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197

        2041.
        2021.09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aturally occurring left ventricular hyperplasia is a rare but lethal disease. There are very few reports of this cardiac disease in captive nonhuman primates. In a colony of Macaca mulatta (Rhesus monkey) at California National Primate Research Center, a large number of rhesus macaques were diagnosed by autopsy with naturally occurring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without obvious underlying diseases over a 22-year period. The confirmatory diagnosis of ventricular hypertrophy was based on findings of notable left ventricular concentric hypertrophy with reduced left ventricular lumen, which is very similar to human ventricular hypertrophy cases. This report discusses an 11-year-old Macaca fascicularis monkey (Cynomolgus monkey, crab-eating macaque), weighing 2.95 kg, that was presented for enrollment in a pharmacokinetic (PK) study. During the PK experiment, the monkey died following a sudden decrease in percutaneous oxygen saturation and heart rate. Gross and histological examinations of the heart were performed. On gross pathology, the left ventricular wall was thickened, and the chamber lumen was reduced. In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using hematoxylin- eosin and Masson-trichrome stains, fibrosis and myocyte disarray were not observed, but an increased cell density, compared to the normal heart, was confirmed. The autopsy results confirmed left ventricular hyperplasia as the major cause of death.
        4,000원
        2042.
        2021.09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zheimer’s disease (AD) is an irreversible and progressive neurodegenerative disease accompanied by aging, followed by memory impairment and cognitive decline. Although numer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develop treatments for AD, most clinical trials have failed to delay or stop the progression of AD. Electroacupuncture (EA) is a complementary alternative medicine technique widely used to treat pain, inflammation, and neurodegenerative diseases. Additionally, blood-brain barrier (BBB) disruption is a known pathophysiology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including AD. Moreover, amyloid beta deposition increases BBB permeability and produces inflammatory cytokines induced by glial activation. However, our previous study revealed that EA treatment at the Taegye acupoints (KI3) improves memory impairment through anti-neuroinflammation and increases glucose metabolism in 5XFAD mice. Therefore, we evaluated whether EA treatment at KI3 regulates BBB dysfunction in the prefrontal cortex of 5XFAD mice. For this study, 6.5-month-old 5XFAD mice were treated with EA stimulation at KI3 three times a week for two weeks. Western blotting, immunohistochemistry, and flow cytometry were us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EA treatment on BBB dysfunction. We found that EA stimulation attenuates BBB integrity by protecting BBB tight junction proteins (CD31, aquaporin 4, occludin, and claudin 5) in the prefrontal cortex of 5XFAD mice. In addition, EA treatment regulated inflammatory cytokines (IL-1α, IL-1β, IL-17, IL-23, IFN-ɣ,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 1 (MCP-1), granulocyte-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s [GM-CSF], and IL-10) in the peripheral circulation of 5XFAD mice. Therefore, our data suggest that EA treatment could be a therapeutic agent for enhancing BBB dysfunction in AD.
        4,500원
        2043.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철근콘크리트 고층건물의 사례연구를 통해 성능기반 내풍설계를 수행하였고 그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초기 설계 시 비탄성 거동 도입을 위해 공진성분을 절반으로 줄여 설계하고, 이에 대한 비탄성 성능을 검증하였다. 비탄성 해석을 위한 해석 모델링 방법을 제시하고, 잦은 설계 변경에서도 적용할 수 있도록 시간이력 풍하중은 설계기준에서 제시하는 파워스펙트럼밀도 함수로부터 재생하였다. 이 때 비선형 해석을 위한 시간이력 하중 재생 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함께 제시하였다. 해석 결과 공진성분을 줄여 설계했음에도 비탄성 거동은 수평부재에서만 발생하였고, 소성회전각은 즉시거주 성능 수준을 충족하였다.
        4,000원
        2044.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오늘날 AI발명은 데이터구조 등의 데이터 전처리, 학습에 필요한 학습 모델 정의, 물리적 구현, 딥러닝(Deep Learning) 학습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수행되는 물리적 구현, 도출된 학습완료모델(AI기반 SW) 등이 알고리즘 형태로 컴퓨터 등의 하드웨어에서 구현되는 경우를 말하고, 이러한 AI발명은 발명의 성립성을 만족하여 특허대상이 될 수 있다. 그러나 학습완료모델(AI기반 SW)에 입력데이터를 입력하고, 그 입력 데이터에 의하여 AI가 생성한 창작물은 현행 특허법상 인간의 발명이 아니라 비자연인인 AI에 의하여 생성된 것이므로 특허를 받을 수 없다. 따라서 AI 기술은 현행 특허법으로 충분한 특허보호가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ⅰ) AI에 의해 생성된 AI창작물은 인간(자연인)의 발명으로 볼 수 있는지, (ⅱ) 현재 인간만을 발명자로 인정하고 있는 데 AI도 발명자로 인정받을 수 있는지, (ⅲ) AI창작물을 인간의 발명으로 인정하기 위한 방안이 있는 것인지, (ⅳ) AI를 발명자로 인정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권리자로서의 권한과 의무, 권리행사의 책임 등에 대한 당사자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인지 등 다양한 법적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방안으로 AI에 의하여 생성된 AI창작물에 대해서도 특허대상에 포함시키기 위한 특허법의 개정방안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로 특허법 제2조 제1호의 발명의 정의 규정은 미국 특허법 제101조와 같이 인간의 발명에 한정하는 것으로 특정하고, 인간의 인위적 행위가 아니라 AI가 창작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인간의 개입’ 이 있는 경우, 그 ‘인간의 개입’을 전제로 AI가 생성한 AI창작물의 정의 규정을 도입하는 개정방안이 필요하다. 그리고 특허를 받을 수 있는 자에는 ‘인간의 개입’을 전제로 하는 AI창작물의 발명자를 인간으로 한다는 규정을 특허법 제33조에 도입할 필요가 있다.
        2045.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풍력자원평가를 수행할 때 풍력자원의 특성이 동질한 바람권역을 파악하여 측정지점을 선택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풍력자원의 공간적인 동질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계열 바람벡터의 유사성, 시계열 풍속의 피어슨 상관계수, 시계열 풍향의 코사인, 시 계열 풍속의 일치도 지수, 24시간 자기상관함수, 풍력자원 요인의 주성분을 유사도 척도로 이용하여 바람권역을 군집분석하였다. 주성 분분석을 수행하여 와이블 풍속분포의 척도계수 및 형상계수가 제 1 주성분으로, 지형고도와 24시간 자기상관함수가 제 2 주성분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단순지형인 제주도와 복잡한 산지지형인 포항지역에 여러 가지 유사도 척도를 적용하여 바람권역을 분류하였으며, 다연상관계수와 상자그림으로 군집내 풍력자원 요인이 유의미한 통계적 차이가 존재하는가를 평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시계열 바람벡 터의 유사도와 풍력자원 요인의 주성분 거리가 가장 효과적인 군집분석의 척도임을 확인하였다.
        4,000원
        2046.
        2021.09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lon cancer has been considered a leading cause of cancer-associated death. Folic acid is a vitamin necessary for cellular physiological functions and cell viability. However, the association between folic acid intake and colon cancer has been examined in several prospective cohort studies are controversial.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olate intake on colon carcinogenesis and oxidative stress in an azoxymethane (AOM)/dextran sodium sulfate (DSS) institute for cancer research (ICR) mouse model. Thirty male ICR mice (5 weeks old) were divided into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supplied 0.03% folic acid via drinking water (50 mL/week/mouse) for 6 weeks. To induce colonic pre-neoplastic lesions, the animals were subcutaneously injected three times weekly with AOM (10 mg/kg body weight), followed by 2% DSS in drinking water for a week. Folic acid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total number of aberrant crypt foci and aberrant crypts. Histological image data showed that folic acid supplementation attenuated neoplastic change. In addition, we measured the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concentration of dry feces samples to identify the effect of folic acid on reactive oxygen accumulation. The folic acid supplementation group had reduced reactive oxygen species levels in dry fec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folic acid suppresses colon carcinogenesis and oxidative stress in an AOM/DSS mouse model.
        4,000원
        2047.
        2021.09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reactive protein (CRP) is an acute-phase protein produced by hepatocytes. The plasma concentration of CRP peaks around 48 hours following stimulation. A rapid decrease in CRP levels is observed when the stimuli end. Considering these characteristics of CRP, it is used to evaluate acute inflammatory responses in clinics. In addition, as it reflects the degree of surgical trauma, measuring the CRP concentration is an effective method of evaluating tissue damage depending upon the surgical method. As CRP is also an acute-phase protein in dog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the factors related to acute inflammatory responses between dogs undergoing elective general surgery (GS) and orthopedic surgery (OS). A total of 44 healthy dog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sex ratio of dogs that underwent OS was similar. Both groups showed increased CRP levels and white blood cell (WBC) counts on post-operative day (POD) 1-2. The CRP level in the OS group on POD 1-2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GS group and it was increased about 16-fold compared to the pre-operative valu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BC counts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Although a slight increase in the WBC count was observed on POD 1-2 in both groups, it was near the reference range during follow-up. Thus, measuring CRP levels can be more effective in evaluating acute inflammatory responses than WBC counts. Although a high level of post-operative serum CRP concentrations was observed in the OS group, it rapidly decreased to a level similar to the pre-operative value if there were no post-operative complications.
        4,000원
        2048.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구조 건전도 모니터링 시스템과 응답기반모드해석 기법의 발전과 함께 토목구조물의 고유진동수나 감쇠비, 모드형상과 같은 동특성의 변화를 통해 구조물의 상태를 평가하거나 손상도를 추정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었다. 그러나 온도나 풍속, 진폭 같은 환경 및 거동조건에 따른 동특성의 변동성으로 인해 구조물의 손상이나 상태 변화에 의한 영향만을 파악하는 데 한계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복잡한 공기역학적 특성을 보이는 장대교량의 동특성과 환경 및 거동조건 사이의 상관성을 분석하기 위한 다중선형회귀분석 기반의 예측모델을 제안하였다. 응답기반모드해석 기법을 적용하여 3달간의 계측데이터로부터 대상 구조물의 고유진동수와 감쇠 비를 추정하고 온도나 풍속, 구조물의 진폭 등 환경 및 거동조건과의 다중선형회귀분석을 통해 각 요인의 변화가 동특성의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하였다. 또한, 랜덤 추출한 80%의 데이터를 토대로 다변수 회귀모델을 구축하고 나머지 20% 데이터의 환경 및 거동조건으로부터 예측한 값과 실제 추정치를 비교함으로써 제안한 모델의 예측 성능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기여도가 높은 독립변수를 파악하고 예측 성능을 개선하였다.
        4,000원
        2049.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목상고등학교 김대중 동산을 대상으로 스토리텔링 기법을 적용하여 기념성이 강화된 학교 내 기념공간의 설계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공간설계에 적용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 영역과 기법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수행하였다. 2020년 1월 ~3월 총 4회 동안 현황조사를 실시하고 이후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공간 및 동선의 구상, 기본설계, 실시설계, 시공의 연구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 먼저 대상지에서 도출할 수 있는 기념공간의 아이덴티티를 스토리(Story), 맥락(Contextual), 담론(Discourse)이라는 스토리텔링의 3가지 영역으로 구분하고 이에 해당하는 설계요소들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설계요소들은 연구의 공 간컨셉에 따라 구상된 2개의 영역 및 4개의 공간으로 배치되었다. 기억영역(Memory area)의 경우, 정원공간(Garden space)에 기억의 정원, 옥중편지벽, 진입로를 배치하고, 숲공간(Forest space) 에 기억의 숲, 휴식공간, 독립운동의 길(산책로)을 배치하였다. 추모영역(Remembrance area)의 경우, 열린공간(Openspace)에 김대중 동상 및 기념비, 묵념공간, 추모마당, 추모길을 배치하고, 수벽 공간(Tree screen space)에 배롱나무숲, 배롱나무길을 배치하였다. 모든 설계요소들은 명명 (Naming), 연속성(Sequencing), 드러냄과 감춤(Revealing & Concealing), 수집(Gathering), 열림(Opening)의 5가지 스토리텔링 기법을 적용하여 설계되었고 이를 통해 기념성, 장소성, 경관성, 휴식기능 등을 확보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학교 내에서 환경조형물로만 인식되고 있는 기념동상 중심의 기념공간을 기념성이 강조된 기념공간으로 조성할 수 있는 설계안을 제시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설계사례는 학교내 기념공간이 갖는 교육적 효과, 학교의 상징성, 학생들의 정체성 및 학교에 대한 자부심까지 강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가 있다.
        4,200원
        2050.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숲길은 산림휴양서비스의 중요한 부분으로 숲길이 가진 자연환경 및 주변 지형자원 등을 이용한 다양한 활동에 대한 이용민의 요구도는 점점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북구에 위치한 함지산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자원과 입지적 특성을 활용하여 산림휴양 및 이용민 요구에 적합한 치유숲길을 조성하는 것이다. 대상지는 대구광역시 북구 함지산 일원이며 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대상지의 지형, 수문 등의 자연환경과 토지이용 및 인문환경, 경관 등을 분석 하였으며 대상지 조사는 Trimble 사의 Geoxt 에 Base map 을 탑재하여 현장조사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관련 정책과 유사사례를 분석하여 계획에 반영하였다. 본 계획은 도심과 연접된 산림의 입지적 잠재력을 활용하여 다양한 계층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치유숲길 조성에 중점을 두었다. 국내에서 산림치유 관련 연구 및 치유의 숲 조성 사업은 1980년대 후반부터 시작되었지만, 치유를 위한 프로그램 및 시설에 대한 고려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대구 시민들의 휴식 및 휴양공간으로 대표되는 함지산을 대상으로 건강증진 및 치유공간 제공을 위한 치유숲길을 선정함과 동시에 구간별 차별화된 계획방향을 수립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4,000원
        2051.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지난 12월 10일 데이터기반행정법 시행으로 데이터시대의 증거기반정책으로서의 데이터기반정책이 본격화되고 있다. 본 논문은 증거기반정책 법을 시행한 미국의 사례, 디지털경제법을 기초로 공공데이터를 정책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영국의 사례를 비교·분석하고 우리나라 데이터기반행정법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함의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미국의 증거기반정책법은 연방정부의 평가계획과 밀접 관련이 있는 ‘증거구축활동’과 관련하여 전략계획과 평가계획, 증거구축을 위한 평가관 및 통계관, 데이터자문위원회 등을 규정하고 있다. 또한 동법은 연 방정부가 생산하는 공공데이터의 활용과 관련하여 OPEN 정부데이터법 을 다뤄 개방데이터계획을 포함한 전략적 정보자원관리계획, 기관의 데이터 목록, 연방정부 데이터 자산의 대국민 단일 창구, 데이터 사용과 보호, 제공, 생산과 관련된 모범사례를 선정하고 기관 간 데이터 공유 협정을 촉진하는 위원회 등을 규정하며, 학습 지향의 정부조직의 구축을 목적으로 하여, ‘정책평가’와 ‘정책질문’을 중시한다. 영국의 행정데이터연구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정책연구 네트워크로 접근하고 있다. 행정데이 터연구는 2012년 재무부의 빅데이터 계획의 일환으로 출발하였고, 개정 된 2017년 디지털경제법은 연구자들이 안전한 방식으로 정부 데이터에 접근하는 법적 근거를 제공하고 있어, 행정데이터를 연구자가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명확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행정데이터연구는 정부와 학계를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하며, 학계와의 파트너십을 중심으로 내부 거버넌스 및 정부와의 적극적인 협력을 중시하고 있다. 영국은 공공데이 터의 중요성에 대하여 인식하고, 통계기관이 데이터 허브 기능을 수행하 고 있다. 이러한 각국의 데이터기반정책 관련 법·제도 분석을 토대로 한국의 데이터기반행정법의 역할과 향후 방향성에 일정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2052.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time of trot on hematology and blood chemistry values of the Jeju Pony crossbreed horses that are commonly used for riding (14.1±1.4 years old, Gelding). A total of 28 parameters including vital signs as well as stress hormones such as cortisol and lactic acid levels were examined as the time of the trot exercise progressed. Vital signs such as heart rate (38.0→81.0 times/min) and respiratory rate (11.7→35.7 times/min) increased significantly within 30 minutes of exercise. However, difference in the body temperature was not observed before and after exercise. The hematology including white blood cell count (8.03→9.52×103 cells/μL), red blood cell count (5.94×103→7.23–7.32×103 cells/μL), hemoglobin levels (11.82→14.65–14.78 g/dL), and hematocrit levels (25.04→30.27%) significantly increased 30 minutes after the start of the exercise (p<0.05). The blood chemistry value of albumin (3.25→3.47 g/dL) (p<0.05) only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after the exercise. However, the other blood chemistry levels such as, Na+, K+, Ca2+, total CO2, creatine kinase, glucose, blood urea nitrogen, creatinine, aspartate transaminase, total bilirubin, gamma–glutamyl transpeptidase, and total plasma protein did not change. Also, cortisol and lactic acid level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The middle-aged Jeju pony crossbreed horses were not stressed by the 30-minute exercise;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re is no problem regarding the safety of both the rider and the animal.
        4,000원
        2053.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새만금 기본계획 중 녹화공간 계획 및 계획변화를 분석하고, 현재 진행 중인 사업에서 발생하는 녹화공간의 문제와 과제를 정리함으로서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새만금 기본계획에 나타난 녹화공간의 문제로, 공원녹지는 사업 대상지별 확보에 의해 거점공원의 조성 및 연속적 녹지대 조성의 어려움이, 방재림은 연접한 기반시설과 일체성이 확보되지 못해 초래된 사업비 증대 및 그 사업비의 미확보가, 환경생태용지는 높은 비매립율과 수상태양광 설치로 녹화시기의 장기화가 대두되었다. 진행 중인 사업에 나타난 녹화공간의 문제는, 동서·남북도로는 바다준설토로 매립되고 방수제 역할을 함으로 인한 녹지형성의 어려움, 새만금산업단지는 지속적인 공원녹지율 감소, 수변도시는 단지내 공원녹지율 20%에 방재림이 포함됨으로 인한 녹화면적의 감소 등이다. 이러한 문제로부터 새만금녹화를 위한 개선방안으로, 첫째, 거점공원 확충을 위해서는 도시지역권·광역권 근린공원을 새만금 기본계획 및 예산에 반영할 것을, 둘째, 녹지는 토지이용계획과 정합성을 도모한 확대를, 셋째, 방재림의 빠른 조성을 위해서는 인접지 수상태양광 발전단지 조성 시 발생하는 준설토와 발전수익의 활용을, 넷째, 타 용도로 활용이 계획되어 있는 환경생태용지는 그 위치와 기능의 조정을, 마지 막으로 다양한 사업의 공원녹지를 총괄할 도시공간조성과의 신설을 제안하였다.
        4,500원
        2054.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 of administering dietary tomato powder (TP; 1, 5, and 10%) to mice with high-fat diet (HFD)-induced obesity for 12 weeks. The TP used in this study was prepared using unmarketable tomatoes. Male C57BL/6J mice (n=60) were randomly divided into five groups, namely, CON, mice fed a basal diet (10% fat); HFD, mice fed HFD (60% fat); HFD+TP1, mice fed HFD (60% fat) supplemented with 1% TP; HFD+TP5, mice fed HFD (60% fat) supplemented with 5% TP; HFD+TP10, mice fed HFD (60% fat) supplemented with 10% TP. The HFD+TP10 group showed lower final body weight (34.23 g) than the HFD group (39.41 g), along with decreased epididymal fat weight (p<0.05). In addition, the HFD+TP10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serum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contents (136.32 and 33.20 mg/dL, respectively) that the HFD group (175.68 and 59.52 mg/dL, respectively). Increased serum leptin and insulin levels (66.36 and 1.80 ng/mL, respectively) in mice with HFD-induced obesity could be rescued in mice fed HFD supplemented with 10% TP (35.94 and 1.23 ng/mL, respectively). Additionally, the epididymal fat content and hepatic steatosis area showed a dose-dependent decrease with increase in dietary TP supplementation. The anti-obesity effect of 10% TP was linked to reduced serum trimethylamine-N-oxide level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10% TP was effective at inhibiting the accumulation of fat in the serum and tissue, and ameliorating lipid metabolism disorders observed in HFD-fed mice. In addition, such utilization of unmarketable tomato to inhibit obesity-associated pathologies is expected to add value and increase profits in the functional food industry.
        4,600원
        2055.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various levels of sodium nitrite and probiotics (SNPro) combination as an alternative to zinc oxide on the growth performance, immune response, intestinal microflora, and morphology of weaned pigs. One hundred and ninety-two weaned pigs (Landrace×Yorkshire×Duroc) with an average body weight of 6.51±0.15 kg were randomly assigned to four treatments(n=6) on the basis of their initial body weight. Experimental period was divided into phase 1 and 2 (each 14 days). The dietary treatments were: 1) Basal diet (control), 2) SNPro1 (control+0.01% SNPro), 3) SNPro2 (control+0.02% SNPro), 4) SNPro3 (control+0.03% SNPro). The average daily gain when SNPro was added to the diet was 288, 309, 319, 324 g in phase 1, 355, 387, 410, 407 g in phase 2 and 321, 348, 364, 366 g in the overall. The concentration of interleukin-8 and interleukin-10 in serum when SNPro was added to the diet were 15, 13.5, 13, 12.8 ng/ml and 165, 162, 155, 145 ng/ml (p<0.05) but toll-like receptor 4 and immunoglobulin G levels in serum were no significantly different. The colonization of Escherichia coli in the ileum and Salmonella spp. in the caecum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s SNPro level increased (p<0.05). However, the population of Lactobacillus spp. did not differ among the groups. Although villus height and villus height to crypt depth ratio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treatments, crypt depth in the jejunum was 599, 586, 615, 599 ㎛ as SNPro level increased (p<0.05). In conclusion, SNPro had beneficial effects on growth performance, immune response, intestinal microflora and morphology weaned pigs. Therefore, SNPro not only can be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for the pharmacological level of zinc oxide in weaning pigs but also ideal dietary SNPro level was 0.02%.
        4,000원
        2056.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전주시에 위치한 3개의 산지형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이용행태와 등산로의 현황을 분석하여 훼손된 등산로의 관리기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설문조사는 2019년 2월부터 2020년 1월에 걸쳐서 총 575명의 응답지를 회수하였다. 조사대상 3개소의 근린공원 이용자는 대부분 해당 근린공원 인근의 주민들로서 1주일에 1~2회 근린공원을 방문하고, 소요시간은 대부분 20분 이내로 나타났다. 중력모델을 적용하여 추정한 유효이용수요는 기린봉 근린공원 4,500명/일, 완산칠봉 근린공원 3,159명/일, 황방산 근린공원 2,961명/일이었다. 등산로의 총 연장은 완산칠봉 근린공원 13.41㎞, 황방산 근린공원은 10.91㎞, 기린봉 근린공원 26.06㎞였다. 등산로 밀도는 완산칠봉 근린 공원 205.84m/ha, 황방산 근린공원 50.51m/ha, 기린봉 근린공원 105.37m/ha 였다. 등산로의 훼손 지는 완산칠봉 근린공원 38개소, 황방산 근린공원 31개소, 기린봉 근린공원 133개소였다. 훼손유형은 전반적으로 노폭확장, 뿌리노출, 암반노출, 하반침식의 순으로 발생하였다. 근린공원의 유효이용 수요와 등산로의 연장 사이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유효이용수요가 등산로의 훼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등산로의 훼손유형에 대응하여 등산로의 경계 설정, 휀스설치, 노면포장, 배수시설, 계단공사, 성토, 데크길, 누구막이, 식생공 등의 관리 및 복원방안을 제안하였다.
        4,300원
        2057.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etary protein level and supplementation of protease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gut microflora, intestinal morphology and fecal noxious gas emission in weanling pigs. A total of 240 weaned pigs (Landrace×Yorkshire×Duroc, 5.82±0.3 kg) were used during 4 weeks in 2 phases (days 0-14, phase 1; and days 15-28, phase 2) feeding program based on age and initial body weight. Pigs were allocated to 2×2 factorial arrangement, including 2 protein levels (HP, high protein; LP, low protein) and 2 protease levels (with or without protease). The average daily gain in the LP treatment (357 g/d) was increased rather than the HP treatment (339 g/d). A greater avarage daily gain was observed in dietary suppiemented protease treatment (358 vs 339 g/d). Average feed intake was greater in the LP treatment (544 g/d) rather than the HP treatment (530 g/d). A greater average daily feed intake was observed in dietary supplemented protease treatment (552 vs 523 g/d). Dry matter and crude protein digestibility were increased in dietary supplemented protease treatment (82.62% and 76.08%, respectively) rather than non-supplemented treatment (81.74% and 75.13%, respectively). Ileal Lactobacillus spp. count increased in dietary supplemented protease treatment (7.42 vs 7.32 log10CFU/g). Emission of H2S was decreased in the LP treatment (4.41 ppm) rather than HP treatment (4.78 ppm). Emission of NH3 was decreased in dietary supplemented protease treatment (10.43 ppm vs 11.76 ppm). In conclusion, the decrease of dietary protein level and supplementation of protease had beneficial effects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gut microflora, and noxious gas emission in weanling pigs.
        4,000원
        2058.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정저우시에 최근 조성된 상성유적공원, 상성공원, 인민공원, 자형산공원 등 4개 유적지 공원을 대상으로 6개의 경관요소 즉, 전통수종, 역사적 폐허 및 유적, 전통건축, 조형물, 도로포장 및 소재, 수경요소 등의 측면에서 지역문화경관의 적용 및 문제점을 분석 평가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전통건축과 역사적 폐허 및 유적의 관리 측면에서 문제점이 드러났다. 상성 유적공원, 상성공원, 자형산공원에 조성된 전통건축은 모두 송나라 이후의 건축양식을 따르고 있어 상나라시대의 건축적 특징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인민광장의 경우 유적은 반개방적인 방법으로 보존 전시하고 있으나 부실한 관리로 인해 유적의 인위적인 훼손이 심각하고 특히 유적지의 고목들이 벽체를 크게 훼손하고 있다. 조형물 측면에서는 인민광장의 경우 상나라시대와 관련된 조형물이 없으며 도로포장 측면에서는 상성유적공원과 상성공원의 일부에만 문화적 토템이 적용되었을 뿐 공원 도로포장의 대부분이 현대식 포장으로 인해 지역의 역사문화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전통 수종 측면에서는 상성유적공원과 인민광장의 경우 대부분 전통수종을 식재했으나 상성공원 및 자형산공원의 경우 외래수종이 많아 지역 고유의 자연경관 을 연출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면밀한 역사적 고증을 바탕으로 지역문화경관의 구성요소 및 설계원칙을 고려하여 개선해 나갈 필요가 있다. 수경요소는 자형산공원에만 적용 되었으나 지역특성을 상징하는 황하강을 모티브로 한 은유적 설계의 적용이 부족하다. 지역의 역사문화에 대한 은유적 표현 방법과 의미 해석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는 만큼 향후 이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4,500원
        2059.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에서는 오랫동안 영장청구와 영장기각결정을 둘러싸고 검찰과 법원의 갈등이 지속되고, 이러한 행태는 국민들에게 사법체계에 대한 불신을 가중·심화시키고 있다. 구속영장기각을 통계적으로 보면 2019년 현재 검사의 구속영장 직접 청구에 대한 판사의 기각률이 30%에 육박하고 있다. 이것은 독일이나 일본의 경우 6% 이하에 불과한 것에 비하면 상당히 높은 수치로 이것은 주로 검찰과 법원의 구속기준이 상이함에서 오는 것으로 볼 수 있고 이를 검찰의 수사의 편의만을 고려한 무리한 영장청구와 법원의 유한자로서의 자의적 판단에 의한 오류로서 표현되기도 한다. 문제는 검찰의 무리한 영장청구는 영장전담판사가 기각하여 바로 잡을 수 있으나 법원의 오류에 의한 영장기각은 불복할 방법이 없어 정당성의 한계를 보이고 있다. 영장기각에 대한 불복의 필요성은 피의자는 구속되면 구속적부심사의 기회를 가지나 검사는 구속영장이 기각되면 현행법상 불복할 기회를 가질 수 없다. 그러나 구속적부심사에 대응하여 영장재청구를 할 수 있으므로 피의자와 검사 간의 불평등은 상쇄된다. 그러나 구속적부심사와 영장재청구는 실무적으로 당해 사건에 영장전담판사의 구속 여부 결정에 대한 재심사를 받기보다는 영장 결과 이후의 사정 변경에 의해 재청구 당시의 범죄사실을 가지고 심사를 받는 것이어서 정당성 확보를 위해서도 상급법원에의 불복은 필요해 보인다. 또한 이것은 구속영장실질심사 자체의 구조적인 문제에 있다. 그것은 구속영장실질심사는 기소 후의 공판정에서 실체를 다루는 재판이 아니고, 수사기관의 초동수사 결과에 기초하여 제한된 시간 내에 간단한 피의자 심문과 변호인의 변론에 의해 구속 여부를 결정하는 것으로 판사가 합리적인 의심 없이 구속사유를 판단하기에는 한계가 있고, 그러므로 판결문과 같이 명확성의 원칙을 갖추어 실체적 사유를 밝히기에는 제약된 구조로 이를 위해 간단한 단문으로 그 사유를 밝히는 것으로 법관의 판단에 대한 오류는 당연히 높을 수밖에 없고 그렇다면 이에 대한 안전장 치가 필요한 것으로 상급법원에 불복을 제기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대법원은 판사의 영장기각에 대해 영장 재청구라는 간접적 불 복할 수 있는 길을 열어놓고 있어 헌법상의 기본권침해가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영장재청구는 횟수 제한이 없고 또한, 영장전담판사의 당해 사건의 잘못된 결정에 대한 재심사가 아니라 재청구된 범죄사실을 가지고 재구속 여부를 판단한다. 이렇게 될 경우 추가적 범죄의 수사로 장기간 수사가 예정되어 피의자의 인권에 심각한 침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미 주요선진국들은 영국, 미국, 독일, 프랑스, 일본 등에서는 영장항고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최근 법원과 검찰의 갈등은 더 심화된듯하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피해자의 인권과 사회방위를 위해서만이 아니라 피의자의 인권을 위하여도 영장항고제의 도입이 더욱 필요해 보인다.
        2060.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한국에 체류하는 외국인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그들의 거주지 주변에 있는 공공재의 이용도 증가하고 있으며 도시의 공원도 예외는 아닐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원 계획의 기초가 되는 외국인 밀집지역에서 외국인의 공원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는 거의 찾아 볼 수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시 달서구의 외국인 밀집지역에서 외국인들의 공원 이용특성과 공원 만족도가 체류 외국인 이용자의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 분석을 바탕으로 2개의 도시공원을 연구대상지로 선정하고 172명의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분석에 따르면 공원 이용 패턴의 경우 응답자의 45.9% 가 매월 1, 혹은 2회 정도 공원을 방문했다. 그들의 공원 이용목적은 운동이었으며 공원의 체류시간은 1시간 이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50% 이상이 야간에 공원을 이용하는 것을 선호했으며, 대부분의 외국인 응답자들은 걸어서 20분 이내인 공원 주변에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원의 이용특성과 만족도가 외국인 거주자들의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ANOVA 검정을 통해 조사하였다. 먼저, 삶의 질 지수가 가장 낮은 외국인 응답자는 일주일에 1회 내지는 2회 정도 공원을 이용한다는 응답자였다. 반면 매일 공원을 이용한다는 외국인 응답자의 삶의 질 지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집에서 공원까지 접근시간이 30~40분 거리인 외국인의 삶의 질 지수가 가장 낮고, 접근시간이 10분 이내인 외국인의 삶의 질 지수가 가장 높았다. 한국에서 거주하는 외국인의 삶의 질과 공원 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의수준1% 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공원 시설과 관련된 9개 요인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에 따르면, 그 중에서 9개의 요인 중 공원의 ‘자연적 시설’요인이 다른 요인에 비해 외국인 공원 이용자들의 삶의 질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이전까지 없었던 외국인 밀집지역에서 외국인들의 공원이용 특성과 만족도를 분석하였고, 외국인의 공원 이용을 긍정적으로 유도하고 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공원 계획의 기초 데이터를 제공하였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