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2

        181.
        2017.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nalyzes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levels of Godulbaegi (Youngia sonchifolia M.) depending on collection time. The moisture and crude fat content in leaf and root decreased, while crude fiber, crude protein, carbohydrate, and ash increased with increases in collection time. The mineral elements tended to increase in each sample with increases in collection time. The content of vitamin B increased as collection time increased. Vitamin C content was approximately five times higher in the leaves than that in the roots. Total amino acids in leaf and root increased considerably as collection time increased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in root were higher than that in the leaf and these contents increased. Antioxidant activity of Godulbaegi was higher in the root than in the leaf and increased as collection time increased.
        182.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음식물류 폐기물은 높은 수분 및 유기물 함량으로 인해 쉽게 부패되며, 그 과정에서 TVOC 및 황화수소 등 많은 종류의 악취와 다양한 미생물들이 발생한다. 황계열 및 TVOC 와 같은 악취물질은 수거용기 내부에서 발생하여 생활악취 민원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음식물류 폐기물을 버리고 부패되는 과정에서 부유미생물이 발생하여 병원성 세균감염 및 알레르기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음식물류 폐기물의 악취 및 부유미생물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나 이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음식물류 폐기물에서 발생하는 악취 및 부유미생물은 계절, 기온, 재료에 따라 많은 차이가 생겨 처리장치의 설계인자를 도출하거나 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처리장치의 설계 및 성능평가를 위해 성상이 비교적 일정한 표준화 된 음식물류 폐기물의 제조가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서 규정한 ‘음식물쓰레기 감량기기, 종량기기 가이드라인(2014)’의 중량비율을 참고하여 채소류, 과일류, 곡물류, 어육류 및 함수율을 조정하여 표준화 된 음식물류 폐기물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음식물류 폐기물의 부패기간에 따른 TVOC 및 복합악취, 부유미생물의 발생 경향을 파악함으로써 처리장치의 기초설계 인자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실험실에서 제조한 음식물류 폐기물의 부패기간에 따른 악취 및 부유미생물의 농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12시간 간격으로 TVOC, 복합악취, 부유미생물의 농도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TVOC, 복합악취, 부유미생물 농도가 60시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최대농도는 TVOC 86 ppm, 복합악취 3000배, 부유미생물 2517 CFU/m³로 측정되었다. 그리고 72시간 부패 후 TVOC 농도는 84 ppm이 측정되어 소량 감소되었지만 복합악취와 부유미생물의 농도는 복합악취 1000배, 부유미생물 1700 CFU/m³로 측정되었으며 확연히 감소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183.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는 현재 지방자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지방자지제도란 일정한 지역을 바탕으로 하는 단체 혹은 해당지역의 주민이 스스로 산출한 기관이 해당 지방의 행정을 관할하는 제도이다. 그렇기에 지방자치단체(이하 지자체)에서 발생하는 생활폐기물의 수집운반 업무의 책임 또한 해당 지자체의 장이 지고 있다. 생활폐기물 수집운반 업무는 각 해당 지자체가 직접 조직을 구성하여 운영하는 이른바 직접운영과 민간업체에 해당 업무를 위탁하여 진행하는 위탁운영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직영은 각 지자체가 직접 수집운반에 소요되는 비용을 지불하고 있으나 위탁의 경우 앞서 언급한 직영과는 조금 다른 비용지불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는 업무의 효율과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공개입찰제를 시행하고 있는데 이 과정을 통해 선정된 폐기물 수집운반업자에게 비용을 지불하고 해당 업무를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해당 업무에 필요한 예산은 지자체가 임의로 배정하는 것이 아니라 지자체 혹은 폐기물 수집운반 업자가 아닌 제 3자가 계상하고 있으며 제 3자가 비용의 계상시에도 지자체가 비용을 지불하고 있는데, 이를 추산해본 결과 전국적으로 매년 약 25억원을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여 본 연구의 목적은 매년 생활폐기물 수집운반업무의 민간위탁시 원가산정으로 낭비되는 비용을 저감키 위함이다. 이를 위해 각 지자체의 폐기물 수집운반 원가산정 보고서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폐기물 수집운반 원가는 해당 업무에 소요되는 시간을 산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건비, 장비 사용료 등을 계상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하여 생활폐기물 수집운반 소요시간 산정모델을 개발하였다. 수집운반에 소요되는 시간을 산정하면 이를 바탕으로 수집운반 소요원가를 산정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요시간만 산정하는 모델을 개발한 이유로는 각 지자체마다 각기 다른 기준을 적용하여 생활폐기물 수집운반 소요원가를 산정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본 연구를 진행키 위해 폐기물 수집운반 현장조사를 진행하기로 하였으며, 대상지역을 선정하였다. 선정기준은 인구밀도이며 국내에 존재하는 모든 지자체의 인구밀도를 각 지자체에서 발간하는 ‘통계연보’를 통해 수집하였다. 이후 이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하고 상위에서 25%씩 총 4그룹으로 분할하였다. 그리고 각 구간별 인구밀도의 평균과 가장 가까운 지자체 총 12개가 선정되었다. 그리고 지자체별 폐기물 수집운반업체를 찾아 폐기물 수집운반 차량에 GPS를 장착하고 추적조사를 통해 차량이동 궤적, 이동소요시간, 이동거리를 수집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차량종류, 작업원 수, 폐기물 수집량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정보 중 폐기물 수집소요시간에서 폐기물 수집량을 나누어서 단위생활폐기물 수집소요시간(hr/ton)을 구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이것과 다른 데이터들의 상관관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진행하였다. 그 결과 단위생활폐기물과 가장 유의성이 높은 인자는 주택밀도(호/km²)로 분석되었고 단위생활폐기물 수집소요시간과 주택밀도와의 회귀분석식을 통해 나타난 식을 이용하여 생활폐기물 수집운반에 소요되는 시간을 산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184.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남명집󰡕의 간행이 언제 처음 이루어졌느냐 하는 것은 이미 전병윤과 오이환, 김윤수의 논문에서 1602년이냐 1604년이냐의 논란이 있어 왔다. 이에 대해 이 상필이 󰡔南冥學硏究󰡕 30집(2010.12.31간행)의 「󰡔南冥集󰡕 初刊年代 辨證」이란 논문에서, 󰡔남명집󰡕의 초간은 남명의 문인 정인홍이 그 서문을 쓴 1604년 8월 이라 볼 수밖에 없으며, 그 뒤 목판이 불타 관찰사 柳永詢의 도움으로 다시 판 각되어 간행되었다는 그 판본을 병오본으로 명명하게 되었음을 밝힌 바 있다. 이번에 발견된 이 책은 바로 그 병오본으로서, 제1권이 한 책으로 장책되어 있고, 제2권과 제3권(부록)이 한 책으로 장책되어 있다. 제1책은 서문 3장, 남 명행장 9장, 남명비문 6장, 제1권 37장 등 모두 55장으로 되어 있다. 제2책은 제2권 88장, 제3권 36장 등 모두 124장으로 되어 있다. 지금까지 발견된 󰡔남명 집󰡕으로서는 最古本이며 完帙本이다. 이 병오본과 기유본을 대조하여 병오본의 내용을 기유본에서 어떻게 고쳤던 가 하는 점을 낱낱이 살펴본 결과 그 의의는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첫째는 병오본에서 기유본으로 바뀌면서 112곳에서 수정이 이루어졌다는 점 이다. 전병윤과 오이환은 28곳에서 수정이 이루어졌다고 하였으나, 같은 곳에 서 84곳이 더 발견되었고, 그들이 보지 못했던 2권 마흔다섯 장에서 28곳을 발 견함으로써, 그 사이에 변화된 곳이 모두 112곳임이 드러난 것이다. 둘째는 단순한 오자 수정이 72곳에서 이루어졌고 이들은 대체로 수정될 만한 것을 수정했다고 하겠으나, ‘先乘霽日’의 경우는 재고의 여지가 있고, ‘胤孫’의 경우는 잘못 수정한 것이었다. 셋째로 시 형식과 관련하여 이정한 것 가운데 ‘全身五十年前u’의 ‘五十年’은, 이 판본을 근거로 기존의 ‘四十年’을 수정하여 이를 정본으로 확정할 만하다. 넷째로 문맥과 관련하여 이정한 것은 앞으로의 연구과제가 될 만하다. 이 가 운데서 이미 잘 알려진 것이지만 특히 신명사명의 뒷부분을 완전히 삭거한 것 은 退溪의 指斥을 염두에 둔 결과로 해석된다. 그리고 退溪에게 ‘獨立之地’라고 한 것이라든지, 權應仁에게 五柱를 보내어 자신의 임종 시기를 알아보게 한 편 지라든지, 異姓養子를 분명히 기술한 것이라든지, ‘江樓’ 시를 보각한 것 등은 앞으로 연구의 한 부분으로 인용될 만한 것이다.
        185.
        2016.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tudy aimed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sterile bag collection (SBC) urinalysis and urine culture for diagnosing urinary tract infections (UTI). Urine culture is key for diagnosing UTI, and transurethral catheterization (TUC) or suprapubic aspiration is recommended for non-toilet-trained children. Although urine testing using SBC is non-invasive and easy, UTI can be diagnosed only if other criteria including clinical symptoms and positive urinalysis results are met. This study included 228 infants who were hospitalized for unexplained fever from October 2015 to June 2016. TUC culture, SBC urinalysis, and urine culture were performed for all patients. UTI was diagnosed when the TUC culture results met the criterion of ≥104 colony-forming units (CFU)/mL. When UTI diagnosis was made based on SBC urine colony counts ≥105 CFU/mL, the false-positive and false-negative rates were 6.3% and 70.0%, respectively. When the criterion was set as ≥104 CFU/mL, they were 23.7% and 30.0%, respectively. When both the criteria of ≥105 CFU/mL and positive urinalysis results were met, the false-positive rate was 2.4%, and the false-negative rate was 80%. Our results suggest that diagnosing UTI using SBC urinalysis and urine culture is not useful in infants with unexplained fever.
        186.
        2016.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는 2012년을 기준으로 약 1,300여개소의 군부대 사격장, 15개 경기 사격장, 17개 레져용 사격장, 미군부대에서 사용하는 95개 훈련장 사격장이 운용되고 있다. 최근 국방부와 환경부가 공동으로 19개 사격장을 대상으로 토양 오염도를 조사한 결과를 보면, 모든 사격장의 토양이 발사된 탄두의 영향으로 납, 구리, 크롬 등의 중금속으로 심각하게 오염된 사실이 확인된 바 있다. 토양 중 중금속의 존재 형태는 여러 가지로 나타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탄피의 작은 알갱이 형태인 중금속 분말 형태와, 분말로 용출되어 토양입자에 흡착 또는 침전물 형태의 복잡한 화합물로 존재한다. 유기물과는 달리 중금속은 장기간 경과 후에도 그 양은 변화지 않으며, 단지 주변 조건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다양한 모습으로 존재한다. 대표적인 처리방법에는 물리적, 화학적 방법에 의한 분리 기술과 고정화 또는 안정화 방법에 의한 위해성 저감 등이 있다. 기존 사격장의 중금속오염 토양의 정화를 위하여, 소석회와, 석회석으로 구성된 연속 칼럼 반응조를 통과시킨 다음, pH를 중성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pH 조정조를 통과시키는 지하수의 정화방법(시트르산, 아세트산, 옥살산과 같은 저분자 유기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용출제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토양 중에 투입하여 중금속을 부착시킨 후 제거하는 중금속 오염 토양의 정화방법) 등이 제안되어 왔으나, 이들 방법은 모두 사후적 정화방법에 관한 것으로 완전한 정화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정화에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발사된 탄두를 연소 및 화재의 위험과 토양의 중금속 오염 없이 재활용이 가능한 피탄 받이용(탄두회수용) 충진재 개발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탄두를 원형 그대로 회수함에 따른 고비용 탄두의 재활용이 가능하며, 탄두에 의한 토양 중금속 오염문제를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87.
        201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trend for the installation of pipeline waste collection systems for household waste in the massive complexes of new houses in Korea. This trend is attributed to the advantages of the system, which can reduce traffic congestion and keep the residential areas clean. The system also prevents odors and facilitates the easy discharge of waste by residents any time. However, several problems have been identified, whereby th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osts of the system are considerable and the system does not support separate discharge of recyclable wastes. For example, residents normally discharge food waste separate from disposable municipal solid waste at the waste drop, but some of the systems mix them at the bottom and transfer them together, which goes against resources recirculation, an important point of current waste management principles. Investigation into other countries’ experiences of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these systems will be a good lesson for Korea. Therefore, we studied Japan’s case, because they have a number of these systems between the 1970s and early 1990s as government-subsidized model projects led by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owever, it was done at a time when the reduction of discharge of wastes and recycling were not considered significant owing to rapid economic development, only focusing on the convenience of waste collection and transportation. Furthermore, energy consumption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were not priorities to be considered. Now that the systems are not suitable for the current resource recycling-oriented society, none have been installed since 2002, and many facilities have been closed already, with a few facilities operating with difficulties. Therefore, the installation of pipeline collection systems for household waste should be further considered with appropriate measures to avoid the precedent experiences of Japan.
        188.
        2016.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ranioplasty following decompressive craniectomy is regarded as a relatively simple and safe procedure to protect the brain and improve neurological function. However, some serious complications, such as infection, hematoma, bone resorption, seizure, and epidural or subdural fluid collection may develop after cranioplasty. Among these complications, epidural fluid collection after cranioplasty is not well described and with limited reports on the same. Here, we report recurrent epidural fluid collection after cranioplasty, eventually necessitating the removal of the bone flap. This study discusses the possible pathological mechanisms of this undesirable complication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189.
        2016.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conducted to get current state of data collection and utilization of the trees damaged by pine wilt disease, and to efficiently collect and utilize of the trees damaged by the pine wilt disease and abandoned fumigation-treated trees at forecasts. The method to control pine wilt disease damaged area is mostly fumigation treatment system, and there is no collection and utilization of damaged trees because of absence of efficient collection system, lack of collection cost, and absence of policy, etc. A survey is conducted that asked about the satisfaction degree for the trees damaged by pine wilt disease collection and use divided into 6 topics. It was positively recognized that the need and problem of the trees damaged by pine wilt disease, and results and satisfaction of forestry mechanization while it was mostly negatively recognized that the policy satisfaction for prevention and collection, satisfaction of collection and use, collection and forestry mechanization, and satisfaction of foundation equipment for forestry mechanization, etc. As a result of path analysis, it is necessary to promote a high-tech forestry mechanization to improve satisfaction level of results and satisfaction of forestry mechanization for the trees damaged by pine wilt disease collection and utilization, it is also need to make an effort in various ways for improve satisfaction level of satisfaction of collection and utilization.
        190.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WAS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provides a useful to associate phenotypic variation to genetic variation. It has emerged as a powerful approach for identifying genes underlying complex diseases or morphological traits at an unprecedented rate. Despite benefits, there are only a few examples applied in crop plants due to lack of effective genotyping techniques and well prepared resources for developing high density haplotype maps. In this study, 350 core accessions selected from almost 5,000 Capsicum accessions were used for GWAS. We are planning to construct a high-density haplotype map using GBS platform and perform GWAS for various agronomic traits including fruit traits and metabolites related to pungency to identify genes controlling the traits. These results will not only provide a list of candidate loci but also a powerful tools for finding genetic variants that can be directly used for crop improvement and deciphering the genetic architecture of complex traits.
        191.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esame (Sesamum indicum L.)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oilseed crops with high oil contents and rich nutrient value. The development of a core collection could facilitate easier access to sesame genetic resources for their use in crop improvement programs and simplify the genebank management. The present study was initiated to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core collection of sesame based on 5 qualitative and 10 quantitative trait descriptors on 2,751 sesame accessions. The accessions were different countries of origin. About 10.1 percent of accessions were selected by using the power core program to constitute a core collection consisting of 278 accessions. Mean comparisons using t-test, Nei’s diversity index of 10 morphological descriptors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traits indicated that the existing genetic variation for these traits in the entire collection has been preserved in the core collect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ill provide effective information for future germplasm conservation and improvement programs in sesame.
        192.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상 강우자료의 공간 변동특성은 돌발홍수 예측의 정도를 결정짓는 중요한 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상 강우관측망의 공간적 분포특성이 레이더 보정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지상 강우관측소의 공간적 분포와 레이더 강우의 보정은 최근린 지수와 G/R 비를 이용하였으며, 이를 평창강 유역에 적용하였다. 대상유역 내에는 총 23개의 강우관측소가 위치해 있으며, 이중 10개의 강우관측소를 무작위로 선택하였다. 이때 선택된 강우관측소 조합(총 1,144,066개)을 최근린 지수를 이용하여 공간분포가 가장 좋은 경우와 가장 왜곡된 경우로 구분하고, 각 경우에 대한 레이더 보정 결과를 비교하였다. 보정된 레이더 강우와 지상 강우관측소의 차이는 ME(Mean Error)와 RMSE(Root Mean Squared Error)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공간분포가 우수한 경우 ME와 RMSE가 공간분포가 왜곡된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분석됨을 확인하였다. 이는 레이더 강우보정에 있어 유역내의 관측소의 개수뿐만 아니라 유역내의 관측소의 공간분포 역시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즉, 유역내의 관측소의 개수가 많더라도 공간적으로 왜곡된 경우 적절한 레이더 보정이 힘들어 지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공간적으로 잘 분포된 강우관측망을 이용하여 레이더 강우를 보정할 경우 편의와 불확실성은 유역 내 전체 지상 강우관측소를 이용한 경우만큼이나 충분히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대상 강우관측소의 개수를 10개소로 한정하여 분석한 결과로 현재로서는 몇 개의 강우관측소를 선택하였을 때 레이더 보정 있어 가장 유리한지는 파악하기 쉽지 않다. 일반적으로 레이더 보정시 유역 내 전체 강우관측소를 대상으로 하는데 유역내의 전 강우자료를 적용하는 게 과연 적절한 방법인지에 대해서는 추후 논의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본 연구의 성과는 기상관측소의 제한된 여건 속에서 관측망의 효율적 운영을 통해 강우자료의 품질 향상과 더불어 홍수예경보 시스템의 질적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거라 판단된다.
        193.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ybean (Glycine max L.) is crucial legume crop as source of high quality vegetable protein and oil, and Korea is regarded as a part of center of soybean origin. To expand the information of conserved genetic diversity, we analyzed the genetic variability of soybean collection mainly introduced Korean accessions using 75 microsatellite markers. A total of 1,503 alleles with an average value of 20.0 alleles were detected among 644 accessions. Korean collection revealed average allele number of 13.4 while Chinese, Japanese and Southeast Asian accessions showed 9.0, 5.4 and 6.5 mean alleles, respectively. Especially, Korean accessions showed more number of private allele per locus as 3.4 contrary to other geographical groups. The mean expected heterozygosity and polymorphic information content was 0.654 and 0.616, respectively, and expected heterozygosity values were not significantly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geographical groups. The phylogenetic dendrogram and deduced population structure based on DNA profiles of 75 SSR loci showed Korean accessions formed distinct gene pool against Chinese accessions, and could be divided into five subpopulations. Korean soybean accessions have specific genetic diversity and might be serve the valuable alleles for bio-industry as a part of the center of soybean origin.
        194.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apsicum diversity is getting lower in modern crops because of the genetic erosion. In Capsicum, breeders have been mainly focused on agriculturally important traits such as disease resistances, high yield and pungency. This narrow breeding pool hampered to develop improved cultivars. It has become a hot issue to conservation of genetic diversity and exploitation of wild germplasm in Capsicum. However, although a large number of accessions are maintained in Capsicum germplasm collections, their use for crop improvement is limited by the scarcity of information on genetic diversity, population structure and proper phenotypic assessment. The identification of representative and manageable subset of accessions would facilitate access to the diversity available in large collections. A genome wide germplasm characterization using molecular markers can offer reliable tools for adjusting the quality and representativeness of core samples. We investigated patterns of molecular diversity at 48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in 4056 accessions from 11 Capsicum species from 89 different countries. Using these genetic variations and 32 different morphological traits, 250 core set was selected in whole Capsicum germplasm. The core collection could be a primary source for distributing germplasm to pepper breeders and other national programs as well as for evaluation
        195.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네덜란드 와게닝건대학 식물육종연구실에서는 배추과 채소들을 형태적 지리적 근원을 찾아 대표 형태형을 나타 내는 수집단을 분류하는 Core Collection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배추과 채소들은 대부분 Heterogeneous 하고, Heterozygous 하기 때문에 본 실험실에서는 와게닝건 대학으부터 배추과 채소 중 8개의 형태형을 나타내는 19계통 (Chinese Cabbage 3계통, Chinese Turnip Cabbage 2계통, Pak Choi 3계통, Turnip 5계통, Broccolleto 3계통, Mizuna 1계 통, Komatsuna 1계통, Turnip green 1계통)을 분양 받아서 소포자배양을 진행 하였다. 소포자배양를 진행한 결과, 8 가지 종들 중, Komatsuna 와 Turnip Green을 제외한 6종에서 모두 배의 발생을 유도 할 수 있었고, 유도된 배들은 식 물체로의 재생을 위해 MS배지에 옮겨졌고, 토양순화, 저온처리 의 과정을 거쳤다. 이들 6종들 중 Broccolleto를 제 외한 5종에서 채종이 가능하였다. 배추과 채소의 Core Collection을 위한 19계통의 소포자배양 결과, 10계통에서 배 가 유도되었으며, 발생된 배의 개체 수에는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나, MS 배지로 옮겨진 배들은 10계통 모두에서 정상적인 뿌리를 형성한 Adventitious shoot가 재생되었고, 토양에 4주 이상 적응한 식물체를 획득할 수 있었다. 10 계통 중 2계통을 제외한 8계통이 4주 동안 저온처리의 과정에 적응하였고, 이들 중 7계통에서 채종과정을 거쳐 종 자생산에 성공하였다.
        196.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lucosinolates of Brassica rapa collection from Korea genebank were measured to determine total glucosinolate content and their variation of diverse glucosinolates; Around 100 accessions representing the different morphotypes and geographical origin of Brassica rapa were analysed.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differences among morphotypes using the profiles of 14 glucosinolates identified from the leaves. DMRT test and box plot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otal glucosinolates of subspecies. Most of turnip accessions had higher gluconilates compared to the other type accessions, Chinese cabbage and pak choi. These accessions will be used for GWAS study for glucosinolate. Now they are being finger-printed by genotyping by sequencing (GBS). Among these accession, we selected a turnip accession with high amount of glucosinolate, K0466 and two Chinese cabbage accession with low amount of glucosinolate, K0015 and K0621. To analyse quantitative traits loci (QTL) for glucosinolate synthesis, these three accessions were fixed through microspore culture. Finally, six homozygous lines were selected and were crossed each other to make F1 hybrids. We just harvested F2 seeds and transferred doubled haploid plants to pots. QTL analysis for glucosinolate will be performed these F2 and DH population.
        197.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상여건을 고려하여 콩 생육초기에 습해 저항성 자원을 선발하여 내습성 콩 품종의 조기육성 및 유전적 요인을 구명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1.국내 콩 주요 품종 및 보존 유전자원 등 192점에 대한 담수처리에 의한 생존율에 따라 습해 저항성과 감수성으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장백콩, 단백콩, 소원콩, 소청2호, 수원269는 습해 저항성 자원으로 선발되었다. 신록, T181, T201, NTS1116, HP-963은 습해 감수성 자원으로 선발되었다. 2.습해처리에 의해 발현이 증가된다고 보고된 유전자들 APX1, APX2, Adh의 발현을 분석한 결과 유전자들의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이로 미루어 습해처리가 정상적으로 처리되었음을 알 수 있다.3.1차 선발된 습해 저항성 및 감수성 자원에 습해를 처리하였을 때, 저항성 자원은 생존율이 71% 이상, 감수성 자원은 25% 이하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1차 선발된 습해 저항성 및 감수성 자원에 대한 재현성을 확인하였다.4.부정근은 습해 저항성 자원에서 17.3~41.3개, 감수성 자원에서 0~9개를 나타내었다. 습해 감수성 자원에 비해 습해 저항성 자원에서 부정근이 상대적으로 많이 발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5.주근의 길이는 저항성 자원에서는 0~25% 정도 감소한 반면 감수성 자원에서는 44~60%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측근의 수는 감수성 자원에서는 37~65%로 감소하였지만 저항성 자원에서는 8~67% 증가하였다.
        198.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we presents overview of performance qualification and testing method for new OCL (overhead contact line) up to 400 km/h. The track-side and on-board monitoring system are proposed to measure current collection performance. The proposed systems will be capable of measuring abnormal behavior quality of current collection between pantograph and contact wire.
        199.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2nd landfill of Sudokwon landfill site has been collecting landfill gas flowing into vertical wells using the vacuum generated by blowers. The vacuum applied to the wells enables the landfill gas within the collection boundary to be collected and the air in the atmosphere to be penetrated through landfill cover soil, as well. In this study, we tri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active landfill gas collection with vertical wells on landfill aeration. The pressure changes and the compositions of landfill gas, measured at the wells and 4 bore holes made in the landfill for this study, showed the air penetrates the landfill cover and inflows into the vertical wells. The concentration of nitrogen in the landfill gas collected from the 2nd landfill site has been increased to 14 ~ 15% as of February 2013, indicating 18 ~ 19% of the air is being included in the landfill gas.
        200.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limate change has increased the number of floods and inundation on farmland. Recently various mobile applications through inundation mapping, flood forecasts and evacuation routes have been developed for the prevention and reduction of flood damages. However, most of current prevention systems for farmland flooding are still web-based systems relying on the field survey which needs a lot of human and time resources although mobile devices has been rapidly improved and widely u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mobile application for preventing and reducing farmland flood and inundation damages and collecting damage information in real time. We put advanced mobile device functions such as GPS, network communications, cameras into our system design. This system implement 2way communication and intuitive application that will increase information efficiency and decrease flood damage. Our design has been tested through previous flooding data of Jinju city in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