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and analyse the relation between traveltime (Tc) and watetshed physical characteristics surveyed such as river length (L), Lea, river main slope (s), base length of time area diagram, and storage constant (k).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average widths of watersheds were with the range from 4.6 kilometers to 16.7 kilometers. The shape factors of main stream ranged from 0.08 to 0.37. The average slopes to main 8tream were within the range of 1.7-5.5 meter per kilometer. The relation between the base length and traveltime from S. C. S. method, Rational method, and RZIHA+KRAVEN method were derived (r=0.98), , (r=0.98), (r=0.97). The base length of the time-area diagram (c) for the IUH was derived as and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98 which defined a high significance. The storage constant K, derived in this study was with correlation coefficient (0.96). The relation between storage Constant and conventional formula were figured out (r=0.97). (r=0.99) and (r=0.963). The base length (c) and storage constant (k) of time-Area Diagram were very important parts that determined traveltime for flood events. In the estimate of travel time for predicting flood volume, the formula of that would be available to apply the Nak - Dong river watershed area and homogeneous watershed characteristics was found.
Purpose - In 2022, the United States introduced Creative Helpful Incentives to Produce Semiconductors for America Act, which strengthened the export control on China’s chips, semiconductors, and other products. Th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relation betwee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is in a tense state, which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complementary development of technology betwee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China’s semiconductor industry. In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relation betwee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this paper hopes to play a certain reference role in the faster and better development of China’s semiconductor industry.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is paper uses literature analysis, qualitative analysis and case analysis to elaborate on the general situation of the semiconductor industry 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China’s semiconductor industry under the global semiconductor industry, and analyzes the development, present situation and future of Sino-us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relations. Findings - This paper discusses the development problems and opportunities of China’s semiconductor industry under the Sino-US science and technology relations, and puts forward the development strategy of China’s semiconductor industry under the Sino-US science and technology relations. This paper can bring enlightenment to the development of China’s semiconductor industry under the Sino-US science and technology relations. Research Implications - Through the study of the development opportunities and strategies of China’s semiconductor industry under the Sino-US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relation, Chinese semiconductor enterprises can better cope with the impact of the United States on the development of China’s semiconductor industry, grasp the development opportunities of the semiconductor industry, and achieve the development goals of the semiconductor industry in the difficult situation.
본 연구는 코치의 직무열의에 삼분법적 효능감이 미치는 영향과 직무열의가 그들의 코칭만족과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코칭경력에 따른 영향관계의 차이를 밝히고자 한다. 방법: 운동선수를 지도하고 있는 코 치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는 코치의 삼분법적 효능감, 직무열의, 코칭만족, 지속의도 의 검사지를 연구목적에 부합되게 제작 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신뢰도, 상관분석, 경로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코치의 삼분법적 효능감의 자기효능감, 타인효능감 그리고 관계추론 효능감 은 직무열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삼분법적 효능감과 직무열의, 코칭만족 그리고 지속 의도 간의 영향력 있는 경로가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셋째, 코칭경력에 따라 형성된 경로의 변인에 대한 영향력 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코치와 선수간의 삼분법적 효능감과 직무열의가 코치의 긍정적 심리 와 코칭의 지속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코치의 경력이 높아짐에 따라 선수와의 상호 관계 속에서 형성되는 효 능감이 직무열의에 더욱 중요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네 사중주』 창작의 기본 바탕에는 엘리엇의 과거 체험이 자리 잡고 있다. 즉, ‘번트 노턴’에서 ‘리틀 기딩’에 이르기까지 엘리엇이 직접 방문한 과거의 체험을 바탕으로하고 있다. 이 글은 그 과거의 체험이 어떤 의미를 갖게 되며 그것의 의의는 무엇인가에 대한 해답 찾기를 시도하고자 한다. 엘리엇은 과거를 그 자체로 남겨두어서는 의미 찾기가 불가능하며 그것을 현재의 시각으로 재해석 내지는 재수정을 요구하고 있다. 이른바 과거의 올바른 의미 찾기라고 볼 수 있다. 아울러 과거를 올 바로 직시하기 위해서는 집착과 무관심을 지양하고 초탈의 자세가 필요하며 또한 과거와 미래를 균등한 자세로 주시할 것을 엘리엇은 주장한다. 이것이 곧 과거의 의미를 정확하게 찾아낼 수 있는 지름길이 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접근으로서 스포츠 참여와 신체적 자기 개념 및 대인관계능력에 대한 인과관계를 검증하여 중학생들의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스포츠 참여의 역할과 건전한 자기개념의 인식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C도에 거주하고 있는 중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편의표본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총 40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실시하여 타당성을 확보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구조방정식 모형분석(SEM)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들의 스포츠 참여는 대인관계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중학생들의 스포츠 참여는 신체적 자기개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중학생들의 신체적 자기개념은 대인관계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중학생들의 신체적 자기개념은 스포츠 참여와 대인관계능력 사이에서 부분매개역할을 한다.
이 논문은 로마 사두체제(주후 303년〜311년)가 기독교를 박해하게 된 원인을 통해 로마 제국과 기독교의 관계를 연구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연구된 박해의 원인을 기초로 하여 로마의 전통적인 종교관과 사 두체제의 기독교 박해의 관계를 찾을 수 있었다. 그 결과로 다음과 같이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사두체제에서의 박해는 첫째로, 전통 종교에 대한 로마 사회의 절대적인 믿음이 기독교를 박해하는데 다양한 원인의 기초였다는 점이다. 둘째로, 로마의 황제들도 종교를 정치의 정책으로 이용했고, 통치의 방법으로 활용 했다. 그러나 그들이 종교를 단순히 통치의 방법으로서 활용한 것에 그치 지 않았고, 그들에게 종교에 대한 절대적인 믿음이 있었다는 점을 찾을 수 있었다. 셋째로, 로마 사두체제의 기독교 박해는 종교관에서 뿐 아니라 사 상적, 철학적인 지지를 받아 실행했다는 점도 발견할 수 있었다.
나가시마 히로키의 논문은 통감부 체제 하에서 일본의 독도 편입에 대한 한국의 항의의 부존재가 일본의 독도 편입을 묵인 또는 승인한 것이라는 점을 입증하려는 것이다. 나가시마는 통감부와 한국 정부 사이에 이루어진 실무적인 서류 왕래를 한일 간 외교의 ‘내정화’라 정의하 고, 외교의 내정화는 한일 정부 간의 관계를 긴밀하게 하여 한국정부의 의사표출을 쉽게 했을 것이라고 추론한다. 통감부체제라는 수직적이고 강압적인 지배체제 하에서의 연락 구조의 강화는 오히려 일본의 한국 ‘예속화’를 심화한 것일 뿐이다. 이러한 측면을 고려하면, 그의 주장은 통감부 통치의 본질이나 실체에 대한 이해 부족에서 오는 잘못된 판단이다. 설령 나가시마의 주장대로 한국의 항의의 부존재가 입증된다고 해도 그것이 곧바로 일본의 독도편입의 정당화로 연결되지는 않는다. 한국 정부가 일본의 독도편입 사실을 인지한 1906년 5월 이후부터 한국의 주권이 완전히 상실되는 1910년 8월까지의 약 4년여의 기간 동안 한국이 침묵했다는 이유만으로 일본이 독도에 대해 새로운 권원을 설립하지 못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영유권을 포기하거나 양도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항의의 부존재가 있었다 하더라도, 4년여의 짧은 기간의 실효적 지배만으로는 새로운 권원을 확립하지 못한다는 것이 국제사법재판소(ICJ)의 견해이다.
이 연구는 지각된 학생지도성,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 학습컨설팅 역량의 구조적인 관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가설모형을 설정한 후, 초등교사 201명을 대상으로 세 변인의 직·간접적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분석방법은 Pearson 적률 상관분석을 통해 측정변인들 간의 상호관련성을 살펴보았고,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통해 세 변인들로 이루어진 모형이 적합한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랩핑(Bootstrapping)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측정변인들간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학생지도성은 학습컨설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동시에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모형이 적합한 모형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었다. 이 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교사의 학습컨설팅 역량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교수·학습 전문성 및 학생에 대한 이해와 같은 학생지도성을 강화해야 하며, 교사-학생의 긍정적인 관계 형성에 대한 신념이 높아야 함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한 달간의 종단연구를 통해 초등교사의 스트레스 마인드셋이 직무스트레스를 예측하는지 확인하고, 스트레스 마인드셋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및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마인드셋의 조절효과를 살펴봄으로써 교사의 이직의도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직 초등교사들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한 달의 간격을 두고 2회의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초등교사 190명(남 26명, 여 164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첫째로 스트레스 마인드셋은 직무스트레스에 선행적으로 영향을 주는 예측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스트레스 마인드셋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지각 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스트레스 마인드셋이 직무스트레스를 완전히 매개하여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교사 개인의 스트레스 마인드셋이 교사의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직무스트레스를 통해 간접적으로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직무 스트레스와 이직의도 사이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마인드셋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그리고 향후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and determinants of China-ASEAN trade relations over the period of 2000-2018. Employing both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 the results show that the trade relations between China and the Association of South East Asian Nations (ASEAN) have remarkably developed and rapidly grown over times, with a significantly important concentration on the segments of high technological and medium technological products. We also find that China’s economic scale is crucially impacting on the China-ASEAN trade relations under both the aggregate and sub-sector level. It is interesting to notice that there is no evidence to support accession to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WTO) and officially forming of ASEAN-China Free Trade Agreement (ACFTA) to enhance trade relation between both sides. The findings also quantitatively indicate that there is much significant potential for the expansion of mutual trade between China and some members of ASEAN such as Brunei, Laos and Malaysia, while less potential is predicted for other members of ASEAN. It is strongly suggested that China and ASEAN should find a new proactive approach and make more efforts in improving the mutual political trusts to enhance trading activities in the coming years.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much continuous investment in human capital contributes to increasing labor productivity at not only individual companies but also at the national level, and causes fundamental as well as increases for labormanagement conflicts. The current research aimed to empirically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human capital investment and furthermore, based on the effect of human resource investment on labor productivity, also re-examine the role of the Labor Commission as well.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was conducted by the Korea Information Service-Financial Accounting System (KIS-FAS) using representative panel data operated by countries to measure whether long-term investment in corporate human resources affects labor productivity. Results: Two distinctive summarized results of the analysis in the Korea Credit Ratings data showed that there was a high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rporate human resource investment and economic performance for a tenyear period from 2009 to 2018.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concluded that the role of the labor committee should be effectively formed by the labor as a mediation agency and that the role of the mediation committee members should focus more on how to strengthen the human resources management of the union.
Purpose – In recent years, the bilateral political relationship between Vietnam and India was upgraded to strategic and comprehensive partnership. Thu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current relations and prospects of the Vietnam-India trad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data was mainly based on World Integrated Trade Solution (WITS) and Foreign Investment Agency of Vietnam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FIA) from 2010-2018. The relationship of the two countries has showed growth in all sectors, including trade cooperation. This paper focused on assessing the current relations of trade cooperation of the two countries and then andlyzed the prospects of trade cooperation in the next period.
Result - The Indian Government’s strategy shifted from “Look East” policy to “Look East” action by the end of 2015. Vietnam is a partner and a pillar of India’s Look East policy (Muni, 2011). The governments of both countries should further strengthen exchanges and trade connections in order to provide cooperation opportunities for investors and businesses of the two countries.
Conclusion - The paper discusses and gives an overview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trade relations of Vietnam and India as well as lucidating the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for two countries in the future.
잔 달브레는 16세기 프랑스 종교전쟁 시기에 프랑스 남서부에 위치한 나바라 왕국의 통치자이자 베아른 종교개혁을 이끈 위그노 지도자이다. 로마가톨릭을 신봉하던 프랑스 왕실에서 어머니 마르가리타 당굴렘에 의해 프로테스탄트로 자란 잔 달브레는 다른 왕족 여성들과 달리 공개적으로 프로테스탄트임을 드러낸 보기 드문 의지의 소유자이기도 하다. 어릴 때부터 프로테스탄트 성향의 가정교사에게 교육 받은 잔은 10대 시절 두 번의 정략결혼이라는 고난을 겪으면서 하나님을 의지하게 되었고 20대에 꾸준히 프로테스탄트들을 도우며 종교개혁자들과 교류하다가 32세에 테오도르 드베즈로 대표되는 칼뱅주의자들의 영향으로 공개 개종을 했다. 이후 자신의 영지 베아른에서 입법과 제도 개혁을 통해 종교개혁을 단행하며 프랑스 위그노 중 가장 높은 위치에서 종교개혁운동을 이끌던 잔 달브레는 오르테즈 아카데미 설립, 성서 번역, 앙리 4세 등 많은 영적 유산을 남겼다.
본 논문은 종교개혁사가 기억해야 할 잔 달브레의 생애와 활동을 프로 테스탄트 통치자와 프로테스탄트 신앙인이라는 두 측면에 초점을 두고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잔이 어떻게 프로테스탄트가 되었는지를 기술할 것이다. 이후 프로테스탄트 통치자 잔을 조명하기 위해 ‘베아른 교회법령’에 나타난 베아른 종교개혁과 잔의 국가관을 분석할 것이다. 프로 테스탄트 신앙인 잔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1563년 잔과 다르마냑 추기경이 주고받은 편지, 1568년 작성한 『충분한 설명』 속 잔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 일 것이다. 이를 통해 여성종교개혁자이자 프로테스탄트 통치자인 잔 달브 레를 개혁사에 각인시킬 뿐 아니라 프랑스 종교개혁에 미친 잔의 영향력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Purpose – The study aims to substantiate the approaches and principles of forming a model of social and labor relations adequate to the modern conditions of economic developmen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article deals with the issues of legal regulation of social and labor relations in the labor market of Kazakhstan; describes the current model of labor relations and its basic parameters; determines the external and internal factors; specifically, the influence of the new labor law on its further development in the direction of democratiz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social partnership as a regulatory institution in the labor relations field.
Result - Result is the model of the system of social and labor relations proposed by the author, which allows us to cover the multifaceted nature of this phenomenon, to unite the influence of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the internal complex of their mutual relations and interdependencies.
Conclusion - The creation of an effective model of social and labor relations should proceed from the multifaceted nature of their manifestation. This means that th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basis for their formation should be a comprehensive approach to solving the problems of transformation and interaction of social and economic components.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 초등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여부 및 참여정도가 의사소통역량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에 위치한 초등학교 재학생 1~6학년 중 다문화가정 학생 108명을 대상으로 자기평가 기입법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불성실한 응답이 있는 5부를 제외한 103부에 대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5를 사용하였고,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Cronbach's α 를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유무에 따라 의사 소통역량의 하위요소인 목표설정역량, 해석역량, 메시지전환역량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 한,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유무에 따라 또래관계의 하위요소인 의사소통, 신뢰, 화 및 소외감에서 유 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의사소통역량은 또래관계에 부분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초등학생들의 의사소통역량 향상과 긍정적인 또래관계 형성을 위해 학교스포츠클럽을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정부차원에서 충분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한국기독교의 국제교류활동을 조명한다. 전간기의 서구신학계는 태평양문제연구회, 예루살렘선교대회, 평신도해외선교조 사위원회의 중심인물인 플레밍-록펠러-호킹의 현대주의 신학사상이 한국기독교인에게 수평적인 국제교류의 장을 제공했다. 전후의 참화를 극복하고 새로운 세계질서 수립을 겨냥한 이들은 기독교 평등사상 및 기독교세계주의에 주목하였고, 사회진화론에 근거한 서구우월의식을 지양하고, 세계 각 민족과의 우호협력 및 현지인 주도성의 필요성을 강조하여, 한국기독교인들에게 일본인과 구별된 독자적 국제문화교류를 경험할 장을 마련하였다. 문화교류라는 맥락에서 제공된 한국인의 지식과 정보는 아시아학의 태동기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태평양 전쟁기 및 전후 한국문제의 이해를 위한 정치외교적 함의를 지닌 정보로 사용되었고, 영미계의 대한정책수립에 참고자료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문헌 증거는 일제강점기가 국가 차원에서의 외교기관 부재라는 전이해에 따라 민족의 독립투쟁에 집중되 어온 기존의 역사연구를 보완한다. 서구열강은 한민족의 대외활동을 일본의 내정이라는 차원으로 인식하였기에 한민족이 고투하는 자주적 해외독 립투쟁에 집중된 기존연구를 보완하는 본 연구는 자주적인 해외독립투쟁에 집중된 연구를 보완하는 본 논문은 서구기독교인들과 한국기독교인의 협력적 관계를 조명한다는 측면에서 미개척분야라 할 수 있다. 외교를 국가대표기구의 공식적 회견이라는 관점보다 민간인의 국제교류를 통한 민간공공외교라는 관점에서 자료발굴과 해석을 시도함에 외교사와 기독교사가 교차하는 영역에 집중하므로 학제융합적 접근방법을 사용한다.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 국권상실에 이르기까지의 형성된 한민족의 대미관계 및 해외한인의 독립활동에 집중한 기존연구를 보완하는 본 논문은 제국주의의 감시와 억압을 뚫고 민족의 세계적 활로를 제공한 기독교평등주의와 기독교세계주의를 검토하며 세계기독교대회에서 면면히 지속되어 온 한인의 국제교류활동상을 조명하여 한국외교사의 공백기를 채운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diplomatic aspects of Egyptian-North Korean relations, with a brief overview of the era of Gamal Abdel Nasser and with a focus on Anwar el-Sadat’s presidency. On the basis of Hungarian, U.S., and Romanian archival documents, it investigates why the post-1973 reorientation of Egyptian foreign policy toward a pro-American position did not lead to a breakdown of the Egyptian-North Korean partnership. The article describes such episodes as North Korea’s military contribution to the 1973 Arab-Israeli War, Egyptian-North Korean cooperation in the Non-Aligned Movement, Kim Il Sung’s equivocal reactions to the Egyptian-Israeli peace process, and the militant Arab states’ dissatisfaction with Pyongyang’s unwillingness to condemn the “treacherous” Camp David Accords. It concludes that the main pillars of the Sadat-Kim Il Sung partnership were thei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China, their shared enmity for the USSR, and their fear of diplomatic isolation. Still, the North Korean leaders, anxious as they were to prevent an Egyptian-South Korean rapprochement, were more often compelled to adapt to Egypt’s diplomatic preferences than vice versa. The ambivalence, vacillation, prevarication, and opportunism that characterized Pyongyang’s interactions with Cairo belied the common image of North Korea as an iron-willed, militant state cooperating with other revolutionary regimes on the basis of equality, mutual trust, and anti-imperialist solidar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