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이 방문재활 실습 동안 경험한 것을 알아보고, 본질적 의미를 파악 하여 방문재활 실습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질적 연구방법 중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2022년 11월 29일부터 12월 15일 사이에 작업치료학과 학생 8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또는 그룹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Colaizzi의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 수집된 자료들의 의미있는 진술 276개는 30개의 범주와 11개의 주제, 4개의 주제모음으로 도출되 었다.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은 방문재활 실습 후 전공 지식의 확장과 기존 실습지와의 차별화된 경험과 심리적 경험, 작업치료를 새롭게 생각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방문재활 실습의 한계점으로는 체계 적이지 않은 실습 지도 관리와 실습 지도 선생님인 작업치료사의 역량에 따른 중재의 차이 등이 있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최근의 재활패러다임 변화와 함께 커뮤니티케어 및 방문재활에 대한 높은 관심과 필요성 이 증대되고있는 추세에 따라, 방문재활 실습이 정규 임상실습 교육과정에 반영되고 확대되도록 하는 기 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compares AI PengTalk’s assessments of Korean children’s pronunciation with the assessments of Korean teachers. Sixty Korean sixth-graders participated as assessees, and four Korean elementary teachers participated as assessors. Both PengTalk and the teachers rated the children’s production of 10 English sentences on a five-point scale. They focused on segmentals, stress-rhythm, intonation, and speech rate.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PengTalk evaluated the children’s pronunciation in the four element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teachers across all English proficiency levels. Secondly, teachers’ ratings of the students aligned more closely with their pre-evaluated English proficiency levels than the AI PengTalk’s assessments. The teachers rated students at the upper level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at the intermediate level, who were, in turn, assess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at the lower level in all four elements. Furthermore, AI PengTalk and the teachers differed in the mean order of the four elements, particularly in segmental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I-based English programs.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협동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스마트폰 의존, 긍정적 친구관계, 자아존중감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한국청 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2018(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의 4차 년도(2021년) 자료를 이용하여 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2,26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자 료는 AMOS 26.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첫째,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의존은 자아존중감과 협동의식에 통계 적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긍정적 친구관계는 자아존중감 과 협동의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자아존중감 은 협동의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을 뿐 아니라, 스마 트폰 의존과 협동의식 간의 관계와 긍정적 친구관계와 협동의식 간의 관 계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매개하였다. 그러므로 고등학생의 협동의식의 향상을 위해 스마트폰 의존을 줄이고, 긍정적 친구관계를 향상 시키는 전략과 함께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키는 방안이 강구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교폭력 피해와 그루밍성범죄 피해의 관계에서, 우울과 폭력 둔감성의 이중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초등학교 학교폭력 피해를 경 험한 99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분석은 SPSS 28과 PROCESS Macro Model 6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학교폭력 피해, 그루밍성범죄 피해, 우울, 폭력둔감성 모든 변수 간 99% 유의수준(p <.01)을 충족하는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먼저, 학교폭력피해와 우울, 폭력둔감성 간 관계에서는 모두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루밍 성범죄피해 간 관계에서는 학교폭력피해와 폭력둔감성은 정(+), 우울은 부(-)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교폭력피해와 그루 밍성범죄 피해의 관계에서 우울과 폭력둔감성이 부분매개효과 및 이중매개효과를 검 증하였다. 그 결과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한값 .0001, 상한값 .0010으로 우울과 폭력둔감성의 이중매개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학교폭력피해 경험과 그루밍성범죄 피해 간 관계에서 우울감이 선행된 후 폭력에 둔감해지고, 이에 따른 그루밍성범죄 피해가 일어날 수 있음을 확인하면서 이 론적,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that could guide high school students' night eating behavior by investigating habits of their night eating consumption during COVID-19 pandemic (From 2021/5/13 to 5/20). Association between their eating habits and the Nutrition Quotient for Korean Adolescents (NQ-A) were also explored. This study included a total of 604 students, among whom 441 students were identified as night eating consumers. Among all subjects, 30.5% consumed night eating 3~4 times a week, 27.3% consumed 1-2 times a week, and 27.0% did not consume any night eating at all. The high-night eating group had a higher score of total NQ-A than the non-night eating group for both male (p<0.05) and female (p<0.001) students. This was because male students in the high-night eating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rates of daily dinner consumption compared to non-night eating group. Furthermore, both male (p<0.05) and female (p<0.001)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Moderation’. ‘Diversity’ wa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in female studies (p<0.05) as subcategories of dietary habits according to night eating frequency.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for practical research to develop nutritional guidelines for night eating that reflect preferences of students while providing adequate nutritional habits.
이 연구는 한부모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 요인, 경제 요인, 가족 요인, 사회 요인의 다차원적 측면에서 확인하고, 이러한 영 향 요인이 초등학생 한부모와 중·고등학생 한부모 간에 차이가 나타나 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21년 한부모 가족 실태조사에 참여한 1,411가구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SPS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차이 검증, 상관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수행 하였다. 분석 결과, 한부모의 우울 수준은 높지 않았으며, 초등학생 한 부모와 중·고등학생 한부모 간에 우울 수준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초등학생 한부모의 우울은 자녀 양육과 관련한 가족 요인의 영향력이 가장 컸으며, 다음으로 차별을 의미하는 사회 요인, 한부모의 건강과 관련한 개인 요인, 직장과 주거 등이 포함한 경제 요인의 순이었다. 중·고등학생 한부모의 우울도 가족 요인의 영향력이 가장 컸으나, 다음 으로 개인 요인, 경제 및 사회 요인의 순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한부모의 우울을 감경하고 나아가 정신 건 강을 증진할 수 있는 지원책에 관한 방안들을 제언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tabletop disaster simulation of nursing students’ disaster preparedness and core competencies on disaster nursing. Methods: This study employ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multiple time-series design. The experimental group (n=27) underwent a lecture and nursing simulation education program on disaster nursing. Control group (n=27) underwent only lecture a review on disaster nursing.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repeated ANOVA and Bonferni test. Results: Disaster preparedn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oups by time (F=47.25, p<.001). Competencies on disaster nursi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oups by time (F=19.38, p<.001).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disaster nursing tabletop simulation education program was significantly effective in increasing disaster preparedness and core competencies on disaster nursing in nursing students.
Purpose: This study aimed to perform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to identify evidence for developing a problem-based learning (PBL) method based on a simulation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Methods: In May 2022, 10 electronic databases were used to conduct a literature search using the keywords simulation, PBL, nursing, and education in Korean and English. Finally, 21 studies were selected. Results: There were more single-type simulation studies than studies using a hybrid model that combined two simulation types. Most simulation studies were for a single domain of adult nursing rather than for various integrated domains. Four studies (19%) applied a theory during debriefing, but most did not conduct a systematically structured debriefing. All studies selected attitude and competency as the outcome variables to study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Two variables (attitude and competency) or three variables (knowledge [or skill], attitude, and competency) were typically selected, and their effects were measured. Conclusion: PBL based on simulation education can be effective in improving nursing practice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Future studies ought to develop interprofessional education programs based on PBL simulations through multidisciplinary cooperation.
Purpose: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 integrated simulation practicum and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acticum for senior nursing students. Methods: Sixty-seven senior nursing students from a university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nd assign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n = 31) and control (n = 36). We developed and applied a 60-hour integrated simulation practicum that spans a 3-week period. The control group performed a traditional clinical practicum. The outcome measures wer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linical competence, and practicum satisfaction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3.0 software. Results: After the intervention,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 = .017) and clinical competence (p < .001) compared to those of the baseline. Regarding practicum satisfac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atisfaction than the control group (p = .003). Conclusion: The integrated simulation practicum was an effective program that improved critical thinking, clinical competence, and practicum satisfaction in senior nursing students. To effectively improve critical thinking and acquire clinical competence, which are essential for prospective nurses, nursing students should be exposed more to simulation practicum that reflect environments similar to actual clinical settings for various patients with complex health problem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domestic studies on blended learning among nursing student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Methods: This scoping review was conducted following the process suggested by Arksey and O’Malley: 1) identifying the research questions; 2) searching for relevant studies; 3) study selection; 4) charting the data; 5) collating, summarizing, and reporting the results; and 6) optional consultation. Relevant studies were searched using the keywords “blended learning” and “nursing” in the domestic databases RISS, KISS, and DBpia. The selection and exclusion criteria were applied to 203 articles, and 34 were finally selected.
Results: The final 34 studies included 30 quantitative and four qualitative studies. Most of the studies were experimental studies. In undergraduate nursing education, blended learning was utilized more in the classroom than in the lab or clinical setting. Furthermore, it was mainly applied by combining online and offline approaches. It improved learning satisfaction, critical thinking, clinical performance,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onclusion: Research on blended learning in nursing education has increased over time. Blended learning positively affects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thus, it is expected that this could be effectively utilized in both the classroom and lab or in clinical teaching for nursing students. Therefore, future studies using various research methods should be expanded, and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are recommended.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가 운동만족,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2년 3월을 기준으로 서울, 경기지역의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학생 44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기평가기입법을 통해 설문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같은 패 턴의 응답, 미완성된 응답 등 불성실한 응답자 94부를 제외한 346부를 유효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처 리는 SPSS 24.0와 IBM AMO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확인적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을 진행하였으며, 요인 간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 를 도출하였다. 첫째, 자기결정성 동기 요인 중 유능성, 관계성은 운동만족에 정(+)의 영향을 주지만, 자율 성은 운동만족에 부(-)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와 운동지속 의도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운동만족과 운동지속의도의 관계에서는 정(+)의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 로 고등학교와 대학교에서 장기간 원격교육이 19 실시된 이후, 다수의 선행 연구는 각각의 교육 기관에서 교육 불평등이 전반적으로 심화되었음을 밝혔다. 그러나 교육 결과의 불평등에 한하여 상이한 결과가 확인되었는데 고등학교는 학력 격차가 커지면서 불평등이 악화되는 양상을 보였으나 대학교는 학 력 격차가 감소하면서 불평등이 완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고등학생과 대학생 모두 졸업 이후 대학생 혹은 직장인이 되어 전에 비해 상당한 양의 자유와 책임을 갖는다는 점을 감안할 때, 사회적 맥락에서 두 집단 은 유사한 기능을 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고등학교와 대학교의 기능상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원격 교육 이후 교육 결과의 불평등에서 상이한 결과가 나타난 원인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를 밝 히기 위해 원격교육이 실시되는 기간 동안 고등학교 혹은 대학교를 다닌 학생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 하고 구성주의적 근거이론을 기반으로 인터뷰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불평등 해소를 위한 학교의 역 할에 대한 인식 차이가 교육 정책에 영향을 미쳐 궁극적으로 교육 결과의 불평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드러났다. 나아가 본 연구는 학생들이 불평등 해소에 있어 구조의 역할에 대한 선명한 인식을 견지하는 것이 교육 정책에 학생들의 의견을 반영하는 출발점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기후변화를 비롯한 다양한 환경문제로 인하여 환경 교육의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환경 교육 을 위한 식물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초등학생 121명에게 적용한 후 환경친화적 태도와 식물친숙도를 평가하였다. 식물 환경교육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 만족도가 높았으며, 프로그램 시간, 강사, 내용, 장소 등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초등학생들은 프로그램 참여 의 사가 높으며, 만족도와 참여 의사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프로그램을 수행하지 않은 학생과 비교하면 식물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로 환경 지식습득, 기분개선이 높게 분석되어 식물 교육 프 로그램은 환경에 대한 인식의 제고에 긍정적 효과가 있다. 환경친화적 태도의 하위 영역인 환경 보호와 환경오염에 대한 인식에서 효과가 있으며, 학년이 낮을수록 교육에 의한 차이가 있었다. 저학년부터 다양한 환경 교육 활동을 경험하게 되면 환경 감수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식 물 교육활동은 식물 친숙도에 긍정적 효과가 있으며, 인지적 측면에서 지식습득의 효과 뿐 아니 라 정서적 측면의 향상에도 유리하다. 환경친화적 태도와 식물친숙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 식물 교육프로그램의 참여도 향상을 위해서는 만족도를 제고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프로그램 시 간, 강사, 내용 등의 운영 및 구성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국내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플립러닝 교수법의 효과에 관한 연구를 체계적 고찰을 통해 통합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메타분석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22년 11월 20일에서 12월 20일까지 코 크란 연합의 체계적 고찰 보고지침을 준수하여 진행하였다. 국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검색된 논문은 RISS 72건, KISS 11건, Dbpia 46건 총 129편이었으며, 중복논문 제거 및 선정기준에 따라 최종 9편의 연구를 선정하였다. 국내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플립러닝 수업을 적용한 결과 플립러닝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0.91(Z=8.36, p<.001), 학업적 자기효능감 0.35(Z=2.62, p=.009),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0.81(Z=6.53, p<.001), 학업성취도 0.60(Z=5.18, p<.001), 자기효능감 0.66(Z=4.79, p<.001) 향상에 효과 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플립러닝은 국내 간호교육 현장에 적용 가능한 효과적인 교 수법임을 확인하였고, 플립러닝 수업설계 방향성에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하였으며, 향후 플립러닝에 긍정 적인 효과를 주는 다양한 결과 변인들의 효과를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반복연구를 제언한다.
Purpose: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intradermal injection practice education. Practical augmented reality (AR) based educational interventions were conducted on clinical competence, self-efficacy,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Method: Participants were nursing students at “S” university. There were 37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6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for a total of 73 students. The measurement scales were clinical competence, self-efficacy,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questionnaires. The interven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nducted using AR with smart glasses; the intervention in the control group was conducted using a tablet PC.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χ2-test, and ANCOVA using the SPSS 25 program.
Results: Clinical compet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90.99±0.23) than in the control group (70.43±0.23; F=3745.89, p<.001). Self-efficac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55.56±1.32) than in the control group (42.50±1.32; F=46.15, p<.001). Educational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40.81±6.58) than in the control group (32.56±7.74; t=4.52, p<.001).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to develop effective nursing competency teaching strategies and as basic data for improving learning and nursing education.
Purpose: Room of Errors is a little-known method in Korea, effective for patient safety education. This study aimed to examine nursing students’ recognition of pre-staged medical errors while working as individuals or in a team.
Methods: Thirty-four errors for a pre-op care scenario and thirty errors for a post-op care scenario were pre-set in two simulated patient rooms. Fifty-six nursing students randomly participated as individuals or as a team in one of two “Room of Errors” to find as many errors as possible within a certain time. The evaluation of error detection and debriefing occurred immediately following the simulation.
Results: “Wrong patient name on wrist band” (77-100%) and “bedside rails down” (91-100%) were the most frequently identified errors by both individuals and teams. Few students found “injection of a drug to which the patient is allergic” (0-9%) and “administration of a contraindicated drug to the patient” (0-7.7%). The performance of students working in a team was much better than those working alone.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Room of Errors” provided very experiential and practical learning to nursing students in identifying simulated patient threats. The method is also useful for interprofessional patient safety education to develop teamwork and communication.
This study explored if and to what extent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students would benefit from participating in a school English drama contest in terms of English proficiency, affective attitudes, and collaborative competence.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were constructed to measure students’ perception of their growth in those areas after participating in the contest. Pre- and post-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85 student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3 of the survey respondents. In a comparison of the pre- and post-test measures, the study found that the drama contest contributed to reducing students’ anxiety and enhancing their intrinsic motivation. Although pre- and post-test differences in language proficiency and collaborative competence were found to be non-significant, the participants addressed positive aspects of their experience in the contest. For example, they reported that they improved their pronunciation, speaking, and writing skills and that they collaborated and learned from one another by sharing ideas, providing feedback, and exchanging opin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