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ly, serious construction site accidents are increasing. At present, the accident rate of the whole industry is 0.5 ('15), while the accident rate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0.75 ('15), which is 50% higher than the accident rate of the whole industry. In order to reduce the accident rate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to the level of the accident rate of the whole industry, there are various methods such as compliance with specifications, drawing and specification, thorough supervision of management, most importantly,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the safety management of construction work is not the work of the builder only, and that it is the task of all participants of the construction work (contractor, designer, builder, construction management). In addition, it should be based on the institutional part to support that. As a part of this, design for safety was introduced to prevent disasters occurrence in construction work. Design for safety was introduced to prevent disasters occurrence in construction work. In this study, we intend to elaborate domestic and overseas institutions and revitalization plans.
Purpose - Not all firms are able to completely eliminate the risk arising out of the crisis. Success hides in the ability to perceive the market expectations accurately and take correct decision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irms’ decisions at gross-root level.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Primary data is obtained with the help of specially designed questionnaires from the agriproducts export firms that are members of export union of Turkey. The study is based on four theoretical structures: general planned behavior theory model, perception-leading behavior control and subjective norm model, perceived-behavioralcontrol leading perception and subjective norm models, and perceptions and subjective norms leading behavior control model. Structural Equation Models (SEM) is used to conduct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 The findings show perceptions and subjective norms leading behavior control model as the best one, concluding that the environmental pressures and positive perceptions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strategic decisions of the agriproducts export firms.
Conclusion - Policy tools like creating positive perception in the markets, providing sufficient information and financial support to the firms and increasing market competition can be used effectively to achieve the said objective.
As the amount payment system have been completed and put into the scale of operation, the China National Advanced Payment System (CNAPS) has achieved initial success, it is an important milestone for China's payment and settlement system in the development history . At present, the people's Bank of China Tianjin branch of modern payment system construction has made great progress, but because the system construction is not fully considered and access to other related systems, leading to some problems still exist in the system development. Therefore, through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bank payment and settlement system, the use of network technology, information technology and integration technology to achieve the bank payment and settlement business, service, publicity, training, management, and applied in the whole jurisdiction, may realize the business innovation, improve the level of bank management.
일제의 침탈로 동북아 지역이 급변했던 시기 진암 이병헌(1871~1940)은 주변국의 형세를 살피면서 의기소침해있던 당시 시대분위기를 진작시키려고 하였다.
이 시기 중국에서는 유학이 폐기되어 더 이상 설자리가 없게 되었고 조선의 상황도 매우 흡사하게 전개 되었다. 진암은 금문경학을 근거로 공교를 부활시켜, 이 땅을 유교의 중심지로 건설하려고 하였다. 본고에서는 공교에 대한 연구를 진전시키지 않았지만, 진암의 고토의식과 민족의식을 중심으로 그의 또 다른 세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진암은 옛 영토에 대하여 조선 후기 학자들과 유사한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진암은 한반도의 기원을 중국 북방지역의 민족과 연관지어 웅비했던 고대사를 설명하려고 하였다. 그의 논리는 해방이후 학자들에게 실증적이지 못하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하지만 진암이 고문헌 기록을 살펴 민족의 기원을 고증하려 했던 점은 독창적이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게다가 문헌 기록이 희박한 시대의 상황을 고문헌을 통하여 설명하려고 했다는 점은 민족이 암흑기에 처해 있던 당시 사람들을 진작시켰다는 관점에서 평가받아야 할 것이다.
진암은 조국이 長夜로 접어들자 임진왜란 때의 인물인 김덕령과 이순신, 곽재우를 떠올리며 그 당시 당색에 가려 인재가 등요하지 못한 것을 비판하기도 했다. 하지만 1920년 상해를 방문해서는 그곳 청년들에게 친일 문제로 심문을 받았고 일본관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글로 남기기도 했다. 이때 김구를 만났고, 나중에 이시영이나 김택영 같은 분들과 교류를 가지게 된다. 특히 김택영은 진암을 뜻이 커 현실에 만족하지 못하는 선비로 본 것은 이시기 진암의 모습을 잘 보여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Highway construction to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which is under constant traffic load there is a possibility of generating the displacement at the top. In this study, it was conducted determine how to repair reinforcement method through examination of cause and stability analysis when occurs the displacement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강의식, 종이와 책 기반의, 오프라인 위주의 교육 현장 생태계에서 인터랙티브한 디지털, 온라인 기능성 게임을 활용하는 방법을 알고자 네 개의 학교에 기능성 게임을 주고 교사들이 그들의 학급에서 어떻게 활용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숙련된 교사들에게 게임을 자유롭게 기존의 교과와 연계하여 활용하도록 지시를 줌으로써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게임 활용 방법을 기초로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교과 내에서 사용하는 모형과 교과 외에서 사용하는 모형으로 나누어졌으며, 교과 외에서 사용할 경우 컴퓨터 시간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과와 컴퓨터 시간 외에도 쉬는 시간과 점심시간, 그리고 학교 밖에서의 시간을 통해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게임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떤 방법으로 사용하는지는 교사의 특성, 학생의 특성, 그리고 컴퓨터의 물리적 위치와 접근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목적은 영어과 수업실연 평가에서 교사의 수행수준을 구분하는 분할점수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문항중심의 수준설정 절차를 제안하는 것이다. 수준설정 방법은 문항중심 방법과 피험자 중심 방법으로 나누어볼 수 있는데, 문항중심 방법의 경우에는 특정한 수행수준의 피험자들이 문항의 정답을 선택할 확률을 기반으로 분할점수를 결정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준설정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수준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수업관찰 평가도구 개발 단계에서 수업실연에서 중요하게 관찰해야 하는 항목들을 도출하고 각 항목의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를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문항중심의 수준설정 절차를 기반으로 특정 수행수준에 도달한 교사가 각각의 평가항목에서 얻을 것으로 예상되는 점수를 판단하는 절차뿐만 아니라, 수업실연에서 각 항목의 중요도를 함께 판단하도록 하여 평가항목의 가중치도 함께 결정하는 절차도 포함하였다. 수업실연 평가에서 항목에 대한 평가뿐만 아니라 항목에 대한 가중치까지 동시에 결정함으로써 수업실연의 전반적인 수행 수준과 분할점수의 관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인 적용사례를 제시하기 위하여 TEE(Teaching English in English) 수업실연 평가의 수준설정 과정과 결과를 제시하였다.
조선은 성리학의 왕도정치 실현을 목적으로 세워진 나라였다. 건국 초기부터 고려의 불교식 사회사상을 비판하면서 숭유억불 정책이 시행되었고, 고려의 기반이 되었던 불교는 비판의 대상이 되었고 이단으로 지목되었으며, 불교 이단성의 비판은 건국초기부터 숭유억불 정책을 시행하는 근거가 되었다. 16세기 성리학이 토착화되는 과정에서 다양한 학문이 유입되었고, 당시 명나라에서 성행하던 양명학도 매우 이른 시기에 조선에 전래되었다. 그런데 이 양명학 역시 주자학의 선명성을 드러내는 과정에서 이단성이 지적되었는데, 주된 비판의 내용은 불교와의 유사성이었다. 명나라로 사행을 간 조선인은 명나라 학자와의 논쟁을 통해 양명학의 공부 방식이 참선의 방식과 유사함을 지적하였으며, 양명학은 선학(禪學)이라는 명제는 조선 학자들 사이에 당연한 것으로 여겨졌다. 17세기 일본의 유학이 아직 맹아 상태일 때, 경전을 논하는 이들은 주로 승려 계층이었기 때문에, 조선인에게 이들의 이단성을 비판하는 것은 매우 익숙한 것이었다. 그 후 일본의 유학이 성장하여 고학 등이 등장하였을 때 조선인은 양명학의 연장선상에서 이러한 경향을 이해하였다. 결과적으로 명나라 사행에서의 양명학 논쟁 경험이 일본 유학에 대해 정확한 이해를 방해하였던 것이다. 1764년 일본에 번성하는 고문사학의 경향에 대한 심각성을 인지하고서야 일본 유학의 실체를 깨닫게 되었고 비판의 논점이 불교 유사성에서 경전 이해의 오류로 옮겨갈 수 있었다.
17-19세기 일본에서는 임진왜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정리하는 노력 이 지속되었으며, 전쟁 상대국이었던 조선과 명의 문헌도 수집 정리 대상에 포함되었다. 근세 일본에서 임진왜란 문헌군이 형성될 때 가장 큰 영향을 미 친 외국 문헌은 명나라의 「양조평양록」과 조선의 「징비록」이었으며, 그 밖 의 문헌들은 상대적으로 이용되는 비중이 낮았다. 이 논문은 이상과 같은 전 제에서, 김성일의 저작인 해사록과 「학봉선생문집」 그리고 김성일 그 자 신의 이미지가 근세 일본 특히 쓰시마 번에서 어떻게 유통되었는지에 대해 「조선통교대기」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학봉선생문집」 초간본에 포함된 「해사록」이 쓰시마로 넘어가서 이용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쓰시 마번과 일본 본토에서 공히 김성일과 1590년 통신사행에 대해 부정적・경멸 적 인식이 통용되다가, 「징비록」의 일본 유통으로 인해 본토에서는 그 인식 이 일변하여 “충신” 김성일 상이 수립되었음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problematic areas in assessing children’s language learning, suggesting key solutions to the problems arising from different types of assessment. A critical evaluation of a variety of alternative assessment methods provided several teaching implications. First, assessment needs to be conducted through informal tests in which the learners cannot notice that they are being assessed. Although assessing young learners needs to be compatible with the more accessible learning such as activities used everyday in their classroom, coping with instructions for classroom activities needs to be handled with care. Assessing young learners through group or pair works can be more effective to enhance social and communicational skills than traditional tests. However, equity in relation to their participation in the activities, their English knowledge, and learning experience needs to be taken into serious consideration. Finally, more attempts to promote teacher-student interaction through student journals and conferencing assessment need to be made, even though this would not be culturally preferred learning style in Korea. This paper may thus give solutions for effective ways of assessing young learners from multiple perspectives rather than depending on only one assessment instrument.
동영상 피드백의 효과를 조사한 선행연구들의 결과에 따르면 동영상 피드백이 긍정적인 학습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해 학습자에게 단독으로 제공되어서는 안 되고 주의집중 단서, 오류수정 정보, 전문가 모델 동영상 등과 함께 결합되어 제공되어야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학습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동영상 피드백을 어떻게 제공해야 하는지 규명하기 위해 위 요인들의 결합된 효과를 조사 하였다. 구체적으로 선행연구들이 가장 효율적인 동영상 피드백 제공방법으로 제시한 ‘오류수정 정보+학습자 동영상’ 제공조건에 언어적 주의집중 단서와 전문가 모델 동영상이 부가될 때의 학습효과를 조사하였다. 40명의 피험자들은 네 가지 동영상 피드백 제공집단으로 나누어 땅볼 인사이드 축구 패스를 연습하였다. 24시간 후에 실시된 파지검사 결과, ‘오류수정 정보+학습자 동영상’ 조건에 주의집중 단서가 부가되었을 때 학습효과는 다르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전문가 모델 동영상이 추가로 제공되었을 때 학습효과는 가장 우수했다. 부가된 전문가 모델의 동영상은 학습자에게 오류탐지를 위한 견본으로 사용된 것처럼 보인다. 또한 전문가 모델 동영상은 관찰학습 효과와 신체분절의 상대동작 정보를 제공하여 동작 폼의 습득을 더 용이하게 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동영상 피드백에 오류수정 정보가 결합될 경우 주의집중 단서의 추가적 제공은 불필요 한 것처럼 보인다.
The increasing numbers of ELLs (English Language Learners) in U.S. classrooms has prioritized into building quality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teachers so that they have the pedagogical tools necessary to support their students. A continued focus with professional development at the local, state, and national level has gained momentum to ensure that mainstream teachers have appropriate cultural competence skills and research-based practices to meet students’ diverse linguistic and academic needs. This mixed method study on 144 PK-12 teachers with five or less years of experience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teachers’ perceptions and efficacy beliefs in working with ELLs. Five in-depth cases illustrated a support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creating high efficacious behaviors for teaching ELLs. Additionally, a quantitative finding augmented teacher narratives to reveal a statistical significance in efficacy beliefs for teachers who received adequate inservice professional development as opposed to teachers who were not afforded those opportunities.
이 연구의 목적은 흉부, 복부 X선 검사 시 호흡, 위치 잡이, 촬영 중 움직임 등이 있을 때 영상에 어느 정도의 영향이 있는지를 알아보고 가능한 많은 양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영상을 만들기 위함이다. 연구방법은 병원에서 가장 많이 촬영되어지고 있는 검사 중 선 자세 흉부 후전방향 X선 검사 와 누운 자세 복부 전후방향 X선 검사에서 호흡을 들이 마신상태, 내 쉰 상태, 움직임이 있는 상태에서 각 각 X선 촬영을 한 후 각 부위 별 영상평가기준을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선 자세 흉부 후전방향 X선 검사는 숨을 내 쉰 상태, 조사 중 미세한 움직임이 있는 경우 보다 숨을들이 마신상태에서 촬영한 영상에서 가장 많은 정보가 포함되어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누운 자세 복부 전후방향 X선 검사는 숨을 들이 마신상태, 움직임이 있는 경우 보다 숨을 내 쉰 상태 에서 촬영한 영상에서 가장 많은 정보가포함되어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서와 같이 일반 X선 검사의 경우 검사부위, 검사목적에 따라서호흡 또는 검사 중 움직임 등에 따라 영상에서 발견할 수 있는 정보에 많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동북아 크루즈관광시장의 성장에 따라 최근 급증하고 있는 국내 기항 크루즈상품 이용자의 관광만족도 분석을 통하여 국내 크루즈항만도시의 관광경쟁력 제고방안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2년 크루즈관광객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방한 크루즈관광객을 중국어권, 일어권, 영어권으로 구분하여 관광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각 언어권별로 관광지 일정, 출입국 절차, 교통, 쇼핑 등에서 관광만족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크루즈 항만도시별 마케팅 전략 수립에도 이러한 특성의 반영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크루즈 관광객 유치증진 및 크루즈항만 활성화를 위한 관광마케팅 전략 수립과 더불어 크루즈관광산업 육성정책 마련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큰 의의가 있다.
Purpose - This study will focus on motivation of temporary workers working in distributors as well as generic companies, especially MPS (motivating potential score) proposed by job characteristics model. We think that temporary workers required intrinsic motivation in order to commit with their organization because they are difficult switch-regular workers due to glass ceiling.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This study operates a survey targeting temporary workers, specifically, we used 144 copies except uncollected copies and dishonesty response of total 165 copies on analysis. We used multiple regression and 3 step regression to investigate the proposed model. Results - The high level of perceived distributional justice and procedural justice was increased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respectively. And, MPS was increased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oo. Finally, this study showed that both justice and Job characteristics were very important to increase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clusions - In order to inspire temporary workers, the company provides placing enough considering job characteristics as well as fairness of the procedure and distribution. Also,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underlying processes between HRM (Human Resource Management) concepts, new fundamental methods may be required such as switch full-time opportunities.
무형문화유산은 원형의 보존에도 의의가 있지만, 후대로의 전승과 나아가 우리의 생활문화로 활용되는 것 또한 중요하다. 그러나 지금의 우리나라 무형문화유산은 사회적 인식의 부재 속에 몇몇 장인에 의해 그 맥을 이어나가는 것마저 어려워 점차 사라져가고 있다. 또한 현재 우리나라 교구시장은 은물과 같은 외국기업의 교구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민족성과 정체성을 담은 교구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구를 활용한 유아기의 한글 교육을 통해 사라져가는 무형문화유산의 보전 및 계승과 무형문화유산의 가치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지속적인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무형문화유산 중 못이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구조물을 만드는 전통 기술인 짜맞춤 기법을 유아의 한글 교육용 교구에 적용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교구개발에 필요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글은 무엇보다 역사적 맥락 속에 케이지를 놓고 보려는 시도이다. 그 밑바탕에 놓인 역 사적 관심사는 “삼중의 변증법적 대립”(칼리니스쿠 1994, xviii)의 전개로 서술되는 미적 모 더니티의 서사와 케이지의 관계이다. 특히 주목하는 것은 “역사적 아방가르드”(뷔르거)와 네 오아방가르드 사이의 이행기, 즉 케이지의 《4분 33초》(1952)에서 분수령을 이루는 시기이 다. 이 무렵 케이지의 작업에서 우리는 자기부정을 함축하는 아방가르드의 딜레마를 해소할 또 다른 논리를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로써 운명(殞命)을 운명(運命)으로 타고난 아방가 르드를 살리는 법을 케이지의 말⋅글⋅음악 가운데서 찾으려는 것이 이 글의 목표이다. 이 는 케이지의 후기 작업을 이해하는 데 결정적인 ‘우연성 이전 시기’에 대한 재평가와 연결될 뿐만 아니라 그의 텍스트 실천과 음악 실천 사이의 상호영향까지 확인할 좋은 기회를 마련해 줄 것이다.
역사적 아방가르드의 실패가 자신의예술적 성공에 놓여 있는 역설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 는가? 문제는 자율성이다. 그것은 철회되어야 할 부르주아 이데올로기인가, 계속 유지되고 존중받아야 할 역사적 성취인가? 이것 아니면 저것인가? 양자택일은 어떤 식으로든 부정성 에 헌신했으나 정작 그 자신이 기존의 긍정적 질서에 기생하거나 결탁하게 되는 일을 피할 수 없다. 그 이유는 첫째 예술의 자율성은 사회와 ‘매개’된 상대적 자율성이기 때문이다. 둘 째, 미적 모더니티 자체에 내재한 모순으로 인해 자율성과 타율성은 끊임없이 대립하면서 자 신과 정반대되는 것으로 끊임없이 전도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변증법적 시각에서 볼 때 아방가르드는 예술의 자율성에 반작용하는 한 모더니즘의 일부이기도 하고 또 예술제도를 문제시하는 한 모더니즘과의 단절이기도 하다. 양자택일의 진퇴양난에 빠지지 않는 길은 바 로 이 양면성의 논리를 깨닫는 것부터 시작할 수 있을 것이다.
태양 흑점수의 증감주기 (약 11년)에 따른 태양폭발 (태양에서의 플레어 현상)은 태양 코로나 물질을 대방출하는 태양폭풍을 야기한다. 미국해양대기청 (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은 태양 흑점활동이 2013년과 2014년 사이에 극대화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강력한 태양폭풍의 영향이 지구에 미쳤을 경우 인공위성을 이용한 전 세계 측위시스템의 교란, 각종 통신수단 및 TV, 라디오 방송 등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1989년 태양폭풍은 캐나다에서 정전사태를 일으켜 9시간동안 약 600만 명이 정전으로 인한 피해를 입은 사례가 있다. 이와 같은 초강력 태양폭풍은 인공위성의 수명을 약 5~10년 정도 단축시키며 이로 인한 경제적 손실 및 파급효과를 고려하면 액수는 수십조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2011년 2월 15일 10시 45분경 (01:30 - UTC)에 발생했던 X급 태양폭발에 의해 발생한 태양폭풍의 영향이 2011년 2월 18일 오전 10시 30분경 우리나라 (보현산 관측소)에서 관측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흑점수가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2월 18일의 태양폭발 일주일 전후 지자기 데이터를 비교하고, 또한 대전과 서울지역에서 관측한 RINEX 데이터를 이용하여 측위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태양폭풍이 지구에 도달한 2011년 2월 18일의 지자기 관측값은 일주일 전후 데이터와 비교하여 양자(Proton) 자력계 관측결과가 요동하였고, 대전과 서울지역에서의 측위결과도 태양폭풍 일주일 전후와 비교하여 2월 18일에 가장 큰 측위오차를 보였다.
최근에는 미국에서 “911 테러 음모(2011)”, “중국에서 SARS(2003)”, ”달리안에서 기름 수송관 폭발(2010)“과 ”캐나다와 한국에서의 정전(2004, 2011)“과 같은 많은 복합적인 재난들이 일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사람들은 Risk는 어떻게 개념적으로 정의되며, 현재와 미래에 우리에게 어떠한 특정영향을 주게 되는지, Risk management의 목적인 risk를 최소화하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 커지게 되었다. 하지만 지금까지 Contingency-, Business Continuity-, Crisis -, Recovery-와 Emgerency Management 용어들이 비슷한 어원을 가지기는 하지만, 같은 어원을 가지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종종 상호교환적으로 동의어처럼 사용되고있고 리스크메니지먼트에 관한 어떤 표준화된 국제적 정의도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Risk를 발견·분석하고 그 영향을 완화 시켜 최소화 시킬 수 있는 Risk Management과정과 사례를 통하여 risk management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riskmanagement에 사용되는 용어의 어원과 개념설명을 통하여 risk management의 이해를 돕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