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고속도로 야생동물 유도울타리 설치효과를 분석하여 적정한 유도울타리 설치 개선 및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중앙고속도로 만종분기점~홍천나들목구간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고속도로에 설치된 유도울타리는 포유류의 도로침입 방지효과가 있었으며, 방음벽, 낙석방지울타리, 2단 가드레일과 분리방호벽도 로드킬 예방에 효과적인 시설이었다. 유도울타리의 로드킬 저감 효과는 출입문이 설치된 높이 1.5m의 울타리보다 출입문이 설치되지 않은 높이 1.0m 구간이 로드킬 감소효과가 높아 출입문의 유무가 로드킬 저감에 중요한 요인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도로시설물의 연결지점에서 로드킬 저감 효과가 컸으며 출입문이 있더라도 관리가 잘되는 지역도 로드킬 감소효과가 높았다. 유도울타리는 설치연장이 증가함에 따라 로드킬 감소율이 높았다. 유도울타리 끝 부분과 절토부 주변은 로드킬에 취약하여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었다. 울타리 유지관리용 출입문은 설치간격이 가까울수록 로드킬 발생량이 높아 출입문 관리가 로드킬 저감에 효과가 많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고속도로 유도울타리 설치 개선방안은 암반의 급경사 지역 외에 모두 설치되어야 하고, 도로상의 낙석방지책, 2단 가드레일, 방호벽 등은 적정 시설개선을 통해 유도울타리로 연결 설치되어야 한다. 출입문을 설치할 경우 자동개폐식 또는 중력개폐식으로 설치하여 개방을 방지하고 야생동물 탈출로가 조성이 되어야 한다. 겸용생물이동통로는 토양층 복원이나 식생공간을 조성하여 생물이동통로화 하여야하며 로드킬로 포식자에 의한 2차 로드킬을 막기 위해 사고난 사체는 즉시 도로외부로 처리가 되어야 한다. 울타리는 최소 사고예방 목표지점으로부터 양방향 500m 이상 즉 1,000m 이상 설치되어야 하며 가급적 다음 도로시설인 교량, 통로박스 등까지 연결하여 야생동물을 생물이동통로로 안전하게 유도하여야 한다.
For investigate intracellular function and role of genes in the biological processes, various gene delivery methods into cell have been developed. Many studies performed to construct optimum conditions of gene delivery into cells and tissues. In this study, we examined efficiency of gene delivery-complexed with cationic lipid vector in human cancer cell lines. GFP plasmids were complexed with cationic lipid and transfected into human cancer cell lines at different concentrations. And then, expression of GFP was analysed with fluorescent microscope and FACS. To determine efficiency of gene delivery, we investigated GFP expression level in various cancer cell lines. GFP expression cells were not shown in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 line HepG2 and lung carcimona cell line A549 after 24hr transfection, while, GFP expression cells were observed at 500ng concentration after 48hr transfection. In colorectal carcinoma cell line HCT116, GFP expression cells were observed at 100ng and 500ng concentrations after 24hr transfection and slightly increased at 48hr. After transfection into ovary adenocarcinoma cell line SKOV3, we could found that many cells expressed GFP at 500ng concentration after 24hr and highly elevated GFP expression cells after 48hr. For further evaluate gene expression level, we confirmed GFP expression level by using FACS analysis after 48hr transfection. As a result, HepG2 was expressed GFP in very low level at 10ng, 100ng, and 500ng concentrations. We also identified that GFP was expressed low level at 10ng and 100ng in HCT116 and A549, but highly increased at 500ng concentration to 14.19% and 16.57%, respectively. In case of SKOV3, GFP expression was highly elevated to 13.14% at 100ng and 58.10% at 500ng compared with 10ng transfection. By Comparing efficiency of gene expression among cancer cell lines, GFP expression was similar with cell lines at 10ng transfection, but significantly differed from cell lines at 500ng higher concentration. Additionally, GFP expression level of SKOV3 was showed about 10 fold higher than HepG2, and about 4 fold higher than HCT116 and A549 at 500ng.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efficiency of gene delivery-complexed with cationic lipid vector was the highest in SKOV3, while HepG2 was showed the lowest efficiency. Taken together, we could determined that efficiency of gene delivery into cells differed from each human cancer cell lines. Our study suggest that cellular properties should be considered in gene delivery-complexed with cationic lipid vector to improve cellular expression efficiency of gene.
DEA모형에 의한 운영효율성 분석결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정부의「산지유통종 합평가」제도의 개선을 통해 사업실적 위주의 규모화ㆍ전문화ㆍ조직화에 초점을 맞춰 이루어져온 것을 경 영효율성 위주로 전환해야 할 것이다. 산지유통센터의 목적도 농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것이고 이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여 평가함으로써 농산물 산지유통센터 구성원들에게 실질적인 인센티브와 다양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농산물 산지유통센터가 종합평가에 경 영의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이를 개선, 보완하기 위해 유통부가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의 개발, 평가에 대한 고객만족도 지표의 개발,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시스템 도입을 통한 고객관계 유지 실적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의 개발 등도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ntroduce key performance indicators (KPIs) measuring overall equipment effectiveness (OEE) or overall operation effectiveness (OOE) effectively. OEE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KPI to measure the productivity and quality levels of an equipment-centric manufacturing company and widely implemented with a spreaded TPM (total productive maintenance). OEE is the most representative time-related KPI. For ease of measurement, OEE is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quantity of the processing materials and theoretical cycle time instead of using time-related sub-indicators. Hence, setting up theoretical cycle times is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the OEE measurement. Increasing customer's demand and developed manufacturing technology, more products can be made in a machine. So there will be multiple theoretical cycle times in a machine, but they have not been extensively considered for setting up theoretical cycle times in previous research. Futhermore the limitation to measure a performance of an operation which is consists of multiple machines is often mentioned in previous research. This paper shows how to measure OOE based on multiple theoretical cycle time.
본 연구에서는 지반운동 라이브러리에서 목표스펙트럼에 근사한 평균응답스펙트럼을 갖는 한 개 혹은 다수의 지반운동을 선정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지반운동 선정 시 목표스펙트럼의 형상과 크기를 맞추어야 하는데 이 두 가지를 독립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는 기존 연구결과에 따라 본 연구에서도 형상이 가장 유사한 지반운동을 찾고 크기를 맞추기 위하여 배율조정계수를 사용한다. 형상을 맞추기 위해 각 주기에서 목표스펙트럼과 지반운동 평균응답스펙트럼의 차이 값의 표준편차가 최소가 되도록 하여 선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형상이 결정된 후 그 크기를 맞추기 위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배율조정계수를 찾는 방법은 기존 연구와 달리 한번에 찾을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40개의 지반운동 라이브러리로부터 제안한 방법을 이용하여 목표스펙트럼에 근사한 평균스펙트럼을 갖는 7개의 지반운동기록을 선정한 결과, 그 정확성과 계산소요시간에 있어 모두 만족할만한 결과를 보였다.
번식우에서 저영양이 지속 될 경우 GnRH 분비이상 등으로 번식장애가 발생하나, 배란 에 앞서 일시적인 영양제한은 과배란처리 할 경우 난포수의 증가, 이식가능수정란의 증 가, 수정란의 질을 개선시키고 임신효율을 향상시킨다는 보고가 있다. 본 연구는 공란우 채란을 위한 과배란 처리시 CIDR 삽입 1주일 전부터 채란일 까지 23일간 일시적인 저영 양, 고영양, 대조구로 구분하여 체내수정란 채란효율을 검토하였다. 가축유전자원시험장 번식우 사양관행에 맞추어 대조구(10두)는 배합사료 1 kg, 고영양구 (8두)는 2.5 kg, 저영 양구(8두)는 0 kg을 제한급여를 하였고 건초는 자유채식을 하였다. 공란우 과배란처리는 공란우의 발정주기에 관계없이 CIDR를 질내 삽입하고 4일째부터 FSH를 4일에 걸쳐 28AU 근육주사 하였으며, CIDR 삽입 후 7일째 PGF2α를 오전 25 mg, 오후 15 mg을 근 육 주사, CIDR를 제거하였다. 인공수정은 PGF2α 주사 후 48시간 전후 발정을 확인하고 12시간 간격으로 정액 2 straw 2회 실시하였으며, 1차 인공수정 후 100 μg GnRH를 근 육주사 후 인공수정 후 7일째 자궁관류에 의하여 수정란 회수하였다. 시험결과로서 공란 우의 황체수에 따른 이식가능 수정란수는 황체수가 10개 미만에서 총 회수난수 3.8±1.46 개, 이식가능난수 1.0±0.77이었으나, 10개 이상에서는 총 회수난수가 12.9±2.30개, 이식 가능난수는 8.3±1.88개로 높게 나타났다. 영양수준에 따른 체내수정란 총 회수난수 및 이 식가능난수는 대조구에서 5.88±1.88, 4.25±1.61, 고영양에서 10.50±3.01, 4.50±3.07개로 회수효율이 낮았으나, 저영양에서는 16.33±4.04, 10.33±3.45개로 2배 이상 이식가능 수정 란수가 많았다. 이들 결과는 과배란 처리시 일시적인 저영양이 배란수 및 질좋은 이식가 능 수정란의 증가에 영향을 미침을 시사하고 있다. 금후 공시두수를 늘려 수정란의 질평 가와 호르몬의 변화, 혈액학적 분석, 이식 후 수태율의 검정 등 좀 더 세부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한자·한문을 공부하기 시작한 초학자들에게 가장 먼저 난관으로 작용하는 사항이 있으니, 바로 자전을 사용하는 방법을 터득하는 일이다. 자전을 익숙하게 사용하는 방법의 터득은 일정 기간의 훈련이 필요하다. 자전의 사용법 그 자체를 놓고 공부해야 하는 현상은, 다른 외국어 자전을 사용할 때에는 발생하지 않는 일이다. 이는 3천여 년의 장구한 역사를 지닌 한자의 특수성에서 비롯한 문제라는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요즈음 초학자들이 자전을 사용하는 방법을 터득하기에는, 주위 환경이 30여 년 전과 비교하여 매우 불리하다. 전자 사전이 널리 보급되고 또 인터넷망이 발달함으로써 전통적인 책자 자전의 사용률이 저하되고 있다. 이런 현상은 스마트폰의 확산에 따른 다양한 ‘자전’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의 개발로 인하여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이러한 사회적 환경의 변화는 초학자들에게 자전의 활용 방법을 안내해줄 필요가 생겨났다. 곧 자전을 통한 한자 학습이 전자사전 등 여타의 도구를 사용한 한자 학습과는 비교할 수 없는 여러 가지 장점을 지녔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인식하도록 해주어야 한다. 그리하여 비록 자전 사용 방법의 습득이 간단한 일은 아니지만 이를 장악하여 익숙히 사용하는 능력을 배양해주어야 한다. 자전을 활용하지 않고 한자를 학습할 경우 모호한 정보로 인하여 한자에 대한 이해가 잘못되고 학습 의욕이 저하되는 폐해가 발생할 수 있다. 자전을 사용하고자 할 때 자음색인, 총획색인, 부수색인을 이용하는 세 방법 모두가 그다지 쉽지 않은 일임도 사실이다. 하지만 한자·한문 학습자는 자전을 사용하여 공부를 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에 자전의 구성 면모 서문, 범례, 본문, 부록, 색인 등을 소개하였고, 마지막으로 자전의 효율적 사용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자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구체적 방법으로는, 분류수록 체계의 장점을 활용하는 방법, 의항의 관계에서 파생 원리를 터득하는 방법, 표제어의 숙독을 통해 어휘력을 신장하는 방법, 용례와 어휘에서 전통 문화에 대한 흥미를 진작시키는 방법 등 네 가지를 제시해 보았다.<<論語>>에 “工欲善其事, 必先利其器.”[장인이 자기 일을 잘하고 싶으면 반드시 먼저 그 연장을 예리하게 갈아 놓아야 한다.]라는 말이 있다. 한자·한문을 공부하는 사람에게 자전은 가장 기본적인 연장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자전이라는 연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줄 아는 사람과 모르는 사람은 학습 효과가 시간이 갈수록 차이가 벌어지게 된다. 지금까지 고찰한 내용이 자전이라는 연장을 예리하게 만들어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데에 일정한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The effect of subcritical water for the extraction of total polyphenols and flavonoids from apple peel was investigated, and the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xtracts was estimated. Maximum yields of total polyphenolic compounds(36.4±1.9 mg quercetin equivalent(QE)/g dried material) and flavonoids(9.9±0.8 ㎎ QE/g dried material) were obtained by subcritical water extraction(SWE) with operating conditions of 190℃, 1, 300 psi, and 20 min. Furthermore,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76.1±1.1%) was observed in the extract obtained from SWE using the same conditions. The flavonoids from the SWE of apple peel were compared to three conventional extraction methods in terms of their extraction efficiency and antioxidant activity. The SWE was significantly more effective than hot water (90℃), methanol, and ethanol extraction for flavonoid yield by 4.7-, 2.2-, and 1.3-fold, respectively, and for antioxidant activity by 11.0-, 4.9, and 2.8-fold, respectively.
침지식 막결합형 연속회분식 생물반응기에서 폐수의 도입단계가 제거효율과 여과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호기성 단계의 초기에 공급할 경우(Mode-1)와 무산소 단계의 초기에 공급할 경우(Mode-2)에 대하여 89일 동안 동시에 운전하였다. COD 제거효율과 여과성능은 2가지 운전방식 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영양염류(총질소와 총인)의 제거효율에 있어서 Mode-2가 Mode-1에 비해 보다 효과적이었다. Mode-2의 경우 COD, 총질소 및 총인의 제거율은 각각 99.1, 73.3 및 77.7%이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중형저서동물의 생태학적 연구에 사용하는 Ludox와 Rose Bengal을 처리하였을 때, 고정액의 종류에 따른 DNA (mtCOI)의 추출 효율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실험을 위해 저서성 요각류 Tigriopus japonicus s.l.를 실험동물로 사용하였으며, 99% 에탄올과 4%포르말린의 두 종류의 고정액을 사용한 뒤 이들을 각각 대조구로 삼았다. 그리고 (1) Ludox HS40, (2) Rose Bengal, (3) Ludox
HACCP 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전문인력 양성이 우선되어야 한다. 업체는 작업장에 적합한 HACCP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운영하는 인력을 확보해야 하며, 평가기관은 전문성을 갖춘 평가관을 양성하여 지정평가 및 사후관리 평가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전문 인력은 체계적으로 준비된 교육 훈련과정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HACCP 교육 훈련은 강의식 교육이 아닌 실습위주 및 현장체험의 훈련으로 진행되어야 그 실효성을 기대할 수 있다. 현행 교육 훈련의 미흡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1) 교과 과정, 교육내용, 교육교재의 전문화와 표준화, (2) 전임강사 확보 및 전문성 제고, (3) 실습 및 토론식 교육 훈련, (4) 단계별 교육 훈련프로그램 개설, (5) 교육 훈련 기관의 지역별 균등 배치 등이 개선되어야 한다 .
DEA 관련 연구에서 전체 효율을 측정하는 것의 중요성은 강조되어져 왔다. 그 연구는 주로 그것이 오직 가격과 비용의 정보를 정확히 알 때 측정될 수 있다는 제한이 있었다. 그러나 실제 사례에서 이 정확한 정보를 얻는 것은 쉽지 않다. 이런 한계를 일부 극복하기 위해 이 논문에서는 Cone-ratio 제약을 이용하여 전체 효율을 측정하기 위한 새로운 모델들을 제안했다. 제안된 모델들을 기반으로 DEA에서 전체 효율 모델들을 적용하기 위해 우리가 알아야
비정형 초고층건물을 위한 구조시스템 중에서 다이어그리드 구조시스템은 구조적인 효율성 및 조형성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근래에는 초고층건물을 위한 구조시스템으로 메가부재의 조합을 통하여 횡방향 강성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메가프레임 시스템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두 가지 구조시스템의 장점을 혼합한 다이어그리드 메가프레임 구조시스템은 미래형 초고층건물에 적용될 유망한 구조시스템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이어그리드 메가프레임 구조시스템을 적용한 건물의 거동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매우 많은 수의 절점과 요소로 이루어진 유한요소 모델을 해석해야 하므로 상당한 양의 해석시간과 엔지니어의 노력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이어그리드 메가프레임시스템을 적용한 초고층건물의 거동을 효율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하여 다이어그리드 메가프레임 초고층건물의 해석과 설계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이어그리드 메가프레임의 특정을 활용한 효율적인 모형화기법과 행렬응축기법을 사용하여 해석에 사용되는 자유도수를 최소화한 해석기법을 제안하였다. 예제구조물의 해석을 수행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된 해석방법과 일반적인 해석방법에 의한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제안된 방법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This study fouces on the electricity generation of B1PV system in the super-tall building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B1PV system, solar irradiance and air temperature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his study does research on, one of two main parameters, the solar irracliance in the super high-rise buildings.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of solar irracliance, it increased with altitude. It is, particularly, more obviously in the super-tall buildings than others. Subsequently, to make an accurate B1PV elecrticity generation prediction,it is necessary to anaiyze the solar irracliance distribution on the super-taII building's facade which is a prerequisite for optimal B1PV system design.
본 연구는 한우 거세우 95두 (평균체중 226 kg)를 이용하여 농후사료와 조사료 분리급여구, TMR구 그리고 TMR을 발효시킨 F-TMR구로 나누어 22개월동안 사육하여 도축하였을 때, 사료효율, 도체성적 및 경제성분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건물 및 TDN 섭취량은 육성비육 각 단계 별로 F-TMR구에서 가장 많았다 (p<0.05). F-TMR구의 경우, 일일증체량은 육성기에는 처리구중 가장 적었으나, 비육후기에는 타 처리구에 비해 약 48%나 높았다 (p<0.05), 사료효율은 전 육성비육기간 동안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도체중과 배최장근단면적에서는 F-TMR 급여구에서 가장 높았으나 (p<0.05), 등지방두께가 가장 얇았던 (p<0.05) 분리급여구에서 육량지수와 육량 A등급 비율이 높았다. F-TMR구의 근내지방도가 타구에 비해 현저히 (p<0.05) 증가되어 육질 1+등급이상 출현율이 96%에 달하였다. 경제성 분석에서 사료비는 F-TMR구가 분리급여구에 비해 40%가 증가되었으나 증체량과 육 질등급의 향상으로 인하여 순수익은 29%나 증가되었다.
A field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growth, feed utilization and nutrient excretions by feeding extruded pellet (EP) and moist pellet (MP). Slow growing flounder were used as the experimental animal to find out a prominent result in terms of growth and feed utilization. Weight gain of fish fed the experimental diets for 8 weeks reached 105.3 g for EP and 107.1 g for MP, while fresh feed intake was 98.7 g for EP and 279.4 g for MP. Feed conversion ratio was 0.94 and 2.61 for EP and MP, respectively which was 0.77 and 0.94 when corrected on dry matter basis. Even though protein efficiency ratio (2.26 vs 2.21), specific growth rate (0.69% vs 0.70%), daily weight gain (2.06 g vs 2.10 g) and mortality (4.0% vs 4.1%) were similar between EP and MP, protein retention efficiency of fish fed EP was superior (53.3%) to that of fish fed MP (39.6%). Protein intake of fish for 8 weeks was similar from 52.3 g for EP to 53.3 g for MP, while protein gain was higher in fish fed EP (27.9 g) than in fish fed MP (21.1 g). Protein excretion by feeding EP and MP reached 232 g and 300 g, respectively per kg gain, suggesting that protein loads could be greatly reduced in practical culture system through the use of EP. Phosphorus (P) intake was much lower in fish fed EP (1.63 g) than in fish fed MP (2.18 g), while retention of P was higher in fish fed EP (0.88 g) than in fish fed MP (0.78 g), showing the retention efficiency of 54.0% and 35.9%, respectively. Fish fed EP excreted 7.1 g of P per kg gain which was much lower than that of fish fed MP (13.1 g). The present results clearly showed that EP feeding for flounder is not only productive but also environmentally friendly.
본 연구는 1984년부터 패널자료의 확보가 가능한 17개 OECD 국가를 표본으로 하여 R&D 생산성 및 효율성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비교하고 우리나라의 수준과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그 성과를 산출(output) 측면과 성과(outcome) 측면으로 구분하고, 맘퀴스트 생산성지수와 자료포락분석방법을 활용하여 R&D경로단계별 생산성 및 효율성과 그 변화추이를 비교분석하였다. 우리나라는 R&D 투자 대비 산출 생산성은 매우 높은 반면, 평균효율성은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효율성의 시계열 변화추이를 보면 최초 지수 0.10에서 시작하여 최종 0.83까지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주요 선진국들 수준에 도달하였다. R&D 산출 대비 생산성은 매우 낮으며, 통합 프런티어에 대한 효율성은 최초 지수 1.00에서 최종 0.057까지 주요 선진국들 수준으로 가파르게 하락하여 왔다. 그리고 상관분석을 통해 R&D 산출 대비 생산성이 곧 R&D 투자 대비 생산성을 가늠하는 지표가 될 수 있음을 보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R&D 생산성 및 효율성 향상을 위해서는 R&D 투자 및 산출 증대의 노력 이상으로 R&D 산출물의 활용 측면이 보다 강화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 효과적인 기술확산 체계 구축, 기술금융시장환경 조성 및 사업화에 성공하기까지 실질적인 인큐베이팅 제공 등 전반적인 기술사업화 시스템의 혁신이 주요 과제임을 시사하고 있다.
이 논문은 “소요 오일붐 측정프로그램(OBM Program)”을 실행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OBM Program 운용상 한계를 분석하기 위해 운용자와 운용환경 팩터 간의 관계 분석이 가능한 M-SHEL모델을 이용했다. M-SHEL 모델분석을 통해 얻은 결 과는 첫째, 운용자의 입력 값의 신뢰도 향상을 위해 감지 시스템 구축, 둘째, 운용자의 프로그램 사용시 운용에 대한 이해도 향상을 위한 실용적 이고 편리한 매뉴얼 제작, 셋째, 시각화된 프로그램 프레임 구축이다. 분석을 통해 프로그램 운용상의 한계를 보완함으로써 보다 개선된 성능과 더불어 효율적인 방제활동에 기인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