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 we all know Ondol has been the most efficient and comfortable heating system of the rural residence in the Northeast of China for hundreds of years. But recently, through field survey, it was found that some country people replace the Ondol with homemade heating blindly. The result of this replacement is that heating effect of residence in winter is worse. And at the same time, it aggravates air pollution and increases heating payout. According to our real situation of energy sources reserv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economic income of rural people, it is not only inpractical but also unreasonable, that in the northeast of China Ondol is replaced by homemade heating completely in winter. Ondol has its unique heating and hygienic efficacy. And it stands for cultural tradition and life custom of the country's cold areas. So we should improve Ondol combining resident structure and material. And it can make the Ondol system flourish with vigor and promot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country's traditional Ondol residence.
This paper reports the application of Wood's national policy framework (Wood, 2002) to the use of computers in Chinese schools in order to evaluate the impact of and reaction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 policy on the future of schooling and society. With its highly centralized system of schooling, the "centralized regulation of schooling" scenario is considered to be sufficiently close to enable current ICT policy and possible future developments to be examined. The analysis arising/rom Wood's framework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developing countries, such as China, which have limited funding and experience to address the range of issues relating to ICT integration. 81
이 논문은 중국에서의 한자 字源을 활용한 한자 교육 방법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평가를 통해 우리나라 한자 교육에의 응용 방안을 찾아보는 데에 목적을 둔다. 전통 시대의 漢字學연구에 있어서 字源의 개념은 ‘한자의 本源으로서, 새로운 한자를 파생해 낼 수 있는 獨體字’를 뜻하는 것으로 이해되었으며, 이는 許愼의 說文解字 와 鄭樵의 六書略 에서 제시한 ‘文’의 개념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現代漢字學의 관점에서는 ‘한자의 가장 원시 형태에서 파악되는 造字의도 및 構成원리’로 자원의 개념이 재정립되었다. 중국에서는 자원을 활용한 한자 교육 방법이 교과서 및 각종 참고서적에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현재 北京에서 사용되고 있는 小學 語文 교과서를 검토해 보면, 저학년 단계인 1~2학년 과정에서 주로 한자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자원을 활용한 한자 학습은 대부분 造字원리가 분명하고 상형성이 뚜렷한 독체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漢語字源字典 , 漢字源流字典 , 學生萬能智力字典 등 한자의 자원 설명을 위주로 하는 참고서들이 출판되어 한자 학습에 도움을 주고 있다. 중국의 여러 가지 識字敎育방법론 중에서 자원을 활용하는 방법의 대표적인 것으로 ‘字理識字法’이 있다. 여기서 ‘字理’란 ‘한자의 構形규칙 및 造字원리’를 뜻하는 것이며, 자리식자법에서는 이러한 字理에 근거하여 한자 교육을 진행해야 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이상 중국에서의 한자 교육 현황을 살펴볼 때, 자원을 활용한 방법은 매우 유용한 학습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다. 필자의 견해로는, 한자의 자원에 대한 정확한 해석에 바탕한 한자 교육을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난해성 및 비효율적 측면은 교사가 융통성 있게 해결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자원을 활용한 방법은 상형성이 뚜렷하면서 자원과 현재의 자형이 형태적 연관성을 가지는 한자를 학습하는 경우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consumption cultures between Korean and China by analysing the consumption life style.<BR> This study extracts clothing habits, eating habits and shopping patterns from consumption life style and distributes 588 questionnaires to university students of Korea and China.<BR>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BR> There are no differences of fashion orientation and convenience orientation about clothing habits, planned buying orientation, impulsive buying orientation and new product buying orientation about shopping patterns between Korea and China. But there are differences of personality orientation about clothing habits, healthy food orientation and convenience food orientation about eating habits, famous brand buying orientation, internet buying orientation and environment protection product buying orientation about shopping patterns between Korea and China.<BR> The results offer suggestions to international marketers that different marketing strategy is very necessary according to different consumption cultures.
‘계몽’은 몽매함을 타개하여 사리를 밝힘을 의미한다. 중국에서 그것이 하나의 거대한 움직임으로 중국사에 적극적으로 간여하고 사회 흐름의 물꼬를 바꿔 놓은 것은 근대시기에 이르러서였다. 그러나 또한, 前代의 짧지 않은 세월 동안 자국 문화에 대한 근원적 회의와 성찰이 이어져 왔으니, 이것이 내부 요인이 되고 근대적 충격이 외부 요인을 이루어 중국 특유의 계몽사상이 형성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사상의 변화와 혁신은 필경 문학의 변혁을 동반하기 마련이니 계몽의 흐름은 문학 저변의 다양한 변화를 가져왔다. 본 논문은 중국문학의 흐름에서 면면히 이어져온 ‘載道’적 성격 즉, ‘계몽’에 중점을 두어 고전에서 현대에 이르는 ‘계몽성’의 맥을 살피고자 한다.
Korea is closed to China in the geographical position and is related to China as two countries have developed similar culture, art, and social systems. Architecture is a kind of culture and has advanced in the wooden architecture with a considerable change. The study investigated a phylogenetic relationship between two countrie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universality. With comparison and analysis on the common feature and difference of the beam and structure in the wooden architecture from the Koryo and Zhejiang Province(China), the systemicity of the wooden architecture was examined. The beam is a part of timber which is consist of the wooden structure frame and also a crucial subject to understand a development process of the wooden architecture.
Through the review of developing course of China cemented carbide industry, the writer of this paper at the first time generalizes it into five stages. The writer analyses China cemented carbide industry present status in aspects of produce technology, product structure, operation and management etc. Mean while by analysis of existed shortages in cemented carbide industry, the write considers that it also has three advantages in resource and scale, industry foundation and categories, market and price, and brought out some suggestion and imagination for the future develpment of China cemented carbide industry.
China's PM has made great progress both i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new materials and large scale production, and has played a more and more important role in the world powder metallurgy industry. In this paper, the status quo of advanced PM materials, and traditional PM industries in China, will be discussed.
In the viewpoint of engineering, materials problem is a key problem, which determines whether the exploitation of fusion energy will be success. The most important class of fusion materials is plasma-facing materials (PFM). W, as high Z high melting-point metal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andidate materials due to its high plasma erosion resistance. Improving the ductility of W and W based alloy, lowering its ductile-brittleness transition temperature for meeting the requirements of fusion application is an important task. In this paper, severalpowder meatllurgy methods of fabricating W and W based materials are being investigated.
We report a species of the tribe Eucosmini belonging to the family Tortricidae for the first time from China: Semnostola magnifisa (Kuznetsov) and add four species for the Northeast Chinese fauna: Ancylis badiana (Denis et Schiffermüller), Blastethia turionella (Linnaeus), Eucosma aemulana (Schläger), and Sillybiphora devia Kuznetsov. Also Rhopalovalva grapholitana (Caradja) is recorded for the first time from the Province Heilongjiang. Adults and genital characteristics for species are redescribed and illustrated. All available information for their host plants and distributional ranges are given.
Twenty-six species of the subfamily Herminiinae were recognized from the lepidopteran surveys in Mt. Changbai (China) during 1999-2004. Among them, six species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China: Paracolax fascialis (Leech), P. fentoni (Butler), Polypogon gryphalis Herrich-Schäffer, Sinarella japonica (Butler), S. punctalis (Herz), and S. cristulalis (Staudinger), and seven species are new to Mt. Changbai: Hadennia incongruens (Butler), Paracolax tristalis (Fabricius), Paracolax trilinealis (Bremer), Idia quadra (Graeser), Hydrillodes morosa (Butler), Herminia grisealis [Denis & Schiffermüller], and Sinarella nigrisigna (Leech). For the six newly reported species from China, taxonomical notes, color images of adults, and figures of the male or the female genitalia are provided.
1994년 "유엔해양법협약" 의 발효로 새로운 국제해양법제도가 확립되면서 세계 각국은 통일적인 해상집법체제를 구축함으로써 관할해역에 대한 종합적인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은 아직 전통적인 분산형 산업관리체제를 유지하고 있어 기존의 해상집법역량은 날로 확대되는 국가주권과 해양권익의 수호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 중 일 3국의 해상집법체제를 비교 고찰하고 중국해상집법체제의 주요 문제점을 분석한 후, 해경을 중심으로 한 통일적인 해상집법체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동중국해 외대륙붕 지역에 분포하는 니질퇴적상의 기원지를 밝히기 위해 이곳 니질퇴적물의 지화학적 조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황하 및 양자강 퇴적물의 자료와 비교 검토해 보았다. 연구지역 표층퇴적상은 니토 퇴적상이 분포하는 중앙부지역과 사질니토 퇴적상이 전역에 넓은 분포를 보인다. 퇴적물내 Fe, Mg, K, Ti 및 Mn과 같은 주성분 원소와 미량원소 함량은 Al과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 퇴적물내 점토광물이 이들 원소 농도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의미한다. 주성분원소들의 공간분포에서 Fe, Ti 및 Mn원소는 양자강하구역과 가까운 중앙부 서쪽지역에서 높은 함량을 보여 양자기원 물질이 유입되고 있음을 추론케 한다. 연구지역 니질퇴적물의 Sc/Al, Ti/Nb, Th/Sc, Cr/Th, Nb/Co 및 Th/U 비는 황하와 양자강 기원의 퇴적물을 구분해주는 유용한 지화학적 지시자로 제시될 수 있었다. 이들 원소의 상관도에서 연구지역의 북쪽에 분포하는 니질퇴적물은 황하기원 퇴적물과 유사한 특징을 보이나, 양자강 하구역과 가까운 남서쪽의 퇴적물은 양자강 퇴적물과 유사성을 보여 동중국해 외대륙붕의 니토 퇴적상은 복합기원 퇴적물의 집적되고 있음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