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5

        121.
        199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Sosan reclamation land constructed by Hyundai Co,1984, the basic soil test and electric resistivity survey are carried out for the soft grounds around Tee and Kkot islands composed of tuffbreccia, and granite, respectively. The soil of soft grounds are classified as sandy clay(SC) and sandy silt(SM) in the Tee island, and as sandy silt(SM) in Kkot island according to the unified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the electric resistivity is identified 4 layes with the value 30∼224 Ωm, 3∼59 Ωm, 0.15∼1.5 Ωm, 110∼1280 Ωm(Tee island:112∼122 Ωm, Kkot island:1260∼1283 Ωm), and the layers are interpreted as aeration layer, freshwater saturated layer, seaweater saturated layer, weathered layer, and basement rock respectively. The electric resistivity value decreases with increase of salinity, and pore water and clay mineral content.
        4,200원
        122.
        199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magnetic survey was carried out at the Barton Peninsula in King George Island, Antarctica. To analyze geological features in the study area, several filtering methods in 2-dimensional wavenumber domain were used. The Barton Horst associated with volcanic activities is well revealed on the low-pass filtered anomaly map. Possible existence of small volcanic plugs or, presumably, mineralized zones are apparent at northern parts and south-western part by reduction-to-the-pole and pseudo-gravity filtering. On the 1st vertical derivative and directional filtered anomaly maps, the geological boundaries on the surface are well identified, and fault strikes along E-W or NW-SE direction appeared to be mostly dominant throughout the study area. Density and susceptibility mapping were performed using the inversion method. The apparent densities of tuffaceous rocks distributed in the southern parts and those of quartz-diorite or crystal tuff in the northern parts were computed as values up to about 2.69 g/㎤ and 2.73 g/㎤, respectively, and the apparent susceptibilities of those rocks are appeared to be about 250 × 10^(-6) CGS and 1870 × 10^(-6) CGS, respectively. These results are in accordant with those of samples measured by Garrett(1990).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 studied area of the Barton peninsula has been influenced by crustal movement associated with active volcanism and the surface lithology is extended to the considerable depth.
        4,300원
        123.
        199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most marine seismic refraction studies using shots detonated near the sea surface, the location of receivers and shots are usually assumed to be located at the point of deployment and the shot times are accurately known. In the case of bottom shots and receivers, however, the above assumption can be led to big errors in the shot and receiver positions. The errors in the shot and receiver positions can cause severe distort in the interpretation of deep ocean refraction studies. In this study, an inversion algorithm has been developed to reduce the errors in the shot and receiver position. The inversion method has been used to obtain the shot and receiver positions and the shot origin times of a deep ocean refraction seismic experiment which was performed near the Juan de Fuca ridge in 1985. The comparison of two seismic record sections, one using the initial shot and receiver positions and the other using the shot and receiver positions obtained by the inversion algorithm, shows that the seismic signals emerges much more gradually in the latter. This indicated that the posotions of shots and receivers should be relocated using some inversion methods for better interpretation of deep marine seismic refraction studies.
        4,000원
        124.
        199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lmenite-rich titanium orebody was newly discovered from anorthositic mass distributed in the Handong-gun, Kyungsangnam-do. The orebody ranges from 2m to 30m in width and runs at least 14Km. The anorthositic mass may be zoned whose boundaries run parallel to almost north-south direction on the basis of abundance of mafic minerals and diagnostic texture observed. The titanium orebody is nearly conformable to the lithological zonation boundaries, striking N30°E-N20°W and dipping vertical to 50°-70°NW or SW. Gravity, resistivity and seismic exploration have been performed over the area. Gravity anomaly near the orebody varies from 115mgal to 122mgal, showing higher value than those of the surroundings of anorthositic rocks. Resistivity sounding indicates the valu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surroundings. However, not special indication has been obtained from the seismic method for the orebody. All the geophy sical data obtained thus far correspond well with those observed on the surface and support the possibility that the orebody continues downward at least 150m below the research position.
        4,000원
        125.
        198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ribution pattern of subsurface geological features and the Bouguer anomaly in the Eumseong area, Chungbuk Province, gravity values were measured from 290sites using Worden gravity meter. The study area consists of (1) Pre-Cambrian metamorphic rocks which were intruded by the Jurassic igneous rocks, (2) the Mesozoic Chopyeong and Baegyari Formation, and (3) the Basalt and Andesite which intruded the Cfiopyeong Formation. Terrain correction value using 0.5km X 0.5km blocks is an average of 0.9mgal (max. 1.8mgal, min. 0.1mgal). The depth of density boundary in the study area were calculated by power spectrum analysis with double Fourier transform and FFT. Downward continuation of gravity was performed using the sinχ/χ convolution method. To minimize the Gibbs phenomenon associated with the downward continuation, Hamming filter was used. The value of Bouguer anomaly is-8mgal to 4mga1. Direction of the regional anomaly is the NEW whose trend is parallel with regional structural features. Residual anomaly is low in sedimentary rocks of middle part and igneous rocks regions of eastern and western parts of the study area, whereas it is high in metamophic rocks and andesite vein of middle part. Mean depth of the density boundary is 1420m, and undulation aspect of the subterrain was highest in andesite region. The boundary depth is increasing from Chopyeong Formation to Baegyari Formation.
        4,000원
        126.
        198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wave refraction prospecting was carried out using the 12 channel enhancement seismograph in Reclaimed Land Region A of Cheonsu Bay, which has been stabilized for agriculture by Hyundai Construction Co. since 1984. The subsurface layer structure was interpreted in terms of the seismic velocity of sediments, the depths of the velocity boundaries estimated from timedistance curves of 6 prospecting lines and the drilling core data in adjacent sites. The velocity distribution of subsurface layer is divided into the 1st layer, the 2nd one, the 3rd one and the deepest one, and their velocity ranges are respectively less than 800 m/s, 800-1700 rNs, 1700-2700 rNs and more than 2700 m/s. The 1 st layer is aeration zone, the 2nd one Cheonsuman Formation deposited in the Holocene intertidal environment, the 3rd one the semi-consolidated Pre-Holocene Kanweoldo Formation and weathered zone of the baserock, and the deepest one the base-rock of schist or granite. In general, the thickness of the 1st layer is about 2 m, the 2nd one 5-20 m and the 3rd one 15-22 m. The estimated depth to the base-rock varies locally from 22 m to 33 m and on the whole increases as it comes near the lake.
        4,000원
        128.
        198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보은군 회남면 조곡리에는 옥천계 누층군내에 감람암의 노두가 발견되며 이 암석의 밀도는 2.9∼3.1 g/㎤로서 주변암석 보다 0.3g/㎤ 이상 크기 때문에 중력 탐사에 의한 감람암의 지하연장 규모를 추정할 만 하다. 본 지역과 주변지역에서 정밀측정을 실시한 결과 중력 이상치는 서측에서 18mgal, 동측에서는 8mgal 정도로 지역적 경향을 보이며 이로부터 분리한 국지적 중력이상은 감람암 노두지역 부근에서 4,3mgal 정도이다. 이를 분석 연구하여 감람암체가 약 3㎞ 이내의 뿌리를 갖고 있으며 지하로 들어갈수록 서측으로 경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감람암체는 현 위치에서 맨틀로부터 상승 분출했다기 보다 이미 분출된 후에 지각변동을 받아 이동된 듯하다.
        4,300원
        129.
        198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ffshore magnetic data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depth of magnetic basement of Kyungi-bay. The mean depth to the basement was computed by a power spectral analysis method. To determine the relief of magnetic basement, the total magnetic intensity data were first reduced to the pole and transformed to a pseudo-gravimetric anomaly data using the Poisson's relation. The relief of basement was estimated from the downward continued pseudo-gravimetric anomaly data to the mean depth. In the process of data preparation, Tuckey and Harming filter was used to suppress the near surface effect of short wavelength. A band-pass filter was also applied before downward continuation.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appeared that the magnetic basement rock is ccmposed of mainly granite gneiss and depth to the basement rock is varied from 300m to 500m. The relief of magnetic basement is appeared to reflect the general topography in this area.
        4,000원
        130.
        202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글로벌 광물에너지자원 분야 수요공급에서 중국의 자원조사탐사개발과 자원경제 정책이 한국의 산업 경쟁력과 밀접하므로, 중국의 자원관련 활동을 분석하는 것은 국내외 자원개발 전략수립에 매우 중요한 사항 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은 2020년에 광물자원관련 법제 개정과 표준을 정하면서 광물자원 탐사개발과 매장 량 관리의 효율성을 기하고 있다. 중국 자연자원부는 국가광물자원계획(2021~2025년)의 수립을 통해 국가차 원의 목표와 전략을 달성하고자 하며, 각 급 지방정부에서도 지역광물자원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지질광물탐사 활동 감독 및 관리가 강화되었고, 지질광물 탐사개발분야 산업의 생산 관리의 안전성이 강화되었다. 중국은 고품질의 지질탐사, 측량 및 지도 작성 지침개발을 통해, 중국의 지질광물탐사개발 수준 을 향상시키고 광업 감독관리 체계 강화를 기하고 있다. 중국의 고체광물자원 매장량분류와 석유가스광물자 원 매장량분류 등의 광물자원 표준 마련으로 중국내 새로운 매장량 관리 표준체계가 구축되어 과학적인 광 물자원 자원량과 매장량의 파악 및 합리적 관리와 이용 등이 개선될 것으로 여겨진다.
        131.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국내 댐‧저수지는 노후도가 높은 수준으로 노후 필댐에 대한 철저한 유지관리가 필요하다. 해외에서는 전자기장 탐사 등 선진기술을 활용하여 댐체 누수탐사를 수행중이나, 국내의 경우 비용절감 및 실무 적용성 향상을 위해 민관공동 투자기술개발을 통해 국산화 기술개발을 완료하였다. 개발기술의 Test-bed 적용 결과 합리적 수준의 오차 범위내 비교적 정확한 누수경로 추정이 가능하였으며, 금년도 신뢰성 검증을 위한 추가 실증시험에서 시추조사 결과 및 동일조건의 전기 비저항탐사와 비교‧검증 결과도 비교적 일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향후 본 탐사법에 대한 추가적인 실적 확보 및 이론 검증 등을 통해 노후 필댐에 대한 물리탐사 기술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킬 계획이다.
        132.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K-water는 부단수 관내부 탐사장비를 도입하여 누수탐사 및 관상태 조사 그리고 위치탐사를 수행하고 있다. 누수 탐사는 누수지점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는 탐사기법으로 신속한 사고를 복구 가능케 함으로써 복구비용 절감 및 피해 확산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도로구간 등 굴착확인이 곤란한 지점과 GIS 불탐구간 등 어려운 여건에서도 누수 여부 확인 등 정밀한 진단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리고 관상태 조사로 노후관 상태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구간별 적정 개량공법 및 사업비를 선정하여 합리적 의사 결정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위치가 불명확한 관로의 위치탐사를 실시하여 사고 발생 시 대규모 단수피해를 사전에 방지하고 안정적인 시설물 유지관리에 기여하고 있다.
        133.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Using GPR(Ground Penetrating Radar) Precise Inspection, the real lining thickness of the tunnel damage was determined and detailed analysis was performed to provide a more accurate structural safety assessment of the tunnel damage. Through this study, It is presented to provide a guide for the application of the tunnel for inspection and diagnosis.
        134.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non-destructive methods were applied to detect cavities behind face-slab of concrete-faced rockfill dam (CFRD). This study reviewed the effectiveness of the field IE, MASW, MIRA shear wave tomography and GPR findings. IR techniques also reviewed as an additional method of exploration to reinforce the proposed methods of exploration. Among previous methods, IE exploration was concluded most appropriate as an efficient way to detect cavity of the CFRD. Nevertheless, additional reinforcement investigation is required because the result of a single exploration is difficult to reduce the uncertainty.
        135.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investigation, the reservoir stability was reviewed using hydrological and physical examination. The results of the review showed that, Both sites were analyzed to lack embankment height and sidewall height in the event of flooding, and it was considered that measures to increase stability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future by adding more dam cest and increasing side wall of a spill way. In addition, analysis and research will be necessary for other reservoir deteriorated in the future.
        136.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information about buried objects has been needed for redevelopment and reorganization of the complicated urban environment. Accidents caused by pipeline damages, such as gas lines, communication lines and underground electric power lines, are results of loss of people and property. Therefore, information on underground obscured material is essential for safety and construction progress. GPR (Ground Penetrating Radar) investigation has advantages of high resolution, ease of utilization and strong electromagnetic noise when using high frequency. However, the GPR detection data image is not visible and has a problem that it is interpre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kill of the inspector.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visualization of detection data using computer vision based on GPR detection data. Canny edge and Harris corner detection were applied to the GPR image data to detect the hyperbolic shape. By using this to increase the visibility, it will contribute to the reliable result in the buried detection.
        137.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lgorithm that estimates the location of lunar rover using IMU and vision system instead of the dead-reckoning method using IMU and encoder, which is difficult to estimate the exact distance due to the accumulated error and slip. First, in the lunar environment, magnetic fields are not uniform, unlike the Earth, so only acceleration and gyro sensor data were used for the localization. These data were applied to extended kalman filter to estimate Roll, Pitch, Yaw Euler angles of the exploration rover. Also, the lunar module has special color which can not be seen in the lunar environment. Therefore, the lunar module were correctly recognized by applying the HSV color filter to the stereo image taken by lunar rover. Then, the distance between the exploration rover and the lunar module was estimated through SIFT feature point matching algorithm and geometry. Finally, the estimated Euler angles and distances were used to estimate the current position of the rover from the lunar modul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was bee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algorithm to show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algorithm.
        138.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러시아 니꼴라이 1세(НиколайⅠ)는 1852년 청국과 일본과의 개항을 추진하기 위해서 러시아 제독 뿌쨔찐(Е.В. Путятин)을 특사로 임명하였다. 팔라다호는 1852년 10월 7일 끄론쉬따트(Кронштат)를 출항했고, 1853년 8월 10일 일본의 나가사키(長崎)에 도착하였다. 전함 팔라다호(Фрегат Паллада)는 1853년 8월 9일과 10일 사이 나가사키(長崎) 항구에 정박하여 일본을 1차로 방문하였다. 팔라다호는 일본정부와의 수교협상이 지연되자, 1853년 11월 5일 식료품을 보충하기 위해서 상하이로 떠날 것을 결정하고 11월 11일 출발하였다. 그 후 팔라다호는 상하이 근처 새들 군도(Saddle Islands)를 출발하여 1853년 12월 24일 나카사키에 정박하여 일본을 2차로 방문하였다. 팔라다호는 1854년 2월 27일 마닐라를 출발해서, 5월 22일 시베리아 해안에 진출하였다. 그 사이 팔라다호는 1854년 4월 2일부터 4월 7일까지 거문도에 정박했고, 1854년 4월 9일 나가사키 항구에 정박하여 일본을 3차로 방문하였다. 팔라다호는 조선의 지도 보완 등을 이유로 거문도와 동해안을 방문하고 조사하였는데, 4월 20일부터 5월 11일까지 조선의 동해안 전역을 실측하였다. 곤차로프는 중국, 일본, 조선 등의 과거와 현재를 세밀하게 관찰하였다. 곤차로프는 계층 사회로 이뤄진 일본의 관료주의, 일본인의 권력에 대한 공포심 등을 비판하였다. 곤차로프는 개인주의로 팽배한 중국이 뇌물로 부패하였고, 모든 것이 풍족하기 때문에 중국인이 더 이상 발전을 꿈꾸지 않는다고 판단하였다. 중국이 단일성과 전체성을 상실하여 개인주의와 불합리성에 빠져들었다고 생각하였다. 그런데 곤차로프는 조선인이 중국인과 일본인 보다 빨리 서양을 수용하여 발전할 수 있는 원동력으로 ‘사물의 호기심’과 ‘변화의 욕망’이라고 파악하였다. 곤차로프는 중국, 일본, 유구(琉球), 조선 등의 민족을 하나의 가계라고 인식하였다. 곤차로프는 4개 민족 모두가 외모, 성격, 사고방식 등 공통되는 정신적 삶을 형성하고 있다고 파악하였다. 그런데 곤차로프는 ‘황폐한 문명’이라는 시각에서 4개 민족을 비판적으로 바라보았다. 그럼에도 곤차로프는 기본적으로 조선, 중국, 일본이 인접성의 장점 때문에 유럽과 동북아의 상업적 미래가 희망적이라고 판단하였다. 일본과 조선이 가깝고, 두 나라는 상하이와 가깝다. 곤차로프는 삼국이 유럽의 무역과 항해를 위해 자유로운 공간이 될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139.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존 연구는 팔라다호 소속 장교의 인명, 팔라다호의 출발과 도착의 항해과정, 곤차로프의 출발 이유 등에 대해서 초보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이유는 선행 연구가 대체로 조선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이다. 필자는 팔라다호의 이동을 중심으로 전체적인 탐사 과정을 주목하였다. 그 과정에서 독도와 울릉도의 발견 과정을 추적하였다. 러시아황제 니꼴라이 1세(НиколайⅠ)는 1852년 청국과 일본과의 개항을 추진하기 위해서 러시아 제독 뿌쨔찐(Е.В. Путятин)을 특사로 임명하였다. 팔라다호는 1852년 10월 7일 끄론쉬따트(Кронштат)를 출항했고, 1853년 8월 10일 일본의 나가사키(長崎) 에 도착하였다. 제독 뿌쨔찐은 전함 팔라다호(Фрегат Паллада), 캄차카 함대 소속 코르벳함(군함) 올리부차호(корвет Олибуца), 스쿠너 범선 보스톡호(шкуны Восток), 수송선 공작 멘쉬꼬프호 (транспорт Князь Меньшиков)으로 함대를 구성하였다. 뿌쨔찐은 소령 꼬르사꼬프(Корсаков)를 추천하여 스쿠너 범선 보스톡호의 함장으로 임명하였다. 팔라다호는 함장 소령 운꼽스키(Унковский)를 비롯하여 장교 22명과 승무원 439명으로 구성 되었다. 이 중에서 보스톡호에 승선할 장교 6명과 수병 37명도 포함되었다. 알렉산드르 넵스끼 수도원(Alexander Nevsky Lavra) 아바꿈(Аввакум) 신부는 중국어통역을 맡았다. 뿌쨔찐은 1855년 1월 26일 일본정부와 시모다조약(Treaty of Shimoda, 下田条約)을 체결하였다. 팔라다호는 일본과의 외교 수립, 해군부의 탐사 지시에 따른 실행 등 주어진 업무를 수행하였다. 하지만 팔라다호는 1854년 3월 발발한 크림전쟁의 여파로 서방 국가들과 관계가 단절되어, 미국에 있는 러시아 식민지를 방문하지 못했고, 오호츠크해 해안을 조사하지 못하였다. 팔라다호는 1854년 4월 2일부터 4월 7일까지 거문도에 정박했고 1854년 4월 20일 조선 연안에 도착해서 5월 11일까지 동해안 조사를 시작하였다. 곤차로프는 거문도를 직접 답사하였다. 그 과정에서 서양 최초로 독도의 서도와 동도를 명명한 국가는 러시아였다. 팔라 다호 소속 올리부차호는 독도를 발견하면서 서도를 올리부차(Оливуца), 동도를 메넬라이 (Менелай)라고 명명하면서, 실측에 기초하여 최초로 정확하게 좌표에 기입하였다. 그 후 러시아 태평양함대는 동해에서 울릉도를 경유하며 해상훈련을 실시하였다. 태평양 함대 사령관 알렉셰예프는 동해에서 전략적인 거점으로 울릉도를 주목하였다. 이것은 러시아가 1896년 9월 두만강·압록강·울릉도의 삼림채벌권을 획득하여 한국에 경제적·군사적 영향력을 실행한 것과 밀접하게 연결되었다.
        140.
        2016.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도권매립지의 경우 하수슬러지 등 유기성 폐기물의 직매립금지로 인하여 매립되는 폐기물의 건조화가 심각한 상태이다. 현재 매립지 내부 함수율은 미생물에 의해 분해활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45%에 크게 못미치는 30%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현상은 비단 수도권매립지에 국한된 문제가 아닌 전국 매립지에 해당되는 현상일 것이다. 또한, 매립종료 후 최종복토 후에는 우수의 유입도 차단됨에 따라 매립지 내부 건조화 문제는 더욱 더 심화되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이와같이 건조화가 심화되면 폐기물분해 지연에 따라 매립지 사후관리 기간은 더욱 길어지게 되며 그만큼 각 매립지 관리주체들의 비용부담은 증가하게 될 것이다. 정부는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금년 4월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을 개정하여 매립지 내부로 침출수를 재순환할 수 있는 침출수매립시설환원정화설비 관련 규정을 시행하였으며, 침출수를 매립지로 재순환하여 매립지 건조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비록 침출수외에 폐수 같은 다른 수분 공급원의 재순환까지 허용하는 적극적인 수단은 아니지만, 침출수를 재순환함에 따라 매립지 건조화가 심화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침출수 재순환에 따른 매립지 내부 수분 분포파악을 위하여 전기비저항 탐사를 수행하여 매립지 내부의 수분분포 특성 파악을 위한 적정 탐사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전기비저항 탐사는 지하 매설물이나 지질현황 파악을 위하여 쓰이며, 저수지 등의 제방 안정성 파악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매립지의 경우 다양한 폐기물들이 매립되어 있어 토질이나 저수지 제방과 같이 매질이 균질한 상태가 아닌, 매우 불균질한 상태이며, 계절에 따른 온도변화, 중간 복토층에 따른 비저항 탐사 값의 간섭현상 등 다양한 변수가 존재하여 결과값의 해석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