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5

        21.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Debriefing is very important in simulation-based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tructured team debriefing on clinical performance, self-confidence in nursing activities, and the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using mind mapping. Metho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ost-test design was conducted.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83 nursing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42 seniors in 2018, and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41 seniors in 2019.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an observed performance checklis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and independent t-tests with the statistical software package IBM SPSS/WIN 25.0.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inical performance (t=7.64, p<.001), self-confidence in nursing activities (t=4.93, p<.001), and learner’ satisfaction (t=2.94, p=.004)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imulation-based nursing education applying structured team debriefing using mind mapp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nursing students' clinical performance, self-confidence in nursing activities, and satisfaction. Thus,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d apply a range of clinical scenarios and debriefing strategies in simulation-based nursing education. Technical and non-technical skills of nursing students also need to be evaluated in simulation-based nursing education using various debriefing methods.
        4,800원
        22.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물은 마음을 갖고 있는가? 우리는 동물의 마음을 실제로 잘 알 수 없기 때문에 동물과의 관계를 통해 동물의 마음을 추정할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동물을 사랑하는 태도와 고기를 먹는 행동에 대한 모순적 관계를 동물에 대한 마음지각의 맥락에서 두 개의 연구를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1에서는 다양한 동물에 대한 마음지각을 경험의 차원과 주도성의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2에서는 소를 고기로 기술한 실험조건과 고기가 아닌 동물로 기술한 통제조건에서 소와 성적 객체화된 여성에 대한 마음지각을 각각 측정하였다. 그 결과 연구 1에서는 동물에 대한 마음지 각의 정도가 높을수록 고기를 먹는 행동을 도덕적으로 옳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평정점수가 높았다. 연구 2에서는 소를 고기로 기술한 실험조건에서 통제조건보다 소와 성적 객체화된 여성에 대한 마음지각이 통제조건보다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동물이 ‘고기’로 제시되는 상황에서는 동물에 대한 마음지각의 조정을 통해 동물을 해치는 행동에 대한 심리적 불편감을 감소시킬 가능성을 생각해볼 수 있다. 이 결과는 인지부조화이론에 따라 고기를 먹는 행동과 동물에 대한 태도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심리적 불편감을 줄이고자 동물에 대한 마음지각을 조정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동물에 대한 객체화는 인간에 대한 객체화 및 마음지각에 영향을 끼침을 추정해볼 수 있다. 이 결과는 마음지각, 인지부조화이론 및 객체화이론이 일상에서의 도덕성과 연관된 태도와 행동의 모순적 관계를 설명하는데 유용함을 보여준다.
        4,600원
        23.
        2019.0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사회복귀시설에서 집단거주 생활을 하는 한 여성 알코올 중독자가 경험하고 있는 스트레스의 관리를 위해, 명상심리상담 프로그램 안에서 진행된 알머지요가를 통한 몸과 마음 알아차림에 관한 연구이다. 알머지요가는 염처경에 기반 한 사념처인 신(身), 느낌(受), 마음(心), 현상(法)에 집중하여, ‘실행자가 그것을‘알아차리고 머물러 지켜보는’ 염지관(念止觀) 명상을 적용한 요가 방법이다. 빨리(Pali)어의 Sati (알아차리고, 念), Samatha (머물러서, 止), Vipassana (지켜보는, 觀) 의 한국어 번역인 알아차리다, 머무르다, 지켜보다, 이 세 단어의 한글 초성을 조합하여 명명되었다. 연구 참여자가 대면하는 일상의 스트레스의 중재를 위해 10회의 심층 상담을 진행하였다. 심층 상담 진행 중, 알머지요가가 사용되었고 연구 참여자는 이를 통해 알아차림을 경험했으며 스트레스의 원인규명을 이끌어 내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공동시설에서 사회복귀를 위하여 노력하는 여성 알코올 중독자에게 명상상담의 큰 틀 안에서 알머지요가를 알아차림에 도달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한 점이다. 둘째, 알머지요가는 연구 참여자가 알아차림에 도달하는데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 점이다
        4,300원
        24.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water utilization status, the wasted water factor, the awareness, and the education and promotional activities of water saving in Daejeon City are as follows: The percentage of using tap valve with a closure was 66% when showering. 74% of water was used with closing the tap valve when washing faces with no water needed, it was still considered that there existed a wasting water. The most wasting reasons of water were found to be shower, bath, and laundry in order. In the awareness of practicing tap water saving, 9.1% of respondents acted actively, 53.4% of them were trying to practice it, and more than 63% had a positive awareness. In the contents of practicing saving water, locking water when soaping while showering, non-laundry of small quantity, and using cups when brushing teeth were top priorities. About 50% of the reasons for saving water was to practice purely saving water, when saving for economic help was excluded. The level of water saving awareness was not high when considering that the ratio of usage without water saving equipment and installation, and using method was relatively high when moving in. In order to make usage of water saving equipment more common, it was deemed necessary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purchase of water saving equipment and to promote and educate the efficiency of saving of related products. More than about 90% of the respondents responded that water saving education or promotional activities had an effect of improving water saving awareness. The most effective method of education and promotional activities was found to be 40.4% by mass media activities, and 21.7% by promotions through mobile devices.
        4,000원
        25.
        201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deals with the case of education of storytelling with activation of diffuse thinking using mind map. Through this case study, we can confirm that mind map is a useful method for smooth progress of storytelling work and for producing 'meaningful' result for learners. As a result of studying the products of the learner's activities, it was confirmed that the mind map stimulates stimulation for storytelling, theme, transition to new vision, insight into life, and writing to maturity. Through this case study, we were able to reaffirm the fact that mind map encourages diffuse and free thinking which are core functions. Furthermore, it was a meaningful time for both teachers and learners to confirm that it was possible to work on storytelling smoothly. This study suggests that mind map is the work of activating diffuse thinking to create creative ideas, but 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write a story based on a topic that can be done at the level of university student learners.
        5,400원
        26.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동기 외상은 발달 과정에서 심리적 그리고 생물학적 문제를 초래하고, 이 문제들이 사회인지 발달과 공변하여 이후 스트레스 대처에 장애물로 지속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이에 아동기 외상, 구체적으로 방임, 신체 학대 및 정서학대의 경험이 성인이 된 시점에서 지각하는 스트레스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마음이론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대학생 155명을 대상으로 아동기 외상 및 지난 일주일 간 지각한 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척도를 실시하였다. 사회인지 능력의 하나인 마음이론을 측정하는 질문 을 실시하고 필요한 경우 면담자가 힌트를 제공하는 구조화된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최종 15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공변량구조분석을 통하여 마음이론의 완전매개 효과를 가정한 모형(모형 1)과 부분매개 효과를 가정한 모형(모형2)의 간명성과 부합도를 비교하였다. 완전 매개효과 모형을 보면, 마음이론이 스트레스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유의하였고, 아동기 방임이 마음이론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유의하였다. 아동기 정서학대가 마음이론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경향성만 나타내었고, 아동기 신체학대가 마음이론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부분 매개 효과 모형을 보면, 아동기에 경험한 방임은 마음이론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스트레스 지각에 영향을 미쳤다. 아동기에 경험한 정서학대는 성인기의 스트레스 지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상관분석 및 완전, 부분 매개 효과 모형에서 모두 아동기의 세 가지 유형의 외상 경험은 유의한 상호상관관계를 보였다. 모형의 간명성과 부합도를 비교한 결과에서는 최종적으로 부분 매개효과 모형이 채택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4,300원
        27.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이츠는 21개월 동안 가까운 친구며 시인이자 예술가인 T. 스터지 무어와 매혹적인 서신 교환을 하며 철학 논쟁을 한다. 철학 서신을 통해 그는 초판 󰡔환상록󰡕의 바탕이 되는 인식론 및 존재론적인 토대를 재점검한다. 무어와의 논쟁이 이어지는 동안 예이츠는 지각된 대상이 존재하는 곳이 마음속인가 밖인가에 대해 명확하게 밝힐 것을 끊임없이 요구받는다. 그는 버클리를 참조하면서 존재하는 것은 지각된 것이며, 물질적인 것은 없으며, 오직 정신적인 사건과 그것을 지각하는 사고방식이 있을 뿐이라는 사실을 재확인한다.
        5,200원
        28.
        2018.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troduction The concept of brand equity has been receiving considerable interest from academia and practice in the past decades. While mutual understanding exists on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high-equity brands, less agreement among academics and practitioners prevails regarding its conceptualization and operationalization. Many approaches have been proposed to measure brand equity in academic literature and numerous competing companies such as Millward Brown, Interbrand, or Young & Rubicam offer commercial metrics and brand evaluations, which are likely to estimate different values to a specific brand. This study reflects a consumer-based perspective on brand equity, which resides in the heart and mind of the consumer and captures the value a brand endows beyond the attributes and benefits its products imply. Growing calls for the accountability of marketing has resulted in increasing interest in marketing metrics, which includes mind-set metrics to address the “black box” between marketing actions and consumer actions in the market. Theoretical Development One of the most prominent conceptualizations of brand equity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brand equity is “the differential effect of brand knowledge on consumer response to the marketing of the brand” consisting of brand awareness and brand image as the predominant dimensions that shape brand knowledge. In this model, a crucial role is ascribed to consumer’s associations with a brand as a reflection of its image. Accordingly, brand building and differentiation is based on establishing favorable, strong, and unique associations. Human associative network theory is a widely accepted concept to explain the storage and retrieval of information and has been largely applied in the context of brands. Associative network theory suggests that brand information is stored in long-term memory in a network of nodes that are linked to brand associations such as attributes, claims or evaluations. Consumers use brand names as cues to retrieve associations. Once cues activate corresponding nodes and consumers retrieve information from memory, the activation spreads to related nodes. Consequently, a transfer of associations can also occur through associative chains in a process of attitude formation. Consumer response to a brand can be of attitudinal and behavioral character and research on attitudes supports the general notion that both, affective and cognitive structures, explain attitude formation. The predictive properties of attitudes regarding actual behavior have been acknowledged by prior research and the attitude-behavior relationship has been established. Research Design Operationalization of Brand Equity This study distinguishes between attitudinal and behavioral measures of brand equity. The behavioral measures of brand equity should reflect the attitudinal brand equity components in predicting product-market outcomes. High brand equity should lead to a willingness to pay a price premium, purchase intention and willingness to recommend. Survey Brand equity measures are tested with two waves of data collection2 from online surveys conducted in 2015 and 2016. Respondents were recruited from a professional panel provider to ensure that the same respondents participated in wave two after a year from the first wave. Participants were selected according to a quota regarding age and gender to increase representativeness and were then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three industries beer, insurance, and white goods capturing brand equity from different perspectives and allowing for a more holistic view. Sample The sample for the first wave consists of 2.798 respondents. The sample was matched with the response from wave two and only those respondents were selected who participated in both waves. Given the panel mortality rate, the final sample size for longitudinal analysis is 1.292 observations. The respondents’ age ranges from 18 to 74 with 52 percent being male and 48 percent female. Analysis Panel regression is used to estimate models assess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various brand equity metrics regarding the three outcome variables for the three categories included. The results suggest that no universal brand equity metric dominates that can be applied to predict behavioral outcomes across categories. Yet, category-specific brand equity metrics prevail across outcomes. Consumers seem to evaluate a strong brand as an entity they can personally connect to in the insurance category. In the beer category, consumers’ evaluation of strong brands reflects deep affect and the perception of product quality. High equity brands relate to loyal consumers with strong affective evaluations in the category of durable household products. Moreover, the results indicate that brand equity measurement can be simplified to a small subset of metrics without risking loss of model fit and predictive power. Discussion While a plethora of brand equity metrics exi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brand managers can apply a small subset of available metrics to track their brands’ equity and predict behavior without implementing long surveys that require considerable time and effort from increasingly overloaded consumers. Yet, adjustments to the composition of brand equity metrics might be inevitable in light of category-specific effects. Moreover, the results reveal that a consideration of metrics capturing affective components such as brand self-connection and deep feelings such as brand love is indispensable for brand equity measurement. Including emotional measures and extending established brand equity metrics that are deeply rooted in extant research might provide a considerable advantage when it comes to measuring brand value in different product categories. References are available upon request.
        3,000원
        29.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비디오 게임 캐릭터의 마음귀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이다. 최근 커뮤니케이션과 심리학 연구에 따르면 사람들은 사람의 특성을 사람이 아닌 사물에 귀인하는 성향이 있고, 사람이 아닌 존재를 사람으로 생각하는 의인화의 경향이 있다고 한다. 이러한 성향은 가상 존재에 대한 지식이 깊지 않을 때 더욱 강하게 관찰되는데, 대상에 대한 지식이 충분하지 않을 때 손쉽게 적용 할 수 있는 사람에 관한 지식을 활용하여 대상의 속성을 판단하기 때문이다. 이 같은 이론화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비디오 게임의 경험과 게임 캐릭터의 마음 귀인의 관계를 분석하였고, 마음 귀인이 게임 캐릭터의 선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온라 인 설문 결과 게임을 오래 한 응답자일수록 캐릭터에 대한 마음 귀인 성향이 낮아지는 것을 발견했고, 이 같은 관계는 남성 응답자에게서 더욱 강하게 관찰되었다. 또한 마음 귀인을 강하게 한 응답자일수록 캐릭터에 대한 강한 선호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31.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예록(談藝錄)』은 첸중수(錢鍾書, 1910-1998)의 문예비평서이자 중국 최초의 중서(中西) 비교 시학서이다. 첸중수는『담예록(談藝錄)』집필 과정에서 동서고금의 문예 전반을 아우르는 주요 현상 및 쟁점을 정리, 그 속의 오류를 밝혀내어 학술적으로 바로 잡고자 했다. 또한 방법론적으로는 중국과 서양의 고전 및 문예이론에 대해 상호 비교(參較), 상호 참조(參互)를 진행하여 동서고금의 문예 전반을 포괄적으로 아우르고자 했다. 이에 근거하여 본 논문은 크게 ‘감상(appreciation)’과 ‘평론(critic)’의 문예학적 시각을 통해 양자(兩者)의 접점이『담예록』에서 어떻게 구현되었는지, 첸중수 학문 연구의 궁극적 지향점인 ‘시심(詩心)’과 ‘문심(文心)’ 의 ‘보편적’인 ‘문예심리(文藝心理)’가 『담예록』에서 어떻게 발현되었는지 고찰하여 학자 첸중 수와 그의 학문에 좀 더 다가설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보고자 한다.
        5,500원
        32.
        2018.0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들의 주관적인 마음의 작용이 물질의 상태나 성질 같은 객관적인 사실을 바꿔놓을 수 있다는 것을 믿거나 이해하기 힘든 이유는, 사람들이 마음과 물질을, 그 성질(본성 nature)이나 존재방식에 있어서, 서로 전혀 다른 것으로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람들 은 물질을 견고하고 육중하며 가시(可視)적이면서 그 존재가 체감될 수 있는 그야말로 ‘완전히 물질적인 것’으로 생각하는 반면, 마음(혹은, 마음의 작용)이란 이와 같은 물 질의 성질들을 전혀 갖지 않은 채 단지 허령(虛靈)하고 무게가 없으며 비가시적이면서 그 존재가 결코 체감될 수 없는 그야말로 완전히 비물질적인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 만 홀로그램 우주론은 물질의 참 모습은 이와 같은 육중하고 견고한 입체적인 형상이 아니라 실은 파동의 다발이며, 마음의 여러 다양한 작용들 역시 오직 서로 다른 주파수 와 강도들을 가진 다양한 파동의 형태들로서만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마음의 주관적인 작용에 의해 물질의 객관적인 상태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은, 마음과 물질이 실은 둘 다 파동으로서 존재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우리는 마음과 물질의 본성에 대한 홀로 그램 우주론의 이와 같은 놀라운 주장이 어떻게 성립할 수 있게 된 것인지를 살펴보려 한다.
        4,900원
        33.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학생활동중심의 수업방법 적용을 통하여 미래지향적인 역량을 키울 수 있는 창의․인성을 바탕으로 행복마인드를 신장시키고자 하였다. 수업 주제로는 ‘행복, 성찰, 공감, 꿈’을 설정하였다. 1학 년 학생 93명을 대상으로 1학기에는 국어 수업과 독서 시간에 구안․적용하였고, 2학기에는 국어 수업과 자유학기제 선택 수업인 광고 수업에 구안․적용하여 행복마인드를 키우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행복마인드를 키우기 위한 학생활동중심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행복감, 성찰 능력, 공감 능력, 진로인식능력의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
        6,000원
        34.
        2017.08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암 환자의 심신을 다스리는 아로마테라피에 대해 사례고찰을 통해 연구하고 자 했다. 그리고 본 연구를 토대로 실제 임상에서 아로마를 사용하는 것이 암환자에게 긍정적이라는 것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사례고찰에서 아로마테라피의 처방 및 환자소 감을 통해서 환자의 임상적 치료에 대한 결과는 사례 1의 폐암환자는 호잎 5방울, 라벤 더 10방울, 프랑킨센스(유황) 2방울, 로즈마리 3방울, 스위트 아몬드 오일 100ml, 1% 농 도 아로마 트리트먼트 오일로서 말기암의 심신고통을 완화하고 QOL이 향상되었다. 사례 2의 난소함 환자는 사이프레스 7방울과 라벤더 10방울 유칼립투스 3방울, 스위트 아몬드 오일 100ml, 1%농도 아로마 트리트먼트 오일로 손뿐만 아니라 얼굴이 핑크빛으로 되고 눈동자가 빛났다. 사례 3의 대장암환자는 라벤더 10방울, 유칼립투스 4방울, 로즈마리 4 방울, 페파민트 2방울, 스위트 아몬드 오일 100ml, 1% 농도 아로마 트리트먼트 오일로 환자의 QOL 전체를 높여 행복한 나날을 갖게 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아로마테라피는 암환자의 심신을 다스리는 것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4,500원
        35.
        201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캐스린 니 훌리한􋺸을 논의하며 부분적으로는 예이츠와 싱을 비교하기 위해 􋺷바다로 가는 기사들􋺸을 논의하는데, 두 가지 관점이 있다. 하나는 정치 적으로 활발한 모드 곤과의 관계를 맺고 있는 예이츠의 마음에 무엇이 있나 관찰하는 것이다. 예이츠는 이 극이 꿈을 꾸고 쓴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모드 곤에게 현혹되어 있던 점을 감안하면 이 극이 자신도 모르게 정치적 경향을 띄게 된 것이라고 필자는 주장한다. 이런 점에서, 이 논문은, 주인공 캐스린은 모드 곤, 예이츠가 투사된 이중적 동일화의 산물이라 주장한다. 논문의 후반부는 이 극의 기교를 분석한다. 초기의 노래 의 사용은 나중에 여러 작품에서 코러스의 사용으로 발전한다. 그리고 이 노래에는 셰 익스피어의 시를 번안한 점도 보인다. 예이츠는 이 극이 아주 좋은 것으로 간주하는 것 같다. 필자의 판단으로는 일부 이 극이 예이츠와 레이디 그레고리의 합작이라고 주 장하지만, 이 극이 이와 달리 예이츠의 초기의 최고의 작품으로 평가한다.
        4,900원
        36.
        2016.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가철학은, 특히 신유학의 심학적 전통에서 ‘천리’와 ‘인욕’, 이성과 감정의 관계에 대하여 일정부분 대립적으로 보려는 시각을 지속해 왔다. 이는 도덕적 인간의 길에 관한 모색으로 거기서 천리로서 본성이나 그 저편으로 인식되는 욕망은 우리가 몸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논의의 발단이 된다. 마음도 몸의 한 부분에 불과할 수 있지만, 그와 달리 마음은 도덕적이며 이지적인 것으로 인식되었는데, 전자의 대표적인 사상가는 맹자이며 후자는 순자라고 할 수 있다. 몸을 넘어 성품에 ‘천리’를 상정한 성리학은, 그것에 대비되는 욕망을 제거하여 인간의 행동을 도덕에 위배되지 않게 할 것을 권장한다. 그러는 과정에 마음 범주의 다양한 용어를 써서 이론 체계를 세운다. 이 논문은 이런 문제의식에서 이치와 욕망의 경계, 이치와 사람 마음의 몇 갈래 즉 천리 그 자체인 인간의 마음, 천리와 욕망으로 구성된 마음, 마음이 모두 욕망인 경우를 살펴본다. 나아가 마음 범주인 심(心), 성(性), 정(情), 의(意), 지(志))의 경계를 시론적으로 접근한다.
        5,800원
        37.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ith focus on my artworks, aims to examine the 'pictorial expression of mind.' What is mind and how should I control it are the core content of my works. This study looked into mind which is expressed throughout my works. And it argued that the painting realized by senses - senses as the moving and flow of mind, - come from mind. It is to consider the relation between painting and mind by examining the senses for expressing the invisible inner side. I, in the art pieces, used a gem to express mind metaphorically and expressed it with senses. And I presented the birth and polishing process of a gem to express the flow and asceticism of my mind in the works. Such mind, in other words, is ‘one mind,’ ‘mind considered as the only true being,’ ‘unconsciousness,’ and ‘innate pure mind’ which all are based on my Buddhist belief. Realizing being unconscious and becoming one's true self is attaining a happy medium that avoids extremes; it means being completely empty. In this way, one can 'become his or her true self' can be possible through mind control. Regaining one's own innate pure mind and coming to have a peace of mind is enlightenment and nirvana- the process is the Zen meditation. I consider the process of artworks as the process of such enlightenment and regard it in the same light as Zen meditation. In addition, the cause of all phenomena is unconsciousness and painting is the manifestation of such unconsciousness. Thus, painting is like 'all things are made from the mind.' Such sense is the very first physical experience through which one can understand the world as it is - I intend to realize this in paintings. This painting, completed by such sense, can be the existence ‘just being as it is.’ This is the same as the true state in Buddhism meaning the true nature of all existence. Therefore, the painting expressed through senses is just as it is and the true being of an existence. For this reason, I intend to realize the actuality through senses in my artworks. The characteristic of my works is the combination of the photographic realism and expressionism. Some of the former's attributes include photographical image use and close-up; the latter includes some characteristics in expression. Having these attributes, my works can be defined as simulacre, a new existence. I also intended to extract rare images by enlarging the details of objects through close-up filming. The effect of such close-up brings an emphasis on the theme and presents new images - such features are expressed through already experienced fact.
        7,000원
        38.
        2015.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wo studies of luxury product placement in a movie examine whether luxury placements increase movie viewers’ purchase intentions when backgrounds are congruent with the product’s luxury image (a message factor) and when the audience’s luxury associations are activated at the moment (an audience factor). In Study 1, participants’ luxury associations are implicitly activated by priming them with perceptions that they are members of high or low social classes. In Study 2, to explicitly activate their luxury associations, some participants read a news article that describes the placed luxury product as a genuine high-end product; others read an article that describes the placed luxury product as a discount brand. Both studies demonstrate the effects of product–environment congruence and luxury associations on consumer purchase intention.
        39.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젊은 시인 예이츠는 개인의 상상력이 영감의 제일 중요한 원천으로 믿었다. 그의 낭만적 확신은 아더 홀럼의 주장에 힘을 받았는데, 그의 주장은 “순수” 시는 “어떤 극히 예민한 사람들에 대한 인상”에서 나온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는 자신에 대한 집중은 유아론으로 귀착된다는 것을 즉시 깨닫는다. 그는, 또한, 점차적으로 아일랜드 민족주의자로서 자신의 글이 세상과 직접 연결되길 원한다. 영감이 어디서 오는지, 예술은 자기목적적인지, 하는 관심들은 1890년 후기 작품에 강화되며, 이어서 순수한 창의성 은 “보편적 사상”에 접근함으로써 자기중심적인 것을 초월할 수 있다고 제안하기에 이른다. 그는 이 제안을 그의 환상록에서, 마스크 이론으로 다듬고, 유동적이고 투과성이 있는, 마법사-예술가가 만드는 자아라는 신낭만주의 개념을 만들어냈다. T. S. 엘리엇은 시를 “개성의 표현이 아니라 개성에서의 탈출”로 인식한 것으로 유명하다. 예이츠의 시적 영감의 후기 개념들은 예술가를 필연적으로 흙과 손가락을 인정함으로써 그를 괴롭혀왔던 주요 긴장감을 해소했다. 불안정한 다중적 자아라는 모더니스트의 개념을 초기에 수용함으로써, 예이츠는 역설적으로 보다 더 낭만적인 작가가 된다. 주제어: 예이츠, T. S. 엘리엇, 낭만주의, 모더니즘, 창조의 원천 저자: 제임스 페디카는 매사추세츠 주 윌리엄 칼리지에서 아일랜드와 영국 모드니스트 문학을 강의하며, 현재 레이디 그레고리의 공식적 자서전 집필을 하고 있다. 그의 저서는 레이디 그레고리 일기 1892-1902; 코넬대 예이츠 시리즈 마지막 시편: 원고; 그리고 예이츠의 시, 드라마, 산문: 노튼 평론집, 등이 포함된다.
        4,900원
        40.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흔히 도교(道敎)는 여러 가지 신체수련을 통해 장생불사를 추구하고 부적이나 주문, 의례를 통해 세속적 구복을 추구하는 종교로서, 노장사상과 같은 도가(道家)와 구별하여야 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다. 물론 도교 안에는 벽곡(辟穀)과 같은 식이요법, 도인(導引)과 같은 체조, 화학연금술, 약초학, 부적 등 다양한 종교 문화적 요소가 존재한다. 그것만이라면 도교는 의학이나 체육학, 혹은 대중적 주술행위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제대로 살펴보면 도교 안에는 깊은 사색과 명상이 있고, 그들의 심신 훈련의 기술의 바탕에는 매우 심오하고 체계적인 철학이 자리하고 있다. 노장사상으로부터 출발된 도교의 다양한 사상과 수행법은 당말 오대 이후로부터 시작되어 송원 시대에 가장 흥성했던 내단 사상에 이르러 가장 완성도 있게 체계화된다. 도교 내단(內丹)의 가장 독특한 수행법의 특징은 몸과 마음의 균형 있는 연마, 곧 ‘성명쌍수(性命雙修)’라고 할 수 있다. 유교나 불교와 구별되는 도교수행의 독특성은 마음수련을 위해 몸 수련이 반드시 동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도교에서는 인간을 심신상관적(psycho-somatic)인 존재로 인식하는 바, 도교의 구원, 곧 득도를 통해 신선적 경지에 오르기 위해서는 육체와 정신, 양면의 수행이 필요하다고 본다.도교의 내단 사상과 수행법은 한국에서도 성행하였다. 조선시대의 여러 선비들은 단학수행에 몰두하고 다양한 저술을 통해 그들의 수행법을 소개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인물이 김시습(金時習)․권극중(權克仲)․정염(鄭磏) 등이다. 조선중기의 정염(鄭磏: 1506~1549)에 의해 작성된『용호비결(龍虎秘訣)』은 조선시대의 내단內丹)사상의 핵심을 잘 보여주는 저서이다『용호비결』은 도교의 심신수련서 가운데에서도 그 내용이 간단하면서도 한국도교의 내단 수행(修行)의 본질과 핵심을 잘 드러내주고 있다.『용호비결』에서는 도교의 수행법을 폐기(閉氣), 주천화후(周天火侯), 태식(胎息)의 세 단계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이 가운데에서도 폐기의 과정이 가장 중요하며 따라서 이를 올바로 이해하고 바르게 수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한다. 『용호비결』과 같은 단학 수행서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도교의 수행법은 정신완성을 위해 신체의 상태를 온전하게 보전하고 그 순환상태가 원활하게 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정신에너지를 공급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심신상관적 인간이해와 종교적 실천은 현대의학이나 심리학에서 말하는 인간의 정신이해와도 상통한다고 할 수 있다.
        9,8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