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28

        522.
        2012.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후변화로 인해 무강우 기간이 길어지고, 국제적으로 사막화가 심각해지면서 건조지역 유목의 생존이 위협받고 있다. 이런 문제를 감안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모의실험으로 건조지역 지하에 소형저류조를 설치하여 나무의 생존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어떤 규모의 저류조를 어느 깊이로 설치하는 것이 최적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건조지역 토양에서의 강우, 침투, 침루, 증발, 증산, 지하수위, 모관수대와 같은 인자들의 영향을 고려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1. 건조지역의 강우, 침투, 침루, 증발, 증산, 지하수위, 모관수대와 같은 인자들의 값을 결정하는 방법을 검토함으로써 대상지역의 토양수분함량을 산정하고, 2. 토양수분의 변동 가능성을 예측함으로써 건조지역에서 유목의 생존여부를 검토하기 위한 소형 지하저류조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523.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active and passive listening condition on young children's musical understanding of familiar and unfamiliar melody through researcher-invented notation. All subjects in this study were Korean children from 3 to 5 years of ages in a private prekindergarten in Seoul Korea. A pre-and posttest experimental design guided this study, which was conducted for five consecutive weeks, including three treatment sessions between pre-and posttest sessions in summer of 2009.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or the study were posed: 1)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young children's apparent understanding of tempo when comparing active and passive listening condition? and 2)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young children's apparent understanding of tempo according to familiarity of the melody? Listening conditions (independent variable) in this study were the presence or absence of body movement while children listened to short musical examples. The children's apparent musical understanding of tempo (independent variable) was captured through children's guided drawings that indicated where they understood tempo changes to occur in the music. The drawings were evaluated by three independent judges who scored four drawings for each child: for familiar and unfamiliar melodies in both the pre-and posttest. A two-way ANOVA was used to analyze the score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between familiar and unfamiliar melody, and no difference with the interaction of group and melody familiarity. Therefore, the null hypotheses for this study were accepted.
        524.
        2011.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보리순 분말이 yellow layer cake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보리순 분말을 밀가루의 0, 2, 4, 6, 및 8%의 수준으로 대체하여 첨가하였다. 보리순 분말을 함유한 반죽의 점성은 대조구보다 증가하였으며 반죽의 비중은 낮게 나타났다. 케이크의 비체적은 시료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Volume index는 대조구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symmetry index와 uniformity index는 차이가 없
        525.
        2011.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자기존중감 기르기 교육활동 경험이 유아의 유치원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고자하는데 목적이 있다. 만 5세 유아 38명을 실험집단(19명)과 통제집단(19명)으로 하여 13주 동안 유아 1인당 주 2~3회, 총 31회의 실험처치가 이루어졌다. 실험집단 유아들에게는 자기존중감 기르기 교육활동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생활주제에 따른 유치원 일과운영에 맞추어 활동하였다. 그 결과, 자기존중감 기르기 교육활동 경험이 유아의 유치원 적응과 하위요소 중 친사회적 행동, 유치원 환경에서의 긍정적 정서, 유치원 생활에서의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26.
        2011.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자기존중감과 사회적 유능감이 어떻게 나타나며 성차가 있는 지를 알아보고, 자기존중감의 수준과 성이 사회적 유능감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충청남도 서산시의 공립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만 5세 159명이었다. 그 결과, 유아는 자기존중감에서 비교적 긍정적인 자기지각을 하고 있으며, 유의미한 수준에서 성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은 유의미한 수준의 성차를 보이지 않았다. 유아의 자기존중감 수준과 성별에 따른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에서,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은 자기존중감 수준의 주효과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성별의 주효과와 자기존중감 수준과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27.
        2011.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에서의 협력활동 경험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 중 실험집단은 서울특별시 강북구에 소재한 S병설유치원 만5세 28명, 통제집단은 D병설유치원 만5세 28명이며, 연구도구는 박주희와 이은해(2001)의 취학 전 유아용 또래유능성 척도와 한은희(2009), 이나영(2008), 교육인적자원부(2006) 등의 관련연구를 토대로 재구성한 총15가지 협력활동이었다. 연구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또래유능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유치원에서 협력활동 경험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또래관계에서 어려움을 겪는 유아의 또래유능성을 향상시키는 기회가 될 수 있음을 시사받을 수 있었다.
        530.
        201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yntactic priming effect is defined as a tendency that speakers are more likely to use the syntactic structure in the case that the same structure was used in a preceding sentence compared to the case in which a different syntactic structure was used in a preceding sentenc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the syntactic persistence between young and adult EFL learners. Also,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implicit learning effect. Participants consist of three groups: elementary school students, middle school students, and university students. For the implicit learning effects, each participant took part in the experiment three times with an interval with ten days. As a result, the salient priming effects and implicit learning effects were observed in university students. Weak effects were shown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weakest effects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Especially, the priming effects on passive and double object dative structure were not observed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ak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strong for the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imply that young EFL learners who are in lack of cognitive prerequisite on L2 linguistic forms are limited to both the priming effects and implicit learning effects. Pedagogically, the young learners who are in lack of cognitive prerequisite knowledge require more explicit instruction for L2 grammar.
        531.
        2011.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ish reproduction is influenced by various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Among these factors, changes of photic conditions are thought be most closely related to the reproduction of many fish species. In recent studies, melatonin that mediates the changes of photic condition outside has been used in an attempt to get a similar effect to photoperiod manipulation without changing photoperiod. However, the effects of exogenous melatonin vary depending on life stages. We have previously investigated the effect of melatonin on reproductive activity in mature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In this study, effects of exogenous melatonin on the spawning activity, the rate of mouth brooding success rate and early survival rate of lavae produced from melatonin treated Nile tilapia were investigated. Nile tilapia at the time of puberty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and fed on control (0 ㎍/g), low-dose melatonin (2.5 ㎍/g BW) or high-dose melatonin (25 ㎍/g BW) diet. Fish were reared indoor tanks at 27~28℃ under natural-photoperiod and fed twice a day at 10:00 and16:00 during the experiment (120 days). Fish were sampled to examine growth and gonadal development on Day 30, 60, 90 and 120.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somatic growth between control (no melatonin) and melatonin-treated groups, indicating that melatonin administration did not cause any negative effects on the growth of experimental fish. The patterns of gonadal development were almost the same between control and melatonin-treated groups. In juvenile tilapia, treatment with low-dose melatonin resulted in the increase of spawning rate, the rate of mouth brooding success and early survival rate of laval tilapia. However, high-dose melatonin resulted in the decrease of spawning rate, the rate of mouth brooding success and early survival rate of laval tilapia, although the earliest spawning occurred in one of the high-dose group fish. Fish in high-dose melatonin group failed to recover from reproductively suppressed state even after the cease of melatonin treatment, indicating that too much melatonin might act negatively on spawning activities and gonadal maturation in Nile tilapia. In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a pertinent dose of melatonin treatment can effectively accelerate the spawning rate and the rate of mouth brooding success, and bring positive effects on early survival rate of tilapia lavae.
        532.
        2011.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신고'배의 재배과정에서 만개 후 35일에 GA 도포제를 처리하여 발생하는 과대지의 변화와 과실특성 및 품질변화의 양상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이상발육 과대지의 발생률은 GA 도포제 무처리군 27.5%, 25 mg 처리군 52.5%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과대지수와 꽃 수는 이상발육 과대지에서 감소하였다. GA 도포제 처리 후 배생육기간 동안 GA 도포제 25 mg 처리군의 과실비대량이 무처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533.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원예활동과 창의성 요인을 분석하여 창의성 기법을 적용한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유아들의 창의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유아는 S시 G구 H 어린이집 4-6세 남․여 총 21명을 실험집단으로, 원예활동에 참여하지 않은 A시 G구 K어린이집 4-6세 남․여 총 21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여, 사전․사후 측정 유사 실험 설계로 진행되었다. 연구기간은 2010년 6월부터 8월까지 주 2회씩 매 회기 1시간씩 진행되었고 홀수 회기는 모둠활동을 하였고 짝수 회기는 개별 활동을 하였다. 유아의 창의성을 측정하기 위해 ‘유아용 종합 창의성 검사(K-CCTYC: Korean com-prehensive creativity test for young children)’를 사용하였다. 프로그램 시행 전 두 집단의 창의성에 대한 동질성 검사를 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동일한 집단임이 입증되었고, 총 20회기의 원예활동을 통해 유아들의 창의성 종합 점수가 상승되었다(p=.000). 따라서 본 연구의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창의성의 하위 요인인 융통성, 독창성, 유창성, 상상력으로 나누어서 살펴본 결과 첫째, 융통성 종합 점수는 대조군보다 실험군에서 더욱 상승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8). 따라서 창의성 기법을 적용한 원예 수업이 유아의 융통성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독창성의 종합 점수는 대조군보다 실험군에서 더욱 상승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1). 따라서 창의성 기법을 적용한 원예 수업이 유아의 독창성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유창성의 종합 점수는 대조군(p=.038)과 실험군(p=.000) 모두 상승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실험군의 점수 상승 폭이 더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창의성 기법을 적용한 원예 수업이 유아의 유창성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상상력의 종합 점수는 대조군보다 실험군에서 더욱 상승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33). 따라서 창의성 기법을 적용한 원예 수업이 유아의 상상력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본 연구 결과, 창의성 기법을 적용한 원예활동을 통해 유아의 창의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고, 특히 언어 영역에 대한 효과가 가장 좋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가 유아교육 현장에서 아직은 생소한 원예수업이 창의성을 접목하여 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로 그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534.
        2011.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esents an edutainment robot for young children. The edutainment robot called ‘Mon-e’ has developed by the Central R&D Laboratory at KT. The main services of the Mon-E robot are autonomous moving service, object card and story book telling service and videophone service. The RFID technology was introduced for easy interface to young children. The face of Mon-E robot is mounted with an RFID reader. The RFID tag is pasted on story book and object card. If you approach a book or an object card to the face of Mon-E, the Mon-E robot recognizes the identified code and plays its service. In autonomous moving, if the Mon-E robot meets obstacles, it moves back and turns left or right or half rotation. In videophone service, if young children approach an RFID card to the Mon-E, the Mon-E can make a call to the specific number, which is contained in the RFID card. The developed Mon-E robot has tested in real world environment and is evaluated young children and their parents. In the result of evaluation, the feeling of satisfaction was high to main services of Mon-E robot.
        537.
        201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원예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 인식태도 및 확산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경산시의 D, J초등학교 병설 유치원을 다니고 있는 만 4~5세 유아를 대상으로 2010년 5월 11일부터 7월 16일 까지 매주 목요일 오전 10시부터 1시간, 주 1회, 총 10회 원예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유아 환경인식 검사 결과 하위항목 환경지식과 환경태도에서 모두 유의하게(P<0.01) 향상 되었다. 전체 점수 또한 유의하게(P<0.01) 향상되었다. 확장적 사고검사 결과 전체 점수가 유의한 향상을 나타냈으며 하위항목 독창성(P<0.05)과 정교성(P<0.01)에서 각각 유의한 의미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인식과 확장적 사고에 크게 영향을 끼친다고 판단되었다. 따라서 유아 교육 기관에서는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도입한 환경교육이 필요하며 재활용품을 이용한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확대되어 나가야 한다고 생각된다.
        538.
        2011.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전래동화를 활용한 창의적 교수 학습 방법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관련문헌을 기초로 유아에게 적절한 전래동화를 선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5단계의 창의적인 교수 학습 방법을 고안하여 경기도에 소재한 초등학교병설유치원 2개 학급 만 4,5 세 유아 33명을 선정하여 8주간 주 5회씩 총 40회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전래동화를 활용한 창의적 교수 학습 방법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전래동화를 들려주기만 한 통제집단 간 유아의 창의성 및 창의성 하위요인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창의성과 언어의 결정적 시기에 있는 유아들에게 창의성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전래동화에 대한 다각적 연구들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539.
        2011.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놀이 형태로 이루어지는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충청남도 당진군에 소재한 K 초등학교병설유치원 원아 40명으로 실험집단 20명(남:12, 여:8) 통제집단 20명(남:11, 여:9)이었다. 연구결과 집단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지도성, 도움주기, 의사소통, 주도적 배려, 접근 시도하기, 감정이입 및 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540.
        2011.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대인문제해결사고와 유치원 일과활동에서의 자율행동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성별에 따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강원도 영서지역의 A시와 B시에 소재하고 있는 12개의 공립유치원 13학급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120명이었다. 연구결과를 보면 유아의 대인문제해결사고 하위사고는 남·여 유아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치원 일과활동에서의 유아 자율행동이 남·여 유아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대인문제해결사고와 유치원 일과활동에서의 자율행동과의 관계를 성별에 따라 알아본 결과, 남아의 경우 대인문제해결사고 중 결과 예측사고와 원인적 사고가 유아 자율행동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아의 경우에는 대인문제해결사고 중 결과예측사고가 유아 자율행동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