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 the end of each volume or each case of Jiaxing Tripitaka, a large number of phonetic explanation characters are attached. These characters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he Suihan Yinshi. They use “Yinshi” and “Yinqie” and so on as their documentary identifiers, and are scattered at the end of each volume or at the end of the entire Buddhist scripture. The layout generally follows the pattern of Xuan Ying’s Yinyi: First, the character to be annotated is extracted, and then its pronunciation is noted and its meaning is explained. The catalog of characters and their annotations in the Suihan Yinshi of Jiaxing Tripitaka are rather complex, and the methods of phonetic notation are diverse. Overall, the Suihan Yinshi of Jiaxing Tripitaka are characterized by complex annotation materials, diverse base texts, and rich phonetic notation levels.
본 연구에서는 인쇄 회로 열교환기 채널에서의 응력 집중 해석을 수행하였다. 응력 집중이 발생하는 응력 집중부의 응력을 도출하 기 위해 전체 시스템의 해석 결과를 활용하는 부모델링 기법을 사용하였다. 미세한 기하학적 형상과 비가역적 소성 변형을 고려한 부 모델의 탄성 및 소성 해석을 수행하였다. 탄성 및 소성 해석에서 얻은 응력을 통해 미세한 기하학적 형상이 PCHE의 응력 분포에 미치 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탄성 해석과 소성 해석에서의 최대 폰 미제스 응력을 비교하여 응력 집중부의 응력 집중 경향과 소성 변형을 확인하였다.
Immunoglobulin G4 (IgG4) 관련 경화성 담관염과 원발성 담즙성 담관염의 중복은 매우 드문 임상 양상으로, 이로 인한 비대상성 간경변증으로의 진행은 극히 예외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증례는 두 질환이 병존하며 스테로이드 포함한 치료 에도 불구하고 반복적인 담관염과 담도 협착, 지속적인 IgG4 상승이 관찰되었고, 결국 간섬유화와 복수를 동반한 비대상성 간경변증으로 진행한 사례이다. 기존 문헌에서도 IgG4 관련 질환과 원발성 담즙성 담관염의 중복 또는 다른 장기 침범 사례가 보고된 바 있으나 ursodeoxycholic acid와 면역 치료 병합에 반응하였고 일부에서만 불완전한 치료 반응과 진행성 경과를 보였다. 이러한 중복 사례에서는 간경변 진행 가능성을 신중히 고려해야 하며, 재발성 IgG4 관련 경화성 담관염의 경우 rituximab이 치료 대안이 될 수 있으나, 중복 질환에서의 유효성은 아직 확립되지 않아 최종적으로 간이식까지 고려해야함을 증례로서 보고하는 바이다.
인도 연극의 선구자인 비제이 텐둘카르는 인도 연극을 전통적 뿌리에서 현대적이고 혼종적인 형태로 탈바꿈시키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다. 본 논문은 텐 둘카르의 작품이 어떻게 토착 문화 요소와 서구 모더니즘의 영향을 결합하며 인도 연 극의 진화를 반영하는지를 탐구한다. 산스크리트 희곡과 마하바라타, 라마야나와 같은 서사에 뿌리를 둔 전통 인도 연극은 도덕적 이분법과 사회 규범에 중점을 두었다. 그 러나 탈식민 시대의 인도 영어 연극, 특히 텐둘카르의 작품은 도시 중산층이 직면한 현대 사회 정치적 문제들을 다루는 방향으로 전환되었다. 텐둘카르의 정숙! 재판이 진행 중이다는 가부장제, 성 역할, 사회적 위선과 같은 주제를 조명하며 그 전환을 대표하는 사례 연구로 제시된다. 이 희곡은 모의 재판이라는 개념을 통해 사회적 불의 와 여성 억압을 비판하며, 현대 인도 사회의 보다 넓은 투쟁을 상징한다. 텐둘카르의 인도주의적 접근은 기존의 규범에 도전하며 진정성, 성실성, 새로운 도덕 질서를 옹호 한다. 그의 심리적, 실존적, 여성주의적 문제에 대한 집중은 현대 삶의 분열성을 부각 시킨다. 본 논문은 텐둘카르만의 독특한 시각을 분석함으로써, 인도 연극이 사회 비판 과 문화적 혼종성의 장으로 진화한 과정을 보여준다.
본 논문에서는 2자유도 매니퓰레이터(manipulator)가 탑재된 지상형 이동 로봇을 활용한 균열 지도 작성 기법을 소개한다. 로봇의 앞·측면에 각각 스테레오 비전 센서를 설치하였으며, 앞면에 설치된 센서의 포인트 클라우드 정보를 이용하여 로봇의 위치를 인식하 고 지도를 작성하며, 측면에 설치된 센서의 영상 정보를 바탕으로 벽면 내 균열을 검출한다. 이때, 두 센서의 좌표계를 좌표 변환식을 통해 통일하여 정합 및 검출된 균열 정보를 생성된 지도에 실시간으로 표기하고, 손상의 정보가 기록 및 관리될 수 있도록 하였다. 2자 유도 움직임이 가능한 매니퓰레이터 장치를 이동로봇에 탑재하고 사각지역의 제한 없이 로봇의 진행 방향을 벗어난 균열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촬영된 영상 내 딥러닝 기법을 적용하여 균열을 검출하고, 해당 균열이 촬영된 영상 내 일부만 존재한다고 판단하 는 경우 매니퓰레이터를 동작하여 남은 균열의 위치를 추정 및 추가 촬영, 스티칭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시스템의 성능 확인을 위하 여 실내 환경에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IoU기반 검출율 0.6 이상의 정확도로 실시간 균열 정보를 구축된 지도 위에 작성하는 것을 확 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과학적 문학연구에 대한 통합 학문연구로서의 의의 와 가능성을 탐색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연구 방법론적 요건을 갖춘 사 회과학적 문학작품 분석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통합 학문연구의 영 역을 지속적으로 넓혀가고 있는 21세기는 단순한 학술연구에 그치지 않 고 근대 분과학문의 영역을 아우르며 새롭고 종합적인 학문을 탐색해 나 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SSLA모델(Social Science Literature Analysis Model)은 사회과학연구의 새로운 분야로서 더욱 탄력을 받게 될 것이다. 또한 문학작품에서의 복잡한 사회현상을 보다 심층적이고 과학적으로 규명함으로써 연구 패러다임의 다각화 및 경계 없는 통합 학문연구의 토대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매우 의의가 있다.
담도 스텐트 삽입 및 제거 시술 과정에서 담도 주위 혈관에 손상을 주어 혈액 담즙이 유발되는 경우가 드물게 보고된다. 불안정한 활력 징후를 동반할 만큼 심각한 혈액 담즙증이 발생한 경우, 구조요법으로 피막형 팽창성 금속 스텐트를 삽입할 수 있다. 본 증례는 급성담관염을 동반한 총담관 담석 환자에게 기계적 쇄석술을 시도하던 과정에서 발생한 바스켓 장치 감돈을 해결하던 중 다량의 혈액 담즙증이 발생하였고, 피막형 팽창형 금속 스텐트 삽입을 통해 내시경적 지혈술에 성공하였으나 이후 경과 관찰 중에 스텐트가 원위부로 이탈 되면서 주위 혈관에 가성동맥류를 동반한 재출혈을 경험하였고 혈관 중재술과 추가적인 지혈술에도 불구하고 결국 사망에 이른 사례이다. 지혈을 위해 삽입한 스텐트가 적절한 위치에 삽입되더라도 지혈이 잘 안될 수 있고, 스텐트가 이탈하게 되면 혈액 담즙증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출혈이 다시 발생하는지를 면밀하게 살피며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본 증례는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돌연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lazertinib 치료 중 췌장 전이 병변에서 소세포암 전환이 발생한 드문 사례를 보고하였다. 소세포암 전환은 치료 저항성의 기전을 나타내며 이를 확인하기 위해 조직 생검이 중요하다. Tyrosine kinase inhibitor 치료 중 병변의 선택적 진행이 의심될 때는 조직학적 평가를 통해 전환 여부를 확인하고 이에 따른 치료 전략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공동주택 외벽의 균열 탐지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전처리 방법을 비교 분석하 였다. 특히, 표준 균열 데이터셋에 일반적으로 나타나지 않는 오탐균열을 식별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 연구는 탐지 정확도를 최 적화하기 위해 여러 이미지 전처리 기법을 적용한 결과를 비교한다. 객체 탐지를 위한 엣지 필터링과 RGB 색 필터 등을 이용한 색상 정규화를 결합한 방법을 집중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러한 기술들은 실제 균열과 오탐균열을 구분하기 위해 적용되었으며, 이들의 탐 지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철저히 조사하였다. 효율적인 균열 탐지 모델을 찾기 위해 EfficientNet V2s 기반 모델을 적용하였다. RGB, YUV, LAB, HSV 네 가지 이미지 필터가 원본 이미지와 CLAHE 정규화된 이미지에 적용되었는데, 그 결과 단색 콘크리트 균열 탐지 에 효과적인 전통적인 정규화 방법이 공동주택 외벽 균열 탐지에는 제한적인 효과를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단일 색 필터의 적용이 일관된 탐지 결과 개선 효과를 주지 않는다는 것을 밝혔다. 결국, 본 연구를 통해 다양한 이미지 정규화와 색 필터 조합의 균열 탐지 성능을 검증하였으며, 실제 균열과 오탐균열을 구분하는 탐지 성능 향상을 위해 추가적으로 다양한 접근의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신비주의’라는 용어는 인간과 신, 자연 사이의 관계와 관련된다. 그것 은 자연 세계 이면에 존재하는 신성을 인식하고자 하며, 이와 같은 의미는 신비적이 고, 초자연적이며 상징적이다. 예이츠는 철학적이고 영적인 표현을 위해 초자연적 요 소들을 활용하였다. 그는 신화적 시와 전설에 의미를 부여하고, 재창조하는 수단으로 신비주의를 사용하였다. 예이츠는 아일랜드의 이교 전통에서 신비로운 분위기를 불러 일으키고자 했으며, 이는 그의 무의식 속에 자리한 신비주의적 성향에 대한 내면적 욕 망과 맞닿아 있다. 예이츠는 왕권의 신비주의적 책무를 무거운 짐으로 여기며, 그것을 이교적 자연의 소박한 즐거움과 비교하였다. 그에게 있어 신비로운 저녁은 더 큰 즐거 움을 안겨주는 시간이다. 그는 자연과의 연관을 신비로운 체험, 그리고 이교적 자연 사유와 결부하였다. 예이츠는 자연의 환상성과 초자연성을 위대하고 찬란한 측면으로 받아들였으며, ‘소용돌이치고 방황하는 불꽃’과 같은 자연의 이미지는 그의 시적 여정 을 위한 신비적 패턴을 제공해주었다.
The annotation style and commonly used terms of the phonetic and semantic annotations accompanying the Sixi Canon (思溪藏) are roughly similar to those of specialized Buddhist scripture phonetic and semantic works. Meanwhile, special terms such as “Jiuyin” (舊音) are also used. The mark of “Jiuyin” appears 100 times in the phonetic and semantic annotations accompanying the Sixi Canon. The function of this “Jiuyin” is not merely to indicate the pronunciation, but also involves differentiating characters’ forms and explaining their meanings. The phonetic and semantic annotations of the Sixi Canon not only refer to the three major specialized Buddhist scripture phonetic and semantic works, but also to rhyme books of the Qieyun (切韻) system. They also refer to lost Buddhist scripture phonetic and semantic works, and even to the original phonetic cuts that have been passed down along with the Buddhist scriptures. In general, the “Jiuyin” in the phonetic annotations accompanying the Sixi Canon has a relatively diverse reference and should be regarded as a general term.
만화를 보는 두 가지 인식이 있다. 웃음을 유발하는 가벼운 볼거리라 는 인식과, 다양한 방식으로 당대의 이데올로기를 담고 있는 문화적 결과 물이라는 인식이 그것이다. 이 논문은 1970년대 이상무의 아동만화 <주 근깨>(1972)와 <비둘기 합창>(1978)을 소년담론의 생산이라는 관점으로 서술하였다. 당시는 박정희가 대통령 종신제를 위한 유신체제를 선언함 으로 다른 어떤 시기보다 사회적 긴장이 높았던 시기였다. 박정희는 집 권 초기부터 다양한 제도를 통해 만화에 대한 심의와 통제를 강화하기 시 작했는데, 이는 만화의 대중적 파급력 내부에 기성 질서에 대한 저항적 성 격이 있음을 간파한 정치적 전략 과정이었다. 이 논문은 유신정권기 한국 아동만화에 재현된 소년을 당대의 사회적 맥락이 만들어낸 하나의 담론으 로 설정하고, 담론의 내부에 존재하는 이데올로기와 권력의지를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결과, ‘가족주의 이데올로기의 재현’, ‘고난 극복 주체로서의 소년’, ‘경쟁을 통한 승리의 획득’이라는 담론이 내재 되 어 있음을 확인했다. 아동만화는 특정한 세대에 작용하는 제도이지만, 그 세대는 지속적으로 성장한다는 점에서 만화를 이해하는 방식이 당시의 아 동은 물론 현재까지 이어지는 축적된 질서라는 시각으로 이해되어야 함을 알게 되었다.
국내 핵의학은 1959년에 갑상선 질환 환자에서 131I를 이용하여 섭취 및 배출을 측정하면서 시작된 이후, 지난 60여 년간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루어 왔다. 1961년에 도입된 핵의학 진단영상 검사는 감마카메라를 이용한 감마카메라영상 및 양전자단층 촬영(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을 이용한 PET/computed tomography (CT)가 현재 주요 검사로 자리잡고 있다. 감마 카메라와 PET/CT에 활용되는 방사성동위원소는 발생기 (generator)와 사이클로트론(cyclotron)을 통해 생산되며, 이러한 방사성동위원소는 표적 장기에 선택적으로 섭취되는 화합물에 표지되어 방사성의약품으로 조제된다. 국내에서 췌장담도 질환 환자에 주로 사용되는 핵의학 진단영상검사용 방사성의약품으 로는 전신뼈스캔에 사용되는 99mTc-dicarboxypropane diphosphonate (DPD)와 99mTc-methylene diphosphonate (MDP), 99mTc-hydroxymethylene diphosphonate (HMDP)가 있으며, 간담도스캔에는 99mTc-bromotriethyliminodiacetic acid (BrIDA 또는 mebrofenin)가 있다. 또한 18F-fluorodeoxyglucose (18F-FDG)와 18F-2-fluoro-3,4-dihydroxyphenylalanine (18F-FDOPA), 111Inpentetreotide (octreotide), 68Ga-1,4,7,10-tetraazacyclododecane- 1,4,7,10-tetraacetic acid0-Tyr3-octreotide (DOTA-TOC)는 주로 췌장담도계 종양의 진단과 치료 방침 결정에 유용하게 활용 되고 있다. 핵의학 진단영상검사로 인한 환자의 의료 피폭은 국내 자연 방사선으로 의한 방사선량과 비교하여 수용 가능한 수준으로 여겨진다. 임상의가 핵의학 진단영상검사의 특성을 충분히 이해하고 이를 환자와 효과적으로 소통할 경우, 신뢰 관계 형성은 물론 진료의 질 향상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림자 드리워진 바다는 예이츠의 선원이 콜리지의 선원처럼 초자연 적인 바다 여행을 떠나고, 그 여행에서 다시는 돌아올 수 없다는 점에서 늙은 선원 의 노래와 유사하다. 예이츠의 선원은 모든 것이 영원히 지속되는 미지의 세계를 찾 고 싶어 하지만, 문자 그대로의 의미에서 자신의 여행에서 결코 돌아올 수 없다는 것 을 알고 있다. 콜리지의 선원은 자신의 끔찍한 여행이 끝나기를 간절히 바라지만, 은유적으로는 결코 돌아올 수 없으며, 자신의 죄에 대한 처벌로 이야기를 계속해서 반복 해야 함으로써 그 기억을 영속시킨다. 그러나 저자들은 낭만주의적 속성의 사용에 대 해 완전히 다른 태도를 가지고 있다. 예이츠가 모더니스트 작가로 여겨지는 경향에도 불구하고, 낭만주의의 진정한 의미는 늙은 선원의 노래보다 그림자 드리워진 바다 에서 더 많이 찾을 수 있다.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는 진단 내시경과 유사한 진정법이 사용되지만 시술의 복잡성, 질환 특성, 환자의 자세 등으로 인해 진정 관련 우발증 위험이 높아 고위험 시술로 분류된다. 시술 전 병력청취와 신체 검진을 통해 Mallampati 또는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분류가 높을 경우 마취과 협진을 고려해야 한다. 미다졸람과 아편 유사제 병합 또는 프로포폴 기반 균형 진정은 모두 안전하게 사용 가능하며, 시술 중 활력 징후, 산소포화도, 심전도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고위험군에서는 호기말 CO2 측정을 추가할 수 있고 고유량 비강 캐뉼라, 후두 마스크 등도 고려된다. 진정제 과량 투여를 피하고 ERCP의 적응증을 신중히 검토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최근 우리 사회에 심각한 이슈로 알려진 공교육 현장에서의 악성민원에 관하여 사교육을 중심으로 하는 교 육서비스업 현장에서 그 실태와 영역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교육서비스업 중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보습학원 종사자를 대상으로 지역을 서울로 제한하여 연구를 수행했으며 악성민원은 선행연구를 토대로 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여 설문조사 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조사 대상자의 81.54%가 악성민원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여성(65.34%)과 30∼40 대(70.95%) 종사자들에게서 특히 두드러졌다. 악성민원을 영역별로 분류하여 보면 교수학습(57.48%), 생활관리(50.20%), 교습비용(50.00%) 영역에서 주로 발생했으며, 서울시내 보습학원에서 교수학습(수업, 성적 등), 교습비용(수강료 납부/환 불 등), 운영관리(시설, 안전사고 등), 생활지도(이성교제, 흡연, 태도 등) 차원에서 수요자(학부모, 학생)가 공급자(원장, 강사, 종사자 등)에게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교육서비스업 종사자들의 응답을 통해, 확인한 특히 우려스러운 점은 근무 학원의 58.19%가 악성민원 대응 매뉴얼을 구비하지 않은 상태이며 이로 인해 적절한 대응이나 예방조치가 이루어 지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었다. 따라서 서울시교육청은 관련 대응 매뉴얼을 제작·배포하고 악성민원을 예방하기 위해 학 부모인식 개선을 위한 적극적인 역할을 담당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Huiyuanyinyi in the Goryeo Collection quotes 89 entries from the Erya and is of great value in research. This paper applies the combination of documentation study and linguistic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and comparative summaries to explore in depth the form, content, and characteristics of Huiyuan’s quotations from Erya, and to provide detailed illustrations. The study reveals that the form of quotation is diverse, and there are bot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content with the present-day version of Erya, with the differences covering cases of heterogeneity, quotation of meaning, and misinterpretation, etc. The purpose of quotation is mainly to explain the meanings of terms, and most of the quotations are focused on the interpretation of common words and phrases. These research results help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Huiyuanyinyi and Erya, and provide references for research in related fields.
예이츠(W. B Yeats)의 모드 곤(Maud Gonne)에 대한 평생의 사랑은 널 리 알려져 있으며 그의 삶과 문학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모드의 의붓딸인 이 졸트 곤(Iseult Gonne)에 대한 그의 애정은 상대적으로 덜 주목받아왔다. 그러나 이 측면은 보다 깊이 있게 검토될 필요가 있다. 이졸트에 대한 그의 사랑 역시 깊고 지 속적이었으며, 그 사랑의 강렬함은 그의 많은 작품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특히 주목 할 만한 것은 예이츠가 종종 이졸트에게 이상적인 아름다움의 상징으로써 댄서의 이 미지를 자주 사용한 것이다. 이는 그녀에 대한 그의 깊은 사랑을 반영한다. 반복되는 이 상징은 예이츠가 이졸트를 향해 가진 감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시한다. 이 논문은 예이츠의 시에서 이졸트와 관련된 다양한 이미지를 살펴봄으로써 그의 사 랑 시에 담긴 감정을 보다 깊이 탐구하고자 한다.