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54

        2001.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서양민들레의 시설생산을 위해 배지조성 및 차광정도를 달리한 환경조건에 대한 생육특성과 그에 따른 생리활성 변이를 검토하고자 온실과 실험실 시험을 수행하였다. 서양민들레 시설생산을 위한 적정한 배지조합은 coco peat와 perlite를 각각 70 : 30과 50 : 50으로 혼합한 배지가 coco peat와 perlite 각각의 단독배지보다 생육 및 수량에 있어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차광정도에 따른 서양민들레의 초장, 근장, 엽수, 근직경, 엽면적, 엽록소 함량 및 생체중은 무차광이 50%와 70%차광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총 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지하부보다는 지상부에서 높게 나타났다. 총 페놀 함량은 무차광에서 차광보다 높게 검출되었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50%차광에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무차광과 70%차광 순으로 높았다. 한편, DPPH 라디컬 소거능과 아질산염 측정을 통한 항산화성은 추출물 농도가 증가할수록 높은 활성을 보였고 지하부보다는 지상부에서, 차광보다는 무차광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다.
        2002.
        2012.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ulberry salad dressing prepared with yam juice during storage at 5℃ for four weeks were evaluated. The salad dressing was prepared with a salad base, mulberry, omija, and yam (4:4:6:1 or 4:4:6:3). Fresh yam juice was added to the salad dressing at 0, 7, and 18% levels. After four weeks storage, the pH increased whereas the acidity decreased. As the yam concentration increased, the pH increased to 3.84 and the acidity decreased to 0.14%. The Hunter color L (lightness), b (yellowness), and a (redness) values decreased over the storage period. After four weeks storage, the viscosity increased from 83.2 to 158.5 cp according to the amount of yam juice that was added. The antioxidant activity, such as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the salad dressing improved as the yam concentration increased. Moreover, according to the storage time, the peroxide value did not increase. These results show that the mulberry salad dressing to which omija and fresh yam juice were added maintained its freshness with high antioxidative activity during storage.
        2003.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무안 회산지 백련의 개화 상태를 통해 개화 이력을 알 수 있는 지표 마련 및 이를 이용하여 생태 체험관광 자원 등으로 활용하기 위한 자료 확보 측면에서 개화 기간 중의 화형 변화를 조사하였다. 꽃은 개화 1일째는 6시에, 2일째는 5시 40분, 3일째는 6시 10분, 4일째는 5시 10분에 개화가 시작되어 오전 중에 피었다가 12시 이후에는 오므려들었다. 꽃의 직경은 개화 1일째는 10시 정각에 7.6cm, 2일째는 7시 정각에 25.2cm, 3일째는 8시 정각에 23.7cm, 4일째는 10시 정각에 22.2cm로 최대치를 나타냈다. 꽃잎 수는 14개였으며, 3일째에 2개가 탈락되었으며, 4일째 12시 이전에 모두 탈락되었다. 꽃잎의 각도는 개화 1일째는 모두 직립하였으며, 1일째와 4일째는 하향된 꽃잎이 없었고, 2일째는 수평, 3일째는 직립형과 사립형이 많았다. 이와 같이 백련 꽃의 화형은 개화 후 경과 일수에 따른 각각의 특성이 뚜렷하였다. 따라서 개화 상태별로 시청각 자료나 모형을 만든 후 시청각 자료 및 모형을 보면서 개화 이력을 추적할 수 있게 하면 무안 회산지 백련은 생태체험 관광 자원으로서 활용가치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생각된다.
        2004.
        2012.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낙동강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 추출을 위해 CGHR(T63) 모형과 A1B 온실가스 배출시나리오를 통계적 규모내림방법으로 대상유역의 규모로 축소·변환한 후, 수문·수질의 거동변화 등의 영향을 모의하기 위해 SS와 T-P를 대상으로 SWAT 모델을 적용하였다. 과거 30년 자료와 비교한 결과, 지표유출은 지역에 따라 최대 60%까지, 오염배출 부하는 TSS와 T-P의 경우 각각 35∼45%, 5∼20% 정도 변화되어, 미래 기후변화로 인한 지표유출과 오염부하 배출은 향후 뚜렷한 증가가 예상된다. 또한, 그 증가경향은 낙동강 하류지역보다 상류지역에 크게 나타나며 계절별로는 겨울과 봄철의 증가가 크고 먼 미래로 갈수록 증가하는 반면, 여름과 가을철에는 먼 미래로 갈수록 증가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갈수기 지표수 수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된다.
        2005.
        2012.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울트라마라토너들의 초장거리 달리기 동안의 심리적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러 한 연구 목적에 부합하기 위하여 100km 울트라마라톤 대회에 참여한 주자들(n=44)을 대상으로 총 4회에 걸쳐 각각의 체크포인트 지점(23-,54-,83-100km)에서 자각적 운동강도를 측정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기분 상태 측정을 3차례(경기 직전, 54-,100km)에 걸쳐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울트라마라토너들은 100km의 경기에서 거리의 증가에 따라 심리적 피로의 증가를 나타냈으나 마지막 100km지점에서는 오히려 자각 적 운동강도 지수가 급격히 감소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100km 레이스의 중반지점인 54km에서 측정한 기분상태 변화에서 우울, 긴장, 분노와 같은 부정적 감정수준은 경기전에 비해 감소되었고, 100km 완주지점까지 유지됐으며, 각 구간별 기분상태 프로화일 결과 빙산형 프로화일이 나타났다. 결론 적으로 울트라마라토너들은 100km 완주과정에서 심리적 피로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긍정적 기분상태를 유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긍정적인 기분상태의 경험은 초장거리 운동수행에서의 심리적 효과로서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2006.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initial setting of mortar containing 0.2% xylitol and 2% sodium phosphate dibasic dodecahydrate was found to become fast. And a initial setting of mortar containing 0.3% xylitol was found to become slow. Also, mortar containing xylitol and PCM can reduce of maximum temperature and increase compressive and tensile strength compared to the plain mortar and mortar containing blast-furnace slag.
        2007.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evaluate the strength properties of concrete using low-absorption lightweight aggregate, this paper was compared low-absorption and foreign-made lightweight aggregate by test of slump, air content, elapsed time of slump, compressive and tensile strength.
        2008.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re are many cracks in Section Change. We investigated surface and geological environment and so on. To figure out the cause of cracks, we are using FEM. This Study can help developing designation and maintenance about Tunnel.
        2009.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strain compatibility method is based on the strain compatibility approach proposed by AISC (American Institute of Steel Construction, Inc.). The strain compatibility method assumes a linear strain of all the members. After that, set up the equilibrium equations of the state of stress in each component for calculating the location of the neutral axis of the cross-section in the presence. In this study, the reinforced concrete simple beam is analyzed by strain compatibility method for calculating the neutral axis and the bending moment. And then, a variation of neutral axis of the reinforced concrete simple beam is measured.
        2010.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evaluate color change of concrete subjected to high temperature, we manufactured concrete samples and heated them to target temperatures of 100, 200, 300, 400, 500, 600, 700 and 800℃ in an electric oven and performed photo image analysis using photoshop computer software.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color change using photo image analysis can be evaluated according to the different color coordinate.
        2011.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bnormal change in Gyeongpo beach shoreline in June of 2012 was illustrated using DGPS (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resolution < 0.6m) observation and drift experiment. Abrupt change in the shoreline was occurred in the latter part of June, 2012, this change was compared with that in June from 2009 to 2011. In the northern part of the beach, sand accumulated and it made beach extension and movement of the shoreline towards sea compared with that in June from 2009 to 2011. While on the other, in the southern part, the beach was eroded and it formed a steep slope around the southernmost of the beach. The shoreline in the southern part of the beach was shifted more towards land than that in the past. Change in the position of shoreline was higher in the northernmost and southernmost of the beach compared with those in the other parts. Drift in the southern part of the beach moved faster along the beach than that in the northern part of it.
        2012.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겨울철 작물재배를 위해서 비닐하우스 보온을 위한 수막시설의 이용이 늘어나고 있어 과다한 지하수 이용에 따른 수위 강하 및 하천수 감소를 유발하고 있다. 따라서 수막시설재배 지역에서의 지하수 양수가 지하수 대수층과 연결된 하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정량적으로 평가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이천시 신둔면 수하리 일대 수막시설재배지역에 지하수위와 온도를 계측하기 위한 지하수 관측공을 제내지와 제외지에 설치하고 관측 결과를 분석하여 지하수 양수에 따른 하천-지하수 상호 유동계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수위와 수온 관측 결과, 수막시설재배 기간 동안 지하수 양수의 영향으로 하천수가 지하수계로 유입되는 손실하천의 양상을 나타내었다. 하천바닥층에 대해 침윤계 실험을 통해서 유도한 수두차와 침윤량간의 관계에 자동관측된 수위자료를 대입하여 하천과 지하수계 상호간 유동량의 연속적인 변화를 산정한 결과 수막시설재배가 한창인 2월말에는 지하수 이용량의 약 16% 만큼의 하천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013.
        2012.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the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hesperidin content of Jeju-processed citrus fruits according to the harvest date were evaluate. The soluble-solid content, pH, and soluble solid-acid ratios gradually increased , but titratable acidity slightly decreased with a delay in the harvest date. The color index, lightness, yellowness, and turbidity slightly decreased whereas the redness slightly increased with a delay in the harvest date. The hesperidin content slightly decreased with a delay in the harvest date. Hesperidin, which is the major cause of juice cloudiness, decreased with a delay in the harvest date. These results suggest that later-harvested fruit juice is bound to be less cloudy.
        2014.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N and T-P in the filtrate from Sludge Treatment Process (STP) was returned to water treatment processing, because T-N and T-P are returned, it makes overload in Advanced Treatment Process. Removal efficiency of T-N and T-P are compared both at using polymer as simple method and at using PFS and polymer as complex method when coagulants was injected in Thickener. In simple method, removal efficiency of T-N and T-P were 95.68% and 99.29% for each. In complex method, removal efficiency of T-N and T-P were 98.07% and 99.90% for each. From the result, removal efficiency of complex method was highly better than simple method. According to increasing of removal efficiency, returned T-N and T-P loading to water treatment process was decreased (Reduced amount of T-N is 0.2309 kg/hr and TP is 0.0145 kg/hr). Also, the amount of a polymer used has been decreased to 80% by using PFS.
        2015.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음파 캐비테이션 현상이란 강한 초음파 조사 조건에서 매질(주로 유체) 내에서 미세기포를 발생시키고, 천이시키는 물리적 현상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 캐비테이션 발생량의 정량적 평가를 위하여 초음파 조사조건에 따른 기포군의 초음파 음향 특성변화를 관찰하였다. 중심 주파수가 500 kHz. 1.1 MHz인 곡면형 단일 초음파 변환기를 이용하여 캐비테이션 현상을 발생시켰으며, 형성되는 기포군을 가로지르는 2.25 MHz 간섭 초음파를 송/수신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캐비테이션 발생량 평가를 위한 파라미터로 투과하는 파의 중심주파수 변화 및 감쇠 특성, 전파시간을 제시하였으며, 캐비테이션 발생 조건(조사 강도 및 여기 신호, 중심주파수)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였다. 획득된간섭 초음파 수신신호를 분석한 결과, 중심 주파수의 변화의 경우 상관계수는 낮지만 조사 강도에 따른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정 조사 조건에서 주목할 만한 급격한 중심 주파수 변화가 관찰되었다. 조사조건에 따른 간섭 초음파의 감쇠 추세는 모든 조건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캐비테이션 발생형태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사조건에 따른 전파 시간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차후 다양한 조사조건에 대한 평가를 통하여 보다 정량적인 캐비테이션 발생량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정량적 평가는 고강도 초음파 치료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현상에 대한 기초 연구로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2016.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impact of a considerable increase in traffic volume on the emission and concentrations of air pollutants was investigated at three beaches (Haeundae (HB), Gwanganri (GB), and Songjeong (SB)) in Busan during beach opening period (BOP) in 2011. During the BOP, passenger car was the major vehicle type, followed by taxi, and van. CO was the major contributor of total air pollutant emissions followed by NOx, VOC, and PM10. For the temporal variation of the emission of air pollutants during the BOP, it was generally the highest in the afternoon followed by the evening and morning, except for SB. For the spatial variation of their emission, it was the highest at GB followed by SB and HB. The emissions of air pollutants during the BOP were generally higher than those during the Non-BOP, except for HB. In contrast, the significant impact of the traffic volume increase on the concentrations of air pollutants at monitoring sites near the three beaches during the BOP were not found compared to the Non-BOP due to the significant distances between monitoring sites of air pollutants and monitoring sites of traffic volume at the beaches.
        2017.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n the basis of the potentials for the growth of local economy and the result of investigation of the ocean space development status, an ocean resort complex was proposed at the small harbor with a parallel beach in the east coast of Korea. As the development plan needs to reclaim the noticeable amount of coastal water area together with the applied shore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ir impacts. Here, it was intended to analyze the coastal environment change such as water circulation and bottom change because of the development plan. A horizontal two-dimensional numerical model was applied to represent the combined impact of wind waves and tidal currents to sediment transport in that coastal region. Based on the result of 30 days tidal current simulations considering major four tidal components of M2,S2,K1 and O1 for the upper and lower boundaries and wind field data, bottom change was discussed. Flow velocities were not changed much at outer breakwater of Yangpo harbor. Bottom was eroded by maximum 1.7m after construction but some locations such as lee side of outer breakwater and some islets near the entrance shows isolated accretions. Although it needs more field observations for bottom change in the period of construction, the numerical calculation shows that there exist small impacts near the entrance area and coastal boundaries because of the development.
        2018.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검정찰옥수수 교잡계와 그의 자식계통들에 대해 수분 후 일수가 늘어남에 따라 옥수수 알맹이의 총안토시아닌 함량과 항산화 활성의 변화 양상을 구명하고 육종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2009년 31개의 검정찰옥수수 자식계통의 총안토시아닌 함량은 평균 52.3 mg/100 g 이었고 KBW39가 173.3 mg/100 g으로 가장 높았으며 KBW1 등 4개 계통의 총안토시아닌 함량은 150 mg/100 g 이상이었다.2010년 33개의 검정찰옥수수 교잡계의 총안토시아닌 함량은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증가하였고 항산화 활성 역시 안토시아닌 축적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상관분석 결과 0.64의 정의 상관을 보였다.2011년 자식계통과 그의 교잡계의 총안토시아닌 함량과 항산화 활성의 변화는 2009년과 2010년에서 본 결과 총안토시아닌 함량, 수분 후 일수에 따른 변화 양상, 항산화 활성 등에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기상환경에 따른 안토시아닌 축적의 변화와 안토시아닌 이외의 항산화물질들 함량변화와 관련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총안토시아닌 함량은 KBW2/KBW39의 교배조합이 120 mg/100 g으로 가장 높았고 모본과 부본 역시 각각 118.1 mg/100 g, 195.0 mg/100 g으로 함량이 높았다.총안토시아닌 함량과 Hunter’s Lab 값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명도는 총안토시아닌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상관분석결과 상관계수가 2010년에는 -0.8456, 2011년에는 -0.9050으로 고도로 높은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2019.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construct a rural development strategy from the nexus between spatial changes in specialized crops and suitable cultivation area of the crops. This paper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identify product life cycle of specialized crops in rural areas and estimate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alterations in spatial distribution of the crops. In order to do so, first of all, this study applies multi-level model (Random coefficient model) to estimate the regional coefficient of five orchard crops. It utilizes the data 1995 to 2010 Korea Agricultural Census. Futhermore, it also adopts overlay analysis by ArcGIS to identify the development path of the crops and the relationship with climate change. Based on the results, it suggests a mechanism activating regional agriculture. The findings propose re-searching and relocating specialized regions of the crops. Especially, it proves each rural area can drive the new agricultural strategy to strengthen regional agriculture by estim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 of specialized crops and suitable cultivation areas. For instance, shifting specialized crops in particular regions and enriching genetic or species varieties can be primary measures and it will contribute to improve the reliable base for income sources in the rural communities. This paper also offers specific policy implications regarding rural development plans in response to crops' life cycle and climate changes.
        2020.
        2012.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ince the development of surface magnetic features should reflect the evolution of the solar magnetic field in the deep interior of the Sun, it is crucial to study properties of sunspots and sunspot groups to understand the physical processes working below the solar surface. Here, using the data set of sunspot groups observed at the ButterStar observatory for 3,364 days from 2002 October 16 to 2011 December 31, we investigate temporal change of sunspot groups depending on their Zürich classification type. Our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re are more sunspot groups in the southern hemisphere in solar cycle 23, while more sunspot groups appear in the northern hemisphere in solar cycle 24. We also note that in the declining phase of solar cycle 23 the decreasing tendency is apparently steeper in the solar northern hemisphere than in the solar southern hemisphere. (2) Some of sunspot group types make a secondary peak in the distribution between the solar maximum and the solar minimum. More importantly, in this particular data set, sunspot groups which have appeared in the solar southern hemisphere make a secondary peak 1 year after a secondary peak occurs in the solar northern hemisphere. (3) The temporal variations of small and large sunspot group numbers are disparate. That is, the number of large sunspot group declines earlier and faster and that the number of small sunspot group begins to rise earlier and faster. (4) The total number of observed sunspot is found to behave more likewise as the small sunspot group does. Hence, according to our findings, behaviors and evolution of small magnetic flux tubes and large magnetic flux tubes seem to be different over solar cycles. Finally, we conclude by briefly pointing out its implication on the space weather foreca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