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일반 소비자들의 사회적기업 제품 구매 및 관심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기존 사회적기업 제품 구매경험을 가진 소비자들을 연구하고자 한다. 사회적기업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하는 대가로 현장에서 제공받는 다양한 주관적 보상의 개념인 관계혜택이 재구매나 추천의도 등 고객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개인이 해당 사회적기업 제품을 생산, 판매하는 사회적기업과의 동일시 정도가 관계혜택(사회적 혜택, 특별우대 혜택, 확신적 혜택)과 고객행동(재구매의도, 추천의도)간의 관계를 매개할 수 있음을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1은 관계혜택(사회적 혜택, 특별우대 혜택, 확신적 혜택)이 고객행동(재구매의도, 추천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이며, 검증 결과 가설 1은 부분채택되었다. 구체적으로 재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사회적 혜택과 확신적 혜택이며,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확신적 혜택이었다. 가설 2는 관계혜택(사회적 혜택, 특별우대 혜택, 확신적 혜택)이 개인-기업 동일시에 정(+)의 영향을 미칠것이다이며, 검증 결과 가설 2는 채택되었다. 가설 3은 개인-기업 동일시는 고객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이며, 검증 결과 가설3은 채택되었다. 가설 4는 개인-조직 동일시가 관계혜택(사회적 혜택, 특별우대 혜택, 확신적 혜택)과 고객행동과의 관계에 매개효과를 나타낼 것이다이며, 검증 결과 가설 4는 부분채택되었다. 구체적으로 개인-기업동일시는 사회적 혜택 및 확신적 혜택과 재구매의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였고, 확신적 혜택과 추천의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달성을 위한 분석결과, 사회적기업 마케팅 측면에서 개인-기업 동일시, 관계혜택에 집중한 전략을 수립하고, 시행함으로써 재구매와 추천의도와 같은 고객의 구매행동을 기대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안을 제언하였다.
리더십 관련 연구에서는 리더의 행동이 구성원의 태도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주장되고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물이 위에서 아래로 흐르듯이 리더의 행동이 부하의 행동으로 연결된다는 의미의 `적하효과(trickle-down effect)`라는 개념으로 이 현상을 설명하고 있다. 다수의 연구에서는 적하효과가 어떤 메커니즘으로 발생하게 되는지, 또 어떤 태도와 행동이 적하되는지에 관심을 가지고 실증하고 있다. 한편, 리더십행동이 부하의 태도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상황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적하효과를 보다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상황요인의 탐색이 요구된다. 그러나 적하효과의 상황요인을 밝히는 연구는 드물고, 이러한 상황변수가 긍정적 리더십행동과 부정적 리더십행동의 적하효과에 각각 미치는 영향을 실증한 연구 역시 미흡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리더의 긍정적 행동과 부정적 행동을 모두 고려하여 리더의 행동이 부하의 리더십행동에 적하되는 과정에서 LMX의 조절효과를 실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국내의 다양한 기업에 근무하는 상사-구성원 183쌍을 대상으로 수집한 설문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동일방법편의의 문제를 줄이기 위해 독립변수(차상위 리더의 행동)와 조절변수(LMX)는 상사를 대상으로 측정하였고, 종속변수(리더의 행동)는 구성원을 대상으로 측정하였다. 실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차상위 리더1)의 진정성 리더십행동은 리더의 진정성 리더십행동과 정(+)의 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차상위 리더의 비인격적 리더행동 역시 리더의 비인격적 리더행동과 정(+)의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셋째, LMX수준이 낮은 집단보다 높은 집단에서 차상위 리더와 리더 간의 진정성 리더십 행동의 정(+)적 관계는 더 크게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의 예측과 다르게 LMX수준이 높은 집단보다 낮은 집단에서 비인격적 리더행동의 적하효과가 더 강하게 나타났다. 즉, LMX 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차상위 리더의 비인격적 리더행동의 높고 낮음에 따라 리더의 비인격적 리더행동의 수준에 차이가 없지만, LMX수준이 낮은 경우에는 차상위 리더의 비인격적 리더행동 수준이 낮을 때 보다 높을 때 리더의 비인격적 리더행동이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실증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In order to study for the growth of fish in the aquaculture industry, the behavior analysis of rock bream (Oplegnathus fasciatus)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and LED lights was conducted. In this study, water temperatures from 10 to 30 degrees were used. One red light (wave length: 622 nm; light power: 811 mW) and one green light (wave length: 518 nm; light power: 648 mW) were used. Behavior of the rock bream was analyzed at an average moving distance for one minutes (AMD) and a rate of movement. The mean AMD were respectively 5.3 m, 7.3 m and 3.0 m in the red LED light, green LED light and control condition. The mean rates of movement were 77%, 88% and 61% respectively in the red LED light, green LED light and control condition. The mean AMD during 24 hours were 3.1 m, 3.1 m and 3.3 m respectively in the red LED light, green LED light and control condition.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탐색효능감, 적응유연성신념, 취업준비행동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남녀 성별에 따라 직업탐색효능감과 적응유연성신념, 취업준비행동 수준의 차이가 있는지, 진로탐색효능감과 취업준비행동간의 관계에서 적응유연성 신념의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 수원지역의 대학생 271명으로, 남자 91명, 여자 180명이었다.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직업탐색효능감과 적응유연성신념, 취업준비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SPSS 20.0을 사용하여 Cronbach's α, t-검증, Pearson의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SPSS macro프로그램 PROCESS에서 Bootsrapping 방법을 통해 간접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탐색효능감, 적응유연성신념, 취업준비행동간에 서로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둘째, 성별에 따라 진로탐색효능감, 적응유연성신념, 취업준비행동 수준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적응유연성신념은 진로탐색효능감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경상남도 김해시의 유효응답자수 569명의 응답을 바탕으로 환경관련 행동을 생활환경 여건과 비교하여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과 환경관련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환경행동 항목별 실천정도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 법률 또를 조례로 정하여 규제하고 있는 항목에 대해서는 실천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만 환경보전의식이 낮은 사람의 경우에는 모든 항목에서 실천의지가 낮게 나타났다. 사회적 변수에 의한 환경관련 항목별 실천정도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 주거형태 측면에서는 전체적으로 공동주택보다는 단독주택 거주자의 실천의식이 높았다. 나이에 따라 서는 나이가 많아질수록 환경보전 실천의지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실천 강도가 낮았다. 다만 교육수준과 관련해서는 학생집단의 특수성이 반영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환경관련 의식과 실천정도에 대한 분석 결과 제도적인 대응보다는 환경의식의 개선이 필요하며, 환경관련 행동을 위한 정책은 일반화 보다는 성별, 거주유형, 교육수준 등 환경적 특성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방법을 달리 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identified fashion consumers disposal behavior and analyzed the effects of consumers pursuing values in disposal, environmental awareness, and sustainable fashion consumption attitudes in regards to fashion disposal behavior. A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data were obtained from 460 consumers in their 20's to 50's in Korea who had experienced fashion disposal behaviors during last 12 months. As a result, there were four different fashion disposal behaviors such as economical, practical, and social disposal as well as hoarding behaviors. Consumers pursuing values in disposal affected fashion disposal behavior. Practical and economical values had positively impacted economical disposal and hoarding behaviors. While hedonic value had a negative impact on economical disposal behavior, it had a positive impact on social disposal behavior. Also, environmental-social values had positively impacted practical and social disposal behaviors. Fashion-related environmental knowledge had positively impacted economical and practical disposal behaviors and PCE affected social disposal behavior, while environmental concerns had a negative impact on economical disposal behavior. Consumers attitude toward usedfashion items, fashion recycling, and fashion innovativeness affected all of fashion disposal behaviors. Although hoarding behavior has been an under researched area, the finding implied that hoarding behavior was affected by consumer's pursuing value in disposal and sustainable consumption attitude. Also, environmental-social values and attitudes toward used-fashion items would induce practical disposal behavior such as reuse by alteration or reform. Consumers economical and hedonic values can promote donations or exchange/resale of unwanted fashion items, which can lead to sustainable consumption.
솔수염하늘소는 소나무에 시들음 증상을 유발하여 괴사시키는 소나무재선충을 매개하는 대표적 매개충이다. 소나무재선충병 고사목 방제 살충처리 방법으로 훈증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그물망을 이용한 방제법이 도입되고 있다. 본 연구는 솔수염하늘소의 쏠기와 탈출 행동을 유발시 키는 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구속 공간 및 온도를 달리 처리하고 탈출여부를 조사하였다. 솔수염하늘소는 직경 30 mm 이하의 공간에 구속되었 을 때 장애물을 뚫고 탈출이 가능하였다. 온도 15°C에서는 탈출에 성공하지 못하였으며, 20~30°C 범위에서 탈출 성공률이 높았다. 먹이를 이용 한 솔수염하늘소의 유인은 탈출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좁은 공간에 구속되지 않는 경우는 갉는 부위가 집중되지 않아 탈출공을 형성하 지 못하였다. 구속된 공간에서 솔수염하늘소는 가운데와 뒷다리 부절을 이용해 좁은 공간에서 몸을 이동시키며 큰턱으로 정면에 있는 장애물을 집중적으로 갉아서 탈출공을 만들고 앞다리를 뻗어 몸을 지탱하면서 빠져나오는 행동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훈증 대체기술로 제시되고 있 는 구속 그물망의 성능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o determine the optimum water temperature (a temperature which minimizes metabolic activities and stress in fish) for long distance transportation of red-spotted grouper (Epinephelus akaara), by evaluating the behavior, survival and physiological and hematological responses to variable water temperature conditions (9, 12, 15, 18 and 21℃) for 48 hours. Fish exposed to 9℃ died at 48 hours exposure, but those exposed to 12, 15, 18 and 21℃ treatment groups all survived. Fish in the 15, 18 and 21℃ exposure groups exhibited normal swimming, while those exposed to 12℃ were observed to be stationary at the bottom of the tank. The plasma cortisol and glucose concentration were higher in fish exposed to 12℃ than at other temperature conditions. The fish in the 12 and 15℃ groups had significantly higher hematocrit (Ht) and hemoglobin (Hb) than those in the 18 and 21℃ groups (P<0.05). Levels of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NH3 and osmolality showed a pattern similar to the levels of plasma cortisol, while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nd total protein did not significantly vary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optimum water temperature for long distance transportation of the red-spotted grouper is 15℃.
기존 온·습도 센서와 여러 가스센서에 의해 측정 및 제어되는 돈사환경제어시스템에 돼지의 체온조 절행동에 근거한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환경정보를 보정한다면 보다 정밀한 축사 환경제어를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연구는 ICT기술을 접목한 스마트돈사의 정밀환경제어를 위한 기초연구로 획득된 이 미지를 바탕으로 돼지의 행동특성을 3가지로 분류하기 위한 영상처리시스템 알고리즘을 제시하고자 한 다. 공시재료는 실험돈사에서 사육되고 있는 육돈용 자돈(F2, 36~40kg) 3마리를 이용하였으며, 영상처 리를 수행하고자 천정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를 이용하였다. 영상처리를 위한 프로그램 은 Visual Studio C과 다양한 영상처리를 위해 개발된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인 OpenCV Library를 이 용하여 구현하였다. 행동분류 알고리즘은 각 돼지의 중심점 데이터, 돼지가 차지하는 면적, 돼지 사이 의 거리를 구하고자 전처리를 수행한 이미지를 RGB 색상계에서 YCrCb 색상계로 변환하였으며, 히스토 그램 평활화(Histogram Equalization), cvBlob함수를 사용하여 Labeling 알고리즘을 수행하였다. 영상 처리 결과, 검증 이미지를 대상으로 군집형태 A로 판단된 결과는 면적만 고려한 것과 거리와 면적을 같 이 고려하였을 때 인식률 95%를 나타내었다. 군집형태 B의 경우 면적만을 고려하였을 경우 65%, 면적 과 거리를 모두 고려하였을 경우 95%로 나타났다. 군집형태 C의 경우 면적만을 고려하였을 경우 25%, 면적과 거리를 모두 고려하였을 경우 100%로 나타나 환경정보 보정자료로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 되었다.
The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fishing license system on fisheries resources in order to reduce the adverse effects of recreational fishing, such as fishery resource reduction and environmental pollution. In doing so, the research question of the study is to determine what factors influence anglers’ willingness to support fishing licenses. Based on the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we further included explanatory variables such as recreation specialization and motivations besides anglers’attitudes, norms and self-efficacy towards the environment and proposed six research hypothese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n-site and online surveys in Gwangju and Cheonnam province and a total of 337 effectiv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or data analysis. Three different binary logit models were employed with the dependent variable of anglers’willingness to support fishing licenses to assess the effects of explanatory variables. Study results show that social norms, the level of recreation specialization, motivation factors related to environmental experiences positively affected anglers’willingness to support fishing licenses. However, anglers’consumptive orientation attitudes such as catching big fish, motivation factors related to activity general experience preferences and previous fishing experience had negative effects on the dependent variables. Study results indicate that public outreach and education programs are essential to successfully introduce the fishing license system. Managerial and policy-related implications are further discussed to make recreational fishing a more environment-friendly recreational activit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verse variables derived from anglers’social-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n their support for fishing licenses and suggest diverse policy-related and managerial implications.
기존의 선행연구들에서 사람들의 다양성 추구행동에 미치는 요인들에 많은 관심을 가져왔음에도 불구하고, 행운과 불운 그리고 체화된 인지의 상호작용이 다양성 추구행동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는 없었다. 행운과 불운의 경험은 소비자의 정보처리에 영향을 미치며, 손 씻기에 의한 체화된 인지는 행운 · 불운의 경험을 역전시키는 요인으로 두 요인이 다양성 추구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이해하는 것은 소비자의 선택과 제품구매를 포함한 전반적인 소비자 행동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운 경험 (행운 vs. 불운)과 손 씻기 여부 (있음 vs. 없음)의 상호작용이 다양성 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참가자들은 행운과 불운을 경험한 후, 손을 씻거나, 씻지 않았고, 떠먹는 요구르트의 맛을 얼마나 다양하게 선택하는지에 대한 과제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운 점화와 손 씻기의 상호작용 효과가 발견되었다. 구체적으로, 행운 조건의 경우, 손을 씻은 참가자와 손을 씻지 않은 참가자의 다양성 추구 행동에는 차이가 없었다. 반면에 불운 조건에서는 손을 씻은 참가자가 손을 씻지 않은 참가자보다 다양성 추구 행동이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비자심리와 마케팅 분야에 폭넓은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on fish swimming behavioral properties. Acoustic data was collected at nighttime from the 10th to 12th March, 2016 near Yokji Island in the South Sea of South Korea, and was analyzed using the fish track technique. This technique is to identify groups of single targets, which shows a pattern of systematic movement. As a result, the differences of the behavioral properties such as depth, swimming speed, vertical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tortuosity, and depth change among days were minor; however, statistical results (Welch analysis of varia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ays. Especially, the target strength (TS) of the 11th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10th and 12th. It could be assumed that gizzard shad, which was the dominant species from the catch on the 11th March, might have affected this difference. The correlation between TS and other properties was very week. The significant difference seemed even small differences of average values because of the large data volume.
This study investigates what consumption values affect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s toward a premium lunch box at a convenience store using VAB(Value-Attitude-Behavior) model. The main survey was conducted by a research company by means of an online survey in the form of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samples were limited to customers who had tried the premium lunch box before. The survey was conducted in October 2016.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1.0 for Windows and AMOS 21.0. A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was used to verify the proposed relationships among the study variables. Three factors representing the value of the premium lunch box were identified: social & functional value, economic value, and epistemic value. The finding showed that these values had a positive effect on attitude toward the premium lunch box and that attitude had a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