of 271 school dietitians in the Daegu and Gyeongbuk areas. The questionnaire included the food temperature management and the frequency of the food quality confirmation. The sanitation performance of the delivery workers was evaluated with a 5-point Likert scale. The food items for which the proper temperatures while they were being received were difficult to maintain were as follows: ready-to-use vegetables, 49.8%; frozen foods, 30.3%; and fish paste, 27.7%. The frequencies of the food quality confirmation whenever the foods were received were as follows: for beef, 87.5%; pork, 84.5%; chicken, 84.1%; eggs, 73.4%; seafood, 59.4%; and processed foods, 52.8%. The total mean score of the dietitian-perceived sanitation management performance of the delivery workers was 3.86/5.00. The school dietitians said the percentage of the mixed delivery of food items in vans was 80.4%. The percentage of the dietitians who thought this mixed delivery influenced food sanitation and quality was 92.3%. Therefore, safe foods should be supplied to schools with a thorough inspection process and hygiene education, and professional research is required on the appropriate inspection process.
경상북도에 소재한 3개 종합병원 영상의학과의 MDCT 검사 중 두부, 복부, 흉부 각 10건씩 30건을 대상으로 CTDIl, DLP, Slice 수, DLP/Slice 수를 조사하여 병원 간 프로토콜의 차이로 인한 MDCT의 피폭선량의 차이를 분석하였고, CT검사의 가장 많은 검사건수를 차지하고 프로토콜이 비교적 단순한 두부 CT를 Helical Scan과 Normal Scan으로 2회 실시하여 영상의 화질, CTDI, DLP, 안구의 피폭선량, 갑상선의 피폭선량의 차이를 분석하였다.두부CT에서 조사대상 병원의 3분의 2에서 CTDI 참조준위(IAEA 50mGy, 우리나라 60mGy)를 초과하지 않은 A병원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01). DLP에서 조사병원의 3분의 1은 참조준위 IAEA 1,050mGy.cm, 우리나라 1,000mGy.cm의 권고량 보다 높았고, 3분의 2가 우리나라의 권고량을 초과하고 있었다. 참조준위를 초과하지 않은 A병원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01).Abdomen CT에서도 3분의 1은 CTDI 참조준위 IAEA 25mGy, 우리나라 20mGy보다 높은 119mGy를 보였고, DLP에서는 모든 조사대상 병원이 우리나라 권고량 700mGy.cm보다 높았다. 조사대상 병원 중 모든 검사에서 높은 선량을보인 C병원은 MPR, 3D 검사의 비중이 높아 낮은 pitch, 높은 관전류 검사로 인한 피폭선량이 높았다.Scan 방법에 따른 피폭선량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동일환자의 두부CT를 Normal scan과 Helical scan으로 각각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CTDI 및 DLP에서 Helical CT가 Normal scan에 비해 63.4%, 93.7% 높은 선량을 보였다(p<0.05,p<0.01). 그러나 갑상선의 피폭선량은 Normal scan이 87.26% 높았다(p<0.01). Helical CT의 선속은 종심부와 변연부의 모양이 종의 형태를 취하고 있어 두부CT에서 갑상선은 중심선속에서 벗어난 적은 선량으로 피폭된다. 또한 Helical scan시 Gantry각을 수직으로 사용하였고, Normal scan시에는 Orbitomeatal line에 평행으로 정렬된 Gantry각을 사용하여 Helical scan에서 갑상선은 피폭선량이 감소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사용된 프로토콜은 식약청의표준준위에 비해 높은 피폭선량을 보여 식약청의 권고량을 지키기 위해서는 낮은 관전류 높은 Pitch의 사용이 요구되었다. 이번 연구에서 Normal scan과 Helical scan에 따른 화질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어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Normal scan의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갑상선의 보호장구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였다.이번 연구는 일지역의 CT검사 중 일부를 조사하여 분석하였으므로 CT검사의 전체를 평가하는데 무리가 있었다.그러나 경우에 따라 환자피폭선량의 가이드 권고량을 초과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병원 간의 피폭선량 편차도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것을 개선하기 위하여 영상의학과 의사 및 방사선사는 CT 방사선량을 줄이는 최적화된 프로토콜로 CT검사를 시행해야 하고, 환자의 알권리를 위하여 피폭선량은 공개되어야 한다. 그러나 아직 많은 의사들과 방사선사는 이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므로 개선을 위하여 CT선량 저감화의 교육프로그램, CT검사에 따른 피폭선량의 공개, 병원의 서비스평가 및 병원인증제 평가항목에 CT검사 피폭선량관리 및 공개항목을 추가 등의 관련기관의 노력과의료종사자가 CT검사에서 행위의 최적화를 실현하는 최선의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노력이 필요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유치원 지원사업을 경험한 유아 어머니가 지원사업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지원사업에 대한 요구는 무엇이고, 지원사업이 유아와 어머니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충청북도 C시에 소재한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대상 유치원에 재원중인 유아의 어머니 6명 이었으며, 반구조화된 면담방식을 사용하여 개별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운영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은 활동비를 지원 해주는 것에 대하여 가계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비용의 부담으로 경험하지 못했던 활동을 유아가 무료로 경험하게 된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육복지투자우선 지역 지원사업 운영에서의 어머니의 요구는 지원사업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지역사회에 대한 정보를 유치원에서 제공해 주는 것, 지원사업 유치원에 복지담당 전문 인력을 배치하는 것, 보편적인 복지혜택으로서의 무상교육, 무상급식이 있었으며, 지원 프로그램에서는 다양한 표현활동과 야외활동을 통하여 유아 자신의 내면을 표출하는 기회를 제공해 주는 것, 다양한 견학이나 체험활동을 통하여 가정에서 경험시켜 주기 힘든 넓은 세상을 보여주는 것, 건강검진 결과에 따른 건강관리와 깨끗한 먹거리를 제공해주는 것을 요구하였으며, 어머니 지원에서는 자녀를 양육하는데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부모교육 내용과 한 가지 주제로 이루어지는 체계적인 교육방법을 요구하였다. 셋째,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유치원 지원사업은 경제적, 사회적, 발달적 측면에서 유아와 어머니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제주지역의 사찰에서 음식으로 이용되는 식물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1년 5월부터 2012년 1월까지 수행되었다. 조사대상 사찰은 36개 사찰이었고 설문대상자는 58명이었다. 사찰에서 이용하는 식물종은 27과 51속 55종 2변종 총 57분류군이었다. 이 중, 가장 많이 이용하는 과단위 분류군은 국화과가 8종으로 가장 많고, 십자화과 6종, 산형과 4종 등의 순이었으며, 목본 식물은 10종, 제주지역 자생식물은 25종이었다. 식물체의 이용부위는 잎을 사용하는 종이 19종으로 가장 많았고, 뿌리, 어린순, 열매 순 이었다. 특허검색을 통한 지식재산권을 가지고 있는 식물은 조사식물 대부분이 포함되었고, 이 중 식품관련 특허를 가지고 있는 식물이 48종, 화장품관련 특허를 가지고 있는 것이 34종, 의약관련 특허를 가지고 있는 식물이 38종으로 집계되었다. 제주지역 사찰 음식에 사용하는 식물재료의 구입 및 조달 방법은 주변의 식물 활용보다는 시장 또는 재배에 의존하고, 산나물 채취에 의한 사용은 한정적으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제주 생물자원의 이용에 대한 전통지식의 수집은 사찰 보다는 다른 조건을 이용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wintertime high PM10 concentration episodes in Busan. PM10 concentration has been reduced for the past four years and recorded near or exceeded 100 ㎍/㎥ (national standard of PM10). High concentration episodes in Busan were 6 case, PM2.5/PM10 ratio was 0.36∼0.39(mean 0.55). High PM10 concentration occurred during higher air temperature, more solar radiation and sunshine, lower relative humidity, and smaller cloud amount. Synoptically, it also occurred when Busan was in the center or the edge of anticyclone and when sea breeze intruded. An analysis of upper air sounding showed that high PM10 concentration occurred when surface inversion layer and upper subsidence inversion layer existed, and when boundary layer depth and vertical mixing coefficient were low. An analysis of backward trajectory of air mass showed that high PM10 concentration was largely affected by long range transport considering that it occurs when air mass is intruded from China.
To establish a reasonable resource circulation oriented society of Municipal Solid Waste (MSW), more exact and detailed information for MSW generation characteristics should be obtained. Although a municipality has generally various MSW discharge sources, a simplified generation characteristics is uniformly applied in all cases for establishing an integrated waste management system regardless of living style such as single detached house or apartment and living area such as urban or rural area. The annual average generation rate of municipal solid wastes in Changwon is approximately 0.345 kg/ c·d. As the results of density analysis, the average density of urban or rural area 0.210 ~ 0.216 kg/L. The weight percent of combustible matters is on average 98.9% and food waste was major source of solid waste as 58.5%. Calorific value range from 1,620 kcal/kg to 1,680 kcal/kg at detached house and 2,780 kcal/kg to 2,980 kcal/kg at apartment. Apartment residence has higher the calorific value than detached house. In this study Changwon city was selected as a model municipality which has urban and rural area. MSW generation rate and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experimentally estimated, and then the MSW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residents were also surveyed by questionnaire. Data were classified into generation source and region to identify their differences in MSW generation characteristics.
After reviewing the storability of harvested persimmon fruits by using food-waste compost, it was hard to find an improvement of storability in room temperature, but the hardness of the fruit remained quite long when treated by foodwasted compost and stored in low temperature. So, it is decided that the use of food-waste compost doesn't influence the fruit's storability in room temperature, but it can influence persimmon fruits' physical properties and component significantly in low temperature. The result was shown that there was no differences on composition of persimmon fruits by food-waste compost and maintaining hardness at room temperature, but at low temperature, the composition of persimmon fruits was changed.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과학 4학년 ‘지층과 화석’ 단원에 나오는 예시 장소들은 특정 지역의 자료들로 제시되어 있어 이와 다른 지역의 학생들에게는 생소한 감이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 단원의 학습 주제인 지층과 암석에 대한 지역 대체 자료를 개발하여 교사와 학생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과서에 제시된 장소를 대체할 수 있는 제주도에서 학습 가능한 장소를 중심으로 개발하였다. 그리고 선정된 장소 중 한 곳을 지정하여 실제 체험 학습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과정안과 활동지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자료는 이 단원에 대해 수업을 준비하는 교사들에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학생들은 살고 있는 지역에서 학습 자료를 찾을 수 있어 학습 요소에 대한 구체적이고 확실한 개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GM 벼의 환경위해성 평가를 위해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벼인 익산515호, 익산526호와 동진벼를 수원, 익산, 밀양 등 3개 지역의 GMO 격리포장에서 재배하여 지역별 농업적 특성과 레스베라트롤 함량을 조사하였다. 익산과 밀양에서 재배된 3계통 모두 생육특성 및 수량 등 농업적 특성이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수원지역에서 재배된 시험계통 모두 익산 대비 출수가 지연되고, 키는 12㎝ 이상 작고, 수수, 수당립수, 등숙률이 낮아져 익산지역과 비교하여 쌀 수량이 약 12% 정도 감수되었다. 하지만, 대조구인 동진벼 대비 익산515호, 익산526호의 수량지수는 익산, 수원, 밀양 등 3개 지역 모두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3개 지역에서 재배된 동진, 익산515호, 익산526호 등 3계통의 정조 시료를 백미로 조제한 후, UPLC를 이용하여 레스베라트롤 함량을 분석한 결과, 익산지역 대비 익산515호, 익산526호 계통의 레스베라트롤 함량은 수원, 밀양에서 생산된 2계통 모두 각각 약 30%, 25% 이상 함량이 증가하였다. 이는 레스베라트롤 합성 유전자가 온도, 일조량 등 재배환경에 따라 유전자 발현량이 조절되어 최종산물인 레스베라트롤 생합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