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09

        704.
        201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2009년과 2010년 2년간 치러진 中等漢文科敎師任用試驗중 1차 한문 선택형 시험을 대상으로 삼아 출제의 근거가 되는 出題基準을 검토하고, 출제 기준에 맞게 출제되었는지 그 현황을 분석한 후, 提言한 것이다. 출제 기준은 출제자로 인한 편파성 시비와 영역별 비중의 차별을 드러낸 이전 임용시험의 잘못을 시정하려는 의도에서 나온 것으로, 전국에 있는 漢文敎育科의 敎育課程속에서 10개의 기본이수과목을 추려내고 과목마다 1∼3개의 평가 영역 을 두어 공부한 내용을 빠뜨리지 않고 골고루 출제하고자 한 점에서 의의가 있었다. 출제 현황은 이수과목이나 평가 영역을 중심으로 보면, 대체로 공평하게 출제하 려고 한 점이 인정되나 2009년의 시험이 역대산문선독보다 한시선독에 관심이 두 어졌고, 2010년 시험에서 한시선독보다 역대산문선독이 선호되는 일면도 발견되 었다. 이 측면에서의 불균형 은 출제 상황의 제반 여건에서 빚어진 것으로서 차후 에 다시 바뀔 수 있으므로 별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문항 출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地文의 장르에 대한 편중은 문제의 소지가 없지 않았다. 2009년의 경우에 산문 장르가 전체의 46∼47%, 2010년의 경우에도 산문 장르가 전체의 45∼46% 출제되어 특정 장르의 비중이 과도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물론 산문이 한문학에서 차지하는 범위가 광대하고 출제하기 용이하다는 장점 이 있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출제 문항의 地文이 특정한 장르로 편중되는 것이 정 당화될 수는 없다. 출제 기준에서 기본이수과목별 출제비율이 경서강독, 한시선독, 한문소설선독, 역대산문선독 모두 대등한 것처럼 1차 한문 선택형 시험 40문항(80 점)에서 장르별 출제비율도 특정한 장르에 편중되지 않게 하여야 한다. 1차 한문 선택형 시험이 중등 한문과 교사가 되려는 수험생에게 중요한 만큼 원전 독해력과 그것을 교실 수업현장에 적용하는 능력을 갖춘 자를 교사로 선발 하는 시험이 되도록 난이도를 보다 높이고 출제범위에 얽매이지 말며 수험생이 접해보지 못한 지문이 많이 출제되게 해야 할 터다.
        6,600원
        706.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잎을 마는 바구미(leaf-rolling weevils)’로 알려져 있는 거위벌레류(Rhynchitidae, Attelabidae)는 식식성 곤충(obligatory phytophagous)이다. 전 세계적으로 주둥이거위벌레과(Rhynchitidae) 1,110종과 거위벌레과(Attelabidae) 1,000종이 보고되어 있다(Legalov, 2003). 거위벌레류는 뉴질랜드와 하와이를 제외하고,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종은 아열대지역과 열대지역에 서식하고 있다. 가장 많은 종수는 동양구 (Oriental), 열대아프리카(Afrotropical), 신열대구(Neotropical)에서 관찰된다. 거위벌레류 의 특징은 󰡐자손을 위한 특별한 보살핌󰡑이라고 할 수 있다. 어떤 거위벌레류는 유충의 성장과 먹이를 위해 독특한 재단법을 이용하여 잎덩이(요람, leaf rolls, cradle)를 만들기도 하고, 다른 종들은 식물의 과실이나 꽃, 줄기 등을 유충의 성장을 위해 이용한다. 특히 목거위벌레아과(Apoderinae)는 신열대구, 신북구에서는 전혀 분포하지 않고, 오스트리아구에서는 소수의 종을 제외하고는 역시 분포하지 않으며, 거위벌레과에서 가장 나중에 분화된 분류군(Legalov, 2005)으로 요람을 다른 종에 비해 섬세하게 대부분 짧은 원통형 요람을 만드는 것이 특징이다. 본 연구에서는 목거위벌레아과 10종의 요람형을 기재하는 동시에 요람의 형태와 잎의 재단선에 따라 요람형 분류를 시도하여 그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며 요람형의 용어는 Suzuki and Uehara(1996a)에 따랐다.
        707.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asks that require nematode extraction and microscopic examination. To develop a more efficient detection method for Bursaphelenchus xylophilus, we first generated monoclonal antibodies (MAbs) specific to B. xylophilus. Among 2,304 hybridoma fusions screened, a hybridoma clone named 3-2A7-2H5 recognized a single protein from B. xylophilus specifically. We finally selected the MAb clone 3-2A7-2H5-D9-F10 (D9-F10) for further studies. To identify the antigenic target of MAb-D9-F10, we analyzed proteins in spots, fractions or bands via nano liquid chromatography electrospray ionization quadrupole ion trap mass spectrometry (nano-LC-ESI-Q-IT-MS). Peptides of galactose-binding lectin-1 of B. xylophilus (Bx-LEC-1) were commonly detected in several proteomic analyses, demonstrating that this LEC-1 is the antigenic target of MAb-D9-F10. The localization of MAb-D9-F10 immunoreactivities at the area of the median bulb and esophageal glands suggested that the Bx-LEC-1 may be involved in food perception and digestion. The Bx-LEC-1 has two non-identical galactose-binding lectin domains important for carbohydrate binding. The affinity of the Bx-LEC-1 to D-(+)-raffinose and N-acetyllactosamine were much higher than that to L-(+)-rhamnose. Based on this combination of evidences, MAb-D9-F10 is the first identified molecular biomarker specific to the Bx-LEC-1.
        708.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710.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를 통하여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가지고 있는 우주에 대한 개념을 조사하고 이에 영향을 준 요소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은 우주를 물리적 공간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많은 수의 학생들은 '우주'하면 아름답다는 느낌을 떠올리거나 미지의 공간이라는 생각을 떠올렸다. 그림 표현에서, 학생들은 많은 경우 직관적으로 우주를 태양계 수준에서 파악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우주의 중심과 끝에 대한 질문에서, 학생들 중 태양 중심, 지구 중심 또는 중심 없는 무한한 우주를 생각하는 비율이 높았다. 우주의 변화는 한 방향으로 일어나며 이를 물리적 관점에서 서술하는 경우가 많았다. 학생들이 가진 이러한 개념에 영향을 준 요소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생들을 성별, 신념별, 교과서 외의 천문 지식을 접해본 경험 유무로 그룹화 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그룹에 따라 우주의 중심과 끝, 우주의 변화에 대한 관점의 차이가 있었다. 또한 우주의 기원에 대한 이유를 설명할 때 종교적 신념에 따른 차이가 있음이 드러났다. 본 연구 결과는 개인의 우주관이 다양하며 이에는 여러 가지 요소가 영향을 줌을 보여준다.
        4,500원
        714.
        2010.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ocyte enucleation is essential for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SCNT) in the production of cloned animals or embryonic stem cells from adult somatic cells. Most studies of oocyte enucleation have been performed using micromanipulator-based techniques, which are technically demanding, time-consuming, and expensive. Several recent studies have used chemical-induced oocyte enucleation; however, each has been plagued by low efficiency and toxicity. In this study, I found that the co-treatment of murine oocytes with demecolcine and BMI-1026, a potent cdk1 inhibitor, resulted in a high enucleation rate (97%). This method is entirely independent of a micromanipulator and is suitable for the large-scale production of enucleated oocytes. This new method of enucleation will be useful in SCNT and in the development of handmade cloning techniques.
        4,000원
        715.
        2010.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717.
        2010.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718.
        201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a convergent heat treatment was performed in certain temperature regions in order to control the microstructures of Nd-rich phases and to reduce thermal stress on grain boundaries which could be caused during expansion and shrinkage of Nd-rich and phases. The difference of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between and Nd-rich phases is the mechanism for convergent heat treatment. The Nd-rich phases which were located in junctions could penetrate into the grain boundaries between phases due to the difference of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Through the convergent heat treatment, the microcracks that were observed in cyclic heat treatment were not observed and coercivity was increased to 34.05 kOe at 8 cycles.
        4,000원
        719.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KB100 isolated from the domestic soil have the most effective activity against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larva. The tannic acid as protease inhibitor might be increased the efficacy of sublethal concentrations of B. thuringiensis. The tannic acid was identified as a protease inhibitor that could increased the efficacy of sublethal concentrations of B. thuringiensis. Mixture of B. thuringiensis and tannic acid was investigated the mortality of S. exigua larva in the laboratory and field. When B. thuringiensis treated to 2nd larva of S. exigua, mortality was shown 54.4%. However, mixtures of B. thuringiensis with 4 and 40 mM tannic acid were increased mortalities to 2nd larva of S. exigua as 64.0 and 95.5%, respectively. Also, synergy effect of mixture of B. thuringiensis and 40 mM tannic acid was increased the mortality of S. exigua 3rd larva to 93.3%, even though 60.0% mortality with only B. thuringiensis treatment. On the other hand, the mortality of mixture with B. thuringiensis and 80 mM tannic acid was 53.3% lower than B. thuringiensis single treatment. In the welsh onion field, the accumulated mortalities of 3 times replicated with mixture of B. thuringiensis and 40 mM tannic acid were 83.9, 89.4 and 66.8% compare with 61.8, 80.4 and 47.3% as only B. thuringiensis treatment, respectively.
        4,000원
        720.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aizawai CAB109 isolated in Korea is known active against Spodoptera sp.. Especially, B. thuringiensis aizawai CAB109 isolates showed 100% mortality against Spodoptera litura and Spodoptera exigua. To screen highly active B. thuringiensis, the pathogenicity of B. thuringiensis CAB109 was compared with that of commercialized B. thuringiensis products. LC₅₀ values of CAB109, product TB-WP and product SC strains of B. thuringiensis were 1.3x10⁵, 2.3x10⁶ and 5.2x10⁵ cfu/㎖ against the 2nd larva of S. litura and 1.8×10⁴, 1.3×10⁶ and 1.5×10⁶ cfu/㎖ against the 2nd larva S. exigua, respectively. To determine new gene"s existence and absence, the plasmid DNA was extracted, and compared to that of B.t. aizawai HD-133. Both B. thuringiensis were not like plasmid DNA pattern. PCR technique was used to predict both plasmid DNA"s cry gene. PCR products analysis showed that B.t. CAB109 harbor Cry1Aa, Cry1Ab, Cry1C and Cry1D and B.t. HD-133 has Cry1Aa and Cry1Ab, respectively.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